KR101821765B1 -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 Google Patents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65B1
KR101821765B1 KR1020150157633A KR20150157633A KR101821765B1 KR 101821765 B1 KR101821765 B1 KR 101821765B1 KR 1020150157633 A KR1020150157633 A KR 1020150157633A KR 20150157633 A KR20150157633 A KR 20150157633A KR 101821765 B1 KR101821765 B1 KR 10182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storage
upper plate
leg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076A (ko
Inventor
장봉춘
이주현
김희범
류호열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서랍의 수납부를 상부수납부와 하부수납부로 구성된 이단의 수납부로 구성하고 하부 수납부를 승하강하여 사용 가능한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다리에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된 상부수납부; 상기 다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이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및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형성된 수납공간의 양 측면에 상기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를 상기 한 세트의 홈과 대응하는 구멍을 나사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하부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책상 서랍의 수납부를 상부수납부와 하부수납부로 구성된 이단의 수납부로 구성하고 상부에 고정시킨 경우에는 추가적인 수납부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충분한 수납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하부에 고정시킨 경우에는 발판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책상의 상판 밑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TABLE FOR HAVING UP AND DOWN STORAGE}
본 발명은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 서랍의 수납부를 상부수납부와 하부수납부로 구성된 이단의 수납부로 구성하고 하부 수납부를 승하강하여 사용 가능한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수납서랍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용도에 따라 각종 문구용품들 및 책등을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학교, 학원 또는 공공 장소에 사용되는 책상은 한정된 공간에 개별적인 사용자의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학교 등에 사용되는 책상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의 차이 때문에 큰 키의 사용자를 위하여 수납 공간이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일부 책상은 편리함과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납 공간이 없이 제작되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학교, 학원 또는 공공 장소 등에 사용되는 책상은 걸상과 함께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볍게 구성해야 하기때문에 수납 공간은 점차적으로 축소되거나 없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책상의 상부면의 공간이 비좁은 상태에서 수납 공간도 점차 줄어들거나 없어지면서 사용자들은 수납 공간의 부족함으로 인하여 필요한 학용품들을 책상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로 수업을 듣거나 또는 쉬는 시간에 책상의 상부면에 놓은 상태로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책상 상부에 올려둔 일부 학용품이 밀려 떨어지거나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책상을 신체 사이즈에 따라 편리하게 구성하고 동시에 수납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며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볍게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무릎을 수용하는 책상 밑의 공간을 충분히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성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0052520호 (발명의 명칭 : 전동식 컴퓨터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서랍의 수납부를 상부수납부와 하부수납부로 구성된 이단의 수납부로 구성하고 상부에 고정시킨 경우에는 추가적인 수납부로 사용 가능한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하강 가능한 하부수납부를 하부에 고정시켜 발판으로 사용 가능한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은,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다리에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된 상부수납부; 상기 다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이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및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형성된 수납공간의 양 측면에 상기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를 상기 한 세트의 홈과 대응하는 구멍을 나사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하부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는,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을 통해 상기 하부수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휠을 수용하여 상기 하부수납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리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고정홈에 맞추고 나사로 고정시켜 가이드를 다리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납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레일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휠;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멍; 및 상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 중 어느 한 세트의 홈과 상기 한 세트의 구멍을 결합하는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은, 책상 서랍의 수납부를 상부수납부와 하부수납부로 구성된 이단의 수납부로 구성하고 상부에 고정시킨 경우에는 추가적인 수납부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충분한 수납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은, 승하강 가능한 하부수납부를 하부에 고정시켜 발판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책상의 상판 밑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책상에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의 다리 부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수납부에 연결된 가이드레일 및 하부수납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수납부에 연결된 가이드레일 및 하부수납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의 다리 부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수납부에 연결된 가이드레일 및 하부수납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책상은 크게 상판(10), 다리(20), 상부수납부(30) 및 하부수납부(40)를 포함한다.
상판(10)은 책상의 상부면으로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판(10)은 일반적으로 나무, 합판, 프라스틱 합성재질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상판(10)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4각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다리(20)에 의해 지지된다. 상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미도시 됨)과 다리의 상부에 구성된 대응하는 홈(미도시 됨)을 나사로 결합하여 다리(20)에 상판(10)을 고정시킨다.
다리(20)는 상판(1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4개 또는 2개의 지지축으로 구성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다리(20)가 2개의 지지축(21, 23)으로 구성되는 경우 양측에 각각 1개의 지지축(21, 23)을 구성하여 상판(10)을 지지한다. 2개의 지지축(21, 23)을 이용하여 상판(10)을 지지하는 경우 지지축(21, 23)의 폭을 충분히 넓게 구성하여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2개의 지지축(21, 23)을 이용하여 상판(10)을 지지하는 경우, 다리(20)는 2개의 지지축(21, 23)과 2개의 지지축(21, 23)을 각각 받치는 받침대(25, 27)로 구성된다. 받침대(25, 27)는 지지축(21, 23)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ㅗ'자형상으로 지지축(21, 23)의 하부와 결합한다. 즉 지지축(21, 23)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책상의 상판(10)을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받침대(25, 27)는 다리의 지지축(21, 23)과 고정결합한다. 받침대(25, 27)는 지지축(21, 23)과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구멍에 나사를 고정시켜 결합한다. 받침대의 'ㅡ'자형부분, 즉 타측은 지면에 닿아 안정적으로 상판(10)을 유지시킨다.
상판(10)의 하부면에는 상부수납부(30)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부수납부(30)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과 상판(10)의 하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홈을 나사(미도시 됨)로 결합하여 상부수납부(30)를 상판(10)의 하부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부수납부(30)는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20)의 내측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다리(20)를 구성하는 한쌍의 지지축(21, 23)의 내측에는 내측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대응하는 한쌍의 가이드(51, 53)를 고정하여 연결한다.
지지축(21, 23)과 대응하여 연결고정되는 가이드(51, 53)는 다음과 같이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지지축(21, 23)의 내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미도시 됨)을 형성한다. 가이드(51, 53)는 중심에 각각 레일(61, 63)이 형성되고 레일(61, 63)로부터 측면으로 각각 날개(52, 54, 56, 58)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이드(51, 53)의 날개(52, 54, 56, 58) 부분에 지지축에 형성된 고정홈에 대응하는 구멍(59)을 형성하고 날개(52, 54, 56, 58)에 형성된 구멍(59)을 고정홈에 대응하여 맞추고 제1 고정나사(49) 등으로 고정시켜 가이드(51, 53)를 지지축(21, 23)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가이드(51, 53)의 중심에는 레일(61, 63)이 형성된다.
하부수납부(40)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에 구성된 휠(41)이 레일(61, 63)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휠(41)은 레일(61, 63)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대응하여 하부수납부(4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수납부(40)의 수용공간(42)의 양 측면에는 레일(61, 63)의 몸체면(62, 64)에 구성된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일 세트의 홈(65)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일 세트의 구멍(45)이 형성된다. 레일(61, 63)의 몸체면(62, 64)에 구성된 2개 이상의 일 세트의 홈(65)과 하부수납부(4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일 세트의 구멍(45)을 제2 고정나사(69)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휠(41)을 레일(61, 63)을 따라 하부수납부(40)를 상하로 이동시킨 후에 가이드(51, 53)에 구성된 대응하는 일 세트의 다수의 홈(65)에 대응하는 일 세트의 구멍(45)을 대응시키고 홈(65)과 구멍(45)을 제2 고정나사(69)로 고정시킨다. 홈(65)과 구멍(45)이 제2 고정나사(69)에 의해 고정되면 하부수납부(40)부도 가이드에 고정된다.
예컨대, 하부수납부(40)를 가이드(51, 53)의 상부에 고정하여 상부수납부(30)와 거의 근접하게 고정시켜 함께 수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하부수납부(40)를 상부로부터 한 단계 내려 고정시켜 하부수납부(40)의 수납공간(42) 및 하부수납부(40)의 상부면을 수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3개의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중간에 몇 단계 아래로 내려 고정시켜 하부수납부(40)의 수납공간(42) 및 하부수납부(40)의 상부면을 수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하부수납부(40)를 상부로부터 맨 아래 부분에 고정시켜 하부수납부(40)의 수납공간(42)을 활용하도록 하고 상부면을 사용자의 발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2개의 일 세트의 홈(65) 및 2개의 일 세트의 구멍(45)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일 세트의 홈(65) 및 2개 이상의 일 세트의 구멍(45)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최소 4각형 형태를 이루는 4개 이상의 홈(65) 또는 구멍(45)으로 구성하여 회전하지 않으며 좌우로 밀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이용되는 제2 고정나사(69)는 머리부분을 크게 구성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머리 부분을 돌려 나사의 몸체를 홈(65)과 구멍(45)에 적절하게 결합 및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수납부에 연결된 가이드레일 및 하부수납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책상은 크게 상판(10), 다리(200), 상부수납부(30) 및 하부수납부(400)를 포함한다.
상판(10)은 책상의 상부면으로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판(10)은 일반적으로 나무, 합판, 프라스틱 합성재질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상판(10)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4각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다리(200)에 의해 지지된다. 상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미도시 됨)과 다리의 상부에 구성된 대응하는 홈(미도시 됨)을 나사로 결합하여 다리(200)에 상판(10)을 고정시킨다.
다리(200)는 상판(1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4개 또는 2개의 지지축으로 구성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다리(20)가 2개의 지지축(210, 230)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판(10)의 양측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판(10)의 각각의 측면에 1개의 지지축(21, 23)을 구성하여 상판(10)을 지지한다. 2개의 지지축(21, 23)을 이용하여 상판(10)을 지지하는 경우 지지축(210, 230)의 폭을 충분히 넓게 구성하여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2개의 지지축(210, 230)을 이용하여 상판(10)을 지지하는 경우, 다리(200)는 2개의 지지축(210, 230)과 2개의 지지축(210, 230)을 각각 받치는 받침대(25, 27)로 구성된다. 받침대(25, 27)는 지지축(210, 23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ㅗ'자형상으로 지지축(21, 23)의 하부와 결합한다. 즉 지지축(21, 23)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책상의 상판(10)을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받침대(25, 27)는 다리의 지지축(210, 230)과 고정결합한다. 받침대(25, 27)는 지지축(210, 230)과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구멍에 나사를 고정시켜 결합한다. 받침대의 'ㅡ'자형부분, 즉 타측은 지면에 닿아 안정적으로 상판(10)을 유지시킨다.
상판(10)의 하부면에는 상부수납부(30)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부수납부(30)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과 상판(10)의 하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홈을 나사(미도시 됨)로 결합하여 상부수납부(30)를 상판(10)의 하부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부수납부(30)는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20)의 내측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상부 수납부(30)는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수납가능한 서랍(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랍(32)이 상부수납부(30)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상부에 수납 가능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리(200)를 구성하는 한쌍의 지지축(210, 230)의 내측에는 내측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대응하는 한쌍의 가이드(220, 240)를 고정하여 연결한다.
지지축(210, 230)과 대응하여 연결고정되는 각각의 가이드(220, 240)는 다음과 같이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지지축(210, 230)의 내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미도시 됨)을 형성한다. 2개의 지지축(210, 230)중 하나의 지지축(210)에 부착된 가이드(220)에는 양측에 레일(222, 224)이 형성된다. 또한, 타측의 지지축(230)에 형성된 가이드(240)에도 레일(미도시됨)이 형성된다.
하부수납부(400)의 외부 측면에는 가이드(220)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구성되며 회전하는 휠(410)을 수용하는 프레임(410)이 구성된다. 프레임(410)은 가이드(220)에 맞물려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프레임(410)에 구성된 휠(410)은 레일(222, 224)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대응하여 하부수납부(4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수납부(400)는 내측의 수용공간에 전후로 이동하여 상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서랍(420)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미닫이형 서랍 형태로 구성한다.
한편, 지지축(210, 230)은 이를 관통하는 2개의 나란히 한쌍으로 형성된 고정홈(미도시됨)이 구성된다. 고정홈에는 디귿자 형태(ㄷ)로 형성된 지지핀(500)을 관통시켜 끼워 넣을 수 있다. 지지핀(500)의 단부는 홈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에 하부수납부(420)가 올려져 고정된다. 이때, 하부수납부(400)는 가이드(220, 240)와 프레임(410)에 의해 유지되며, 지지핀(5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지지핀(500)은 'ㄷ'자 형태로 구성되므로 2개의 핀이 형성되며 각각의 핀은 하부수납부(400)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충분히 넓게 유격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하부수납부(400)를 상부수납부(30) 근접하게 고정시켜 상부수납부(30)와 하부수납부(400)를 함께 수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하부수납부(400)를 중간 정도에 고정시켜 하부수납부(400)의 서랍(420) 및 하부수납부(400)의 상부면을 수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3개의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하부수납부(400)를 상부로부터 지면과 인접한 아래 부분에 고정시켜 하부수납부(400)의 서랍(420)을 활용하도록 하고 상부면을 사용자의 발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판 20, 200 : 다리
21, 23, 210, 230 : 지지축 25, 27 : 받침대
30 : 상부수납부 32, 420 : 서랍
40, 400 : 하부수납부 51, 53, 220, 240 : 가이드
52, 54, 56, 58 : 날개 61, 63 : 레일
500 : 지지핀

Claims (5)

  1.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다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된 상부수납부;
    상기 다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이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및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형성된 수납공간의 양 측면에 상기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를 상기 한 세트의 홈과 대응하는 구멍을 나사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하부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을 통해 상기 하부수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휠을 수용하여 상기 하부수납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리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고정홈에 맞추고 나사로 고정시켜 가이드를 다리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날개;를 포함하는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납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레일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휠;
    수납공간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멍; 및
    상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 중 어느 한 세트의 홈과 상기 한 세트의 구멍을 결합하는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4.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며 측면에 관통하는 한쌍의 고정홈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다리;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다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된 상부수납부;
    상기 다리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다수로 구성된 2개 이상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홈이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하부수납부; 및
    'ㄷ'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에 구성된 한쌍의 고정홈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하부수납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핀;을 포함하는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납부는,
    외부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구성되며 내측에 상기 가이드의 홈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휠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하부수납부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서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KR1020150157633A 2015-11-10 2015-11-10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KR10182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633A KR101821765B1 (ko) 2015-11-10 2015-11-10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633A KR101821765B1 (ko) 2015-11-10 2015-11-10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76A KR20170055076A (ko) 2017-05-19
KR101821765B1 true KR101821765B1 (ko) 2018-03-09

Family

ID=5904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633A KR101821765B1 (ko) 2015-11-10 2015-11-10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80454Y (zh) * 2006-10-23 2007-11-28 于海生 学生课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80454Y (zh) * 2006-10-23 2007-11-28 于海生 学生课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76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359B1 (en) Height adjustable table
US9538843B2 (en) Assembly kit for generating an array of items of furniture
US6435466B1 (en) Document holder
US9661923B2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US20180035799A1 (en) Collapsible Stand
US20170360188A1 (en) Multi-function dining table
KR101674369B1 (ko) 절첩구조가 단일체로된 이동식 테이블
CN104207482A (zh) 多功能折叠课桌椅
KR101821765B1 (ko) 승하강 수납부를 구비한 책상
CN110430781B (zh) 可相互伸缩的折叠式钢琴支架
CN204105258U (zh) 一种简易多用课桌椅
KR20130106539A (ko) 침대 겸 책상 유니트
KR2020000190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N104172748B (zh) 一种多功能课桌
CN210353716U (zh) 一种桌子
KR20130005605A (ko) 책상 다리모듈
KR20090121953A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6699866U (zh) 一种可矫正坐姿的儿童学习桌
US20230015770A1 (en) Portable floating table supported by counterweight
CN218044220U (zh) 一种便携式桌子
KR101261210B1 (ko) 책상 다리모듈
KR200252958Y1 (ko) 침대 겸용 책상
CN209983736U (zh) 多功能画板桌
US1652465A (en) Combination cabinet, table, and desk
CN206548169U (zh) 一种组合式办公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