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12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125B1
KR101821125B1 KR1020160100248A KR20160100248A KR101821125B1 KR 101821125 B1 KR101821125 B1 KR 101821125B1 KR 1020160100248 A KR1020160100248 A KR 1020160100248A KR 20160100248 A KR20160100248 A KR 20160100248A KR 101821125 B1 KR101821125 B1 KR 10182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quot
touch
phoneme
phone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재필
Original Assignee
한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필 filed Critical 한재필
Priority to KR102016010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1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a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a touch and drag comprises the steps of: outputting a consonant keypad and a vowel keypad on a screen; determining an input key by corresponding to a user touch; tracking another input key dragged and selected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 touch screen; generating a final consonant phoneme by combining even a consonant phoneme dragged in the input key, or generating a final vowel phoneme by selecting a vowel phoneme;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final consonant phoneme or the final vowel phoneme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Hangul consonants, a writing order of partial strokes constituting each consonant is conceptualized to configure the consonant keypad on the screen, and consonants are formed through the touch and drag of the consonant keypad, and thus, an intuitive use can be performed. Also, in case of Hangul vowels, the vowel keypad for expanding vowels that can be input from a selected vowel is configured on the screen, and the vowels are selected through the touch and drag of the vowel keypad, and thus, the limitation of a screen size can be overcome.

Description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and drag,

본 발명은 한글 입력 기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인 조합을 통해 한글을 입력하는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and-drag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through a selective combination of a touch and a drag.

세계의 문자들은 표의문자와 표음문자로 구분되는데, 한글은 표음문자에 속한다. 한글의 자음은 발음기관을 응용하여 과학적으로 만들어졌다. 또한, 한글의 모음은 천지인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으며, 철학적인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다.The characters in the world are separated by a tabular character and a phonetic character. Hangul belongs to a phonetic character. Hangul consonants were made scientifically by applying pronunciation agency. In addition, the Hangul vowels are based on the heavenly people, and contain philosophical meaning.

이에, 과학적이며 철학적인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는 한글은 그 입력 방식 역시 과학적이고 논리적일 수 있다. 즉 일례로서, 'ㄱ', 'ㄴ', 'ㄷ', 'ㅁ', 'ㅅ', 'ㅇ'으로 이루어진 기본 자음과 'ㅡ', 'ㅣ', 'ㆍ'으로 이루어진 기본 모음을 이용하여 모든 자음 및 모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ㄱ'의 연속적인 타건에 따라 'ㅋ', 'ㄲ'을 생성할 수 있으며, 'ㄴ'의 연속적인 타건에 따라 'ㄹ'을 생성할 수 있으며, 'ㄷ'의 연속적인 타건에 따라 'ㅌ', 'ㄸ'을 생성할 수 있으며, 'ㅂ'의 연속적인 타건에 따라 'ㅍ', 'ㅃ'을 생성할 수 있으며, 'ㅅ'의 연속적인 타건에 따라 'ㅎ', 'ㅆ'을 생성할 수 있으며, 'ㅈ'의 연속적인 타건에 따라 'ㅊ', 'ㅉ'을 생성할 수 있으며, 'ㅇ'의 연속적인 타건에 따라 '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모음의 경우, 상기한 기본 모음의 입력 순서 및 타건 횟수에 대응하여 모든 모음을 생성할 수 있다.Hangeul, which has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can also be scientific and logical. As an example, a basic vowel consisting of 'ㄱ', 'ㄴ', 'ㄷ', 'ㅁ', 'ㅅ', 'ㅇ' and 'ㅡ', 'ㅣ' All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created. For example, 'ㅋ' and 'ㄲ'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a continuous tag of 'a', 'd'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a continuous tag of 'b' It can generate 'ㅌ' and 'ㄸ' according to the category, and can generate 'py' and 'ㅃ' according to the successive category of 'ㅂ', and ' , 'ㅆ' can be generated, and 'Ĉ' and 'ㅉ'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uccessive tag of 'ゃ', and 'ㅁ'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uccessive tag of 'ㅇ'.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owel, all the vowels can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der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basic vowel.

그런데, 이러한 입력 방식은 문자 조합의 과학적 논리성을 제공하지만, 타건 횟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n input method provides scientific logic of character combination,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touches increases.

한편, 스마트폰은 대중화를 넘어서 생활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즉, 스마트폰은 개인관리를 위한 기기로서 이용될 뿐 아니라, 데스크탑 및 노트북 등의 컴퓨터에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업무처리에도 이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martphon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necessities. That is, a smart phone is used not only as a device for personal management but also as a task processing because it can perform almost all the functions that a computer such as a desktop and a notebook computer can perform.

이와 같은 스마트폰에서는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키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다양한 키패드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키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such a smartphone, various keypads are provided to support user's convenience.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nd use a desired keypad among various keypads.

그런데, 스마트폰은 휴대의 강점을 갖는 반면, 그 크기는 제한된다. 이로 인해 화면 크기 역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에, 사용자가 선택한 키패드의 입력키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입력키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정확한 입력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스마트폰 회전에 대응하여 키패드 화면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로 방향으로 길게 펼쳐질 수 있으나, 입력키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However, while smartphones have strengths of portability, their size is limited. This also limits the screen size. 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input keys of the keypad selected by the user is large, the size of the input key becomes small, so that it is difficult to input the key correctly. Although the keypad screen can be rotat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martphone, the keypad screen can b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re is a limit to expand the size of the input key.

데스크탑 및 노트북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두벌식(QWERTY) 키패드(키보드)의 경우에는 자음 및 모음의 각 음소가 하나의 입력키에 대응되므로, 숙련되면 빠르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지만, 입력키 개수가 많아 스마트폰과 같이 화면 크기가 제한된 환경에서는 키패드 배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입력키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비숙련자는 입력키를 암기 및 연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case of a QWERTY keypad (keyboard) connected to a desktop and a notebook, each phoneme of a consonant and a vowel corresponds to one input key, so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quickly and accurately if skill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keypa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creen size is limited, and the size of the input key becomes very small. Moreover, the unskilled person has the inconvenience of memorizing and practicing the input keys.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1372898호, 공고일 2014.03.10.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방법'Literature 1. Patent Registration No. 10-1372898, Publication Date 2014.03.10,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ouch screen input method of Korea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인 조합을 통해 최소 타건으로 한글 자모의 음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화면 크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honemes of Hangul characters with a minimum of touch by selectively combining touch and drag,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and dra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한글 입력 장치에 의해 실행되며,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여 입력키를 판단하는 단계;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드래그되어 선택되는 다른 입력키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입력키에서 드래그된 자음 음소까지 조합하여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거나, 모음 음소를 선택하여 최종 모음 음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최종 자음 음소 또는 상기 최종 모음 음소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putting a Hangul input using a touch-drag,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utputting a consonant keypad and a vowel keypad on a screen; Determining an input key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Tracking another input key selected while being held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Generating a final consonant phoneme by combining the consonant phonemes dragged from the input key, or selecting a vowel phoneme to generate a final vowel phoneme;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final consonant phoneme or the final vowel phoneme to the touch screen.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 손가락 또는 펜의 접촉된 상태가 이격되는 시점에서 상기 자음 키패드와 상기 모음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sonant keypad and the vowel keypad may be selectively output at a time when the contact state of the user's finger or pen is separated from the touch screen.

한편, 상기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는 과정은, 특정 자음 음소에 터치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자음 음소에 대해 터치만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특정 자음 음소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를 통해 상기 특정 자음 음소의 영역을 벗어나 다른 자음 음소의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른 자음 음소의 영역을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특정 자음 음소와 상기 다른 자음 음소를 누적시켜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면, 누적된 자음 음소로부터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enerating of the final consonant phoneme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consonant phoneme is touched; Outputting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s when only the touch is performed on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moved to a region of another consonant phoneme out of the region of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 by dragging while the contact state is maintained on the touch screen; Accumulating and combining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 and the other consonant phonem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ion of the other consonant phonemes has entered; And generating final consonant phonemes from the accumulated consonant phonemes when the state of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leased.

이 때, 상기 자음 음소는, 자음의 부분획, 자음 음소, 경음 표시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sonant phonemes may include partial strokes of consonants, consonant phonemes, and punctuation symbols.

또한, 상기 최종 모음 음소를 생성하는 과정은, 특정 모음 음소에 터치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모음 음소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특정 모음 음소로부터 확장되는 입력 가능한 모음의 음소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특정 모음 음소, 상기 확장되는 입력 가능한 모음의 음소에 대해 터치된 해당 모음 음소의 출력이 이루어진다.The generating of the final vowel phonem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vowel is touched; And continuously outputting a phoneme of an inputable vowel extending from the specific vowel phoneme when the specific vowel phoneme is touched, wherein when the state of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released, the specific vowel phoneme, The corresponding vowel phoneme is touched for the phonemes of the expandable input vowel.

한편, 본 발명의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입력키를 판단하는 입력키 판단부; 상기 입력키의 위치로부터 드래그되어 선택되는 다른 입력키를 추적하는 입력키 추적부; 상기 입력키 판단부의 자음 음소 및 상기 입력키 추적부의 자음 음소를 조합하거나, 상기 입력키 추적부의 모음 음소를 선택하여 최종 음소를 생성하는 음소 생성부; 및 상기 입력키 판단부의 모음 음소 및 상기 입력키 추적부의 모음 음소로부터 입력키를 확장시키는 입력키 확장부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Korean-language input apparatus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input key selected by a user's touch; An input key tracking unit for tracking another input key selected by dragging from a position of the input key; A phonem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final phoneme by combining the consonant phonemes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nsonant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or selecting a vowel phoneme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And an input key expander for expanding the input key from the vowel phonemes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and the vowel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한글 자음의 경우, 각 자음을 구성하는 부분획들의 필기 순서를 개념화하여 자음 키패드를 화면에 구성하고, 자음 키패드의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자음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한글 모음의 경우, 선택된 모음으로부터 입력가능한 모음을 확장하는 모음 키패드를 화면에 구성하고, 모음 키패드의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모음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화면 크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 keypads are constructed on the screen by conceptualizing the handwriting sequence of the partial strokes constituting each consonant, So that it can be intuitively u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Korean vowel, a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can be overcome by configuring a vowel keypad for expanding a vowel that can be input from the selected vowel, and selecting a vowel by touching and dragging the vowel keypa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키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한된 입력 공간에서도 비교적 큰 입력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숙련자도 간단한 학습만으로 쉽고, 빠르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a user by providing a relatively large input key even in a limited input space by minimizing the number of input keys, and it is possible for an unskilled person to input Hangul easily easily with simple learn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등의 한글 입력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IT 기기 초심자 및 노약자 중심의 입력 방식으로도 적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it be applied to a Korean inpu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navigation system, a kiosk, etc., but it is also suitable as an input method based on an IT device novice or elderly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음의 음소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음의 음소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자음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자음 부분획들의 필기 순서에 따라 자음을 생성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모음 키패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ㅏ'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ㅑ'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ㅑ'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다른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ㅓ'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ㅗ'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ㅜ'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Korean input device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phonemes of conson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neme generation process of a vow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sonant keypa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consona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writing consonant part strokes.
7 is a diagram showing an initial state of the vowel keypad.
8 is a view illustrat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in which 'a' is touched.
FIG. 9 is a view show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of touching '.'
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keypad extended in a state of touching '.'
11 is a view show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of touching 'ㅓ'.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of touching '.'
13 is a view illustrat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in which 't' is touch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claim,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And the like.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the elements named as 'means', 'part', 'module', 'block'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Each of which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Korean input device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입력키를 판단하는 입력키 판단부(1)와, 입력키의 위치로부터 드래그되어 선택되는 다른 입력키를 추적하는 입력키 추적부(2)와, 입력키 판단부(1)의 자음 음소 및 입력키 추적부의 자음 음소를 조합하거나, 입력키 추적부의 모음 음소를 선택하여 최종 음소를 생성하는 음소 생성부(3)와, 입력키 판단부(1)의 모음 음소 및 입력키 추적부의 모음 음소로부터 입력키를 확장시키는 입력키 확장부(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Korean-language input device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for determining an input key selected by a user's touch, A consonant phoneme of a consonant phoneme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and a consonant phoneme of an input key tracing unit or a phoneme generation unit which generates a final phoneme by selecting a vowel phoneme of an input key tracing unit And an input key expansion unit 4 for expanding the input key from the vowel phonemes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and the vowel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여기서, 본 발명의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스마트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터치스크린(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된 좌표값에 대응하여 입력키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mart phone or the like, and the input ke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input from the touch screen (touch pad).

한편, 여기서 '터치'는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었다가 이격되는 것을 의미하며, '드래그'는 상기한 '터치'가 다른 입력키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ouch' means that a finger or a pen touches the touch screen and is spaced apart, and 'drag' means that the 'touch' includes an area of another input ke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메시지 입력 등의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한글 입력 장치의 실행이 이루어지며, 이에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좌표값을 생성하여 한글 입력 장치에 전달한다. 이에 한글 입력 장치의 입력키 판단부(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키를 판단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입력키 추적부(2)에서는 드래그되는 입력키를 추적한다. 사용자가 접촉 상태를 해제, 즉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손가락 또는 펜을 이격시키면, 이에 음소 생성부(3)에서는, 자음의 경우, 입력키 판단부(1)의 자음 음소 및 입력키 추적부의 자음 음소를 조합하여 음소를 생성하고, 모음의 경우, 입력키 추적부의 자음 음소를 선택하여 음소를 생성한다.The Korean-languag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Hangul input device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of inputting a message or the like, do. Coordinate values are generated from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and transmitted to the Hangul input device.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of the Korean input apparatus determines the input key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continuously touches the touch screen with the finger or the pen touched, the input key tracking unit 2 tracks the input key to be dragged. When the user releases the contact state, i.e., separates the finger or the pen from the touch screen, the phoneme generation unit 3 generates a consonant phoneme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and consonant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king unit And in the case of a vowel, a consonant phoneme of the input key tracking unit is selected to generate a phoneme.

한편, 한글 모음의 경우에는 입력키 판단부(1)의 음소 및 입력키 추적부의 음소로부터 입력키를 확장시켜 화면에 출력시킨다. 즉, 입력키 확장부(4)에서는 입력키 판단부(1)에서 최초 선택된 음소에서 확장된 음소를 출력시키거나, 입력키 추적부에서 추적한 음소에서 확장된 음소를 출력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Hangul vowel, the input key is expanded from the phoneme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and the phoneme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and output to the screen. That is, the input key expansion unit 4 outputs the phonemes extended from the phoneme first selected by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or outputs phonemes extended from the phonemes tracked by the input key tracing unit.

한편,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는 하나의 화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전환하면서 순차적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손가락 또는 펜이 이격되는 시점에서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sonant input key and the vowel input key are preferably arranged on one screen, and they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Of course, the consonant keypad and the vowel keypad may be sequentially switched in consideration of the screen siz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onant keypad and the vowel keypad are switched when the finger or pen is separated from the touch screen.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글 입력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Korean-language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Hangul inpu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and dra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메시지 입력 등의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한글 입력 장치를 실행시킨다(S1).Referring to FIG. 2, a Hangul input device is executed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such as message input (S1).

이에, 자음 키패드 및 모음 키패드를 화면에 출력시킨다(S2).Then, the consonant keypad and the vowel keypa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2).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여 입력을 원하는 자음 또는 모음에 터치하고, 또는 터치에 이어서 음소의 조합(자음) 또는 선택(모음)을 위해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의 종료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손가락 또는 펜을 이격에 의해 발생한다.The user touches a desired consonant or vowel by using a finger or a pen or performs a drag operation for a combination (consonant) or selection (vowel) of the phoneme following the touch. At this time, the end of the touch and drag operation is caused by the separation of the finger or the pen from the touch screen.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한글 입력 장치의 입력키 판단부(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키를 판단한다(S3). 이어서, 입력키 추적부(2)에서는 드래그되어 선택되는 다른 입력키를 추적한다(S4). 이어서, 음소 생성부(3)에서는 입력키 판단부(1)의 자음 음소 및 입력키 추적부의 자음 음소를 조합하여 음소를 생성한다(S5). 한편, 음소 생성부(3)에서는 입력키 추적부의 모음 음소를 선택하여 음소를 생성한다(S5). 생성된 음소는 터치스크린에 출력된다(S6).On the other hand,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of the Hangul input device determines an input key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S3). Then, the input key tracking unit 2 tracks another input key that is dragged and selected (S4). Subsequently, the phoneme generating unit 3 generates phonemes by combining consonant phonemes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1 and consonant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S5). On the other hand, the phoneme generation unit 3 selects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to generate phonemes (S5). The generated phoneme is output to the touch screen (S6).

그러면 여기서, 자음과 모음의 음소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the process of generating phonemes of consonants and vowe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음의 음소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phonemes of conson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특정 자음 음소에 터치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S11).Referring to FIG. 3,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a specific consonant phoneme is touched (S11).

특정 자음 음소에 대해 터치만 이루어질 경우에는(S12) 해당 특정 자음 음소의 출력이 이루어진다(S13).If only a specific consonant phoneme is touched (S12),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 is output (S13).

한편, 터치스크린에 접촉 상태가 유지되면서 해당 특정 자음 음소 영역을 벗어나 다른 자음 음소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한다(S14).On the other hand, while the contact state is maintained on the touch scre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ic region is moved to another consonant phonemic region (S14).

다른 자음 음소 영역을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특정 자음 음소와 현재 자음 음소의 조합을 수행한다(S15). 이 때, 다른 자음 음소 영역으로의 진입하는 과정은 음소 조합을 위해 반복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another consonant phonemic region has been entered, a specific consonant phoneme and a current consonant phoneme are combined (S15). At this time, the process of entering another consonant phoneme area may be repeated for phoneme combination.

드래그에 이어 터치 상태가 종료되면(S16), 특정 자음 음소에서 최종 자음 음소에 이르는 자음 음소를 조합하여 자음 음소를 생성한다(S17).When the touch state is ended after dragging (S16), consonant phonemes are synthesized by combining consonant phonemes reaching the final consonant phoneme from a specific consonant phoneme (S17).

한편, 터치, 드래그, 연속적인 드래그를 통해 자음의 음소를 생성하기 위해, 자음 키패드는 자음 부분획들의 필기 순서를 기준으로 하여 배치되어야 한다. 자음 키패드의 배치는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enerate phonemes of consonants through touching, dragging, and continuous dragging, consonant keypads should be arranged based on the order of writing consonant part strokes.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keypa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음의 음소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oneme generation process of a vow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특정 모음 음소에 터치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S21).Referring to FIG. 4,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a specific vowel is touched (S21).

특정 모음 음소의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해당 특정 모음 음소로부터 확장되는 입력 가능한 모음의 음소를 출력한다(S22).When a specific vowel phoneme is touched, a phoneme of an inputable vowel extending from the specific vowel phoneme is output (S22).

이 때, 특정 모음 음소에 대해 터치만 이루어질 경우에는(S23) 해당 특정 모음 음소의 출력이 이루어진다(S24).At this time, if only the touch is performed for a specific vowel phoneme (S23), the specific vowel phoneme is output (S24).

한편, 터치스크린에 접촉 상태가 유지되면서 해당 특정 모음 음소 영역을 벗어나 다른 모음 음소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한다(S25).On the other h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entered another vowel phoneme area beyond the specific vowel phoneme area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on the touch screen (S25).

다른 모음 음소 영역을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다른 모음 음소로부터 확장되는 입력 가능한 모음의 음소를 출력한다(S26).If it is determined that another vowel phoneme area has been entered, the phonemes of the input vowel extended from the other vowel phonemes are output (S26).

이 때, 다른 모음 음소에 대해 터치만 이루어질 경우에는 해당 다른 모음 음소의 출력이 이루어진다. 즉, 드래그를 통해 모음 음소 영역이 확장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해당 모음 음소로부터 확장되는 입력 가능한 모음의 음소를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확장된 모음 음소가 최종 확장 단계일 경우에는 더 이상의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는다.At this time, if only the touch of the other vowel phonemes is performed, the corresponding other vowel phonemes are output. That is, when the vowel phonemic region is expanded through dragging,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phonemes of the input vowel extended from the corresponding vowel phoneme is repeated. Further, if the extended vowel phoneme is the last expansion stage, no further expansion is performed.

이후, 확장된 모음 음소에서 최종 모음 음소가 선택(터치 완료)되면(S27), 해당 최종 모음 음소를 출력한다(S28).Thereafter, when the final vowel phoneme is selected (touch completion) in the expanded vowel phoneme (S27), the final vowel phoneme is output (S28).

한편, 터치, 드래그, 연속적인 드래그를 통해 모음의 음소를 생성하기 위해, 모음 키패드는 'ㅣ'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좌우, 좌측하부에 기본 모음이 배치되어야 한다. 모음 키패드의 배치는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enerate phonemes of a vowel through touch, drag, and continuous dragging, the vowel keypad should have a basic vowel arranged in the upper, lower, left, and lower left portions based on the "ㅣ". The arrangement of the vowel keypa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자음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nsonant keypad.

도 5를 참조하면, 자음 캐패드는, 터치, 드래그 및 연속적인 드래그를 통해 자음의 음소를 형성하기 위해,Referring to FIG. 5, the consonant cap pad is used to generate consonant phonemes through touch, drag, and continuous dragging,

'ㅡ'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에 'ㄱ'을 배치되고,'A'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ㅡ'

'ㅡ' 하부에 'ㄴ'을 배치되고,'B' is placed at the bottom of '

'ㅡ'와 'ㄱ'에 공통으로 접하는 'ㅣ'를 배치되고,'And' ', which are common to' a 'and' a '

'ㅡ'와 'ㄴ'에 공통으로 접하는 'ㅅ'을 배치되고,',' Which is common to 'ㅡ' and 'ㄴ'

'ㄱ'과 'ㅅ'에 공통으로 접하는 '='를 배치되고,'=' Is placed in common to 'a' and 'g', and '

'ㅣ'과 'ㄴ'에 공통으로 접하는 'ㅇ'를 배치되고,Quot; and " o " which are in common contact with " l " and "

'ㅣ', 'ㄱ' 및 '='에 공통으로 접하는 'x2'를 배치되고,Quot; x2 " in common with the " I ", " a &

'ㅇ', 'ㄴ' 및 'ㅅ'에 공통으로 접하는 'x2'를 배치한다.Place 'x2' in common with 'o', 'b', and 'g'.

여기서, 'ㅣ'의 터치에 대응하여 'ㅂ'을 생성하도록 설정하고, 'ㅡ'의 터치에 대응하여 'ㅌ'을 생성하도록 설정하고, '='의 터치에 대응하여 'ㅎ'을 생성하도록 설정한다. 즉, 'ㅣ', 'ㅡ' 및 '='의 터치값만을 암기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ㅣ', 'ㅡ' 및 '='의 터치값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Here, it is set to generate 'f' in response to the touch of 'I', to generate 'I' in response to the touch of '', and to generate 'he' in response to touch of '=' Setting. That is, it is sufficient to memorize only the touch values of 'ㅣ', 'ㅡ' and '=', and preferably display the touch values of 'ㅣ', 'ㅡ' and '=' on the screen.

이와 같이, 각 자음의 필기 순서를 고려하여 배치된 자음 키패드는 모든 자음의 음소를 생성할 수 있다.Thus, the consonant keypad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handwriting order of each consonant can generate phonemes of all consonants.

도 6은 자음 부분획들의 필기 순서에 따라 자음을 생성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consona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writing consonant part strokes.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자음 음소는 부분획들의 필기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드래그를 통해 모든 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배치시키고 있다. 즉, 자음 키패드는 자음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라, 필기 순서에서 포함된 부분획들('ㅣ', 'ㅡ' 및 '=')을 자음과 조합하여 자음을 생성한다. 또한, 'x2'(경음 표시 기호)를 이용하여 경음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필기 순서 및 드래그의 일방향 진행을 통해 자음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consonant phone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writing the partial strokes. Intuitive input is possible and is arranged so that all consonants can be input through continuous dragging. That is, the consonant keypad is not composed of only consonants, but generates consonants by combining partial strokes ('ㅣ', 'ㅡ' and '=') included in the handwriting sequence with consonants. In addition, 'x2' (horn symbol) is used to generate audible sound. In other words, consonants are formed through the handwriting sequence and the one-way progress of the drag.

이와 같이, 각 자음을 구성하는 부분획들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할 경우, 손가락 또는 펜을 떼지 않고 터치, 드래그, 연속적인 드래그를 통해 자음 음소가 생성된다. 이 때, 1개 이상의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 및 조합되므로 입력 시작과 입력 종료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며, 터치스크린의 경우 손가락 또는 펜을 이격시키는 시점에 해당 자음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ial strokes constituting each consonant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consonant phonemes are generated through touching, dragging, and continuous dragging without releasing a finger or a pen. At this time, since one or more input keys are sequentially selected and combined, it is necessary to judge input start and end of input. In the case of a touch scre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completed at the time of separating a finger or a pe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ㅂ', 'ㅌ', 'ㅎ'은 부분획 만으로 입력을 완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f', 'x', and 'h' can complete the input with only partial strokes.

'ㅁ'은 3개의 부분획을 모두 입력해도 되고, 두 번째 부분획까지만 입력해도 유효하다. 즉, 터치 및 드래그의 입력 순서가 동일하지 않으면 축약형태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ㅁ' means you can input all three part strokes, or you can enter only the second part stroke. That is, if the input order of the touch and drag is not the same, an abbreviated form of input can be made possible.

도 7은 모음 키패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initial state of the vowel keypad.

도 7을 참조하면, 모음 키패드는,Referring to FIG. 7,

'ㅣ'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에 'ㅗ'를 배치되고,''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ㅣ '

'ㅣ' 하부에 'ㅜ'를 배치되고,'ㅜ' is placed under 'ㅣ'

'ㅣ' 좌측에 'ㅓ'를 배치되고,'ㅓ'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ㅣ'

'ㅣ' 우측에 'ㅏ'를 배치되고,'A' i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ㅣ'

'ㅓ'와 'ㅜ'에 공통으로 접하는 'ㅡ'를 배치한다.Place 'ㅡ' which is common to 'ㅓ' and 'ㅜ'.

이와 같이, 모음 키패드는 초기 상태에 9개의 키패드에 'ㅏ', 'ㅓ', 'ㅗ', 'ㅜ', 'ㅡ', 'ㅣ'의 6개의 모음만 표시된다.In this way, the vowel keypad displays only the six vowels of 'ㄱ', 'ㅓ', 'ㅗ', 'ㅜ', 'ㅡ', and 'ㅣ' on the nine keypads at the initial state.

해당 6개의 모음은 해당 입력키를 터치한 후 손가락을 바로 떼면 모음 음소의 생성이 완료된다.When the corresponding six vowels are touched by touching the corresponding input key, the generation of the vowel phoneme is completed.

한편, 'ㅏ', 'ㅓ', 'ㅗ', 'ㅜ'의 모음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펜을 떼지 않으면, 입력키의 배치가 변하여 다른 모음의 음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nger or pen is not touched while touching the vowels of 'a', 'ㅓ', 'ㅗ', and 'ㅜ',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keys is changed so that the phonemes of the other vowels can be selected.

모음 키패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The vowel keypad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손가락을 떼지 않고 한 번 터치로 한 개씩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1. You can enter one vowel by touching it without releasing your finger.

(단, 'ㅘ', 'ㅙ', 'ㅚ', 'ㅝ', 'ㅞ', 'ㅟ', 'ㅢ' 와 같이 가로긋기와 세로긋기가 복합된 형태의 모음은 두 번에 걸쳐 입력해야 한다. 한글 두벌식 키보드 입력 방식과 동일함)(However, a comb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such as 'ㅘ', 'ㅙ', 'ㅚ', 'ㅝ', 'ㅞ', 'ㅟ', and 'ㅢ' It is the same as the keyboard input method of Hangul2)

2. 초기 상태에서는 기본 형태의 6개 모음만이 표시되어 초심자도 당황하지 않고 쉽게 원하는 키를 찾을 수 있다.2. In the initial state, only the basic vowels are displayed so that even the beginner can easily find the desired key without being embarrassed.

3. 기본 형태의 모음에서 복잡한 형태의 모음으로 확장되는 과정이 일관된 규칙을 갖고 있어 적은 학습만으로도 쉽게 적응할 수 있다.3. The process of expanding from a basic form of vowel to a complex form of vowel has a consistent rule so that it can be easily adapted with little learning.

- 상,하,좌,우 위치의 'ㅗ', 'ㅜ', 'ㅓ', 'ㅏ'의 모음 터치 후 네 귀퉁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각 'ㅛ', 'ㅠ', 'ㅕ', 'ㅑ'로 확장된다.- Touch the vowel of 'ㅗ', 'ㅜ', 'ㅓ', 'ㄱ'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sitions and move in one of the four corners to touch 'ㅛ', 'ㅠ', 'ㅕ' , And 'ㅑ'.

- 가운데 세로 줄 방향으로 이동하면, 세로긋기 한 획이 추가된다('ㅐ', 'ㅔ', 'ㅒ', 'ㅖ').- If you move to the middle vertical line, a vertical stroke is added ('ㅐ', 'ㅔ', 'ㅒ', 'ㅖ').

도 8은 'ㅏ'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in which 'a' is touched.

도 8을 참조하면, 'ㅏ' 를 터치하면, 'ㅏ' 의 상하로 'ㅑ'를 배치하고, 'ㅏ'의 좌측에 'ㅐ'를 출력하여 확장한다.Referring to FIG. 8, when 'a' is touched, 'ㅑ' is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and 'ㅐ' is outputted on the left of 'a'.

이와 같이 확장된 상태에서 'ㅏ' 의 위치에서 바로 손가락 또는 펜을 떼면 'ㅏ' 가 입력되고, 'ㅑ', 'ㅐ' 의 위치로 이동한 후 손가락 또는 펜을 떼면 각각 'ㅑ', 'ㅐ' 를 입력할 수 있다.In this extended state, when a finger or a pen is released immediately from the position of 'a', 'a' is inputted, and when a finger or a pen is released after moving to the positions of 'ㅑ' and 'ㅐ' '.

한편, 'ㅑ' 는 상하로 2개 배치하여 사용자 선택 편의성을 고려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ㅑ' is arranged two vertically so that user convenience is considered.

도 9 및 도 10은 'ㅑ'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S.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of touching '.'

도 9를 참조하면, 'ㅑ' 의 위치에서 바로 손가락을 떼면 'ㅑ' 가 입력되고, 'ㅒ' 의 위치로 이동한 후 손가락을 떼면 'ㅒ' 가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9, 'ㅑ' is input when the finger is released immediately from the position of 'ㅑ', and 'ㅒ' is entered when the finger is released after moving to the position of 'ㅒ'.

이 때, 'ㅑ' 의 위치로 이동한 후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라면,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여 키패드의 배치는 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확장된다.At this time, if the finger is not lifted after moving to the position of 'ㅑ',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is expanded as shown in FIG. 9 or 10.

도 11은 'ㅓ'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of touching 'ㅓ'.

도 11을 참조하면, 'ㅓ' 를 터치하면, 'ㅓ' 의 상하로 'ㅕ'를 배치하고, 'ㅓ'의 좌측에 'ㅔ'를 출력하여 확장한다.Referring to FIG. 11, when 'ㅓ' is touched, 'ㅕ' is arranged at the top and bottom of 'ㅓ', and 'ㅔ' is outputted at the left of 'ㅓ'.

이를 통해 'ㅕ', 'ㅔ', 'ㅖ'를 입력할 수 있다.You can enter 'ㅕ', 'ㅔ', or 'ㅖ'.

도 12는 'ㅗ'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of touching '.'

도 12를 참조하면, 'ㅗ' 입력키 확장을 통해 'ㅗ'와 'ㅛ'의 선택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2, 'ㅗ' and 'ㅛ' can be selected through the 'ㅗ' input key expansion.

도 13은 'ㅜ'를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되는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illustrating a keypad extended in a state in which 't' is touched.

도 13을 참조하면, 'ㅜ' 입력키 확장을 통해 'ㅜ'와 'ㅠ'의 선택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 And '?' Can be select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 Input key.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several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 : 입력키 판단부
2 : 입력키 추적부
3 : 음소 생성부
4 : 입력키 확장부
1: input key judgment unit
2: input key tracking unit
3: phoneme generation unit
4: Input key expander

Claims (6)

한글 입력 장치가,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여 입력키를 판단하는 단계;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드래그되어 선택되는 다른 입력키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입력키에서 드래그된 자음 음소까지 조합하여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고, 모음 음소를 선택하여 최종 모음 음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최종 자음 음소와 상기 최종 모음 음소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 음소는, 필기 순서를 개념화하여 자음 키패드를 구성하며,
상기 자음 키패드는, 자음 음소('ㄱ', 'ㄴ', 'ㅅ', 'ㅇ', ), 자음의 부분획('ㅣ', 'ㅡ', '='), 경음 표시 기호(x2)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 키패드는,
자음의 부분획 'ㅡ'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에 'ㄱ'이 배치되고,
상기 'ㅡ' 하부에 'ㄴ'이 배치되고,
상기 'ㅡ'와 'ㄱ'에 공통으로 접하는 자음의 부분획 'ㅣ'가 배치되고,
상기 'ㅡ'와 'ㄴ'에 공통으로 접하는 'ㅅ'이 배치되고,
'ㄱ'과 'ㅅ'에 공통으로 접하는 '='가 배치되고,
상기 'ㅣ'와 'ㄴ'에 공통으로 접하는 'ㅇ'이 배치되고,
상기 'ㅣ', 'ㄱ' 및 '='에 공통으로 접하는 상기 경음 표시 기호가 배치되고,
'ㅇ', 'ㄴ' 및 'ㅅ'에 공통으로 접하는 상기 경음 표시 기호가 배치되고,
상기 'ㅣ'의 터치에 대응하여 'ㅂ'이 생성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ㅡ'의 터치에 대응하여 'ㅌ'이 생성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의 터치에 대응하여 'ㅎ'이 생성되도록 설정되며,

개념화된 필기 순서에 따라 자음 음소, 이미지화된 부분획 및 경음 표시 기호를 조합하여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는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The Hangul input device,
Outputting a consonant keypad and a vowel keypad to a screen;
Determining an input key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Tracking another input key selected while being held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Generating a final consonant phoneme by combining the consonant phonemes dragged from the input key, and selecting a vowel phoneme to generate a final vowel phoneme; And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final consonant phoneme and the final vowel phoneme to the touch screen,

The consonant phonemes constitute a consonant keypad by conceptualizing a handwriting sequence,
The consonant keypad comprises consonant phonemes ('a', 'b', 'g', 'o'), partial strokes of consonants ('ㅣ', 'ㅡ', '=' / RTI >

The consonant keypad comprises:
'A'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sonant part 'ㅡ'
'B' is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
A partial stroke '''of a consonant in common with' -a 'and' a 'is arranged,
', Which is in common with the' - 'and' b ', is disposed,
'=' Is placed in common with 'a' and 'g', and '
'' In common with the 'I' and 'b' is arranged,
Quot ;, " I "," a ", and " = "
Quot ;, " o "," o "," o ",&
'' Is set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I' touch,
'Is set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touch of the'
'Is set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touch of' = ', and'

And a final consonant phoneme is generated by combining consonant phonemes, imaged partial strokes, and rhythm symbols according to the conceptual handwriting sequ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 손가락 또는 펜의 접촉된 상태가 이격되는 시점에서 상기 자음 키패드와 상기 모음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sonant keypad and the vowel keypad are selectively output at a time when the contact state of the user's finger or pen is separated from the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는 과정은,
특정 자음 음소에 터치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자음 음소에 대해 터치만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특정 자음 음소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를 통해 상기 특정 자음 음소의 영역을 벗어나 다른 자음 음소의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른 자음 음소의 영역을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특정 자음 음소와 상기 다른 자음 음소를 누적시켜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면, 누적된 자음 음소로부터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final consonant phoneme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consonant phoneme is touched;
Outputting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s when only the touch is performed on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moved to a region of another consonant phoneme out of the region of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 by dragging while the contact state is maintained on the touch screen;
Accumulating and combining the specific consonant phoneme and the other consonant phonem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ion of the other consonant phonemes has entered; And
And generating final consonant phonemes from the accumulated consonant phonemes when the state of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lea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입력키를 판단하는 입력키 판단부;
상기 입력키의 위치로부터 드래그되어 선택되는 다른 입력키를 추적하는 입력키 추적부;
상기 입력키 판단부의 자음 음소 및 상기 입력키 추적부의 자음 음소를 조합하고, 상기 입력키 추적부의 모음 음소를 선택하여 최종 음소를 생성하는 음소 생성부; 및
상기 입력키 판단부의 모음 음소 및 상기 입력키 추적부의 모음 음소로부터 입력키를 확장시키는 입력키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 음소는, 필기 순서를 개념화하여 자음 키패드를 구성하며,
상기 자음 키패드는, 자음 음소('ㄱ', 'ㄴ', 'ㅅ', 'ㅇ', ), 자음의 부분획('ㅣ', 'ㅡ', '='), 경음 표시 기호(x2)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 키패드는,
자음의 부분획 'ㅡ'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에 'ㄱ'이 배치되고,
상기 'ㅡ' 하부에 'ㄴ'이 배치되고,
상기 'ㅡ'와 'ㄱ'에 공통으로 접하는 자음의 부분획 'ㅣ'가 배치되고,
상기 'ㅡ'와 'ㄴ'에 공통으로 접하는 'ㅅ'이 배치되고,
'ㄱ'과 'ㅅ'에 공통으로 접하는 '='가 배치되고,
상기 'ㅣ'와 'ㄴ'에 공통으로 접하는 'ㅇ'이 배치되고,
상기 'ㅣ', 'ㄱ' 및 '='에 공통으로 접하는 상기 경음 표시 기호가 배치되고,
'ㅇ', 'ㄴ' 및 'ㅅ'에 공통으로 접하는 상기 경음 표시 기호가 배치되고,
상기 'ㅣ'의 터치에 대응하여 'ㅂ'이 생성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ㅡ'의 터치에 대응하여 'ㅌ'이 생성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의 터치에 대응하여 'ㅎ'이 생성되도록 설정되며,

개념화된 필기 순서에 따라 자음 음소, 이미지화된 부분획 및 경음 표시 기호를 조합하여 최종 자음 음소를 생성하는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An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input key selected by a user's touch;
An input key tracking unit for tracking another input key selected by dragging from a position of the input key;
A phoneme generation unit which combines the consonant phonemes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nsonant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and selects vowel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to generate final phonemes; And
And an input key expanding unit for expanding the input key from the vowel phonemes of the input key determination unit and the vowel phonemes of the input key tracing unit,

The consonant phonemes constitute a consonant keypad by conceptualizing a handwriting sequence,
The consonant keypad comprises consonant phonemes ('a', 'b', 'g', 'o'), partial strokes of consonants ('ㅣ', 'ㅡ', '=' / RTI >

The consonant keypad comprises:
'A'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sonant part 'ㅡ'
'B' is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
A partial stroke '''of a consonant in common with' -a 'and' a 'is arranged,
', Which is in common with the' - 'and' b ', is disposed,
'=' Is placed in common with 'a' and 'g', and '
'' In common with the 'I' and 'b' is arranged,
Quot ;, " I "," a ", and " = "
Quot ;, " o "," o "," o ",&
'' Is set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I' touch,
'Is set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touch of the'
'Is set to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touch of' = ', and'

A Korean input device using touch-and-drag to generate final consonant phonemes by combining consonant phonemes, imaged partial strokes and rhythmic symbols according to the conceptual handwriting sequence.
KR1020160100248A 2016-08-05 2016-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 KR101821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48A KR101821125B1 (en) 2016-08-05 2016-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48A KR101821125B1 (en) 2016-08-05 2016-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125B1 true KR101821125B1 (en) 2018-01-23

Family

ID=6107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248A KR101821125B1 (en) 2016-08-05 2016-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1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99A (en) * 2019-05-27 2020-12-07 손효원 Characters input method and characters inpu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42B1 (en) * 2012-07-13 2013-05-30 김붕회 Input method of letter in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42B1 (en) * 2012-07-13 2013-05-30 김붕회 Input method of letter in touch scre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99A (en) * 2019-05-27 2020-12-07 손효원 Characters input method and characters input system
KR102202524B1 (en) * 2019-05-27 2021-01-12 손효원 Characters input method and characters inpu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US8560974B1 (en)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JP2009064437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JP2010541115A5 (en) Character / number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CN104808807A (en) Method and device for Chinese phonetic input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CN102713797B (en) Use the method for touch-scre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20120274573A1 (en)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KR101632750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KR101821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touch and drag
KR20090011755A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han gul character
KR102207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character based on hologram
JP4702081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501348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onsonants keypad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JP5304849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rograms
KR1016393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and smart device utilizing the same
KR20090029995A (en) Inputting appartus and method of korean vowel using touch screen or touch pad
KR101438271B1 (en) Device and methode for handwriting character
KR101898194B1 (en) Method for operating touch screen apparatus for incoming braille
KR101075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KR1015771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based on 3D spatial gesture
JP2015111369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328554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160027633A (en) Method of single handed hangul input using multi-t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