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649B1 -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649B1
KR101820649B1 KR1020160070387A KR20160070387A KR101820649B1 KR 101820649 B1 KR101820649 B1 KR 101820649B1 KR 1020160070387 A KR1020160070387 A KR 1020160070387A KR 20160070387 A KR20160070387 A KR 20160070387A KR 101820649 B1 KR101820649 B1 KR 10182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ck
oil
towel
sm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240A (ko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김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102016007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6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7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w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는에 오일을 내포하여, 오일의 전도열로 수건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발향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대;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상기 세로대와 연통된 하나 이상의 가로 바; 상기 세로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발열하는 전열기; 상기 전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상기 세로대와 상기 가로바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유동하는 오일; 일 측이 상기 오일에 잠기고 타 측은 외부로 노출된 발향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는 수건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욕실에 향기가 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APPARATUS FOR DRYING TOWER WITH FRAGRANCE DEVICE}
본 발명은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내부에 오일을 내포한 수건 건조 장치가 오일의 전도열로 수건을 건조시키는 것에 있어서, 오일의 온열로 향료의 발향을 촉진시켜 욕실에 향기가 나도록 하는 발향 부재를 포함하여 제작된 수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건은 물기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특히 욕실에서 세안이나 샤워 후에 사용된 뒤 욕실 내에 비치된 수건걸이에 젖은 상태로 다시 걸려서 자연 건조된다. 하지만, 욕실은 실내 공간 중에서도 특히 통풍이 잘 되지 않고 높은 습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바, 젖은 수건은 잘 건조되지 않아서 젖은 상태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수건에는 각종 세균의 번식이 활발해 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수건에서 악취가 나고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 특허 제 2007-0083401 호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는, 히터부재와 향 발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열풍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고, 수건을 회전시키면서 향기가 수건에 균형 있게 배어나게 건조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자외선램프를 구비하여 수건의 살균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히터부재, 향 발생부재, 살균부 등을 포함하고 수건을 상하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외부와 격리되는 별도의 외함을 구비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설비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들며, 욕실로는 향기를 발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건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수건이 회전 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수건의 상하부를 회전부에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다른 선행 기술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32495 호 '향기가 나는 수건걸이'는 수건이 걸어지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길이봉 내부에 고체 향료를 넣고, 길이봉의 겉면에는 향기가 방출될 수 있도록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수건에 향기가 배어날 수 있게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히터 부재가 없어서 효율적으로 수건을 건조 시킬 수 없고, 향기의 발향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수건 건조 장치 내부에 열기를 가진 오일을 포함하여 오일의 열전도로 수건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 동시에 욕실에 향기가 날 수 있도록 하는 수건 건조 장치의 개발 및 상용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7-0083401 A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마련된 오일의 열을 외부로 전도시켜서 그 열로 수건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발향 부재를 포함시켜 전도열로 효율적인 발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향 부재가 오일의 전도열을 효율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발향 부재의 유지보수 및 향료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마개로 발향 부재를 간편히 개폐하는 동시에 세로대에 탈착되도록 하여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지가 향료를 효율적으로 발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 향료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를 포함하여 향료가 손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관을 구비하여 전원이 연결되는 부위로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는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대;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상기 세로대와 연통된 하나 이상의 가로 바; 상기 세로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발열하는 전열기; 상기 전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상기 세로대와 상기 가로바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유동하는 오일; 일 측이 상기 오일에 잠기고 타 측은 외부로 노출된 발향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조 장치.
상기 세로대의 상단면에는, 상기 발향 부재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발향 부재 삽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발향 부재는, 향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을 개폐하는 마개을 포함하여, 상기 발향 부재의 상부가 상기 발향 부재 삽입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발향 부재 삽입부와 결합되는 세로대 연결부와, 상기 세로대 연결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의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되, 반지름은 상기 세로대 연결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 두께만큼 작게 형성된 하우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상단면 중앙에서부터 수직으로 관통되어 심지부를 고정시키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심지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발향 부재 외부로 노출되며, 타 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향료에 잠기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지부는, 외부를 향해 빨아올리는 심지와, 상기 심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상기 심지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상단면의 중앙 부위가 상기 심지부와 가까울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외측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 상단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관통된 제2 관통홀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하우징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향 부재는, 상기 마개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마개의 상부로 노출된 심지 및 향료를 감싸되, 일 측 부위를 관통한 방향홀을 하나 이상 구비한 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열기의 끝단과 실내벽 콘센트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상기 전열기의 전원선 및 플러그를 외부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밀폐관과, 상기 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의 전기적 접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는,
1) 수건 건조 장치 내부에 구비된 오일의 전도열을 이용하여 향료의 발향을 촉진시켜 욕실에 향기가 나게 하고,
2) 향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다양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으며,
3) 하나의 마개로 발향 부재의 개패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서 원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덮개를 구비하여 향료의 유출로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5) 밀폐관을 마련하여, 수분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외관상 깔끔하게 전원 연결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건 건조 장치에 수건이 걸린 형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의 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발향 부재와 세로대의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향 부재와 세로대의 결합 분리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개와 덮개의 체결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개와 덮개의 체결도
도 9는 밀폐관을 형성한 수건 건조 장치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는 열기를 보유한 오일(20)을 수건 건조 장치 내부에 채워서, 오일(20)의 전도열로 수건(10)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그 전도열로 발향 부재(140)의 향기의 발산을 촉진시키면서 욕실에 향기가 날 수 있도록 제작된 수건 건조 장치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는 세로대(110), 가로 바(120), 전열기(130) 및 발향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로대(110)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세로대(110)는 가로 바(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세로대(110)의 내부는 오일(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오일(20)이 수용될 수 있는 세로대(110) 내부의 중공을 제1 오일 수용 공간(111)이라고 정의하겠다.
세로대(110)는 오일(20)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열전도율이 큰 금속으로 형성된다.
가로 바(120)는 수건(10)을 걸어서 말릴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된 것으로, 오일(20)의 열을 전도 받아 수건(10)으로 전달함으로써 수건(10)이 건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로 바(120)는 내부는 오일(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세로대(110)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어서 세로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가로 바(12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로 바(120)의 내부 공간을 제2 오일 수용 공간(121)이라고 정의하겠다. 제1 오일 수용 공간(111)과 제2 오일 수용 공간(121)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전열기(130)는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열기(130) 내부에 구비된 발열 저항체 등으로부터 열이 발생하도록 하여 주위에 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열기(130)는 일 세로대(110)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전열기(1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서 열을 발생시키고, 제1 오일 수용 공간(111)과 제2 오일 수용 공간(121)에 수용되는 오일(20)을 가열하여 오일(20)의 온도가 올라가도록 한다. 전열기(130)는 일 실시 예로 우측 세로대(110a) 하부에 삽입되어 오일(20)을 가열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세로대의 어느 곳으로도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열기(130)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오일(20)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오일(20)의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이상이면 전열기(1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전열기(130)는 오일(20)의 온도가 계속해서 상승하여, 그 열에 의해 수건(10)이 그을리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은 섬유가 그을리거나 타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섬유 등을 건조시킬 수 있고, 사람이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에 접촉되었을 때 화상을 입지 않을 온도인 6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일(20)은 세로대(110)의 제1 오일 수용 공간(111)과 가로 바(120)의 제2 오일 수용 공간(121)에 꽉 채워져서 마련된다. 그리고 오일(20)은 세로대(110) 내부에 구비된 전열기(130)로부터 열을 제공 받는다. 전열기(130)에 의해 가열된 오일(20)은 세로대(110)의 제1 오일 수용 공간(111), 가로 바(120)의 제2 오일 수용 공간(121)을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세로대(110)와 가로 바(120)에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제1 오일 수용 공간(111)과 제2 오일 수용 공간(121)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20)이 더욱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고,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는 오일(20)에 의해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 내부에는 열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발향 부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발향 부재(140)는 향기가 발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향료(145)를 담을 수 있는 하우징(141) 및 하우징(141)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142) 및 향료(14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발향 부재(140)의 일 측은 오일(20)에 잠기고 타 측은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향 부재(140)는 일 측 세로대(110) 상부에 삽입되어 세로대(110)의 내부 공간인 제1 오일 수용 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향 부재(140)가 삽입되는 세로대(110)는 발향 부재(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발향 부재 삽입부(110-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발향 부재(140)는 한 쌍의 세로대(110)의 어느 곳에나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세로대 이외에도 가로대(12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발향 부재 삽입부(1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향 부재(140)가 삽입되는 세로대(110)의 상단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발향 부재(140)를 삽입하고자 하는 위치 어느 부위에서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향 부재 삽입부(110-1)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4을 참고하여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향 부재 삽입부(110-1)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하우징(141)과 마개(142)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하우징(141)은 향료(145)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용기이며, 하우징(141)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체가 오일(20)에 잠길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41)은 전열기(130)에 의해 가열된 오일(20)의 열이 하우징(141) 내부 중공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금속 물질과 같은 열전도가 잘 되는 물질로 형성된다. 이 때,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향료(145)는 고체, 액체 및 젤 타입 등 다양한 제형일 수 있으나, 활용성과 발향성을 고려하여 액체 제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도 2와 도 4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하우징(141)은 발향 부재 삽입부(110-1)로 삽입되어 세로대(110) 내부에 위치되는데, 이 때 하우징(141)의 외부는 세로대(110) 내부의 제1 오일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오일(20)에 잠길 수 있도록 배치되고, 마개(142)에 의해 하우징(141)은 발향 부재 삽입부(110-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41)의 개방된 상단에 마련된 하우징 나사산(141a)과 마개(142)의 하부인 하우징 연결부(142a)가 결합되고, 하우징 연결부(142a) 상부에 위치하는 세로대 연결부(142b)와 세로대(110)의 발향 부재 삽입부(110-1)가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41)이 세로대(110) 내부 공간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세로대(110)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오일(20)에 의해 외주면이 잠긴 하우징(141)은 오일(20)의 열에 의해 하우징(141)의 외부 및 내부 온도가 상승된다. 하우징(141)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하우징(141) 내부에 마련된 향료(145)는 확산 반응이 촉진되어 발향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마개(142)는 하우징(141)의 상단를 개폐시킬 수 있고, 세로대(110) 상단에 형성된 발향 부재 삽입부(110-1)와 결합되어 하우징(141)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마개(142)는 발향 부재 삽입부(110-1)와 결합되는 세로대 연결부(142b)와 하우징(141) 상단과 결합되는 하우징 연결부(14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3와 도 4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개(162)의 하우징 연결부(142a)와 세로대 연결부(142b)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개(142)는 원통형의 세로대 연결부(142b)를 마련하고, 세로대 연결부(142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세로대 연결부(142b)의 둘레보다는 작은 둘레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하우징 연결부(142a)를 마련할 수 있다. 마개(142)의 세로대 연결부(142b)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구성되어서, 나사산을 매개로 발향 부재 삽입부(110-1)와 결합되고, 하우징 연결부(142a)는 외주면의 나사산을 매개로 하우징(141)의 나사산(141a)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우징 연결부(142a)의 반지름은 세로대 연결부(142b)보다 하우징(141)의 둘레벽 두께만큼 작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마개(142)는 상단면 중앙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하우징(141)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 홀을 제1 관통홀(142c)이라 정의하겠다.
제1 관통홀(142c)은 하우징(141) 내부에 구비된 향료(145)의 발향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향기가 공중으로 발산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관통홀(142c)의 크기는 심지(144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향료(145)의 발향을 돕기 위해서 제1 관통홀(142c)에는 심지부(14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심지부(144)의 일 단은 제1 관통홀(142c)에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타 단은 향료(145)에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향기를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는데, 이 때 향료(145)는 액체 타입의 향료(145)가 될 수 있다. 심지부(144)는 액체 향료(145-1)를 빨아올릴 수 있는 심지(144a)와 심지(144a)보다는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심지(144a)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막(144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심지(144a)는 모세관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재료로는 섬유류, 나무류 및 종이류 등이 될 수 있다. 모세관 현상이란 표면 장력에 의해 액체가 가느다란 관을 따라 올라오는 현상을 말하는데, 모세관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재료로 심지(164a)를 사용 한다면, 액체 향료(145-1)가 심지(144a)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141) 외부에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다.
지지막(144b)은 심지(144a)의 외주면을 감싸서 심지(144a)가 액체 향료(145-1) 등에 담겨져서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심지(144a)의 모세관 현상은 심지(144a)의 굵기가 가늘수록 그 현상이 잘 나타나기 때문에 지지막(144b)을 형성하여 심지(144a)의 굵기 및 형태 변화에 제한을 주어서 모세관 현상이 잘 일어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마개(142)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마개(142)는 상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개 상단면의 오목한 부분을 마개 오목부(142e)라고 정의하겠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개 오목부(142e) 심지부(144)와 가까울수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개 오목부(142e)를 형성하는 이유는 하우징(141) 내부 온도가 높아지면 심지(144a)의 모세관 현상이 활발해져서 마개(142)의 제1 관통홀(142c)에 고정된 심지부(144)의 일단으로 액체 향료(145-1)가 흘러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액체 향료(145-1)가 흘러 넘쳐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개 오목부(142e)에 심지(144a) 일 단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액체 향료(145-1)가 고일 수 있도록 하여, 세로대(11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액체 향료(145-1)가 고이도록 하여 발향이 더욱 증가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마개(142)는 제1 관통홀(142c)로부터 외측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의 마개(142) 상단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관통된 관통홀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추가로 형성되는 관통홀을 제2 관통홀(142d)이라고 정의하겠다.
제2 관통홀(142d)은 하우징(141) 내부 기압과 대기 중의 기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하우징(141) 외부면은 열기를 보유한 오일(20)에 잠겨있기 때문에 하우징(141) 내부의 온도도 증가하여 대기 중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하우징(141) 내부의 기압은 대기 중의 기압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액체 향료(145-1)의 경우 심지(144a)를 타고 외부로 범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제2 관통홀(142d)을 형성하여, 대기 중인 하우징(141) 외부와 하우징(141)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대기압과 하우징(141) 내부압이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하고, 액체 향료(145-1)가 심지(144a)로 과도하게 흘러넘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향료(145-1)가 흘러 넘쳐서 오목하게 형성된 마개(142)에 고일 경우, 그 액체 향료(145-1)가 다시 하우징(14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향 부재(140)는, 덮개(143)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덮개(143)는 마개(142)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마개(142) 상부로 노출된 심지부(144) 및 향료(145)를 감싸고, 일 측 부위를 관통한 방향홀(143a)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덮개(143)는 심지부(144)에 흡수된 액체 향료(145-1)나 마개(142) 상부로 유출된 액체 향료(145-1)가 손이 묻거나 주위를 오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방향홀(13a)은, 덮개(143)가 마개(142)의 상부에 덮였을 경우 향기의 발산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관통된 홀을 형성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덮개(143)와 마개(142)의 결합을 설명하면, 덮개(143) 하부 부위의 둘레를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덮개 체결부(143b)를 형성하고, 마개(142)의 상부 외주면 둘레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마개 체결부(142f)를 추가로 형성하여, 덮개 체결부(143b)와 마개 체결부(142f)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의 실시 예에 따라, 덮개(143)가 마개(142)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마개(142) 내부에 끼워지면서 각각의 체결부가 맞물려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실시 예에 따라, 덮개(143)가 마개(142)의 겉 표면으로 씌워지면서 덮개(143)와 마개(142)의 체결부가 서로 결합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덮개(143)와 마개(142)이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은 탄성력 있는 재질로 덮개(143)를 형성하여 마개(142)에 끼워 넣음으로써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나사산을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는 전열기(130)의 끝단과 실내벽 콘센트를 연결하는 밀폐관(150)을 추가로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밀폐관(150)은 전열기(130)와 연결되는 전원선, 플러그 및 플러그의 콘센트 연결 단자를 외부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는 욕실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에 수분으로부터 전기적인 연결 부분을 잘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밀폐관(15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밀폐관(150) 내부에는 전원선과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관(150)의 일 단은 전열기(130)가 배치된 세로대(110)의 끝 단에 맞닿아 고정되어 있고, 타 단은 벽면의 콘센트(30)에 맞닿아 고정된다. 상기 플러그의 콘센트 연결 단자는 밀폐관(150) 타 단으로 돌출되어 콘센트(30)에 꽂히도록 설치되고, 한번 설치된 이후에는 밀폐관(150)이 밀폐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 연결 단자와 콘센트(30)가 분리될 수 없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의 콘센트 연결 단자는 일반적으로 콘센트(30) 구에 꽂혀지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는 콘센트(30)와 플러그의 전기적 접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151)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밀폐관(150)이 세로대(110) 끝 단과 콘센트(30) 사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와 콘센트(30)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없으며, 이는 안전사고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에 스위치(151)를 설치함으로써, 전열기(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위치(151)는 온(0n) 상태일 경우 정상적으로 전원을 통전하고, 오프(Off) 상태일 경우, 전열기(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110: 세로대
110a: 우측 세로대
110b: 좌측 세로대
110-1: 발향 부재 결합부
111: 제1 오일 수용 공간
120: 가로 바
121: 제2 오일 수용 공간
130: 전열기
140: 발향 부재
141: 하우징
141a: 하우징 나사산
142: 마개
142a: 하우징 연결부
142b: 세로대 연결부
142c: 제1 관통홀
142d: 제2 관통홀
142e: 마개 오목부
142f: 마개 체결부
143: 덮개
143a: 방향홀
143b: 덮개 체결부
144: 심지부
144a: 심지
144b: 지지막
145: 향료
145-1: 액체 향료
150: 밀폐관
151: 스위치
10: 수건
20: 오일
30: 콘센트

Claims (9)

  1.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대;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상기 세로대와 연통된 하나 이상의 가로 바;
    상기 세로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발열하는 전열기;
    상기 전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상기 세로대와 상기 가로바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유동하는 오일;
    일 측이 상기 오일에 잠기고 타 측은 외부로 노출된 발향 부재;
    상기 전열기의 끝단과 실내벽 콘센트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상기 전열기의 전원선 및 플러그를 외부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밀폐관과,
    상기 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의 전기적 접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의 상단면에는,
    상기 발향 부재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발향 부재 삽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발향 부재는,
    향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을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상기 발향 부재의 상부가 상기 발향 부재 삽입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발향 부재 삽입부와 결합되는 세로대 연결부와,
    상기 세로대 연결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의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되, 반지름은 상기 세로대 연결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 두께만큼 작게 형성된 하우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단면 중앙에서부터 수직으로 관통되어 심지부를 고정시키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심지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발향 부재 외부로 노출되며, 타 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향료에 잠기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외부를 향해 빨아올리는 심지와,
    상기 심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상기 심지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단면의 중앙 부위가 심지부와 가까울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외측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 상단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관통된 제2 관통홀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하우징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 부재는,
    상기 마개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마개의 상부로 노출된 심지 및 향료를 감싸되, 일 측 부위를 관통한 방향홀을 하나 이상 구비한 덮개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9. 삭제
KR1020160070387A 2016-06-07 2016-06-07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KR10182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87A KR101820649B1 (ko) 2016-06-07 2016-06-07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87A KR101820649B1 (ko) 2016-06-07 2016-06-07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240A KR20170138240A (ko) 2017-12-15
KR101820649B1 true KR101820649B1 (ko) 2018-01-22

Family

ID=6095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387A KR101820649B1 (ko) 2016-06-07 2016-06-07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964A (ko) 2020-03-04 2021-09-14 김인석 행주 건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495Y1 (ko) * 2000-12-08 2001-09-26 현규섭 향기가 나는 수건걸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495Y1 (ko) * 2000-12-08 2001-09-26 현규섭 향기가 나는 수건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964A (ko) 2020-03-04 2021-09-14 김인석 행주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240A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4121A (ja) 電気式液体揮発性物質ディスペンサー
BRPI0519872A2 (pt) dispositivo vaporizador de substáncias voláteis de múltiplas fragráncias
JP7350717B2 (ja) 安定なフレッシュニング組成物及びそのフレッシュニング組成物を含む製品
KR101820649B1 (ko) 방향 기능성 수건 건조 장치
KR20140101641A (ko) 스탠드형 간이 건조기
CN202950995U (zh) 一种使用香氛胶囊的壁插式熏香器
CN210215936U (zh) 一种烘干桶
JP2002345931A (ja) 殺菌脱臭剤燻蒸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殺菌脱臭剤容器
JP2013111199A (ja) 芳香器
KR200450845Y1 (ko) 가마솥
KR101916233B1 (ko) 용기 살균 건조 장치
KR20180044601A (ko) 양초 난로
CN205338794U (zh) 一种多功能毛巾架
CN109881460A (zh) 烘干衣架
CN210810729U (zh) 智能取暖杀菌器及具有该取暖杀菌器的浴室柜
KR200225314Y1 (ko) 공기조화기용 살균탈취제 훈증장치
KR20210111964A (ko) 행주 건조 장치
CN215640730U (zh) 一种温控扩散实验装置
CN108635600A (zh) 蒸汽烘干消毒器及其漏水结构
KR960007585Y1 (ko) 모기향 훈증(熏蒸)기구
CN212699737U (zh) Uv杀菌桶
ES2369207T3 (es) Dispositivo difusor para sustancias líquidas.
ES2271543T3 (es) Dispositivo difusor de vapor.
JP3076662U (ja) 多利用型蒸気発生装置
ES2834998A1 (es) Dispositivo de difusión de sustancias volá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