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091B1 -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091B1
KR101820091B1 KR1020170082260A KR20170082260A KR101820091B1 KR 101820091 B1 KR101820091 B1 KR 101820091B1 KR 1020170082260 A KR1020170082260 A KR 1020170082260A KR 20170082260 A KR20170082260 A KR 20170082260A KR 101820091 B1 KR101820091 B1 KR 10182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smart device
message
al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선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씨에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씨에스에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씨에스에스
Priority to KR102017008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은, 접수된 재난 신고의 알림 수준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문자, 상기 음성 정보 또는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 메시지의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에게 상기 경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EMERGENCY ALARM AND APPLICATION FOR SMART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전자 기기들은 연산 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기반 환경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들은 스마트 기기로 칭해지며, 다양한 제품이나 환경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는 통화나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 뿐만 아니라, 푸시 기술에 근간한 채팅이나 단체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기반으로, 재난 알림을 신속하게 전파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 등에 대한 비상 경보 시스템의 경우, 그 메시지의 수신 대상이 일부 대상으로 한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비상 경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가 해당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는 절차가 요구되거나, 또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으며, 그 알림 메시지가 음성인 경우에는 별도의 오디오플레이어 앱(App)을 실행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에 대하여 별도의 절차적 처리 없이 빠르게 비상 상황을 경보하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8304호 공개특허공보 제2000-007242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재난 또는 범죄상황 정보를 신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계자들 및 주변 거주자, 지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재난 또는 범죄 신고와 이에 따른 정보가 신속히 전파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장 상황을 실시간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촬영함과 동시에 서버에 전송하여 재난안전 또는 방범업무를 통제하는 담당자가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히 통제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황통제 조직 내부 및 외부자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 단위로 재난 또는 범죄 상황의 전파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과노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기기 앱(App)을 이용한 비상경보, 단체방송시 이를 푸시알림으로 수신한 스마트기기는 수신과 동시에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음성파일을 다운받아 방송하거나 문자로 수신된 푸시알림을 음성으로 자동변환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 바로 방송할 수 있어야 하며, 수신된 메시지 내용이 방송채널이면 방송채널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방송함으로써 스마트기기가 개인화된 방송시청 및 청취장치 역할을 하여 지역 및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재난 재해와 같은 각종 상황에 대한 경보를 스마트기기 사용자가 즉각적이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평소에 비상경보 기능을 마을방송기능으로 사용하여 방송내용의 전송 및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은, 접수된 재난 신고의 알림 수준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문자, 상기 음성 정보 또는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 메시지의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에게 상기 경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 수준은 일반 알람, 단체 방송 및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알림 수준이 상기 일반 알람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 수준이 상기 단체 방송 및 상기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스마트 기기의 음성 출력을 강제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대상 그룹은, 구성원의 지역 정보를 기초로 1차적으로 그룹화되고, 1차 그룹화된 구성원 각각에 대한 인적 정보를 기초로 2차 그룹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은, 구성원 후보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에 따라 수신된 구성원 후보자를 구성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고, 관리 서버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경보 메시지의 코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경보 메시지의 알림 수준을 확인하는 경보 메시지 수신부,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정보에 따라, 방송 송출원에 접속하여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및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성 정보 다운로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알림 수준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 또는 상기 음성 정보 다운로드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난 정보 방송을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는 문자 음성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난 정보 방송을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은,상기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에 대한 접속 권한을 기초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상된 사진 또는 영상이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문자를 포함하여 재난 신고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재난 신고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은, 재난 신고의 알림 수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 메시지에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송출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문자, 상기 음성 정보 또는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알림 수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 수준은 일반 알람, 단체 방송 및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알림 수준이 상기 일반 알람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로 구현되고, 상기 알림 수준이 상기 단체 방송 및 상기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음성 출력을 강제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수신한 경보 메시지를 별도의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재난 정보 알림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재난 또는 범죄상황 정보를 신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계자들 및 주변 거주자, 지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재난 또는 범죄 신고와 이에 따른 정보가 신속히 전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장 상황을 실시간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촬영함과 동시에 서버에 전송하여 재난안전 또는 방범업무를 통제하는 담당자가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황통제 조직 내부 및 외부자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 단위로 재난 또는 범죄 상황의 전파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과노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기기 앱(App)을 이용한 비상경보, 단체방송시 이를 푸시알림으로 수신한 스마트기기는 수신과 동시에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음성파일을 다운받아 방송하거나 문자로 수신된 푸시알림을 음성으로 자동변환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 바로 방송할 수 있어야 하며, 수신된 메시지 내용이 방송채널이면 방송채널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방송함으로써 스마트기기가 개인화된 방송시청 및 청취장치 역할을 하여 지역 및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재난 재해와 같은 각종 상황에 대한 경보를 스마트기기 사용자가 즉각적이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소에 비상경보 기능을 마을방송기능으로 사용하여 방송내용의 전송 및 청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보 메시지 발송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서 설정하는, 재산 신고의 알림 수준에 따른 코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구성원 관리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재난 신고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재난 관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알림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조체(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분산 컴퓨팅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재난 정보로 통칭하여 설명하나, 이러한 표현에 의하여 정보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재난 정보는, 재난 자체에 대한 정보 외에도 범죄 신고에 대한 정보나 긴급 경보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및 복수의 스마트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재난 신고의 알림 수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 메시지에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송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 및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스마트 기기(200)와의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스마트 기기(200)와의 통신망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200)에 데이터-예컨대, 재난 경보 등-를 전송하거나 그로부터 데이터-예컨대, 재난 신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재난 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재난 신고에 대한 알림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알림 수준에 따라 경보 메시지의 전달 대상, 강제적 수신 등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알림 수준은 일반 알람, 단체 방송 및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알림 수준이 상기 일반 알람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알림 수준이 단체 방송 및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이면, 경보 메시지는 스마트 기기의 음성 출력을 강제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는 재난 신고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기기(200)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와 연동하여 재난 신고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에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이를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는 제공받은 재난 신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분류화 하는 등의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재난 신고 데이터로는, 사진, 동영상,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 신고 내용, 신고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는 이를 기 설정된 재난 구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는 재난 구분에 따라 업무 담당자를 할당하고 해당 업무 담당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신상 정보나 연락처 정보-등을 구분화하여, 재난 신고 데이터가 접수되면 해당 재난 구분에 따라 업무 담당자(구성원)에게 접수된 재난 신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는 재난 신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관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재난 관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접수된 재난 정보에 대한 위치, 사진, 영상, 신고자 정보, 신고 일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재난 관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는 경보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는 스마트 기기(200)에 경보 메시지를 푸시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경보 메시지는 자동 방송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마트 기기(200)의 사용자가 별도의 처리 행위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기기(200)는 자동으로 경보 메시지에 따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림 수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경보 메시지는 스마트 기기(200)에서 음성 출력으로 강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마트 기기(200)는 사용자의 별도의 처리 행위 없이도 경보 메시지에 따른 음성 출력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기기(200)는 경보 메시지에 저장된 또는 연관된 음성 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받아 방송하거나, 또는 문자 정보로 수신된 경보 메시지를 읽어들여 음성으로 자동변환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 바로 방송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200)는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송 채널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방송 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마트 기기(200)가 개인화된 방송 시청 및 청취장치 역할을 하여 지역 및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재난 재해와 같은 각종 상황에 대한 경보를 즉각적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단체 메시지 전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는 경보 메시지를 관리하는 구성원들을 등록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원들을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 단위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 및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를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는 실시 형태에 따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 재난 정보 데이터 관리부(120) 및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는 각각 별도의 서버나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적어도 둘의 구성 요소는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일부 구성 요소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다른 일부 구성 요소는 서버 기반의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보 메시지 발송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는 복수의 처리부(210)와 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보 메시지 발송부(130)는 통신부(211), 그룹 관리부(212), 구성원 관리부(213), 단체 메시지 처리부(214), 재난 신고 처리부(215), 통합 관제 연동부(216), 구성원 데이터베이스(221), 재난 신고 데이터베이스(222) 및 재난 신고 동영상 저장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1)는 스마트 기기(200)와의 통신망을 형성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구성원 관리부(212)는 구성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성원은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와, 그러한 재난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구성원 관리부(212)는 스마트 기기(200)와 연동하여,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구성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구성원 데이터베이스(221)에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원 관리부(212)는 구성원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성원 후보자는 구성원은 아닌 사람이나, 기존 구성원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은 자, 또는 재난 경보와 연관이 있는 자 등으로서, 구성원에 준하는 관리의 대상이 되는 자들이다. 구성원 관리부(212)는 구성원 후보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이러한 구성원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룹 관리부(213)는 재난 관리와 연관된 구성원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구성원 데이터베이스(221)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그룹 관리부(213)는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입력 데이터에서 구성원 정보와 그에 대한 분류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구성원 데이터베이스(221)를 생성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그룹 관리부(213)는 구성원의 지역 정보, 즉, 거주지 정보 및 근무지 정보를 기초로 구성원을 1차적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또한, 그룹 관리부(213)는 지역 정보에 따라 1차 그룹화된 구성원 각각에 대한 인적 정보-예컨대, 가족 정보, 동거인 정보, 회사 동료 정보 등-를 바탕으로, 1차 그룹화된 구성원과 인적으로 연관된 구성원들을 포함하도록 보다 넓은 범위의 2차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재난 정보가 지역과 연관되는 경우가 다수이므로, 먼저 1차적으로 그룹화된 구성원을 중심으로 재난 정보를 전파하되, 재난 정보의 전파의 중요성이 높은 경우는 차후로 2차적 그룹까지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재난 대상에 대한 빠른 전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인적 관련성이 있는 구성원에게 까지도 정확하게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체 메시지 처리부(214)는 구성원 데이터베이스(221)를 이용하여 그룹별로 구분된 구성원들에 대하여 단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체 메시지는 도 1에서 상술한 경보 메시지에 준하는 것으로서, 그룹별로 구분되어 송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체 메시지 또한 음성 출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200)는 단체 메시지에 저장된 또는 연관된 음성 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받아 방송하거나, 또는 문자 정보로 수신된 경보 메시지를 읽어들여 음성으로 자동변환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 바로 방송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는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송 채널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방송 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재난 신고 처리부(215)는 스마트 기기(200)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재난 신고를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재난 신고는 재난에 대한 신고 뿐만 아니라, 범죄 신고나 긴급 경보에 대한 신고를 포괄하는 의미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재난 신고 처리부(215)는 접수된 재난 신고에서 위치정보, 상세신고내용, 신고자 정보 등을 추출하여 재난 신고 데이터베이스(222)를 생성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 신고에는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재난 신고 처리부(215)는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을 재난 신고 동영상 저장부(223)에 저장시킬 수 있다.
통합 관제 연동부(216)는 재난 신고를 해당 재난 신고와 연관된 기존의 관제 시스템-예컨대, 119나 112 등-에 실시간으로 전파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재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S310).
재난 신고는, 관리자에 의하여 접수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접수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00)는 재난 신고에 대하여 알림 수준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20).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서 설정하는, 재산 신고의 알림 수준에 따른 코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수준은 일반 알람(ALARM), 단체 방송(ALERT), 비상 경보(WARN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알람(ALARM)은 강제성이 없는 메시지로서, 스마트 기기(200)에 개개인별로 전송되는 경보 메시지일 수 있다. 단체 방송(ALERT)은 그룹화된 수신자(구성원)을 대상으로 전달되는 경보 메시지일 수 있다. 비상 경보(WARNING)는 일부 강제성을 가지는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예컨대, 경보 메시지를 수신한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의 별도의 처리 행위 없이도 강제적으로 메시지와 관련된 알림-예컨대, 음성 알림이나 방송 수신 등-이 이루어지는 메시지이다.
관리 서버(100)는 경보 메시지에 포함될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30).
전송 문자는 문자화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음성 정보는 경보 메시지에 음성 파일이 추가되거나 또는 그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가 추가되는 것에 해당된다. 방송 정보는 방송 수신에 대한 정보에 해당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코드 정보로서 2진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코드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고, 또는 영문 기호, 자연어인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경보 메시지의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S340).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를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상기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에 대하여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5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구성원 관리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구성원 후보자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구성원 후보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S510).
구성원 후보자 정보는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성원 후보자 정보는 신상 정보와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상 정보는 이름, 성별, 조직내 관리번호, 나이, 주소, 조직내 소속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연락처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관리 서버(100)는 다수의 구성원 후보자의 스마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S520).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나 메일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적용 가능하며,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접속 주소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경로에 대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에 의하여 사용자는 편리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구성원 후보자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를 단순 클릭함으로써, 해당 웹 페이지에 자동 접속하여 스마트기기 앱(App) 설치 동작이 자동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원 후보자의 스마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구성원 후보자가 스마트기기 앱(App)을 통해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서버(100)에 구성원 후보자가 작성한 회원가입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며 관리 서버(100)에 회원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가입 정보는 사용자 계정 정보, 신상 정보, 및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계정 정보는 아이디 및 비밀 번호, 신상 정보는 다시 이름, 성별, 조직내 관리번호, 나이, 주소, 조직내 소속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연락처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이 관리 서버(100)와 연동되면, 관리 서버(100)는 구성원 후보자의 정보- 상기 회원 가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S530).
관리 서버(100)는 구성원 후보자에 대하여 회원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구성원 후보자를 구성원으로 저장할 수 있다(S540).
이후, 관리 서버(100)는 구성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구성원 후보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상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미등록된 구성원 후보자가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구성원 후보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나, 구성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존재하지 않는 신상 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신상 정보에 대응되는 구성원 후보자를 미등록된 구성원 후보자로서 확인한다. 이후, 관리 서버(100)는 미등록된 구성원 후보자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를 재 발송할 수 있다(S550).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관리 서버(100)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입 관리부(610), 경보 메시지 수신부(620), 방송 수신부(630), 음성 정보 다운로드부(640) 및 문자 음성 변환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 관리부(610)는 관리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인 구성원 후보자를 구성원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경보 메시지 수신부(62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경보 메시지 수신부(620)는 수신한 경보 메시지의 코드 정보를 확인하여, 경보 메시지의 알림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알림 수준에 따라 경보 메시지 수신부(620)는 스마트 기기(200)의 제어 등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비상 경보의 경우, 사용자의 확인 없이도 수신한 경보 메시지의 내용을 강제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반면, 일반 알림의 경우 사용자의 확인에 따라 표시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방송 수신부(630)는 수신한 경보 메시지에 방송 정보가 포함된 경우, 그에 따라 소정의 방송 송출원에 접속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정보 다운로드부(640)는 수신한 경보 메시지에 음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그에 따라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정보는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파일이거나 또는 음성 스트리밍 정보일 수 있으며, 음성 정보 다운로드부(640)는 이를 다운로드 하거나 스트리밍 다운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문자 음성 변환부(650)는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재난 신고 관리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신고 관리부(660)는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에 대한 접속 권한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상된 사진 또는 영상이나, 사용자 입력에 따른 문자를 포함하여 재난 신고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재난 신고 관리부(660)는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재난 신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재난 신고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도시된 예와 같이, 사진/ 동영상/문자를 첨부하여 재난 신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로서,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면(S710), 코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경보 메시지가 비상 경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721).
어플리케이션(200)은 비상 경보가 아닌 경우, 해당 경보 메시지가 단체 방송인지 확인하고(S722), 단체 방송도 아니면 이를 일반 알림으로 처리할 수 있다(S723).
본 실시예에서, 일반 알림인 경우 어플리케이션(200)은 일반적인 푸시 알림으로 처리하고, 비상 경보와 단체 방송일 경우는 방송이나 음성 기반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200)은 경보 메시지가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S731), 확인된 방송 정보에 따라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S741).
한편, 방송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200)은 음성 정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고(S732), 음성 정보가 존재하면 그에 따라 음성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음성 스트리밍을 연결하여 음성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S742).
음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경보 메시지는 문자 정보만을 포함하므로, 어플리케이션(200)은 문자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S743).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알림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난 정보 알림 장치(300)는 스마트 기기(200)와 연동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수신한 경보 메시지를 별도의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독의 장치이다.
재난 정보 알림 장치(300)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소지하지 않았거나, 또는 스마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사람이라도 경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알림 장치(3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스마트 기기(200)와 연결되어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부 및 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자체적인 스피커를 포함하거나, 또는 외장 스피커에 연결되어 음성 정보 등을 송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관리 서버
110 : 어플리케이션 연동부 120 : 재난 정보 데이터관리부
130 : 경보 메시지 관리부
211 : 통신부 212 : 구성원 관리부
213 : 그룹 관리부 214 : 단체 메시지 관리부
215 : 재난 신고 처리부 216 : 통합 관제 연동부
221 : 구성원 데이터베이스 222 : 재난 신고 데이터베이스
223 : 재난 신고 동영상 저장부
200 : 스마트 기기

Claims (11)

  1. 접수된 재난 신고의 수신 대상자 및 강제적 수신 여부를 포함하는 알림 수준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문자, 상기 음성 정보 또는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 메시지의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신 대상자 또는 수신 대상 그룹에게 상기 경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수준은
    일반 알람, 단체 방송 및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알림 수준이 단체 방송 및 상기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스마트 기기로 자동으로 다운로드되어 저장된 음성으로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를 통해 강제적으로 상기 음성을 출력시키고,
    상기 수신 대상 그룹은,
    구성원의 거주지정보 및 근무지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기초로 1차적으로 그룹화되고, 1차 그룹화된 구성원 각각에 대한 가족 정보, 동거인 정보, 회사 동료 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한 인적 정보를 기초로 2차 그룹화되고,
    상기 재난 신고는 사진, 동영상, 스마트 기기의 위치정보, 신고 내용, 신고자 정보 중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재난 신고가 접수되면 기 설정된 재난 구분에 따라 분류하여 분류된 재난 구분별로 기 할당된 업무 담당자에게 재난 신고에 관한 데이터가 제공되고, 재난 관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난 신고에 관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재난 정보 방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준이 상기 일반 알람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로 구현되는 재난 정보 방송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재난 정보 방송 방법은,
    구성원 후보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메시지에 따라 수신된 구성원 후보자를 구성원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난 정보 방송 방법.
  6.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고, 관리 서버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경보 메시지의 코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경보 메시지의 수신 대상자 및 강제적 수신 여부를 포함하는 알림 수준을 확인하는 경보 메시지 수신부;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정보에 따라, 방송 송출원에 접속하여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성 정보 다운로드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에 대한 접속 권한을 기초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상된 사진 또는 영상이나, 스마트 기기의 위치정보, 신고 내용, 신고자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문자를 포함하여 재난 신고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서 기 설정된 재난 구분에 따라 재난 신고를 분류하여 분류된 재난 구분별로 기 할당된 업무 담당자에게 재난 신고에 관한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하고, 재난 관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난 신고에 관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재난 신고 관리부;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를 구성원으로서 등록하는 가입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수준은,
    일반 알람, 단체 방송 및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경보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알림 수준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 또는 상기 음성 정보 다운로드부의 출력을 제어하되,
    상기 알림 수준이 단체 방송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정보가 강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알림 수준이 비상 경보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정보가 강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알림 수준이 일반 알림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확인에 따라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경보 메시지는 상기 관리 서버에서 기 분류한 수신 대상 그룹에 포함된 구성원의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그룹 단위로 전송되고,
    상기 수신 대상 그룹은,
    구성원의 거주지정보 및 근무지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기초로 1차적으로 그룹화되고, 1차 그룹화된 구성원 각각에 대한 가족 정보, 동거인 정보, 회사 동료 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한 인적 정보를 기초로 2차 그룹화되는
    재난 정보 방송을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방송을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경보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문자 음성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재난 정보 방송을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8. 삭제
  9. 재난 신고의 알림 수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 메시지에 전송 문자, 음성 정보 또는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송출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문자, 상기 음성 정보 또는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알림 수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 수준은,
    수신 대상자 및 강제적 수신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수준은
    일반 알람, 단체 방송 및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알림 수준이 상기 일반 알람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로 구현되고,
    상기 알림 수준이 상기 단체 방송 및 상기 비상 경보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경보 메시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 자동으로 다운로드되어 저장된 음성으로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음성 출력을 강제적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경보 메시지는 상기 관리 서버에서 기 분류한 수신 대상 그룹에 포함된 구성원의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그룹 단위로 전송되고,
    상기 수신 대상 그룹은,
    구성원의 거주지정보 및 근무지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기초로 1차적으로 그룹화되고, 1차 그룹화된 구성원 각각에 대한 가족 정보, 동거인 정보, 회사 동료 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한 인적 정보를 기초로 2차 그룹화되고,
    상기 재난 신고는 사진, 동영상, 스마트 기기의 위치정보, 신고 내용, 신고자 정보 중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재난 신고가 접수되면 기 설정된 재난 구분에 따라 분류하여 분류된 재난 구분별로 기 할당된 업무 담당자에게 재난 신고에 관한 데이터가 제공되고, 재난 관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난 신고에 관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수신한 경보 메시지를 별도의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재난 정보 알림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KR1020170082260A 2017-06-29 2017-06-29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KR10182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60A KR101820091B1 (ko) 2017-06-29 2017-06-29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60A KR101820091B1 (ko) 2017-06-29 2017-06-29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091B1 true KR101820091B1 (ko) 2018-02-28

Family

ID=6140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260A KR101820091B1 (ko) 2017-06-29 2017-06-29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7128A1 (en) * 2020-10-21 2022-04-28 Glolink Technologies Inc. Mobile application for prioritized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7128A1 (en) * 2020-10-21 2022-04-28 Glolink Technologies Inc. Mobile application for prioritized communication
US11758467B2 (en) 2020-10-21 2023-09-12 Glolink Technologies Inc. Mobile application for prioritized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0221B2 (en) Cellular telephone with the ability to display and store picture and video messages and caller ID received from a message originator
US822428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447620B2 (en) Structured communication framework
US95599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large scale emails and limiting resource consumption and interruption therefrom
RU2615073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напоминания событий
US201500821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participation in a message conversation
MX2011007031A (es) Formacion dinamica de grupos en un sistema de notificacion.
US9843608B2 (en) Method of synchronous image sharing
CN111181844A (zh) 消息处理方法、装置及介质
KR101820091B1 (ko) 재난 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
US8369506B2 (en) Informing a teleconference participant that a person-of-interest has become active within the teleconference
US10959081B2 (en) Network-based alert system and method
CN113688015A (zh) 告警通知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0880735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sible taking of screenshots
JP2015111403A5 (ko)
US20040215736A1 (en) Method for notifying a user about the presence of a message stored for him
JP5942241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システム制御装置
JP2008040727A (ja) イベント情報配信システム
KR20150098289A (ko) 이동통신사로부터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정보를 대리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관리 대행 서비스 방법
US10531267B2 (en) Personal safety network
JP2005167382A (ja) 遠隔カメラ監視システムおよび遠隔カメラ監視方法
WO20202632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 plurality of persons in group chats i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US9886840B2 (en) Method for guaranteed delivery of alert notifications through chain-of-command escalation procedures
JP2020201812A (ja) 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202408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システム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