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079B1 -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0079B1 KR101820079B1 KR1020150128039A KR20150128039A KR101820079B1 KR 101820079 B1 KR101820079 B1 KR 101820079B1 KR 1020150128039 A KR1020150128039 A KR 1020150128039A KR 20150128039 A KR20150128039 A KR 20150128039A KR 101820079 B1 KR101820079 B1 KR 101820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unit
- power
- main body
- limit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전력을 상시 공급받으며 연동하우스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는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며 눈을 제설하는 제설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상기 연동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발생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bus bar)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는 연동하우스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설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설장치가 전력을 상시 공급받으며 연동하우스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스설비는 과일이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 태양광이 쉽게 유입되는 투명재질로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만들어 그 속에 태양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난방기기의 이용으로, 이를 제어함으로서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실 환경을 조성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하우스설비의 이용으로 한랭기간에서의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게 되어, 많은 농작물이 1년 내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하우스설비는 다수개의 골조를 나열하여 고정설치한 후 그 외부에 투명재질로 외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과 지지력이 약해 비바람이 몰아치는 악천후에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폭설로 인하여 하우스설비 상측에 많은 눈이 쌓이게 되면 눈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붕괴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여 전력을 상시 공급받아 동력 유지가 용이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하우스들이 인접하여 형성된 연동하우스의 상기 하우스들 사이에 형성되는 눈을 제설하기 위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한 대차 상판,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가 이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대차 상판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왕복에 의해 연동하우스의 눈을 제설하는 제설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상기 연동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발생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bus bar)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을 왕복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레일 상에서 눈에 의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상이며, 상기 레일은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 는 가이드 롤러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그립(grip)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연결부는 장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양 끝단에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리미트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 및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감속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 단의 상기 제1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력발생부를 정지시킨 후,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본체를 타 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타 단의 제2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동력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를 감속할 수 있다.
상기 제설부는, 상기 연동 사이 형상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스들 사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부 면을 따라 구비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부스바 브라켓, 및 상기 레일에 상기 부스바 브라켓을 고정하는 부스바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부스바 브라켓의 개구영역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연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는 눈에 의한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온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스바가 연결되어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의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연동하우스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설 할 수 있다.
또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가이드 롤러 유닛이 설치되어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의 이동시 흔들림이 보완되어, 폭설에 의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의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제설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하부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본체의 제어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하부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본체의 제어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연동하우스(10) 제설장치는 복수의 하우스들이 인접하여 형성된 연동하우스(10)의 상기 하우스들 사이에 형성되는 눈을 제설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연동하우스(10) 제설장치는 상기 연동하우스(1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20), 상기 레일(20)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연동하우스(10)의 눈을 제설하는 본체(30), 상기 본체(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상기 레일(20)의 하부에 상기 연동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본체(30)로 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bus bar)(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외부에서 연결된 시스템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반(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본체(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기 연동하우스(10) 제설장치의 본체(3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를 하부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는 상기 레일(20)을 따라 왕복 가능한 대차 상판(100), 상기 대차 상판(100)에 설치되어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200), 상기 대차 상판(1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200)가 이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300), 상기 동력 발생부(30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상기 이송부(20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400), 및 상기 대차 상판(100)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200)의 왕복에 의해 연동하우스(10)의 눈을 제설하는 제설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발생부(300)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상판(100)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 발생부(300)는 회전속도 1800rpm, 최대출력 1.5W를 가지는 모터(310)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동력 발생부(300)는 전원연결장치(32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부스바(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스바(50)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52), 상기 케이블(52)의 외부 면을 따라 구비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부스바 브라켓(54), 및 상기 레일(20)에 상기 부스바 브라켓(54)을 고정하는 부스바 고정브라켓(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52)은 도체로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케이블(52)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부스바(50) 브라켓(54)이 상기 케이블(52)을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52)은 상기 부스바(50) 브라켓(54)의 개구영역을 통하여 상기 전원연결장치(320)와 접촉 연결되어 상기 동력 발생부(30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동력 전달부(400)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54)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는, 도 2 또는 도 4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20V의 DC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일 경우, 상기 전력의 순환을 위하여 상기 부스바 고정브라켓(56)에 의해 한 쌍의 부스바(5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스바들은 눈에 의한 합선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스바(50)들 사이에 정온열선(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온열선은 상기 부스바들 상부 또는 사이에 쌓인 눈을 녹일 수 있도록 85℃ 정도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40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감속기(410) 및 상기 동력 감속기(410)의 회전을 상기 이송부(200)로 전달하는 체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부(400)를 통하여 전달받아 상기 대차 상판(100)을 왕복 이송함으로서, 상기 본체(30)를 상기 레일(20) 상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400)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420)을 통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20)을 왕복하는 이송롤러(210), 및 상기 이송롤러(210)가 상기 레일(20)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210)는, 상기 레일(20) 상에 쌓여있는 눈에 의하여 슬립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톱니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레일(20)은 상기 이송롤러(210)에 대응하여 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210)와 상기 홈(22)이 대응하여 상기 이송롤러(210)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롤러(210)는 톱니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이송롤러(210)가 눈에 의하여 상기 레일(20) 상에서 슬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롤러(222), 및 상기 레일(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롤러(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222)는 가이드 롤러 연결부(226)에 의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롤러(224)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롤러 연결부(226)는 장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롤러(222)와 상기 제2 가이드 롤러(224)가 상기 인장스프링의 장력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일(20)을 단단히 그립(grip)할 수 있어, 상기 이송롤러(210)가 상기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레일(20)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30)가 상기 레일(20) 상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상판(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두 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본체(30)의 흔들림을 더욱 보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은 상기 레일(20)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220)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레일(20)에 구비되어 있는 리미트 센서유닛들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의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본체(3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레일(20)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0)의 양 끝단에 상기 본체(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은 상기 레일(2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 및 상기 레일(20)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센서유닛(24, 26)은 상기 레일(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24a, 26a) 및 상기 레일(20)의 단부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본체(30)를 감속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24b, 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 와 제2 리미트 센서(24b)의 간격(A)과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a)와 제2 리미트 센서(26b)의 간격(A')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리미트 센서(24a) 와 제2 리미트 센서(24b)의 간격(A),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a)와 제2 리미트 센서(26b)의 간격(A') 및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2 리미트 센서(24b)와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b)의 간격(B)를 포함한 레일(20)의 길이는 상기 연동하우스(10)의 길이방향과 같거나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센서 및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들에 따른 상기 제어부(40)의 상기 본체(30)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 알고리즘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1의 본체(30)의 제어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어반(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제설작업의 운전모드를 설정한다(S1).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오토모드가 아닐 시, 상기 운전모드는 매뉴얼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매뉴얼 모드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30)를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오토모드 선택 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로부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S3). 상기 제어부(40)가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수신하지 못했다면, 상기 본체(30)는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40)가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수신했다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킨다. 상기 본체(30)는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3초간 정지 상태를 유지한 후, 제2 리미트 센서유닛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이동하기 시작한 본체(30)는 10초간 가속하며, 10초 후 상기 제어부(40)는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b)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본체(30)를 최고속도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2 리미트 센서(26b)신호를 수신하면(S4),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속도를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으로 감속하여 상기 센서가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1 리미트 센서(26a)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본체(30)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리미트 센서유닛(26)의 제1 리미트 센서(26a)신호를 상기 센서가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면(S5)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킨다. 정지한 상기 본체(30)는 다시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3초간 정지상태를 유지한 후 제1 리미트 센서유닛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30)의 최고속도의 1/3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이동하기 시작한 본체(30)는 10초간 가속하여 10초 후 상기 제어부(40)는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2 리미트 센서(24b)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최고속도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2 리미트 센서(24b)신호를 수신하면(S6),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30)의 속도를 상기 센서가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최고속도의 1/3으로 감속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제1 리미트 센서유닛(24)의 제1 리미트 센서(24a)신호를 상기 센서가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면(S7),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동력 발생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3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기 본체(30)의 왕복운동으로, 상기 대차 상판(100)의 전방 과 후방에 배치된 제설부(500)가 상기 연동하우스(10)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는 상기 연동하우스(10)에 쌓이는 눈의 적설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적설량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눈의 적설량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구동을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설부(5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연동하우스(10) 사이의 형상과 밀착하도록, 상기 연동하우스(10) 사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동력 발생부(300), 상기 동력 전달부(400) 등 상기 대차 상판(100)에 부착된 부품에 눈 등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분해 조립이 용이한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스바를 구비하여 전력을 상기 공급받아 동력 유지가 용이한 상기 연동하우스 제설장치는,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동력전달부가 제어되어 레일을 안정적으로 이동하며 제설장치의 손상 없이 제설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연동하우스 20: 레일
22: 홈 30: 본체
40: 제어부 50: 부스바
52: 케이블 54: 부스바 브라켓
56: 부스바 고정브라켓 100: 대차 상판
200: 이송부 210: 이송롤러
220: 가이드 롤러유닛 222: 제1 가이드 롤러
224: 제2 가이드 롤러 226: 가이드 롤러 연결부
300: 동력 발생부 310: 모터
320: 전원연결장치 400: 동력 전달부
410: 감속기 420: 체인
500: 제설부
22: 홈 30: 본체
40: 제어부 50: 부스바
52: 케이블 54: 부스바 브라켓
56: 부스바 고정브라켓 100: 대차 상판
200: 이송부 210: 이송롤러
220: 가이드 롤러유닛 222: 제1 가이드 롤러
224: 제2 가이드 롤러 226: 가이드 롤러 연결부
300: 동력 발생부 310: 모터
320: 전원연결장치 400: 동력 전달부
410: 감속기 420: 체인
500: 제설부
Claims (13)
- 복수의 하우스들이 인접하여 형성된 연동하우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눈을 제설하기 위한 연동하우스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한 대차 상판,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대차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가 이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대차 상판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왕복에 의해 상기 연동하우스의 눈을 제설하는 제설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상기 연동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발생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부스바(bus bar)를 포함하고,
상기 제설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 형상과 밀착되도록 상기 연동하우스 사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판 형상의 상기 제설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을 왕복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레일 상에서 눈에 의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상이며, 상기 레일은 상기 이송롤러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 는 가이드 롤러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그립(gri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연결부는 장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유닛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양 끝단에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리미트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센서유닛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 및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감속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 단의 상기 제1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력발생부를 정지시킨 후,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본체를 타 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타 단의 제2 리미트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력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를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부 면을 따라 구비되고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부스바 브라켓; 및
상기 레일에 상기 부스바 브라켓을 고정하는 부스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부스바 브라켓의 개구영역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눈에 의한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온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8039A KR101820079B1 (ko) | 2015-09-10 | 2015-09-10 |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8039A KR101820079B1 (ko) | 2015-09-10 | 2015-09-10 |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0748A KR20170030748A (ko) | 2017-03-20 |
KR101820079B1 true KR101820079B1 (ko) | 2018-01-19 |
Family
ID=5850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8039A KR101820079B1 (ko) | 2015-09-10 | 2015-09-10 |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00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5344Y1 (ko) * | 2020-01-14 | 2022-05-03 | 강원경 | 비닐하우스 이동장치용 레일 시스템 |
KR102471372B1 (ko) * | 2022-08-08 | 2022-11-28 | 김용석 | 자동 페인팅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570Y1 (ko) * | 2006-06-30 | 2006-09-13 | 최규형 | 눈 쓸어내는 장치 |
KR100709571B1 (ko) * | 2007-01-15 | 2007-04-20 |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
KR101561836B1 (ko) * | 2013-09-13 | 2015-10-20 | 주식회사 태광 |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
-
2015
- 2015-09-10 KR KR1020150128039A patent/KR1018200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570Y1 (ko) * | 2006-06-30 | 2006-09-13 | 최규형 | 눈 쓸어내는 장치 |
KR100709571B1 (ko) * | 2007-01-15 | 2007-04-20 |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
KR101561836B1 (ko) * | 2013-09-13 | 2015-10-20 | 주식회사 태광 |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0748A (ko) | 2017-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84704B2 (en) | Solar panel cleaning system | |
CN101513733B (zh) | 架空线路清障检测机器人 | |
EP2786080B1 (en) |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continuous surfaces, in particular solar thermal collectors, photovoltaic panels and similar devices | |
KR101820079B1 (ko) | 연동하우스 제설장치 | |
CN101309001B (zh) | 一种线缆除冰机器人 | |
US20210006202A1 (en) | Automatic Cleaning Vehicle for Photovoltaic Panels | |
Rao et al. | Smart IoT based solar panel cleaning system | |
CN105032821A (zh) | 一种固定式光伏电池板组清洗装置 | |
KR101569877B1 (ko) | 지능형 하우스 제설로봇 | |
KR20190099740A (ko) | 태양광 패널 자동 청소 장치 | |
CN104393531A (zh) | 一种高压输电线路异物遥控式清除器及清除方法 | |
CN105921430A (zh) | 适用于多种形式支架的光伏板表面除尘装置 | |
KR101427645B1 (ko) | 블록 가변형 가이드 레일과 자체 발전설비가 구비된 빗물을 활용한 태양전지판 자동세척장치 | |
CN110589724A (zh) | 电线杆攀爬运送装置 | |
CN104210893A (zh) | 线束牵引设备 | |
KR101152344B1 (ko) | 비닐하우스의 적설방지장치 | |
KR102035659B1 (ko) | 컨베이어 청소 장치 | |
KR20170005532A (ko) | 폭설 방지용 지붕 제설장치 | |
CN111755982B (zh) | 一种输电线路射线检测机器人及其作业控制方法 | |
WO2019046086A1 (en) | AUTOMATED CLEANING DEVICE FOR SOLAR COLLECTORS | |
CN103769377A (zh) | 大规模光伏阵列无水清洁系统 | |
KR102225462B1 (ko) | 두 줄의 금속와이어로 운용하는 와이어 카 시스템 | |
JP2018074832A (ja) | 太陽光発電装置 | |
CN204030422U (zh) | 带电作业遥控滑行器 | |
CN207990924U (zh) | 一种方便使用的百级层流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