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708B1 -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 - Google Patents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708B1
KR101819708B1 KR1020150146266A KR20150146266A KR101819708B1 KR 101819708 B1 KR101819708 B1 KR 101819708B1 KR 1020150146266 A KR1020150146266 A KR 1020150146266A KR 20150146266 A KR20150146266 A KR 20150146266A KR 101819708 B1 KR101819708 B1 KR 10181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
armed
blasting
ho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248A (ko
Inventor
범진삼
김남수
인석신
Original Assignee
범진삼
(주)한진디엔비
김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삼, (주)한진디엔비, 김남수 filed Critical 범진삼
Priority to KR102015014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7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2Arranging blasting cartridges to form an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파방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파방법은 발파대상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무장약공을 형성하는 무장약공 형성단계와,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각각 발파용 폭약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폭약은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으로부터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폭약설치단계와, 상기 폭약설치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는 발파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은 심빼기 발파작업시 자유면에 천공된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폭약을 설치하여 발파하므로 폭약을 설치하기 위한 발파공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파용 구획 브라켓은 무장약공 내부에 폭약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므로 작업자가 폭약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Blasting method and partition braket for blasting}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 브라켓은 터널을 굴착하기 위하여 화약류의 폭발을 사용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킨 발파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발파용 구획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지역을 관통하는 도로, 철로 또는 도심지 지하철을 건설하기 위하여 터널을 굴착하고 있으며, 산악지역 및 도심지 지하공간은 통상 여러 종류의 암류로 구성된 연암층과 경암층의 지질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터널을 굴착할 때 발파에 의한 굴착이 기계굴착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굴착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터널의 발파공법에서 심발공을 발파할때는 터널의 자유면 중심부에 직경이 대략 350mm인 무장약공을 형성한 후, 무장약공의 주위에 정사각형의 형태로 4개의 1차 발파공을 배치하고, 다시 그 외곽에 대략 마름모의 형태로 4개의 2차 발파공을 배치하며, 2차 발파공들 외곽에 다시 정사각형의 형태로 4개의 3차 발파공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발파를 할 때는 1차 발파공들을 먼저 발파시킨 후 이어서 2차 발파공과 3차 발파공을 시차를 두고 차례로 발파하였다.
이는 1차 발파공들이 발파될 때 발파압력이 중앙의 무장약공으로 작용하여 암석들이 무장약공 쪽으로 비산되면서 순조로운 발파가 진행되도록 하고, 발파에 따른 진동과 소음이 무장약공에서 흡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발파방법은 천공기를 통해 자유면에 무장약공을 형성한 다음 무장약공에 인접된 위치에 폭약을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발파공을 천공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99982호 : 터널 발파 공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유면에 천공된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폭약을 설치하여 발파하는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파공법은 발파대상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무장약공을 형성하는 무장약공 형성단계와,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각각 발파용 폭약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폭약은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으로부터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폭약설치단계와, 상기 폭약설치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는 발파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장약공 형성단계는 상기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메인홀을 천공하는 천공단계와, 상기 천공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메인홀을 상기 메인홀들의 이격방향과 교차되는 교차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무장약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천공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홀로부터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의 확장홀을 천공하는 확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단부 중앙부에 상기 메인홀을 천공하기 위한 제1팁이 형성된 코어파쇄부와, 상기 코어파쇄부가 상기 메인홀을 천공시 상기 파이프의 인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홀의 가장자리에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파쇄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팁보다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위치에 제2팁이 형성된 가이드 파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약설치단계는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들 및 상기 무장약공들의 외접선이 이루는 가상면적의 중심과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 상의 상기 무장약공 내측면에 상기 폭약을 설치한다.
상기 폭약설치단계는 상기 무장약공을 상기 폭약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과 비설치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무장약공에 구획브라켓을 삽입하는 구획단계와, 상기 구획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구획브라켓에 의해 구획된 상기 폭약설치공간에 상기 폭약을 설치하는 장착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파용 구획브라켓은 발파대상 자유면에 형성된 무장약공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연장되어 상기 무장약공을 폭약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과 비설치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무장약공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외측면이 상기 무장약공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상기 구획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구획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파용 구획브라켓은 상기 무장약공의 내벽면에 대향되는 상기 구획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폭약이 장착되는 장착슬롯이 마련된 장착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무장약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폭약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파용 구획브라켓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폭약이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력이 상기 무장약공의 외측으로 전달되되,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충진된 완충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은 심빼기 발파작업시 자유면에 천공된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폭약을 설치하여 발파하므로 폭약을 설치하기 위한 발파공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파용 구획 브라켓은 무장약공 내부에 폭약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므로 작업자가 폭약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에 따른 터널을 천공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공법의 폭약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발파공법의 천공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공법의 폭약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공법의 폭약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파용 구획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발파용 구획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용 구획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발파용 구획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용 구획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발파용 구획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용 구획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발파용 구획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에 따른 천공하는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파공법은 무장약공 형성단계, 폭약설치단계 및 발파단계를 포함한다.
무장약공 형성단계는 발파대상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무장약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천공기를 통해 자유면의 중앙부에 다수의 무장약공(100)을 형성한다. 이때,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무장약공(100)이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무장약공(100)의 형성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발파대상 자유면에 따라 3개 이하 5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폭약설치단계는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각각 발파용 폭약(101)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폭약(101)은 상기 무장약공(100)의 중심으로부터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100)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인접된 무장약공(100) 측의 무장약공(100) 내측면에 폭약(101)이 설치되므로 폭약(101)이 폭발시 폭발력이 인접된 무장약공(100)으로 용이하게 전달되어 적은 양의 폭약(101)으로도 비교적 넓은 범위를 발파할 수 있다.
발파단계는 상기 폭약설치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폭약(101)을 폭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폭약(101)이 폭발되어 자유면에 심발공(미도시)이 형성되면 상기 심발공 외곽의 자유면에 형성된 다수의 확대공에 폭약(101)을 설치하고 발파하여 터널을 굴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은 심빼기 발파작업시 자유면에 천공된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폭약(101)을 설치하여 발파하므로 폭약(101)을 설치하기 위한 발파공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공법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을 참조하면, 발파공법은 무장약공 형성단계, 폭약설치단계 및 발파단계를 포함한다.
무장약공 형성단계는 발파대상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무장약공(11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천공단계와 확장단계를 포함한다.
천공단계는 상기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메인홀(111)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2개의 메인홀(111)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자유면에 천공된 구조가 설명되어 있으나, 메인홀(111)의 천공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확장단계는 천공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메인홀(111)을 상기 메인홀(111)들의 이격방향과 교차되는 좌우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무장약공(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천공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홀(111)로부터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의 확장홀(112)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확장홀(112)은 중심으로부터 인접된 메인홀(111) 또는 확장홀(112)의 중심까지의 길이가 확장홀(112)의 반경 및 인접된 메인홀(111) 또는 확장홀(112)의 반경의 합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무장약공(100)이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한편, 천공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10)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파이프(10)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단부 중앙부에 상기 메인홀(111)을 천공하기 위한 제1팁이 형성된 코어 파쇄부(30)와, 상기 코어 파쇄부(30)가 상기 메인홀(111)을 천공시 상기 파이프(10)의 인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홀(111)의 가장자리에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 파쇄부(3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팁보다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위치에 제2팁이 형성된 가이드 파쇄부(20)를 구비한다.
본체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무한궤도와 같은 이동유닛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파이프(1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본체에 연결된다. 이때, 파이프(10)의 일단부는 본체 또는 인접된 파이프(10)가 연결되도록 내부에 테이퍼 나사부(42)가 형성되고, 테이퍼 나사부(42) 내측에 패킹안착부(4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패킹안착부(44)에 플렉시블한 패킹(40)이 조립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10)를 조이기 위한 공구 수용홈부(5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냉각수 공급통로(14)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파쇄부(30)는 냉각수 공급통로(14)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코어파쇄부(30)는 파이프(10)의 타단부 내측에 조립되고, 상기 파이프(10)와 코어 파쇄부(30)를 횡으로 관통하는 방사상으로 적어도 4군데의 용접구멍(16)을 형성한다. 또한, 코어파쇄부(30)의 외측에 접하는 파이프(10)의 타단부에 V 자형 단면으로 된 용접부위(18)를 이루어 이들 용접구멍(16)과 용접부위(18)에 용접봉을 융착하여 융착부(60)를 용접함으로써 파이프(10)와 코어 파쇄부(30)는 상호 고정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이드 파쇄부(20)가 부착된 파이프(10)와 다른 연결 파이프와의 고정도 외측에서 접촉하는 부위를 V 자형 단면으로 된 용접부위를 형성하여 용접하여 고정하고 있다.
상기 코어 파쇄부(30)의 단부는 가이드 파쇄부(20)와 조립될 수나사부(32)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코어를 파쇄할 제1팁(34)과 냉각수를 공급할 냉각구멍(36)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파쇄부(20)는 중앙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관통되게 중앙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파쇄부(20)의 외주면에는 코어 파쇄부(30)의 수나사부(32)에 조립되기 위한 암나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파쇄부(20)는 단부에 암반을 파쇄하기 위한 제2팁(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조팁(22)은 코어파쇄부(3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파쇄부는 상기 제1팁보다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위치에 제2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파이프(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10)를 일측으로 회전한다. 상기 파이프(10)의 끝단에는 가이드 파쇄부(2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설정된 땅속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 때 냉각수 공급통로(14) 및 냉각구멍(36)을 통하여 상기 제1팁(34)에는 물이 공급된다. 파헤쳐진 흙이나 자갈 또는 암반 찌꺼기는 파이프(10)의 외측부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2팁(22)이 제1팁(34)보다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2팁(22)이 암반에 접촉하여 암반에 코어파쇄부(3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환형의 가이드홈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홈에 가이드 파쇄부(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코어파쇄부(30)를 가이드하므로 코어파쇄부(30)의 직진성이 향상되어 보다 정확하게 암반에 천공할 수 있다.
폭약설치단계는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각각 발파용 폭약(101)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폭약(101)은 상기 무장약공(100)의 중심으로부터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100)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인접된 무장약공(100) 측의 무장약공(100) 내측면에 폭약(101)이 설치되므로 폭약(101)이 폭발시 폭발력이 인접된 무장약공(100)으로 용이하게 전달되어 적은 양의 폭약(101)으로도 비교적 넓은 범위를 발파할 수 있다.
발파단계는 상기 폭약설치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폭약(101)을 폭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폭약(101)이 폭발되어 자유면에 심발공(미도시)이 형성되면 상기 심발공 외곽의 자유면에 형성된 다수의 확대공에 폭약(101)을 설치하고 발파하여 터널을 굴착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공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을 참조하면, 발파공법은 무장약공 형성단계, 폭약설치단계 및 발파단계를 포함한다.
무장약공 형성단계는 발파대상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무장약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자는 3개의 무장약공(100)을 한 그룹으로 하여 다수의 그룹을 형성하는데, 이 그룹은 2개의 무장약공(100)을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하고, 나머지 1개의 무장약공(100)은 2개의 무장약공(100) 사이의 하측 암반에 형성한다.
한편,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무장약공(100)을 한 그룹으로 하여 다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데, 이 그룹은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무장약공(100) 한쌍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폭약설치단계는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각각 발파용 폭약(101)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100)들 및 상기 무장약공(100)들의 외접선(121)이 이루는 가상면적의 중심과 상기 무장약공(10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122) 상의 상기 무장약공(100) 내측면에 상기 폭약(10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파단계는 상기 폭약설치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폭약(101)을 폭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폭약(101)이 폭발되어 자유면에 심발공(미도시)이 형성되면 상기 심발공 외곽의 자유면에 형성된 다수의 확대공에 폭약(101)을 설치하고 발파하여 터널을 굴착한다. 이때, 폭약(101)이 상기 가상선(122) 상에 배열되므로 폭약(101)을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력이 무장약공(100)들 사이 암반 중심측으로 향하여 적은 양의 폭약(101)으로도 넓은 범위의 암반을 폭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파공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파공법은 무장약공 형성단계, 폭약설치단계 및 발파단계를 포함한다.
무장약공 형성단계는 발파대상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무장약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천공기를 통해 자유면의 중앙부에 다수의 무장약공(100)을 형성한다. 이때,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무장약공(100)이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무장약공(100)의 형성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발파대상 자유면에 따라 3개 이하 5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폭약설치단계는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각각 발파용 폭약(101)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구획단계와, 장착단계를 포함한다.
구획단계는 무장약공(100)을 상기 폭약(101)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과 비설치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무장약공(100)에 구획브라켓(20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구획브라켓(200)은 발파대상 자유면에 형성된 무장약공(10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접촉부(220)와, 상기 접촉부(220)에 연장되어 상기 무장약공(100)을 폭약(101)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과 비설치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210)를 구비한다.
구획부(210)는 무장약공(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비설치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부(210)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220)는 구획부(210)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이 무장약공(10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무장약공(100)의 내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구획부(210)는 무장약공(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되, 좌우방향 폭이 무장약공(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하방향 폭은 무장약공(100)의 내경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폭약설치공간이 무장약공(100)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된 실시 예의 발파공법의 폭약설치위치에 폭약설치공간이 위치하도록 구획브라켓(200)을 세팅할 수 있다.
장착단계는 구획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구획브라켓(200)에 의해 구획된 폭약설치공간에 폭약(101)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구획부(210) 외측의 무장약공(100) 내측면에 폭약(101)을 설치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무장약공(100) 내부에 구획브라켓(200)을 삽입하여 폭약(101)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을 구획하므로 폭약설치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획브라켓(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브라켓(200)은 무장약공(100)의 내벽면에 대향되는 상기 구획부(21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폭약(101)이 장착되는 장착슬롯(231)이 마련된 장착부재(2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재(230)는 구획부(210) 외측면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파지암(232)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암(232)은 구획부(210)에서 무장약공(100)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장착슬롯(23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재(230)에 의해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폭약(101)의 장착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미숙련자라도 용이하게 폭약(101)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획브라켓(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획브라켓(300)은 발파대상 자유면에 형성된 무장약공(10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접촉부(320)와, 상기 접촉부(320)에 연장되어 상기 무장약공(100)을 폭약(101)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과 비설치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한다.
접촉부(320)는 상기 무장약공(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무장약공(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는 상기 폭약(101)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32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무장약공(100)의 중심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삽입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구획부가 접촉부(3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구획부의 형성위치 및 형성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무장약공(100)의 개수 및 배열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부(320) 내부에는 상기 삽입홈(311)에 삽입된 상기 폭약(101)이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력이 상기 무장약공(100)의 외측으로 전달되되, 상기 무장약공(100)의 중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320)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충진된 완충부재(321)가 충진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부재(321)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모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21)에 의해 폭약(101)이 폭발력은 폭약(101)이 접촉된 암반으로 용이하게 전달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획브라켓(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획브라켓(300)은 구획부의 삽입홈(311)이 접촉부(320)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접촉부(320)는 무장약공(10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폭약(101)의 폭발력을 감쇠하므로 구획부를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폭발력이 용이하게 전달된다.
발파단계는 상기 폭약설치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폭약(101)을 폭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폭약(101)이 폭발되어 자유면에 심발공(미도시)이 형성되면 상기 심발공 외곽의 자유면에 형성된 다수의 확대공에 폭약(101)을 설치하고 발파하여 터널을 굴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장약공
101: 폭약
111: 메인홀
112: 확장홀
121: 외접선
122: 가상선
200: 발파용 구획브라켓
210: 구획부
220: 접촉부
230: 장착부재
231: 장착슬롯
232: 파지암

Claims (9)

  1. 발파대상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무장약공을 형성하는 무장약공 형성단계와;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각각 발파용 폭약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폭약은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으로부터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폭약설치단계와;
    상기 폭약설치단계가 완료된 다음,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는 발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장약공 형성단계는
    상기 자유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메인홀을 천공하는 천공단계와,
    상기 천공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메인홀을 상기 메인홀들의 이격방향과 교차되는 교차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무장약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천공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홀로부터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의 확장홀을 천공하는 확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단부 중앙부에 상기 메인홀을 천공하기 위한 제1팁이 형성된 코어파쇄부와, 상기 코어파쇄부가 상기 메인홀을 천공시 상기 파이프의 인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홀의 가장자리에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파쇄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팁보다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위치에 제2팁이 형성된 가이드 파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약설치단계는
    상호 인접된 상기 무장약공들 및 상기 무장약공들의 외접선이 이루는 가상면적의 중심과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 상의 상기 무장약공 내측면에 상기 폭약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공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폭약설치단계는
    상기 무장약공을 상기 폭약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과 비설치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무장약공에 구획브라켓을 삽입하는 구획단계와,
    상기 구획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구획브라켓에 의해 구획된 상기 폭약설치공간에 상기 폭약을 설치하는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공법.
  5. 발파대상 자유면에 형성된 무장약공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무장약공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무장약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연장되어 상기 무장약공을 폭약이 설치되는 폭약설치공간과 비설치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폭약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삽입홈이 형성되는 구획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폭약이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력이 상기 무장약공의 외측으로 전달되되, 상기 무장약공의 중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충진된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용 구획브라켓.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46266A 2015-10-20 2015-10-20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 KR10181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266A KR101819708B1 (ko) 2015-10-20 2015-10-20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266A KR101819708B1 (ko) 2015-10-20 2015-10-20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248A KR20170046248A (ko) 2017-05-02
KR101819708B1 true KR101819708B1 (ko) 2018-01-18

Family

ID=5874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266A KR101819708B1 (ko) 2015-10-20 2015-10-20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5653A (zh) * 2017-10-24 2018-05-08 深圳市中金岭南有色金属股份有限公司凡口铅锌矿 一种高分层机械化上向回采方法
CN108871119B (zh) * 2018-07-23 2020-05-05 中铁十九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隧道布孔爆破方法
CN113390308B (zh) * 2018-12-18 2022-10-28 福建海峡科化富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型掏槽爆破结构及其掏槽方法
CN109813189B (zh) * 2019-03-01 2021-03-30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一种硬岩隧道爆破开挖方法
CN110530221B (zh) * 2019-09-06 2021-08-31 广西大学 一种减小围岩损伤和降低爆破振动的爆破方法
CN110863832B (zh) * 2019-11-15 2020-11-10 中铁二十局集团有限公司 穿越土石分界地层的大断面隧道稳定性控制施工方法
CN110700843B (zh) * 2019-11-20 2021-01-05 中铁二十局集团有限公司 基于分区爆破的隧道三台阶同步开挖施工方法
CN110924953A (zh) * 2019-12-06 2020-03-27 中铁十八局集团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洞身开挖施工工艺
CN114485298B (zh) * 2022-02-09 2023-12-12 广西金建华爆破工程有限公司 一种定向控制光面爆破装置及爆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658A (ja) * 2011-07-14 2013-01-31 Ohbayashi Corp 爆薬装填孔内に固定可能な発破工法用のスペーサ、及び、発破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658A (ja) * 2011-07-14 2013-01-31 Ohbayashi Corp 爆薬装填孔内に固定可能な発破工法用のスペーサ、及び、発破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248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708B1 (ko) 발파공법 및 발파용 구획브라켓
CN110607989B (zh) 一种凿岩台车以及降低围岩扰动的隧道掘进工法
AP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small-charge blasting of hard rock and concrete by explosive pressurisation of the bottom of a drill hole.
CN1060248C (zh) 采掘一个工作面的方法
KR100358780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진동 및 폭음제어 터널발파방법
KR20120034545A (ko) 터널 발파 천공을 최소화하는 발파패턴을 가지는 발파구조
CN104482816B (zh) 一种立井周边切缝药包梯度预裂爆破方法及装置
KR101555618B1 (ko) 터널굴착시 진동저감과 굴진장증대를 위한 굴착방법
KR101889961B1 (ko) 무진동 발파식 굴착 공법
CN108590688B (zh) 一种带有液压钻机的tbm掘进机及其掘进施工方法
CN105443133B (zh) 一种非开挖施工中的地下岩石聚能装药爆破装置和方法
EA028989B1 (ru) Двунаправленный кумулятивный заряд для перфорирования ствола скважины
CN103868420A (zh) 一种矿山平巷掘进掏槽爆破方法
KR20190123557A (ko) 대구경 다단 방진공을 활용한 터널 진동제어 발파공법
KR101982610B1 (ko) 수중 암반 발파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와 폭발물
CN115655037B (zh) 一种隧洞近接扩挖爆破减振施工方法
KR101511223B1 (ko) 6 자유면을 이용한 노천 발파 공법
CN107462118A (zh) 大断面隧道循环爆破掘进方法
KR102054098B1 (ko) 수중 암반 발파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와 폭발물
CN107228608A (zh) 岩石定向破裂的爆破方法
KR101815480B1 (ko) 선대구경을 이용한 수직구의 굴착공법
JPH07103700A (ja) 地下空間形成発破工法
JP7316184B2 (ja) 補助工法
KR102275847B1 (ko) 터널 굴착기
KR102566443B1 (ko) 복수의 시추공으로 이루어진 단위 할렬공을 이용한 3자유면 무진동 암파쇄 굴착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