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52B1 -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 Google Patents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452B1
KR101819452B1 KR1020170056366A KR20170056366A KR101819452B1 KR 101819452 B1 KR101819452 B1 KR 101819452B1 KR 1020170056366 A KR1020170056366 A KR 1020170056366A KR 20170056366 A KR20170056366 A KR 20170056366A KR 101819452 B1 KR101819452 B1 KR 10181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coupled
binding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5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촬영 시 유용한 셀카봉에 관한 발명으로, 손잡이부,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 거치부 상부에 결합되는 조명부 및 스마트폰을 상, 하에서 가압하여 거치부에 고정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한 쌍의 결착부를 포함하고, 조명부의 원통형상의 커버부는, 발광부가 결합되는 패널부를 기준으로 일면만이 빛이 투과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커버부의 일면이 특정 지점을 비추도록 조명부를 회전시키면서 특정 지점에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고, 셀프 카메라 모드로 촬영 시 피사체가 선명하게 나오게 된다.

Description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USEFUL SELFIE STICK FOR NIGHT SHOTS}
본 발명은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 폴대부, 거치부, 조명부 및 결착부를 포함하는 셀카봉에 있어서, 조명부의 원통형상의 커버부가, 발광부가 결합되는 패널부를 기준으로 일면이 빛이 투과가 가능하고, 타면이 빛이 투과가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커버부의 일면이 특정 지점을 비추도록 조명부를 회전시키면서 특정 지점에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고, 셀프 카메라 모드로 촬영 시 피사체가 선명하게 나오게 된다.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이다. 자신의 모습을 자신이 직접 촬영하는 행위로 셀피(selfie)라고도 표현된다.
셀카는 특히 고화질 폰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스마트폰이 주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셀프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보조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셀카봉'이라는 막대 형상의 보조 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카봉은, 셀카봉에 스마트폰에 전면부를 결합하고, 전면부의 카메라가 촬영자를 향하도록 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셀카봉을 통해 야간 촬영을 하는 경우, 주간 촬영과는 달리 피사체에게 조사되는 빛의 양이 부족해서 촬영된 사진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빛을 발생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결합한 개선된 셀카봉들이 개발되었으나, 빛이 산란되어 피사체에 빛이 집중될 수 없었다. 또한, 빛이 발생되는 조명 장치가 스마트폰의 전면부의 카메라와 인접하여 빛의 번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촬영된 사진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 폴대부, 거치부, 조명부 및 결착부를 포함하는 셀카봉에 있어서, 조명부의 원통형상의 커버부가, 발광부가 결합되는 패널부를 기준으로 일면이 빛이 투과가 가능하고, 타면이 빛이 투과가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커버부의 일면이 특정 지점을 비추도록 조명부를 회전시키면서 특정 지점에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셀프 카메라 모드로 촬영 시 피사체가 선명하게 나오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은 손잡이부,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 거치부 상부에 결합되는 조명부 및 스마트폰을 상, 하에서 가압하여 거치부에 고정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한 쌍의 결착부를 포함하고, 조명부의 원통형상의 커버부는, 발광부가 결합되는 패널부를 기준으로 일면만이 빛이 투과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의 조명부는, 거치부와 수직되는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clockwise) 또는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의 발광부는, 케이블부를 통해 손잡이부 내의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충전부는 외부 커넥터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의 결착부는 거치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의 한 쌍의 결착부 중 상부 결착부의 상면에는, 상부 결착부와 힌지 결합되어, 결착부의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의 상부 결착부의 내부에는 상부 결착부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날개부의 하면에는 상부 결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결착부 내부에서 상부 결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부 결착부의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의 날개부의 일 지점에는 자바라 형상의 제1 꺾임부가 결합되고, 날개부의 단부는 제1 꺾임부에 의해 휘어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조명부가 시계방향(clockwise) 또는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으로 회전 시키면서 피사체 혹은 원하는 지점에 빛을 조사할 수 있어 야간에 촬영하더라도 선명한 품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커버부가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커버부 및 빛이 통과할 수 없는 제2 커버부로 절반씩 구성되어, 빛을 포커싱하여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결착부가 스마트폰의 전면카메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조명부의 빛을 차단하여 빛의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선명한 품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덮개부 및 날개부의 구성으로 인해, 전면카메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조명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크기가 큰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빛의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범용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날개부에 형성된 제1 꺾임부 구성으로 인해 전면카메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조명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의 구성으로 피사체가 촬영자일 때, 빛을 직접적으로 조사하지 않고 반사부를 통해 조사하여 촬영자의 얼굴이 백색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의 볼조인트부, 제2 꺾임부 및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각도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작동예를 도시한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회전에 따른 빛의 조사 범위를 도시한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사시도 및 결착부의 측면 확대도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및 날개부가 완전히 펴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측면도 및 반사부의 확대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사시도에 관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은 손잡이부(100), 폴대부(200), 거치부(300), 조명부(400), 결착부(500), 케이블부(60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0)는 셀카봉을 파지하는 용도이다. 손잡이부(100)는 그랩부(110), 버튼부(120) 및 충전부(130)를 포함한다. 그랩부(110)는 손잡이부(100)의 본체이며, 촬영자는 촬영자의 손으로 그랩부(110)을 잡아 셀카봉을 지지하게 된다. 그랩부(110)의 일 지점에는 버튼부(120)가 결합되어 있다. 버튼부(120)는 조명버튼(121) 및 촬영버튼(122)를 포함한다. 조명버튼(121) 및 촬영버튼(122)은 각각 그랩부(110) 내부에 미도시된 제어유닛 및 충전부(130)와 연결되고, 후술할 케이블부(600)와 연결되어 조명부(400)의 온오프와 스마트폰(10)의 촬영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충전부(130)는 일 예로 배터리유닛(미도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 커넥터에 의해 충전 가능하도록 충전 단자가 그랩부(110)의 표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 방식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충전부(130)는 케이블부(600)를 통해 조명부(4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조명부(400)는 충전부(130)로부터 받은 전력을 통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폴대부(200)는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원하는 길이만큼 폴대부(200)를 연장할 수 있고, 피사체의 촬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케이블부(600)는 제1 케이블부(610) 및 제2 케이블부(620)를 포함한다. 케이블부(600)는 손잡이부(100) 내에서 시작하여 폴대부(200) 내부를 거치고, 셀카봉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케이블부(610)는 3.5파이 이어폰 잭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케이블부(620)는 조명부(40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10)이 셀카봉에 결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이어폰 단자(12)에 제1 케이블부(610)를 삽입하게 되면, 촬영버튼(122)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촬영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조명부(400)의 회전축(450)에 형성된 충전 단자에 제2 케이블부(620)를 삽입하게 되면, 조명부(400) 내부의 작동유닛에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케이블부(620)를 필요 시에만 조명부(400)에 삽입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인해, 상시 연결이 아닌 바, 불필요한 전력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셀카봉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조명부(400)의 충전 단자는 조명부(400)의 회전축(450)에 형성된 바, 충전 단자에 제2 케이블부(620)가 결합되더라도, 조명부(400)의 회전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제2 케이블부(620)가 꼬일 염려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케이블부(620)의 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제2 케이블부(620)는 스마트폰(10)에 형성된 충전단자(13)에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마트폰(10)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충전부(130)가 시중에 사용되는 보조배터리 역할을 하게 된다.
거치부(300)는 관절부(310), 안착부(320), 지지부(330), 관절핀(340) 및 연장부(350)를 포함한다.
관절부(310)는 폴대부(20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안착부(320)와 힌지결합되어 안착부(320)가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관절핀(340)에 의해 관절부(310)와 안착부(320)의 조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320)는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안착부(320)는 스마트폰(10)이 안착되는 곳으로, 스마트폰(10)의 전면부(11) 및 전면카메라(14)가 촬영자를 향하고, 미도시된 후면부가 안착부(320)에 안착된다. 안착부(320)는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320)의 상부에는 지지부(330)가 결합된다. 지지부(330)는 조명부(4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조명부(400)와 결합된다. 지지부(330)의 양 측부는 안착부(320)의 길이방향(도 1 기준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조명부(400)의 회전축(450)을 지지한다. 지지부(330)의 돌출된 돌출부(331)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 회전축(450)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조명부(400)가 시계방향(clockwise) 또는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촬영자는 조명부(400)를 시계방향(clockwise) 또는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으로 회전 시키면서 피사체 혹은 원하는 지점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야간에 촬영하더라도 조명부(400)를 통해 원하는 지점에 빛을 조사하면, 전면카메라(14)가 빛을 인식하여 촬영된 사진의 품질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연장부(350)는 안착부(320)와 지지부(330)를 잇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부(330)는 연장부(350)를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도 3 참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안착부(320)는 고정되고 지지부(3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스마트폰(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스마트폰(10)이 안착부(320)에 안착되도록 지지부(3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명부(400)는 커버부(410), 발광부(420), 패널부(430), 작동유닛(440) 및 회전축(450)을 포함한다. 조명부(4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작동예를 도시한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패널부(430)는 판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발광부(42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420)는 일 예로 LED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부(420)은 밝기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조명버튼(121)의 버튼 입력 횟수로 밝기가 조절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촬영자가 조명버튼(121)을 누적하여 누를수록 발광부(420)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발광부(420)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어 선명한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복수 개의 발광부(420)는 패널부(430)의 일면에만 결합되고, 타면에는 결합되지 않는다. 도 3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발광부(420)는 패널부(430)를 기준으로 좌측에만 결합된다.
패널부(430)의 타면에는 작동유닛(440)이 결합된다. 작동유닛(440)은 공지의 회로 기판, 전원,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케이블부(6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부(420)가 빛을 발하도록 한다.
패널부(430)를 중심으로, 원통 형상의 커버부(410)가 발광부(420), 패널부(430) 및 작동유닛(440)를 감싼다.
이때, 커버부(410)는 패널부(430)의 연장선 상을 기준으로, 발광부(420)가 결합된 쪽인 제1 커버부(411) 및 작동유닛(440)이 결합된 쪽인 제2 커버부(412)로 각각 절반씩 나뉜다. 또한, 제1 커버부(411)는 빛이 투과가 가능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커버부(412)는 빛이 차단되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커버부(411)를 통해서만 발광부(420)의 빛(도 3을 기준으로 1점 쇄선)이 조사된다.
종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가 결합된 셀카봉의 경우, LED 소자의 특성 상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특정 지점에 포커싱하여 빛을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달리 조명부(400)를 통해 특정 지점에 포커싱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조명부(400)의 회전에 따른 빛의 조사 범위를 도시한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발광부(420)가 패널부(430)의 타면 방향으로(작동유닛(440)이 위치된 방향) 빛을 조사하더라도, 제2 커버부(412)가 빛이 차단되는 소재이므로 커버부(410) 외부로 빛이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 보면, 제1 커버부(411) 쪽에서만 빛이 조사되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도 4(a)를 기준으로, 발광부(420)에서 빛을 발하게 되면, 패널부(430)의 연장선(C)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에만 빛이 조사된다. 빛이 조사되는 영역은 복수의 점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조사 방향으로 인해, 촬영자는 본인 얼굴에 조명부(400)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야간 사진 촬영 시, 촬영자 본인의 사진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b)는 도 4(a)를 기준으로 조명부(400)를 90°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패널부(430)의 연장선(C)을 기준으로, 상측 부분에만 빛이 조사된다. 이러한 조사 방향으로 인해, 촬영자는 촬영자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된 특정 물체 또는 환경에 조명부(400)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촬영자 본인이 아닌 특정 물체 또는 환경에 빛을 포커싱하여 은은한 분위기가 표현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a)를 기준으로 조명부(400)를 135°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패널부(430)의 연장선(C)을 기준으로, 우측 대각선 부분에만 빛이 조사된다. 이러한 조사 방향은 특히, 후술할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반사부(700)와 작용하여 촬영된 사진의 선명도를 높인다.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결착부(500)는 고정부(510), 힌지부(520), 마찰부(530)를 포함한다. 결착부(500)는 상부 및 하부로 한 쌍이 형성되어 각각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부 결착부(500) 및 하부 결착부(500)가 각각 상, 하로 스마트폰(10)을 가압하게 된다.
고정부(510)는 결착부(500)의 본체에 해당한다. 이때, 고정부(510)는 스마트폰(10)의 전면카메라(14)를 덮도록 거치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을 기준으로 y축 방향).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에는, 조명부(400)의 빛(1점 쇄선)은 필연적으로 스마트폰(10)의 전면카메라(14)의 촬영 인식 범위(2점 쇄선)와 간섭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면카메라(14)에 빛 번짐 현상이 발생하여 야간 촬영된 사진의 선명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고정부(510)가 거치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면카메라(14)를 덮어 조명부(400)의 빛을 차단하는 구조가 형성되면, 도 3과 같이 결착부(500)가 조명부(400)에서 조사되는 빛이 직접적으로 전면카메라(14)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야간 촬영 시 사진의 선명도가 높아진다.
고정부(510)는 힌지부(520)에 의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스마트폰(10)을 거치부(300)에 고정할 때에는, 고정부(5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부(330)의 하단부와 평행하는 위치에 위치시켜 스마트폰(10)을 고정할 수 있고, 평상 시에 스마트폰(10)을 거치부(300)에 결착하지 않을 때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부(330)의 전면부와 평행하는 위치에 위치시켜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평상시에는 결착부(50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510)의 하부에는 마찰부(530)가 결합된다. 마찰부(530)는 마찰 소재로 형성되며, 고정부(510)가 스마트폰(10)을 가압하고 있을 때, 스마트폰(1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사시도 및 결착부의 측면 확대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과 기본구조는 동일하나, 결착부(500)에 구성요소가 추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500)에 덮개부(540) 및 날개부(55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결착부(500)는 크기가 고정된다. 도 5와 같이 크기가 큰 스마트폰(10)이 결착되는 경우에는 전면카메라(14)가 결착부(500)의 덮는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은 덮개부(540) 및 날개부(550)를 더 포함하여, 크기가 큰 스마트폰(10)이 결착되는 경우에도 전면카메라(14)를 결착부(500)가 덮을 수 있어 전면카메라(14)의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540) 및 날개부(550)는 상부 결착부(500)에만 결합된다. 하부 결착부(500)는 스마트폰(10)의 하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조명부(400)로부터 빛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 결착부(500)에만 결합되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덮개부(540)는 상부 결착부(5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된다. 측면 확대도를 참조하면, 덮개부(540)의 힌지축(542)이 상부 결착부(5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부 본체(511)에 결합된다. 고정부 본체(511)의 상부에는 덮개부(5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루브(512)가 형성된다. 힌지축(542)을 따라 덮개부 본체(541)가 결합되며, 힌지축(54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때, 덮개부(540)는 도 5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덮개부(540)가 회전하여 완전히 펴진 경우에는(도 6참조), 전면카메라(14)에 조명부(4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의 따른 덮개부(540) 구성의 추가로 인해, 도 5를 기준으로 x축 범위의 차단 범위가 넓어져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큰 스마트폰(10)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 결착부(500)의 내부에는 상부 결착부(5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연장 형성된 날개부(550)를 포함한다.
덮개부 본체(541)에는 날개부(550)가 삽입되는 홀(513)이 형성된다. 홀(513)은 상부 결착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513)의 밑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514)이 상부 결착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날개부(550)는 날개부 본체(551) 및 날개부 본체(55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552)을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 레일(552)은 홀(513)의 밑?r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514)에 대응되고, 날개부(550)는 가이드 홈(514)을 따라 상부 결착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540) 및 날개부(550)가 완전히 펴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덮개부(5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펴지게 된다. 한 쌍의 날개부(550)를 기준으로, 우측 날개부(550)는 홀(513) 내부에서 y축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돌출된다. 또한, 좌측 날개부(550)는 홀(513) 내부에서 y축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돌출된다.
날개부(550)는 도 6과 같이, 스마트폰(10)의 전면카메라(14)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조명부(400)의 빛(1점 쇄선)을 차단한다. 크기가 큰 스마트폰(10)의 경우, 도 6과 같이 y축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500)로는 통상적으로 스마트폰(10)의 상단부에 있는 전면카메라(14)에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500)의 날개부(550)에 따르면, y축 양 측부 방향으로 날개부(550)가 돌출가능하므로, 도 6과 같이 스마트폰(10)의 전면카메라(14)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500)에 따르면, 덮개부(540)는 도 6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전면카메라(14)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날개부(550)는 y축 방향으로 전면카메라(14)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빛을 차단할 수 있어, 넓은 범위의 빛을 차단하여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야간 촬영 시 사진의 선명도가 상승된다.
또한, 편의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덮개부(540) 및 날개부(55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전면카메라(14)에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날개부(550)의 일 지점에는 제1 꺾임부(5511)이 형성되고, 제1 꺾임부(5511)는 자바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꺾임부(5511)를 통해 우측 날개부(550)의 단부가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540), 날개부(550) 및 제1 꺾임부(5511)로 인해, x, y, z축 모든 방향으로 전면카메라(14)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조명부(400)의 빛을 차단할 수 있어, 차단 효과가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측면도 및 반사부의 확대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과 기본구조는 동일하나, 반사부(700)의 구성요소가 추가된다. 또한, 도 7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에 반사부(700)의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사부(700)는 수평막대부(710), 볼조인트부(720), 수직막대부(730), 슬라이딩부(740) 및 제2 꺾임부(750)를 포함한다. 수평막대부(710)는 안착부(320)의 후면부에서 도 7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결합된다. 수평막대부(710)는 수직막대부(730)와 수직하게 연결된다.
수직막대부(730)의 단부에는 슬라이딩부(740)가 결합된다. 슬라이딩부(740)는 제1 슬라이딩부(741), 제2 슬라이딩부(742) 및 제3 슬라이딩부(743)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확대도를 참조하도록 한다.
먼저, 제1 슬라이딩부(741)의 하단부는 수직막대부(730)와 연결된다. 제1 슬라이딩부(741)는 제2 슬라이딩부(7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홈이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라 함은, 도 7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제2 슬라이딩부(741)는 제1 슬라이딩부(741)를 기본구조로,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슬라이딩부 가이드부(7421)를 더 포함한다. 제2 슬라이딩부 가이드부(7421)는 단면이 'T'자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만큼 회전시킨 역 'T'자 형상이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부(7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은 제2 슬라이딩부 가이드부(7421)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부 가이드부(7421)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제3 슬라이딩부(743)는 제2 슬라이딩부(742)와 동일한 형상이다. 따라서, 제3 슬라이딩부 가이드부(7431)가 제2 슬라이딩부(74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부(741), 제2 슬라이딩부(742) 및 제3 슬라이딩부(743)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제2 슬라이딩부(742) 및 제3 슬라이딩부(743)가 각각 제1 슬라이딩부(741) 및 제2 슬라이딩부(742)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3단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슬라이딩부(742) 및 제3 슬라이딩부(743)를 도 7을 기준으로 z축방향으로 최대한 밀게 되면, 슬라이딩부(740) 전체가 길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슬라이딩부(740)의 각각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1 슬라이딩부(741), 제2 슬라이딩부(742) 및 제3 슬라이딩부(743)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딩부(741), 제2 슬라이딩부(742) 및 제3 슬라이딩부(743)의 상면에는 반사부재(76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슬라이딩부(742) 및 제3 슬라이딩부(743)를 z축방향으로 최대한 연장하게 되면, 반사부재(760)는 조명부(400) 및 촬영자를 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사용하여 야간에 촬영자 자신의 얼굴을 찍게 될 때, 조명부(400)의 빛이 촬영자의 얼굴에 직접적으로 조사되어 사진의 촬영자의 얼굴이 백색으로 나와 사진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조명부(400)의 제1 커버부(411)가 슬라이딩부(740)의 표면에 결합된 반사부재(760)를 향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도 4(c) 참조), 조명부(400)로부터 발생된 빛은 반사부재(760)를 거쳐 굴절되어 촬영자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명부(400)의 빛을 촬영자에게 직접적으로 조사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반사부재(760)를 통해 굴절시켜 조사하게 되면, 빛이 퍼지는 효과가 발생되어 자연스럽게 촬영자에게 빛이 조사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촬영자의 얼굴이 백색으로 나오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7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 슬라이딩부(740)의 길이의 조절만으로 촬영자에게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부(400)의 회전 각도와 슬라이딩부(740)의 길이 조절을 복합적으로 하여, 다양한 범위의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다양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평막대부(710)와 수직막대부(730)는 볼조인트부(72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볼조인트부(720)의 구성으로 인해, 수직막대부(730)는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조향이 가능하다. 수직막대부(730)가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조향이 가능하면, 수직막대부(730)와 연결된 슬라이딩부(740) 또한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조향이 가능하여, 특히, 도 7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부(740)가 y축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다양한 범위의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다양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부(741)와 수직막대부(730)는 제2 꺾임부(750)를 통해 연결되며, 제2 꺾임부(750)는 자바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꺾임부(5511)와 같은 동작 원리이며, 이에 제1 슬라이딩부(741) 및 슬라이딩부(740) 전체가 다방향으로 조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도 7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부(740)가 x축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다양한 범위의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다양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볼조인트부(720), 제2 꺾임부(750) 및 슬라이딩 구조로 인해, x, y, z축 다양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부(7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손잡이부 200...폴대부
300...거치부 400...조명부
500...결착부 600...케이블부
700...반사부

Claims (7)

  1. 손잡이부;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 상부에 결합되는 조명부; 및
    상기 스마트폰을 상, 하에서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에 고정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한 쌍의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의 원통형상의 커버부는,
    발광부가 결합되는 패널부를 기준으로 일면만이 빛이 투과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거치부와 수직되는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clockwise) 또는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광부는,
    케이블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 내의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충전부는 외부 커넥터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거치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결착부 중 상부 결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결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부 결착부의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결착부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결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 결착부 내부에서 상기 상부 결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상부 결착부의 양 측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일 지점에는 자바라 형상의 제1 꺾임부가 결합되고,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상기 제1 꺾임부에 의해 휘어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KR1020170056366A 2017-05-02 2017-05-02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KR10181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66A KR101819452B1 (ko) 2017-05-02 2017-05-02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66A KR101819452B1 (ko) 2017-05-02 2017-05-02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452B1 true KR101819452B1 (ko) 2018-02-28

Family

ID=6140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66A KR101819452B1 (ko) 2017-05-02 2017-05-02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15U (ko) * 2018-06-27 2020-03-09 션쩐 하오화리앤흐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226A (ja) 2007-06-22 2009-01-08 Sea&Sea Sunpak Co Ltd カメラの内蔵ストロボ光切替装置及び水中撮影用カメラユニット
KR101662105B1 (ko) 2015-05-04 2016-10-05 최경민 각도조절형 조명장치가 장착된 셀카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226A (ja) 2007-06-22 2009-01-08 Sea&Sea Sunpak Co Ltd カメラの内蔵ストロボ光切替装置及び水中撮影用カメラユニット
KR101662105B1 (ko) 2015-05-04 2016-10-05 최경민 각도조절형 조명장치가 장착된 셀카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15U (ko) * 2018-06-27 2020-03-09 션쩐 하오화리앤흐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KR200493457Y1 (ko) * 2018-06-27 2021-04-05 션쩐 하오화리앤흐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11495A1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JP2006251113A (ja) 拡大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7271913A (ja) 電子機器
JP2007274338A (ja)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7949240B2 (en) Portable camera device
JP2005181598A (ja) 撮影補助装置及び撮影方法
JP2007271912A (ja) 電子機器
KR101819452B1 (ko)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KR200462189Y1 (ko)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US1047709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4646788B2 (ja) 顔面撮像装置
JP2007271923A (ja)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6852760B2 (ja) 撮像装置
KR101512407B1 (ko) 실물화상기
JP7335019B2 (ja) 撮影機器結合型の携帯用スリットランプ装置
KR102625680B1 (ko) 렌즈 프로젝터 레일 시스템
CN213522118U (zh) 一种显示装置、梳妆台及镜子
JP2019124783A (ja)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JP6684388B2 (ja) 画像読取装置
CN205754563U (zh) 一种文件取像传输装置
KR20160129632A (ko) 영상 촬영 보조 장치
KR101773402B1 (ko)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JP2022064369A (ja) レンズ保護部材、及び撮像装置
TWI358230B (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3101381A (ja) 脚片を設けたカメラ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