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911B1 -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 Google Patents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911B1
KR101818911B1 KR1020140195583A KR20140195583A KR101818911B1 KR 101818911 B1 KR101818911 B1 KR 101818911B1 KR 1020140195583 A KR1020140195583 A KR 1020140195583A KR 20140195583 A KR20140195583 A KR 20140195583A KR 101818911 B1 KR101818911 B1 KR 10181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resistance
strip base
strip
reinforc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5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3535A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대한콜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콜크 filed Critical (주)대한콜크
Priority to KR102014019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911B1/en
Publication of KR2016008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9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형 보강재(200)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적층되어 보강벽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130)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보강블록(100)과, 상기 보강블록(100)의 수납공간(130)에 삽입되고 고정슬롯(320)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고정피스(300)와, 상기 고정피스(300)의 고정슬롯(320)으로 그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강블록(10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띠형 보강재(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베이스(210)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며 유연한 재질의 저항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저항수단(250)이 띠형 보강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띠형 보강재(200)의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ffener (200) and a stiffen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The reinforcing block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3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slot 320. The reinforcing block 100 is formed by stacking the reinforcing blocks to form a reinforcing wall, Shaped stiffener 200 having one end fixedly inserted into the fixing slot 320 of the fixing piece 30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 The strip type stiffener 200 includes a strip base 210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trips 21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trip base 210 o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base 210 And resistance means 250 of a flexible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resistance means 250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the passive resistance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and the pull-out resistance capability are largely formed, .

Description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ffener member and a reinforcing member assembly including the stiffener member.

본 발명은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은 보강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은 뒷채움흙에 포설되어 지반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띠형 보강재 및 보강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ff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ffener and a stiffener assembly for reinforcing a tensile strength of a ground by one end being fixed to a reinforcing block and the other end being installed in a backfill soil.

복수의 블록이 상호 적층되어 형성되는 블록형 옹벽 구조물은 제방, 산비탈 등에서 흙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된다. 이와 같은 보강토 옹벽에서는 일반적으로 옹벽블럭과 뒷채움흙(보강토체)을 결합시키는 보강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A block-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locks is constructed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from flowing down and collapsing at the banks, mountainside, and the like. In such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reinforcing material for bonding the retaining wall block to the backing soil (reinforcing soil body) is generally used.

보강재의 한 종류로 그물형태로 된 지오그리드(Geogrid)가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옹벽블럭들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Geogrid, which is a kind of reinforcing material, is a geogrid in the form of a net.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a stiffener which is installed in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retaining wall block assembled on the front surface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used.

즉, 적층되는 블록에 지반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띠 형상의 섬유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인데, 이 섬유보강재는 앵커나 앵커핀 등을 사용하여 일단은 블록에 고정하고 타단은 지반에 길게 매설하여 지면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보강토체를 형성하여 토압 등의 외력에 저항한다.That is, in order to reinfor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ground in a stacked block, a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fixed to a block at one end using an anchor or an anchor pin and the other end is buried long in the ground And forms a reinforcing body to resist an external force such as earth pressure.

이러한 띠형 섬유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을 지지하는 경우, 띠형 섬유 보강재의 선단을 블록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에 띠형 섬유 보강재를 걸고, 블록의 후측으로 이격된 지지벽의 전방에 고정된 지지봉에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걸린 띠형 섬유 보강재의 타단을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 포설한 후, 블록과 지지벽 사이에 보강토를 채워 옹벽구조를 형성한다.In the case of supporting a block forming the retaining wall by using such a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ember, a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ember is hooked to a connecting ring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ember to the back surface of the block, The other end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ember having one end hooked to the link is hooked on a support rod fixed to the front side, and the reinforcing soil is filled between the block and the support wall to form a retaining wall structure.

그러나, 이러한 섬유 보강재는 흙과의 마찰저항력이 부족하여 안정검토시, 필요이상으로 보강재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섬유 보강재의 포설 길이를 늘여줌으로써 마찰저항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결국 뒷채움 토공량을 증가시켜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However, such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has insufficient frictional resistance with soil, and in many cases,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when the stability is examin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iction resistance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but this increases disadvantage in terms of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섬유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공법으로,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 사이에 섬유 보강재를 감아 블록의 무게에 눌려 고정되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블록 사이가 벌어지면 섬유 보강재가 쉽게 빠져나가 수동저항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a technique for fixing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used in which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wound between blocks constituting a retaining wall so as to be pressed and fixed to the weight of the block. However, when the blocks are opened,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easily escapes, There was also a problem to reduce.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신장성 자재인 강재(steel)를 보강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강재로 구성된 보강재는 그 후단에 수동저항체를 설치하여 마찰저항을 증가하게 되고, 강재의 특성상 섬유 보강재에 비하여 수동저항성능에 유리한 면이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non-conductive materials such as steel are sometimes used as reinforcing materials. The stiffener made of steel has a passive resistance at its rear end to increase the frictional resistance, and is advantageous in the passive resistance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the fibrous reinforcemen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el.

그러나, 강재 등 금속 보강재는 자재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수동저항체를 설치해야하는 등 상대적으로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metal reinforcement material such as stee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workability is relatively low, for example, a manual resistor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862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586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314호Korean Patent No. 10-143931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에 저항수단을 구비하여 띠형 보강재의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resistance means in a strip-like stiffener to increase the passive resistance of the stri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보강재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iffener assembly including a strip-shaped stiffener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stiffen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며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며, 상기 저항수단은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스트립의 외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trip base, comprising: a strip base of a flexible material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strip bas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trip base, And a plurality of strip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strip bases being formed of a pair of stri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resistor means being provided across the pair of strips, And a resistan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strip base.

상기 저항수단의 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resistance portion of the resistance means extends upward from the strip base in an inclined direction.

또는 상기 저항부에는 일방향으로 개구된 저항포켓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esistance portion may be formed by opening a resistance pocket opened in one direction.

상기 저항부에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개구된 제1저항포켓 및 타방향으로 개구된 제2저항포켓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The resistanc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esistance pocket open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resistance pocket opened in the other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상기 스트립베이스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저항수단 중 일부는 상기 저항부가 일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저항부가 타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A plurality of resistance means provided along the strip base extends in an inclined manner toward one side of the resistance portion and the resistance portion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other portion.

상기 저항부가 일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 및 상기 저항부가 타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를 따라 서로 엇갈려 한개씩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The resistance means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one direction and the resistance means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other direction are sequentially provided one by one along the strip ba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적층되어 보강벽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보강블록과, 상기 보강블록의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고정슬롯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고정피스와, 상기 고정피스의 고정슬롯으로 그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보강블록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며 유연한 재질의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며, 상기 저항수단은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스트립의 외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ing block comprising: a reinforcing block which is formed by stacking and forming a reinforcing wall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opened inside thereof; and a fixing member insert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reinforcing block, And a stiffener having one end fixedly inserted into the fixing slot of the fixing piec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stiffening block, wherein the stiffener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ncludes a strip base, Wherein the strip base comprises a pair of stri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the strip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strips protruding from either side of the strip base, A resistance means is provided across the pair of strips, And a resistan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strip base, respectively.

상기 고정피스의 고정슬롯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슬롯 및 제2슬롯으로 구성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스트립베이스의 일단은 상기 제1슬롯을 통과한 후 제2슬롯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된다. Wherein the fixing slots of the fixing pieces are formed of first slots and second slo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end of the strip base of the strip-shaped stiffeners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slot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lot .

상기 고정피스에는 체결구가 상기 고정슬롯이 개구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슬롯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A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e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slot is opened, and one end of the band-shaped stiffener inserted in the fixing slot is pressed and fixed.

상기 보강블록의 수납공간 일측에는 상기 보강블록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착부가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상기 띠형 보강재의 스트립베이스가 안착된다. A seating portion extending rearward of the reinforcing bloc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inforcing block so that the strip base of the band-shaped stiffene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상기 보강블록의 안착부에는 걸림보스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림보스에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저항수단 중 어느 하나가 걸어진다. A locking boss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block, and one of the resistance means of the band-shaped stiffener is hooked to the locking boss.

상기 보강블록의 후방 모서리에 해당하는 안착부 말단에는 가이드면이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At the end of the seat part corresponding to the rear edge of the reinforcing block, the guide surface is formed in an oblique or curved shape.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외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의 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Wherein the resistor means comprises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trip base and a resistanc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and protruding from the strip base, And extends in the photograph direction.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다수개의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스트립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될 수 있다.
The strip base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ip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extending in parallel, and the resistor means may be provided across the plurality of strips.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in the strip-shaped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stiffen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저항수단이 띠형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띠형 보강재의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resistance means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al force and the pull-out resistance capability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are largely formed,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향상된 인발저항능력으로 인해 띠형 보강재의 포설 개수 및 포설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흙의 운반, 터파기, 뒷채움흙의 포설 및 다짐과 같은 토공사의 물량 감소를 가능하게 하므로, 보강토 옹벽의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stiffeners and the length of the stiffeners are reduced due to the improved pull-out resistance, an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earthworks such as soil transportation, tearing,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특히,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의 일부를 구조물에 감는 등의 작업이 생략되고, 띠형 보강재의 일단이 고정된 고정피스를 보강블록에 삽입하는 작업으로 간단하게 띠형 보강재를 포설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좋아지고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winding a part of the strip-like stiffener on the structure is omitted and the strip-shaped stiffener can be easily installed by inserting the stationary piece having one end of the strip-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가 고정피스에 의해 고정되고 저항수단 일부가 보강블록의 걸림보스에 걸어지므로, 보강블록이 변형되거나 틀어지는 경우에도 띠형 보강재가 옹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ip-shaped stiffener is fixed by the fixing piece and a part of the resistance means is hooked on the latching boss of the reinforcing block, the strip-shaped stiffen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taining wall even when the reinforcing block is deformed or de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와 보강블록이 접하는 부분에 가이드면이 형성되므로, 보강토의 침하 등이 발생하여 보강재와 보강블록이 접하는 부분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띠형 보강재가 보강블록에 의해 전단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띠형 보강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ide surfac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stiffener is in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block,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reinforcing block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iffener due to the sinking of the reinforcing soil or the like, the stiffener is shear-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improved, and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에 저항부가 양방향으로 구비되어,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이 향상되므로 띠형 보강재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고, 따라서 띠형 보강재의 활용도가 커지게 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istance portion is provided in both directions in the band-shaped stiffener in both directions, the resistance force is improved in both the direction toward the retaining wall and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band-shaped stiffener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and structures.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보강블록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1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2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3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4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5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6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7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제8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피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iffener assembly including a strip-shaped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inforcing blo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a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a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embodiment of a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xth embodiment of a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venth embodiment of a band-shaped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ighth embodiment of a stiffe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ationary pie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iffener assembly including a strip-shaped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어셈블리는 시공하고자 하는 보강토옹벽의 전면에 쌓이는 보강블록(100)이 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블록(100)은 뒷채움흙(B)의 전방에 축적되며, 도 1은 축적된 보강블록(100)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block 100 install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o be constructed forms the skeleton and the exterior of the reinforcement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lock 100 is accumulated in front of the backbone soil B, and FIG. 1 shows one of the accumulated reinforcing blocks 100.

상기 보강블록(100)의 블록몸체(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좌우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보강블록(100)의 블록몸체(110) 횡단면은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상 또는 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lock body 11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lock body 110 is formed to be bilaterally symmetrical. Of course, the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block body 11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a hexagon, or a circular shape.

상기 보강블록(100)에는 수납공간(130)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30)은 상기 보강블록(100)에 그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1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피스(300)가 삽입된다. 상기 수납공간(130)은 고정피스(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피스(300)가 수납공간(130)에 유격없이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띠형 보강재(200)와 보강블록(100) 사이의 마찰저항을 통해 띠형 보강재(2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 storage space 130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storage space 1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storage space 130 has a fixing piece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torage space 1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ationary piece 300 so that the stationary piece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30 without any clearance and thereby the stiffener 200, The stiffener 200 can be firmly fixed through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the reinforcing block 100.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수납공간(13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보강블록(100)의 상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부(1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띠형 보강재(200)의 스트립베이스(210)가 안착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ating part 12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130. The seating part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the strip base 210 of the stiffener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20.

상기 안착부(120)에는 걸림보스(15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보스(150)는 상기 안착부(120)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띠형 보강재(200)의 저항수단(250) 중 어느 하나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림보스(150)는 원기둥형상이나, 상기 걸림보스(150)는 상기 안착부(120)로부터 돌출된 형상이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seating part 1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boss 150. The latching boss 150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120 and is a portion where one of the resistance means 250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hooked.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boss 15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s long as the locking boss 150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120.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공간(130), 안착부(120) 및 걸림보스(150)는 상기 보강블록(100)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수납공간(130), 안착부(120) 및 걸림보스(150)는 한개씩 구비되거나 세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납공간(130), 안착부(120) 및 걸림보스(150)는 띠형 보강재(200)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개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space 130, the seating portion 120, and the locking boss 150 are formed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ace 130, the seating part 120, and the locking boss 150 may be provided one by one or three or more. More precisely, the receiving space 130, the seating part 120, and the locking boss 150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and shapes to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보강블록(100)의 후방 모서리에 해당하는 상기 안착부(120) 말단에는 가이드면(18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180)은 상기 보강블록(100)의 모서리가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면(18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띠형 보강재(200)의 스트립베이스(210)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guide surface 18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ating part 120 corresponding to the rear edge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 portion of the strip base 210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on the guide surface 180. The guide surface 180 is formed in a shape of a curved surface or an edge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

그리고, 보강토의 침하 등이 발생하여 띠형 보강재(200)와 보강블록(100)이 접하는 부분에 전단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띠형 보강재(200)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180)에 안착되어 띠형 보강재(200)가 토압 및 보강블록(100)의 모서리부에 의해 전단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ven if a shearing load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reinforcing block 100 contacts the belt-shaped stiffener 200 due to the sinking of the reinforcing soil or the like, the belt-shaped stiffener 200 is seated on the guide surface 180 formed of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lt-like stiffener 200 from being shearly fractured by the earth pressur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상기 보강블록(100) 및 상기 보강블록(100)의 후방으로 띠형 보강재(200)가 연장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뒷채움흙(B)에 포설되어 뒷채움흙(B)과의 마찰력을 통해 뒷채움흙(B)이 횡으로 변하고자 하는 토압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뒷채움흙(B)과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마찰에 의하여 토압을 경감시킴으로써 뒷채움흙(B)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이 증진되고, 이에 따라 뒷채움흙(B)의 전단강도가 향상되어 견고한 보강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tiffener 200 extends rearward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stiffener 200 is installed in the backbone soil B and serves to reduce the earth pressure that the backbuffer soil B is required to transversely change through the friction force with the backbuffer soil B. [ More precisely, by reducing the earth pressure by the friction between the backfill soil B and the strip-like stiffener 200, the adhesion force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the backfill soil B are improved and the shear strength of the backfill soil B is improved So that a firm reinforcing soil can be obtained.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본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섬유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여기에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섬유 재질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인장강도가 높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formed in a thin strip shape, and is basical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made of a fiber material. For example,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or may be formed by covering a high-strength polyester fiber or a polyethylene sheath. Of course,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need not be limited to a fiber material bu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상기 보강블록(100)의 안착부(12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피스(300)를 통해 상기 보강블록(100)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띠형 보강재(200)의 고정과 관련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iffener 200 is fixed to the seating part 12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can be easily fixed to the reinforcing block 100 through the fixing piece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of the stiffener 2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제1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베이스(210)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에 구비된 저항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와 저항수단(250)은 각각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동일한 재질이거나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Fig. 4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rip type stiffener 200 includes a strip base 210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resistance unit 250 provided in the strip base 210. The strip base 210 and the resistance means 250 are each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y may b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납작한 띠형상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제1실시례에서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소정간격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제1스트립 및 제2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The strip base 210 has a flat strip shape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rip bases 210 are formed of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trip base 210 is composed of a first strip and a second strip.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에 연결되는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느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토체와 띠형 보강재(200) 사이의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resistance unit 250 connected to the strip base 210 may protrude from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 base 21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The resistance means 250 protrud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trip base 210 extends,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passive resistance between the body and the stiffener 200.

상기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데, 도 4에는 그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됨으로써 띠형 보강재(200)에 의한 마찰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A plurality of resistance units 250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210, only a part of which i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resistance means 250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210 to increase frictional resistance by the strip type stiffener 200.

상기 저항수단(250)은 다시,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외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252)와,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 위치되는 저항부(25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52)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와 상기 저항수단(25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나 체결구(350)와 같은 별물을 이용하여 스트립베이스(210)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252)가 스트립베이스(210)와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도 있다. The resistance means 250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252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trip base 210 and a resistance portion 255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52. The connection unit 252 connects the strip base 210 and the resistance unit 250 and is connected to the strip base 210 using a separate material such as an adhesive or a fastener 350, The connection portion 25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rip base 210 to be naturally connected.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저항부(255)에 의한 마찰저항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보강블록(100)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토압 등에 의해 띠형 보강재(200)가 상기 보강블록(100)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뒷채움흙(B)은 상기 저항부(255)의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어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The resistor unit 255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units 252 and protrudes from the strip base 210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frictional resistance. As shown in FIG. 4, the resistive part 255 extends upward from the strip base 210 in an inclined direction. This is for max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by the resistive part 255, more precisely the resistive part 255 is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inforcing block 100.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toward the reinforcing block 100 by the earth pressure or the like, the back-filling soil B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esistance portion 255 to increase the resistanc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서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저항부(255)는 가장 높이 돌출된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결부(252)로 연장되는 부분이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resistance portion 255 is curv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52. More precisely, the resistance portion 255 is formed a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252.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제2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띠형 보강재(200)를 구성하는 스트립베이스(210)가 하나의 평면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지 않고 얇고 납작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252)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좌우측 말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Next, referring to Fig. 5, a second embodiment of the strip-like stiffener 200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strip base 210 constituting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may be constituted by one flat member. That is, the strip base 210 is not formed as a pair, but is formed of a thin and flat member, and the connection portions 252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strip base 21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저항부(255)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트립베이스(210)의 상기 다수개의 저항부(255)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관통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그 사이로 토사가 지나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resistors 255 ar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5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210.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may b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between the resistive portions 255 of the strip base 210 so that the gravel may pass through the resistive portions 255.

도 6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제3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스트립베이스(210)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저항수단(250) 중 일부는 저항부(255)가 일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저항부(255)가 그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Fig. 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strip-like stiffener 200. Fig. As described above, some of the resistor units 250 provided along the strip base 210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one side of the resistor unit 255, and a part of the resistor unit 255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Lt; / RTI >

이에 따라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는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기 띠형 보강재(200)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in both directions to have a non-directional structure. This enhances the resistance both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taining wall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and structures.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항부(255)가 일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250) 및 상기 저항부(255)가 타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를 따라 서로 엇갈려 한개씩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물론, 반드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저항수단(250)이 한개씩 순차적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다수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sistance unit 250 in which the resistance unit 255 extends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one side and the resistance unit 250 in which the resistance unit 255 extends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other, Are sequentially provided one by one along the base 210 in a staggered mann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resistance means 250 having different directions are not necessarily provided one by one, but may be provided in plural.

도 7 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제4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띠형 보강재(200)의 저항수단(250)에는 저항포켓(P)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저항수단(250)의 저항부(255)에 일방향으로 개구된 저항포켓(P)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저항포켓(P)은 상기 저항부(255)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됨으로써 그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Fig. 7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Fig. As shown in the figure, a resistance pocket (P) is formed in the resistance means (250)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More precisely, a resistance pocket (P) opened in one direction is formed in the resistance portion (255) of the resistance means (250). The resistance pockets P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resistive portions 255 above and below the strip base 210, respectively.

상기 저항포켓(P)은 상기 저항부(255)가 토사와 마찰되는 면적을 넓혀, 결과적으로 띠형 보강재(200)와 뒷채움흙(B)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항포켓(P)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저항포켓(P)은 상하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도 있다. The resistance pockets P serve to increase the area of friction between the resistive part 255 and the gravel and consequently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and the backfill soil B. In this embodiment, the resistance pockets P ar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However, the resistance pockets P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e resistor pockets P may extend relatively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도 8에 도시된 제5실시례와 같이, 상기 저항부(255)에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개구된 제1저항포켓(P1) 및 타방향으로 개구된 제2저항포켓(P2)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8, the resistor unit 255 includes a first resistor pocket P1 opened in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210, and a second resistor pocket P1 open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second resistance pocket P2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는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기 띠형 보강재(200)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in both directions to have a non-directional structure. This enhances the resistance both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taining wall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and structures.

도 9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제6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양단의 연결부(252) 사이에 저항부(255)가 구비되고, 상기 저항부(255)는 띠형 보강재(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Fig. 9 shows a sixth embodiment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Fig. As described above,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is provided with a resistance portion 255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52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resistance portion 255 is incline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Respectively.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항부(255)의 경사면이 토사와 마찰력을 증가시키며,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sistance portion 255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oil and is symmetrical in both directions, so that it has a non-directional structure.

물론, 도 10에 도시된 제7실시례와 같이, 상기 저항부(255)의 어느 일면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Of course,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10, one side of the resistor portion 255 may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ip base 210.

도 11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제8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띠형 보강재(200)는 한 쌍의 스트립베이스(210)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252), 그리고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 저항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11 shows an eighth embodiment of the strip-like stiffener 200. Fig. The strip type stiffener 200 includes a pair of strip bases 210, a connection portion 252 connected to the strip base 210, and a resistance portion 255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52 .

그리고,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252)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대칭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The resistor unit 255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ip base 210 and the connection unit 252 has a symmetrical shape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210 . Accordingly,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in both directions to have a non-directional structur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띠형 보강재(200)를 구성하는 스트립베이스(210)는 3개 이상이 서로 나란히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띠형 보강재(200)에 구비된 저항수단(250) 중 일부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일부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ree or more strip bases 210 constituting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a part of the resistance means 250 provided in the strip- And some of them protrude downward.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피스(3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보강블록(100)의 수납공간(130)에 삽입되는 고정피스(300)는 대략 육면체의 피스몸체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피스몸체(310)는 육면체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수납공간(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1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ionary piece 300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iece 30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3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hexahedral piece body. Of course, the piece body 310 is not limited to the hexahedron shap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space 130.

상기 고정피스(300)에는 고정슬롯(32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롯(320)은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피스(30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슬롯(320) 내부로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스트립베이스(21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200)가 고정피스(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 fixing slot 320 is formed in the fixing piece 300. The fixing slot 320 is a portion into which a part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inserted, and a part of the fixing piece 300 is opened. That is, by inserting the strip base 210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into the fixing slot 320,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can be fixed to the fixed piece 300.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슬롯(320)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슬롯(330) 및 제2슬롯(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슬롯(330) 및 제2슬롯(340)은 각각 상기 고정피스(300)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스트립베이스(210)의 일단은 상기 제1슬롯(330)을 통과한 후 제2슬롯(340)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slots 320 are formed of a first slot 330 and a second slot 340 spaced from each other. The first slot 330 and the second slot 340 are formed to penetrate the fixing piece 300 so that one end of the strip base 210 of the strip type stiffen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330, And then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slot 340 and be fixed.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피스(300)에는 체결구(350)가 상기 고정슬롯(320)이 개구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체결구(350)는 상기 고정피스(300)에 조립되어 상기 고정슬롯(320)의 폭을 좁힘으로써 이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200)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체결구(350)는 상기 고정피스(300)에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345는 상기 체결구(350)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나타낸다. 1, a fastener 35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ece 3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slot 320 is opened. The fastener 350 is assembled to the fastening piece 300 to narrow the width of the fastening slot 320, thereby pressing one end of the inserted stiffener 200. Of course, two or more fasteners 350 may be provided on the fixing piece 300. Reference numeral 345 denotes a fastening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tool 350 is inser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가 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tiffener assembly including the strip-shaped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는 옹벽을 시공할 장소의 지면을 고르고 다진 후에, 보강블록(100)을 안착시킨다. 상기 보강블록(100)은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블록(100)의 배면측에는 뒷채움흙(B)이 포설된다.First, the worker picks up the ground surface of the place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constructed, and then, places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reon. The reinforcing block 100 may be extended in one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locks 1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Backing soil B is installed on the backside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이어서, 작업자는 상기 보강블록(100)을 축적하기에 앞서 띠형 보강재(200)를 설치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축적되는 보강블록(10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피스(300)를 통해 상기 보강블록(100)에 고정된다. Then, the worker installs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prior to accumulating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stiffener 2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inforcing blocks 100 to be sto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ffener 200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lock 100 through the fixing pieces 30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피스(300)의 제1슬롯(330)에 삽입되어 이를 통과한 후에 제2슬롯(340)을 통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피스(300)에는 체결구(350)가 조립되어 상기 고정슬롯(320)의 폭을 좁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띠형 보강재(200)는 고정슬롯(320) 내부에 가압되어 고정된다. More precisely,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slot 340 after one end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inserted into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slot 330 of the fixing piece 300. A fastener 350 is assembled to the fixing piece 300 to narrow the width of the fixing slot 320. In this process,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pressed and fixed in the fixing slot 320 .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피스(300)를 보강블록(100)의 수납공간(130)에 삽입시킨다. 상기 수납공간(130)은 일측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고정피스(300)는 그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피스(300) 및 이에 연결된 띠형 보강재(200)의 일단이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띠형 보강재(200)를 보강블록(100)에 고정하기 위해 보강블록(100)을 감싸는 등의 작업은 생략된다. In this state, the worker inserts the fixing piece 300 into the receiving space 13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Since the storage space 130 is open at one side, the fixing piece 3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space 300, and one end of the fixing piece 300 and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connected thereto is naturally fixed. Therefore, the worker does not need to wrap the reinforcing block 100 to fix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to the reinforcing block 100.

이와 동시에,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상기 보강블록(100)의 상부에 요입된 안착부(120)에 안착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스트립베이스(210)는 상기 안착부(120)에 안착되면서 후방의 뒷채움흙(B)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At the same time,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20 reces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strip base 210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2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ackside soil B in the rear direction.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저항수단(250) 중 하나는 상기 보강블록(100)의 걸림보스(150)에 걸어진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200)에 구비된 다수개의 저항수단(250) 중에서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저항수단(250)은 상기 걸림보스(150)에 걸어져 위치가 고정된다. At this time, one of the resistance means 250 of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hooked on the engagement boss 150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1 and 2, the resistance means 250 located relatively forward of the plurality of resistance means 250 provided on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s hooked on the engagement boss 150, .

이어서 상기 보강블록(100)의 상부에 다른 보강블록(100)이 축적되고, 상기 보강블록(100)의 배면측에는 새로운 뒷채움흙(B)이 포설되어 앞서 설치된 띠형 보강재(200)의 상부를 덮게 된다. Another reinforcing block 100 is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and a new backing soil B is installed on the backside of the reinforcing block 10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taple- .

그리고, 앞서 설명한 과정이 반복되어 보강재 어셈블리의 시공이 계속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200)의 일부를 구조물에 감는 등의 작업이 생략되고, 단순히 띠형 보강재(200)의 일단이 고정된 고정피스(300)를 보강블록(100)에 삽입하는 작업으로 간단하게 띠형 보강재(200)를 포설할 수 있다. The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to continue the construction of the stiffener assembl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winding a part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on the structure is omitted, and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stationary piece 300 having one end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fixed to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stiffener 200 can be easily installed.

특히 띠형 보강재(200)는 저항수단(250)의 존재로 인하여 인발저항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띠형 보강재(200)의 일단이 뒷채움흙(B)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될 필요 없어지며, 띠형 보강재(200) 자체의 길이가 짧아져 뒷채움흙(B)의 포설길이 및 토공량 역시 감소하게 된다. Particularly,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is improved in the pull-out resistance due to the presence of the resistance means 250,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hat one end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is installed in a staggered manner in the back- 200) itself is shortened, and the length of the backfill soil (B) and the amount of excavated soil are also decreased.

이와 같이, 띠형 보강재(200)가 포설되면, 뒷채움흙(B)은 보강토가 되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그 재질 자체에 의해 뒷채움흙(B)과의 마찰을 통해 토압을 경감시킴으로써 뒷채움흙(B)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을 증진시키며, 이에 더하여 다수개의 저항수단(250)이 수동저항 마찰력을 더욱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Thus, when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is installed, the backfill soil B becomes a reinforcing soil, and the stability is improved. More precisely, the band-shaped stiffener 200 improves the adhesion force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the backbone soil B by reducing the earth pressure through friction with the backbone soil B by the material itself, 250) further increases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al force.

즉, 저항수단(250)이 띠형 보강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띠형 보강재(200)의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resistance means 250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like stiffener 200, the passive resistance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and the pull-out resistance capability are largely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예를 들어 자연환경이나 특수한 외부환경에 의해 뒷채움흙(B)이 횡으로 변하고자 하는 토압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보강블록(100)에 의해 형성된 옹벽은 외측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보강블록(100)에 연결된 띠형 보강재(200) 역시 외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earth pressure to which the backfill soil B is to be transversely changed due to a natural environment or a special external environment is greatly generated, the retaining wall formed by the reinforcing block 100 is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The stiffener 200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lock 100 is also subjected to a force pulled outward.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200)에는 저항수단(250)이 구비되어, 뒷채움흙(B)과의 사이에서 큰 마찰력을 가지며, 이러한 마찰력은 띠형 보강재(200)가 보강블록(100)에 의해 옹벽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을수록 함께 커지게 된다. 따라서 띠형 보강재(200)의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옹벽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옹벽의 경사각 역시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resistance means 250 and has a large frictional force with the backfill soil B, and this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y the stiffener 200 in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larger the force is received in th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ly,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200 is greatly improved, and the retaining wall can be stably maintained. According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taining wall can also be designed to be relatively large.

그리고, 띠형 보강재(200)와 보강블록(100)이 접하는 부분에 가이드면(180)이 형성되므로, 보강토의 침하 등이 발생하여 띠형 보강재(200)와 보강블록(100)이 접하는 부분에 전단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띠형 보강재(200)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180)에 안착되어 띠형 보강재(200)가 보강블록(100)에 의해 전단파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Since the guide surface 18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tiffener 200 and the reinforcing block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ettlement of the reinforcing soil occurs and a shear load is applied to the portion where the stiffener 200 contacts the reinforcing block 100 The stiffener 200 is seated on the guide surface 180 formed by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tiffener 200 is prevented from being shearly broken by the reinforcing block 10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보강블록 120: 안착부
130: 수납공간 150: 걸림보스
180: 가이드면 200: 띠형 보강재
210: 스트립베이스 250: 저항수단
252: 연결부 255: 저항부
300: 고정피스 320: 고정슬롯
330: 제1슬롯 340: 제2슬롯
350: 체결구
100: reinforcing block 120:
130: storage space 150: latching boss
180: guide surface 200: stiffener
210: strip base 250: resistance means
252: connection part 255:
300: Fixing piece 320: Fixing slot
330: first slot 340: second slot
350: fastener

Claims (16)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며,
상기 저항수단은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스트립의 외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부에는 일방향으로 개구된 저항포켓이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
A strip bas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resistance mea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 base and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Wherein the strip base is composed of a pair of strip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side by side, the resistor means is provided across the pair of strips,
Wherein the resistance means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strips and a resistan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strip base,
Wherein the resistance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 resistance pocket open in one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의 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
The band-shaped stiffe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stance portion of the resistance means extends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strip ba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에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개구된 제1저항포켓 및 타방향으로 개구된 제2저항포켓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
The stiffe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stan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resistance pocket opened in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and a second resistance pocket opened in the other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베이스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저항수단 중 일부는 상기 저항부가 일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저항부가 타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
2. The stiffe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 of the plurality of resistance means provided along the strip base extends obliquely toward one side of the resistance portion, and the resistance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other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가 일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 및 상기 저항부가 타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를 따라 서로 엇갈려 한개씩 순차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resistance unit extends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one direction, and the resistance unit extending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other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strip base, Band stiffener.


삭제delete 서로 적층되어 보강벽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보강블록과,
상기 보강블록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피스와,
상기 고정피스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강블록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며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며,
상기 저항수단은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스트립의 외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부에는 일방향으로 개구된 저항포켓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A reinforcing block which is formed by laminating each other to form a reinforcing wall,
A fixing piece inserted and fix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reinforcing block,
And a stiffener which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piec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reinforcing block,
The stiffener
A strip bas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 base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Wherein the strip base is composed of a pair of strip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side by side, the resistor means is provided across the pair of strips,
Wherein the resistance means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strips and a resistan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strip base,
And a stator stiffener having a resistance pocket opened in one direction to open the resistor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피스에는 고정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고정슬롯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슬롯 및 제2슬롯으로 구성되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스트립베이스의 일단은 상기 제1슬롯을 통과한 후 제2슬롯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fixing piece has a fixing slot formed therein, and one end of the strip base is inserted and fixed, wherein the fixing slots are formed of first and second slo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strip base passes through the first slot and then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slot and is fix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피스에는 체결구가 상기 고정슬롯이 개구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슬롯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The stiffen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e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slot is opened, and one end of the stiffener inserted in the fixing slot is pressed and fixed. Including stiffener assembli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의 수납공간 일측에는 상기 보강블록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착부가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상기 띠형 보강재의 스트립베이스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The stiffen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sea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reinforcing bloc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inforcing block, and a strip base of the strip-shaped stiffene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ssembl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의 안착부에는 걸림보스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림보스에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저항수단 중 어느 하나가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13. The stiffen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locking boss is protruded from a seat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block, and one of resistance means of the stiffener is hooked to the locking bos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의 후방 모서리에 해당하는 안착부 말단에는 가이드면이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The stiffen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guide surface is formed at an end of a seat portion corresponding to a rear edge of the reinforcing block so as to have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외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의 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15. A method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9 to 14,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trip base,
And a resistanc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and projecting from the strip base,
Wherein the resistance portion of the resistance means extends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strip bas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다수개의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스트립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 보강재 어셈블리.

16. The stiffener assembly of claim 15, wherein the strip base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ip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extending in parallel, and the resistor means is provided across the plurality of strips.

KR1020140195583A 2014-12-31 2014-12-31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KR101818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83A KR101818911B1 (en) 2014-12-31 2014-12-31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83A KR101818911B1 (en) 2014-12-31 2014-12-31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35A KR20160083535A (en) 2016-07-12
KR101818911B1 true KR101818911B1 (en) 2018-01-17

Family

ID=5650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583A KR101818911B1 (en) 2014-12-31 2014-12-31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91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981A (en) 2018-08-28 2020-03-10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00108813A (en) 2018-08-28 2020-09-21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140930A (en) 2021-04-09 2022-10-19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30169730A (en) 2022-06-09 2023-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inforced earth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011Y1 (en) * 2002-06-25 2002-09-27 오세희 Breast wall structure of reinforcement earth for block
KR200352264Y1 (en) * 2004-02-10 2004-06-10 지해산업개발 주식회사 geogrid
KR100865465B1 (en) * 2007-05-22 2008-10-28 신혜승 A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incorporating the extruded polymer strip as a reinforc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862A (en) 2008-02-05 2009-08-10 송순옥 Strip type amature reinforcing retaining wall
KR101439314B1 (en) 2013-01-07 2014-09-11 주식회사 한포스 Reinforcing metal strip for retaining wa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011Y1 (en) * 2002-06-25 2002-09-27 오세희 Breast wall structure of reinforcement earth for block
KR200352264Y1 (en) * 2004-02-10 2004-06-10 지해산업개발 주식회사 geogrid
KR100865465B1 (en) * 2007-05-22 2008-10-28 신혜승 A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incorporating the extruded polymer strip as a reinforc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981A (en) 2018-08-28 2020-03-10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00108813A (en) 2018-08-28 2020-09-21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140930A (en) 2021-04-09 2022-10-19 이장원 Reinforced earth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30169730A (en) 2022-06-09 2023-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inforced earth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35A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911B1 (en)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EP2158365A1 (en) Cellular reinforcement for soil particle confinement
US9103089B2 (en) Loop and sadd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lized earth wall
KR20180066926A (en) Connecting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ssembly for improving passive resistance having this
JP4824030B2 (en) Retaining wall embankment structure
CN108603351B (en) Geosynthetic reinforced wallboard including earth reinforcement members
KR20160096801A (en)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cnstruction method of grass planting breast wall for soft-ground using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KR100938493B1 (en) Strip for fabricated retaining wall
JP6101167B2 (e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retaining wall
US8764348B2 (en) Retaining wall systems and methods
EP3480367B1 (en) Strip type reinforcing material and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comprising same
KR100426345B1 (en) Geogrid
KR102560550B1 (en) Steel Assembly Pile
KR102075861B1 (en) Front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CN210507393U (en) Multipurpose geogrid and grid assembly
US8579551B2 (en) MSE anchor system
JP5460013B2 (en) Assembly of geomaterial reinforcement for structures built in reinforced ground, associated structures, and associated methods
JP4777771B2 (en) Slope anchored reinforced earth wall structure
JP656372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earthquake-proof embankment
JP5008770B2 (en) Retaining wall embankment structure
KR20210033562A (en)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JP6138462B2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2016000895A (en) Embankment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embankment structure and wall part component of the embankment structure
JP4563104B2 (en) Tensile member mounting structure of retaining wall on reinforced earth wall
KR101784779B1 (en) An assembly breast wall block having a fixing groove and method of constructing breast wall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