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845B1 - 발사체 유도관 - Google Patents

발사체 유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845B1
KR101818845B1 KR1020160035031A KR20160035031A KR101818845B1 KR 101818845 B1 KR101818845 B1 KR 101818845B1 KR 1020160035031 A KR1020160035031 A KR 1020160035031A KR 20160035031 A KR20160035031 A KR 20160035031A KR 101818845 B1 KR101818845 B1 KR 10181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pipe
reinforcing fibers
launch
composite lay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804A (ko
Inventor
최시남
이윤규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KR102016003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8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02Composite barrels, i.e. barrels having multiple layers, e.g.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02Composite barrels, i.e. barrels having multiple layers, e.g. of different materials
    • F41A21/04Barrel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10Insert barrels, i.e. barrels for firing reduced calibre ammunition and being mounted within the normal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20Barrels or gun tub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Abstract

발사체 유도관이 개시된다. 발사체 유도관은 발사체를 유도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원형관 구조를 갖고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형성된 발사유도관 및 고분자 매트릭스 및 이의 내부에 충진된 강화섬유들을 포함하고, 발사유도관 표면 상에 형성되어 발사유도관의 팽창을 억제하는 복합체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발사체 유도관은 발사체 발사에 따른 금속 또는 합금 재질의 발사유도관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사체 유도관{PROJECTILE GUIDING TUBE}
본 발명은 발사체의 유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포탄, 탄환 등과 같은 발사체를 목표 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다.
단거리뿐만 아니라 중장거리 발사체도 대부분 포신이나 발사관에 의해 발사되고 있고, 발사체의 목표 방향으로 정확하게 발사하기 위해 포신이나 발사관의 길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포신이나 발사관과 같은 발사체 유도관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발사체를 발사 시에 발생하는 고압에 의해 발사체 유도관의 변형 가능성이 높아져 이의 방지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화섬유를 함유하는 복합체층을 발사유도관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발사유도관의 소성변형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발사체 유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 유도관은 발사체를 유도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원형관 구조를 갖고,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형성된 발사유도관; 및 고분자 매트릭스 및 이의 내부에 충진된 강화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사유도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발사유도관의 팽창을 억제하는 복합체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경화 온도가 50℃ 내지 300℃인 열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강화섬유들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방향족 나일론섬유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층은 상기 강화섬유들 중 상기 발사유도관의 표면에 후프(hoop) 형태로 권취된 제1 강화섬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후프 패턴층; 및 상기 강화섬유들 중 상기 발사유도관 표면에 헬릭스(helix) 형태로 권취된 제2 강화섬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헬리컬 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화섬유는 상기 발사유도관의 중심축에 대해 80° 내지 100°의 각도를 이룰 수 있고, 상기 제2 강화섬유는 상기 제1 강화섬유에 대해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층은 상기 복수의 후프 패턴층과 상기 복수의 헬리컬 패턴층을 약 1: 1 내지 4:1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 유도관은 상기 발사유도관과 상기 복합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유도관 및 상기 강화섬유들보다 탄성 변형률이 큰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발사유도관에 의해 인가되는 응력의 일부를 흡수하는 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복합체층 두께의 0.001 내지 0.0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사체 유도관에 따르면, 고분자 매트릭스에 침지된 강화섬유들을 발사유도관을 권취하는 방식으로 발사유도관 표면 상에 복합체층을 형성함으로써 발사유도관이 발사체 발사 시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사유도관과 복합체층 사이에 탄성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발사유도관의 팽창에 의해 강화섬유들이 끊어지거나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발사유도관의 소성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 유도관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후크 형태의 제1 강화섬유 및 헬릭스 형태의 제2 강화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 유도관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후크 형태로 권취된 강화섬유 및 헬릭스 형태로 권취된 강화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관 유도체(100)는 발사유도관(110), 상기 발사유도관(110) 표면에 형성된 복합체층(120) 및 상기 발사유도관(110)과 상기 복합체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접착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발사유도관(110)은 발사체(미도시)를 유도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원형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사유도관(110)은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형관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위치에 따라 직경이 변화하는 원형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재질은 상기 발사체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재료로는 포탄, 탄환과 같은 발사체를 발사하는 일반적인 포신이나 발사관에 사용되는 금속, 합금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합체층(120)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이의 내부에 충진된 강화섬유들(121a, 122a)을 포함하는 복합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방향족 나일론섬유(예: Kevla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층(120)은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 중 제1 강화섬유(121a)가 상기 발사유도관(110) 표면에 후프(hoop) 형태로 권취된 복수의 후프 패턴층(121) 및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 중 제2 강화섬유(122a)가 상기 발사유도관(110) 표면에 헬릭스(helix) 형태로 권취된 복수의 헬리컬 패턴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사체를 발사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사체를 추진하기 위한 폭발에 의해 상기 발사유도관(110) 내부에는 외부로 팽창하는 강한 압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복합체층(120)은 이러한 압력에 의해 상기 금속 또는 합금 재질의 발사유도관(110)이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상기 후프 패턴층(121)은 상기 발사유도관(110)이 이의 중심축(A-A')에 수직한 수직방향으로 팽창되어 변형되는 것을 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헬리컬 패턴층(122)은 상기 발사유도관(110)이 상기 수직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중심축(A-A')에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팽창되어 변형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프 패턴층(121)에 있어서, 상기 후프 형태의 제1 강화섬유(121a)는 평면상에서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중심축(A-A')에 대해 약 80° 내지 100°의 각도(θ1)를 이루도록 상기 발사유도관(110) 표면 상에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헬리컬 패턴층(122)에 있어서, 상기 헬릭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제2 강화섬유(122a)는 상기 후프 형태로 권취된 강화섬유에 대해 약 30° 내지 60°의 각도(θ2)를 이루도록 상기 발사유도관(110) 표면 상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후프 형태의 제1 강화섬유(121a)가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중심축(A-A')에 대해 80° 미만이거나 100°를 초과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권취되는 경우,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변형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헬릭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제2 강화섬유(122a)가 상기 후프 형태로 권취된 제1 강화섬유(121a)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권취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후프 형태로 권취된 강화섬유에 대해 60° 초과의 각도를 이루도록 권취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변형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상기와 같은 변형 방지를 위해, 상기 복합체층(120)은 상기 복수의 후프 패턴층(121)과 상기 복수의 헬리컬 패턴층(122)을 약 1: 1 내지 4:1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체층(120)이 상기 후프 패턴층(121)과 상기 헬리컬 패턴층(122)을 1: 1의 비율로 포함한다는 것은 동일한 수의 상기 후프 패턴층(121)과 상기 헬리컬 패턴층(122)이 교대로 적층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4:1의 비율로 포함한다는 것은 4개층의 후프 패턴층(121)과 1개층의 헬리컬 패턴층(122)이 교대로 적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복합체층(120)에 있어서 상기 후프 패턴층(121)의 수가 상기 헬리컬 패턴층(122)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변형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후프 패턴층(121)의 수가 상기 헬리컬 패턴층(122)의 수보다 4배를 초과하여 많은 경우에는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변형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층(120)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침지된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을 상기 발사유도관(110)에 권취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을 상기 발사유도관(110)에 권취한 후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침지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약 50℃ 내지 3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200℃의 저온에서 경화될 수 있는 열경화성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침지된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을 상기 발사유도관(110)에 권취한 후 또는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이 권취된 상기 발사유도관(110)을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침지한 후, 약 10시간 이내의 시간동안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기 경화 온도까지 승온하여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복합체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착층(130)은 상기 발사유도관(110) 및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보다 탄성 변형률이 큰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발사유도관(110)과 상기 복합체층(1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접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팽창에 의해 상기 복합체층(120)에 인가되는 응력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접착층(130)이 상기 발사유도관(110)과 상기 복합체층(12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순간적인 팽창에 의해 상기 강화섬유들(121a, 122a)이 끊어지거나 소성 변형되는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소성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착층(130)은, 예를 들면, 스티렌과 부타디엔 중합체(SBR), 니트릴과 부타디엔의 중합체 고무(NBR), 부타디엔 중합체 고무(BR), 에티렌과 비닐 및 디엔의 중합체 고무(EPDM), 아크릴 고무, 하이파론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고무, 부틸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착층(130)은 상기 복합체층(120) 두께의 약 0.001 내지 0.01%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착층(130)의 두께가 상기 복합체층(120) 두께의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강화 섬유들(121a, 122a)의 소성 변형 또는 끊어짐을 방지하기 어렵고, 상기 탄성 접착층(130)의 두께가 상기 복합체층(120) 두께의 0.0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변형 양이 증가하여 상기 복합체층(120)에 의한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소성 변형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발사체 유도관(100)에 따르면, 고분자 매트릭스에 침지된 강화섬유들(121a, 122a)을 발사유도관(110)을 권취하는 방식으로 발사유도관(110) 표면 상에 복합체층(120)을 형성함으로써 발사유도관(110)이 발사체 발사 시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사유도관(110)과 복합체층(120) 사이에 탄성 접착층(130)을 형성함으로써 발사유도관(110)의 팽창에 의해 강화섬유들(121a, 122a)이 소성 변형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발사유도관(110)의 소성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발사체를 유도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원형관 구조를 갖고,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형성된 발사유도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이의 내부에 충진된 강화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사유도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발사유도관의 팽창을 억제하는 복합체층; 및
    상기 발사유도관과 상기 복합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상유도관 및 상기 강화섬유들보다 탄성 변형률이 큰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발사유도관의 순간적인 팽창시 상기 발사유도관에 의해 상기 강화섬유들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충함으로써 상기 강화섬유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발사체 유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경화 온도가 50℃ 내지 300℃인 열경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섬유들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방향족 나일론섬유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유도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층은,
    상기 강화섬유들 중 상기 발사유도관의 표면에 후프(hoop) 형태로 권취된 제1 강화섬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후프 패턴층; 및
    상기 강화섬유들 중 상기 발사유도관 표면에 헬릭스(helix) 형태로 권취된 제2 강화섬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헬리컬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유도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층을 평면에 투영시킨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화섬유는 상기 발사유도관의 중심축에 대해 80° 내지 100°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2 강화섬유는 상기 제1 강화섬유에 대해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유도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층은 상기 복수의 후프 패턴층과 상기 복수의 헬리컬 패턴층을 1: 1 내지 4:1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유도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복합체층 두께의 0.001 내지 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유도관.
KR1020160035031A 2016-03-24 2016-03-24 발사체 유도관 KR10181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31A KR101818845B1 (ko) 2016-03-24 2016-03-24 발사체 유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31A KR101818845B1 (ko) 2016-03-24 2016-03-24 발사체 유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04A KR20170110804A (ko) 2017-10-12
KR101818845B1 true KR101818845B1 (ko) 2018-01-16

Family

ID=6014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031A KR101818845B1 (ko) 2016-03-24 2016-03-24 발사체 유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89A1 (ko) * 2021-06-07 2022-12-15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필라멘트 와인딩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압력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0379A2 (en) * 2013-12-09 2015-09-03 Proof Research, Inc. Fiber winding system for composite projectile barrel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0379A2 (en) * 2013-12-09 2015-09-03 Proof Research, Inc. Fiber winding system for composite projectile barrel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89A1 (ko) * 2021-06-07 2022-12-15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필라멘트 와인딩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압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0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9689C1 (ru) Сосуд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суда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2240301B1 (ko) 압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5837083A (en) Method of forming a rigid tubular body
US3228298A (en) Rifle barrel
KR102039001B1 (ko) 고압 탱크
US3571962A (en) Monolithic metallic liner for fiberglass gun tubes
US7503249B2 (en) Barrels for electromagnetic guns
US10240654B2 (en) Hybrid spring device
JP2006316845A (ja) シリンダバレル
US10158130B2 (en) High-pressure tank
KR101818845B1 (ko) 발사체 유도관
KR101944438B1 (ko) 내충격 부재를 구비한 압력 용기
CN110774611A (zh) 碳纤维发射筒的成型方法
KR102347694B1 (ko)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USH2237H1 (en) Embedded dynamic vibration absorber
US5467889A (en) Nestable elastic fuel tank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15992928A (zh) 高压罐及高压罐的制造方法
CN108350968B (zh) 弹性部件用线材以及弹性部件
US20210270419A1 (en) High-pressure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igh-pressure tank
USH1999H1 (en) Tuning saboted projectile performance through bourrelet modification
JP2017172713A (ja) タンクの製造方法
CN210882088U (zh) 一种防冲击载荷的汽车刹车储气筒
JP7318781B2 (ja) 圧力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10429A (ja) 高圧タンクにおける繊維堆積含有率の計算方法
CN210882089U (zh) 一种防爆复合结构汽车刹车储气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