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215B1 -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215B1
KR101818215B1 KR1020170107277A KR20170107277A KR101818215B1 KR 101818215 B1 KR101818215 B1 KR 101818215B1 KR 1020170107277 A KR1020170107277 A KR 1020170107277A KR 20170107277 A KR20170107277 A KR 20170107277A KR 101818215 B1 KR101818215 B1 KR 10181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information
command
purifi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174A (ko
Inventor
강병일
정진규
서영주
최채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21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정수기에서 수신된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정수기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정수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과정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 과정은 정수기로부터 정수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정수기의 정수기에 대한 거리와 설정된 거리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변경될 경우에 정수기의 온/오프 명령 또는 정수기의 냉온수 유지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생성하고, 정수기의 온/오프 명령 또는 정수기의 냉온수 유지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정수기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보안, 조명, 온도 등을 자동 통제하는 수준인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홈 컨트롤 시스템(Home Control System) 정도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 후, 한 가정 내에 여러 대의 PC 및 주변기기를 보유한 가구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킹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홈네트워킹 키트(Home Networking Kit)들이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력선, 무선 등 진일보한 전송매체 기술의 발전과 DSL, Cable Modem 등 가입자망의 광대역화로 초고속인터넷이 급속히 확대되고, PC 뿐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정보단말기들이 가정 내에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디지털 정보가전기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가능하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3195호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정수기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원격 솔루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정수기에서 수신된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수기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정수기의 상기 정수기에 대한 거리와 설정된 거리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변경될 경우에 상기 정수기의 온/오프 명령 또는 상기 정수기의 냉온수 유지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정수기의 온/오프 명령 또는 상기 정수기의 냉온수 유지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상기 정수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장치 초기화를 위한 설정값 및 상기 정수기 동작에 필요한 설정값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정수기로부터 환경 정보, 정수기 설정 정보 및 정수기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설정값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 또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명령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 단계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수신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기설정된 기간동안 사용자의 상기 정수기 조작 정보를 수집하고 기지정된 조작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은, 감시의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설정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감시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감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정수기를 자율 또는 수동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이 구동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서비스 콜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이 구동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정수기(100) 및 이동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A/S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100)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로서, 통신 모듈을 통해서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초기 설정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정수기(100)의 동작 정보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CDMA 데이터 통신 채널, 3G 통신망 등이 있다.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가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정수기(100)로부터 설정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200)은 통신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를 관리하는 관리자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수신한 설정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200)은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A/S 서버(300)는 정수기(100)의 고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A/S를 접수하고, 고장 해결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A/S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고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고장에 대한 정보에는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 고장 부위, 고장에 의한 현상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정수기(100)에서 직접 A/S 서버(300)로 고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수기(100)에 발생한 고장이 치명적인 경우, 고장이 명확한 경우 및 기설정된 고장 현상이 있는 경우 등에 직접 정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원격 제어 과정(S10) 및 서비스 콜 과정(S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들은 이동 단말(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과정이다.
원격 제어 과정(S10)에서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수기(100)의 동작이나 초기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서비스 콜 과정(S20)에서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수기(100)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고 A/S 서버(300)로 고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은 사용자가 일정 기간동안 정수기(100)를 사용하지 않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과정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제어 과정(S10, S100)은 입력 단계(S11), 수신 단계(S13) 및 명령 생성 단계(S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모니터링 단계(S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 과정(S10, S100)에서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정수기(100)에서 수신된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정수기(100)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정수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 단계(S11)에서는 관리자로부터 정수기(100)의 장치 초기화를 위한 설정값 및 정수기(100) 동작에 필요한 설정값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단계(S11)를 통해서 관리자는 정수기(100)의 설정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수신 단계(S13)에서는 정수기(100)로부터 환경 정보, 정수기(100) 설정 정보 및 정수기(100)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단계(S13)를 통해서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정수기(100)가 목적한 제어 상태에 도달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명령 생성 단계(S15)에서는 입력된 설정값 및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정수기(100)가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 또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정수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의 설정치는 제어를 통해서 도달해야할 목표와 같은 것이므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정수기(100)의 각부에 지령될 명령은 장치의 세부구성이나 동작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명령 생성 단계(S15)를 통해서 관리자가 설정한 설정값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정수기(100)에 제어 명령을 일회적 또는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가 관리자가 설정한 설정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정수기(1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단계(S17)에서는 수신 단계(S13)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수신한 정보를 이동 단말(200)을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모니터링 단계(S17)에서는 입력 단계(S11)를 통해서 입력받은 설정값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입력 단계(S11)와 수신 단계(S13)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명령 생성 단계(S15)와 모니터링 단계(S17)도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계(S17)는 입력 단계(S11)와도 병렬적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입력 단계(S11)를 통해서 원격 제어 과정(S10) 실행 여부 및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입력받으면 이후의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명령 생성 단계(S15) 이후 정수기(100)로부터 동작이나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목적한 제어가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6). 목적한 제어를 달성하지 못하면 다시 명령 생성 단계(S15)를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계(S17)는 모니터링을 종료시키는 인터럽터 등에 의해서 종료될 수 있다(S18).
상기의 원격 제어 과정(S10)을 이용하여, 관리자는 정수기(100)를 댁내 또는 댁외에서 이동 단말(20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관리자가 정수기(100)를 제어가 필요한 때마다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관리자가 목표치만 설정하고 이동 단말(200)이 자동으로 정수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원격 제어 과정(S10)을 이용한 일 실시예로서, 원격지에서의 정수기(100) 전력 제어가 있다.
정수기는 사용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온수 및 냉수 장치를 가동하기 때문에 꾸준히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전력의 효율적인 소비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전력 사용이 없도록 정수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정수기 내에서 전력을 제어하여 냉온수 유지 장치를 정지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원격 제어 과정(S10)을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정수기(100)로 전력을 on/off하는 명령을 보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이동 단말(200)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정수기(100)과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이동 단말이 있는 경우 정수기(100)가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사생활 침해 및 개인 정보 보안을 위해서 정보 획득 과정이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정수기(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이동 단말(200)이 정수기(100)로 전력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서비스 콜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콜 과정(S20)은 수신 단계(S21), 판정 단계(S23) 및 신청 단계(S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검증 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계(S21)에서는 정수기(100)로부터 자체 점검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정수기(1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의 장치 현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판정 단계(S23)는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 동작시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거나 정수기(100)의 동작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설정값 및 전송한 제어 명령을 비교하여 정수기(100)의 고장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수기(100)의 자체 점검 정보가 정수기(100)가 정상 상황일 때의 정보와 상이하면 정수기(100)의 해당 부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정수기(100)의 동작 상황이 사용자의 설정값 및 전송한 제어 명령과 상이한 경우에도 정수기(100)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고장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신청 단계(S29)에서는 정수기(100)가 고장으로 판정되는 경우(S23) 또는 고장으로 판정 및 검증된 경우(S27) A/S 서버(300)로 고장 발생 및 자체 점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신청 단계(S29)를 통해서 정수기(100)의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관련 정보가 같이 A/S 센터로 접수되어 관리자가 A/S 센터 또는 콜센터로 전화하여 고장 신고를 하고 일일이 고장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신청 단계(S29)에서는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인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대응되는 고장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장 코드를 상기 A/S 서버(3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정수기(100)의 구성이 한정적이므로 고장의 경우도 패턴화 및 분류화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분류 정보를 이동 단말(200)에서 생성한 후 A/S 서버(300)로 전송하여 A/S 처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검증 단계(S25)에서는 자체 점검 정보, 정상인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 및 고장 판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로부터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검증 단계(S25)를 통해서 고장 판단에 대한 관리자의 검증을 받을 수 있다(S27). 이를 통해 고장 판단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관리자가 고장 상황의 발생을 미리 고지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은 설정 단계(S31), 수신 단계(S33) 및 감시 단계(S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단계(S31)에서는 감시의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관리자는 사용자의 정수기(100)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필요한 조작 버튼이나 조작 부위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상태 점검 판단 과정을 유지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 단계(S33)에서는 정수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정수기(100) 조작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감시 단계(S35)에서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된 정수기(100) 조작 상황에 대한 정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조작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특히,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신 단계(S33) 및 감시 단계(S35)를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신 단계(S33)만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의 누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단계(S35)를 수행할 수도 있다.
알림 단계(S37)에서는 감시 단계(S35)에서 기설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 정보가 없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한다.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이용하면, 관리자는 독거 노인과 같은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정수기(100)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독거 노인에게 건강상의 문제등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독거 노인 케어 시스템등을 구축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여부가 문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은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상기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이용한 일 실시예로서, 독거 노인등에 대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독거 노인 등의 경우 건강 상태를 일일이 체크하는 등의 헬스 케어 방식은 인력적, 시간적, 비용적인 측면에서 난점이 많다. 따라서, 독거 노인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영상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여 헬스 케어하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상 등을 이용한 모니터링의 경우 독거 노인의 상태를 촬영할 촬영 장치가 있고, 독거 노인의 생활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므로 개인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이용한 독거 노인에 대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을 제안할 수 있다.
인간으로서 기본적으로 섭취 또는 취득해야 하는 물과 음식물에 대한 독거 노인의 접근 정보를 정수기의 조작 여부에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사용자가 되는 독거 노인의 행동 패턴 또는 물과 음식물 섭취 주기 등을 고려하여 감시의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설정하면, 이동 단말을 통해서 독거 노인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정수기 200: 이동 단말 300:A/S 서버
110: 통신 모듈 210: 인터페이스 모듈 220: 통신 모듈
S10, S100: 원격 제어 과정
S11: 입력 단계 S13: 수신 단계 S15: 명령 생성 단계
S16: 제어 종료 여부 판단 S17: 모니터링 단계
S18: 모니터링 종료 여부 판단
S20: 서비스 콜 과정
S21: 수신 단계 S23: 판정 단계 S25: 검증 단계
S29: 신청 단계
S30: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
S31: 설정 단계 S33: 수신 단계 S35: 감시 단계
S37: 알림 단계

Claims (5)

  1.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정수기에서 수신된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정수기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정수기의 상기 정수기에 대한 거리와 설정된 거리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변경될 경우에 상기 정수기의 온/오프 명령 또는 상기 정수기의 냉온수 유지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정수기의 온/오프 명령 또는 상기 정수기의 냉온수 유지 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장치 초기화를 위한 설정값 및 정수기 동작에 필요한 설정값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정수기로부터 환경 정보, 정수기 설정 정보 및 정수기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설정값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 또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명령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 단계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수신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기간동안 사용자의 정수기 조작 정보를 수집하고 기지정된 조작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은
    감시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설정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감시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감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KR1020170107277A 2017-08-24 2017-08-24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KR10181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277A KR101818215B1 (ko) 2017-08-24 2017-08-24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277A KR101818215B1 (ko) 2017-08-24 2017-08-24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647A Division KR101773332B1 (ko) 2010-08-25 2010-08-25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댁내 장치 원격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74A KR20170101174A (ko) 2017-09-05
KR101818215B1 true KR101818215B1 (ko) 2018-02-21

Family

ID=5992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277A KR101818215B1 (ko) 2017-08-24 2017-08-24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2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566A (ja) 2000-12-13 2002-08-02 Lg Electronics Inc 家電機器遠隔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044960A (ja) 2001-07-30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監視方法と遠隔監視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566A (ja) 2000-12-13 2002-08-02 Lg Electronics Inc 家電機器遠隔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044960A (ja) 2001-07-30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監視方法と遠隔監視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74A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242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반 및 원격제어반의 자가진단 방법
KR102167569B1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US11606252B2 (en) Wireless connection validation techniques
US7469288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multiple laundry appliances
CA2906127C (en) Security system installation
US20030208606A1 (en) Network iso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18216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KR20090095689A (ko) 센서 네트워크형 멀티탭
KR20140061209A (ko)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방법
KR101879759B1 (ko)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US20200314923A1 (en) Point to point communication with low-power device
US20130132744A1 (en) St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70009728A (ko) 무선 원격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6340154A (ja) メーター通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73332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댁내 장치 원격 관리 방법
KR101818215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US20200329120A1 (en) Regression safe network communication logic for an iot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TWI592892B (zh) 智能家居系統
KR101882968B1 (ko) 압전과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전기에너지 관리 및 제어시스템
CN116366381A (zh) 用于控制网络应用的系统、设备和方法
KR20110022903A (ko) 이동 단말기 및 홈 네트워크에 기반한 애완견 관리 시스템
US201601422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installation of a device
TW201635761A (zh) 數位匯流閘道間自動管理應用系統、方法與裝置
KR20160032387A (ko)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6348B1 (ko) 벽면 매립형 오픈 월 패드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