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834B1 -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7834B1 KR101817834B1 KR1020150123353A KR20150123353A KR101817834B1 KR 101817834 B1 KR101817834 B1 KR 101817834B1 KR 1020150123353 A KR1020150123353 A KR 1020150123353A KR 20150123353 A KR20150123353 A KR 20150123353A KR 101817834 B1 KR101817834 B1 KR 101817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conduction
- speaker
- hearing
- auditory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 또는 언어 장애인들을 위한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과 골전도 자극 방식을 동시에 적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좌/우 자극의 분리 및 통합 방식을 적용하여 좌/우 뇌의 밸런스에 차이가 있는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에게 효율적으로 청각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 또는 언어장애인의 언어 재활용으로 사용되는 청각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의 장애 정도(등급)에 따라 귀를 통한 음성신호 인식 방법과 측두엽 자극을 통한 골전도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좌/우 각각 독립된 신호와 이를 병합한 신호 자극을 장애인들의 좌/우 뇌신경에 피드백함으로써 청각 기능 발달을 극대화하여 언어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청각장애인이나 언어장애인들(뇌성마비, 유창성 장애 등)은 그들의 장애로 인해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기 어렵다. 이러한 장애인들은 수화와 같은 의사소통 수단을 사용 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수화를 익혀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그러나 수화에 익숙하지 않은 청각장애인 또는 언어장애인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러한 상황으로 말미암아 청각장애인이나 언어장애인의 생활 영역과 인간관계는 매우 좁은 범위로 한정될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와 같이 청각장애인 또는 언어장애인(이하 '청각장애인'이라 함)들은 수화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하지만, 일반인과의 대화 시에는 의사 전달에 어려운 점이 많다. 또한 음악이나 전화 등의 귀를 통한 정보 습득의 경우에는 정보 습득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으로 청각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청각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장치들은 주로 골전도 방식을 이용한 장치들이다.
상기 골전도 방식을 이용한 장치들은 해당 분야에서 이론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실용화 단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런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청취 장치들을 이용하면 일반인과의 전화 및 음악 청취 등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청각장애인은 청력을 상실한 이후 재활 훈련을 제대로 받지 못해 언어 습득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골전도 방식을 이용한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청각장애인들의 청각 훈련을 위한 장치로는 위에서 제시한 골전도 방식을 이용한 장치와 귀의 고막을 통한 음성신호 인식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청각장애인들의 청각 훈련을 돕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의 청각 훈련을 위한 장치로서 기존의 골전도 방식과 스피커 방식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인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기 애매하며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할 수 없는 일괄적인 방법으로 훈련을 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청각장애인들의 대부분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청력의 좌/우 밸런스가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청각 훈련 장치들 역시 좌/우 소리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청각장애가 있더라도 좌/우 청력 밸런스 상태는 정상적인 사람들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골전도 방식은 신호 전달 방식만 차이가 있을 뿐 일반 스피커의 출력 방식과 크게 다른 점이 없고 이 또한 좌/우 청력 밸런스가 정상적인 청각장애인에게 국한되어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청각 훈련 장치들은 개개인의 좌/우 청력을 고려하여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신호를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청신경 및 청각신호의 재생 여부에 따른 개인 맞춤형 훈련장치, 바람직하게는 각 장애 등급에 맞는 훈련 및 치료가 가능한 청각 훈련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 뇌 기능 및 청력의 불균형을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인들의 장애 등급 및 청력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청각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과 골전도 자극 방식을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좌/우 자극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골전도 자극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골전도 스피커와,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머리에 접촉되는 우측 자극부와 좌측 자극부로 구성되며;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청각 스피커와, 상기 청각 스피커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귀에 접촉하는 우측 자극부와 좌측 자극부로 구성되며; 상기 청각 스피커의 우측 자극부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우측 조절부와 상기 청각 스피커의 좌측 자극부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좌측 조절부로 구성된 스피커 스위치와;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우측 자극부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우측 조절부와 상기 골전도 스피커의 좌측 자극부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좌측 조절부(114)로 구성된 골전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과 골전도 자극 방식을 융합한 청각 장애인용 언어 재활기기로서 청각장애인들은 청각신호 감지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뇌 기능 및 청력의 불균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각 및 언어 재활 훈련을 위하여 장애인들의 장애 등급에 맞추어 개개인의 청력을 고려해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청각 훈련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언어재활치료 분야에서 효율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국 각 대학의 언어재활과 관련된 학과에서 학생들을 위한 훈련ㆍ실험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청각장애 또는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의 청각 능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언어재활 개선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에 있어서, 신호 조절기(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장치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에 있어서, 신호 조절기(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장치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과 골전도 자극 방식을 동시에 적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좌/우 자극의 분리 및 통합 방식을 적용하여 좌/우 뇌의 밸런스에 차이가 있는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에게 효율적으로 청각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는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과 골전도 자극 방식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한 가지만 채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특히 장애인들의 장애 등급에 따라 귀를 통한 음성신호 인식 방법과 측두엽 자극을 통한 골전도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장애인들의 좌/우 뇌 발달의 차이에 따라 자극을 각각 다르게 줄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좌/우 청각 스피커(150)와 골전도 자극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좌/우 골전도 스피커(140)로 구성된 헤드셋(20)과, 상기 각 스피커(140,15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00,110,130)로 구성된 신호 조절기(10)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 조절기(10)의 상세구성은 후술하는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셋(20)은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머리고정부(24)를 반원 모양으로 구성하고, 상기 머리고정부(24)의 양 끝부분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위치조절부(22)가 각각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부(22)는 골전도 스피커(14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40)가 사용자의 측두엽에 접촉할 수 있도록 골전도 스피커(140)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하는 수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헤드셋(20)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어폰 타입 등과 같이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전도 스피커(140)는 위치조절부(22)에 각각 설치되고,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양측 측두엽에 접촉할 수 있도록 2개의 우측 자극부(152)와 좌측 자극부(15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우측 자극부(152)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우측 측두엽에 접촉하여 골전도 자극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좌측 자극부(154)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측 측두엽에 접촉하여 골전도 자극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청각 스피커(150)는 장애인의 우측 귀에 접촉하여 청각 신호를 출력하는 우측 자극부(152)와 장애인의 좌측 귀에 접촉하여 청각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자극부(154)로 구성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신호 조절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청각 스피커(150)로부터 출력되는 청각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 스위치(100)와 골전도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골전도 스위치(1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피커 스위치(100)는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로 구성되며, 이들은 치료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볼륨 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 조절부(102)는 청각 스피커(150)의 우측 자극부(152)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스위치며, 상기 좌측 조절부(104)는 청각 스피커(150)의 좌측 자극부(152)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골전도 스위치(110) 역시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로 구성되며, 이들 역시 치료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볼륨 타입의 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 조절부(112)는 골전도 스피커(140)의 우측 자극부(142)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며, 상기 좌측 조절부(114)는 골전도 스피커(140)의 좌측 자극부(144)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스피커 스위치(100)와 골전도 스위치(110)의 조작에 따라 청각 스피커(150)와 골전도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는 각 청각신호와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각각 설정한 상태에서 일률적으로 각 스피커(140,15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밸런스 스위치(130)를 구성한다. 상기 밸런스 스위치(130)는 도 1,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피커 조절부(132), 골전도 조절부(134), 통합 조절부(136)를 각각 구성하며, 이들 역시 사용자가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볼륨 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 조절부(132)는 스피커 스위치(100)의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를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밸런스에 맞도록 청각신호의 세기를 각각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의 동작(즉, 청각신호의 세기)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골전도 조절부(134)는 골전도 스위치(110)의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를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밸런스에 맞도록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에서 세팅된 골전도 자극 신호의 세기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통합 조절부(136)는 전술한 스피커 스위치(100)의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 및 골전도 스위치(110)의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를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밸런스에 맞도록 각 신호(즉, 청각신호 및 골전도 자극신호)를 세팅한 상태에서 이들의 신호 세기를 일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밸런스 스위치(130)의 동작은 후술하는 도 3의 상세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끝으로, 메인 스위치(120)는 본 발명의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이다. 제어부(160)는 전술한 스피커 스위치(100)와 골전도 스위치(110)로 입력되는 각 신호에 응답하여 청각 스피커(150)와 골전도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 및 골전도 자극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를 사용하여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의 훈련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청각 및 언어 재활 훈련 시 좌/우간 흐트러진 밸런스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반드시 좌뇌와 우뇌에 자극을 줄 때 각각 독립적으로 자극을 주어야 하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은 통상적으로 좌뇌와 우뇌의 발달 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청각 훈련을 할 때 좌/우 뇌 자극의 독립화가 필요하고 또한 훈련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과 골전도 자극 방식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훈련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청각 장애인 또는 언어 장애인을 대상으로 청각 훈련을 실시하고자 할 때는, 제일 먼저 청각 훈련을 받고자 하는 장애인의 뇌파를 측정한다. 이때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은 통상적으로 좌뇌와 우뇌의 파동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언어ㆍ청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왼쪽 귀와 오른쪽 귀가 서로 맞지 않는 언밸런스 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에 좌/우 뇌의 파동에 맞도록 자극을 달리주어 좌/우 뇌의 밸런스를 맞추어 가면서 청각 훈련을 실시한다.
즉, 치료자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뇌파를 검사한 데이터를 토대로 청각 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먼저 치료자는 본 발명의 청각 훈련 장치를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머리에 씌우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셋(20)을 장애인의 머리에 씌운다. 그러면 헤드셋(20)의 머리고정부(24)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머리에 밀착 고정되고, 청각 스피커(150)의 우측 자극부(152)와 좌측 자극부(154)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각각 밀착된다. 이어서 헤드셋(20)의 위치조절부(20)를 위/아래로 조절하면서 골전도 스피커(140)의 우측 자극부(142)와 좌측 자극부(144)가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측두엽 부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골전도 스피커(14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치료자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뇌파를 검사한 결과 값에 맞도록 스피커 스위치(100)와 골전도 스위치(110)를 각각 조절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장애인의 좌측 뇌파의 파동이 우측 뇌파의 파동보다 떨어진다고 가정할 때, 치료자는 스피커 스위치(100)의 우측 조절부(102)를 조정하여 청각 스피커(150)의 우측 자극부(152)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는 낮추고 이와 동시에 스피커 스위치(100)의 좌측 조절부(104)를 조정하여 청각 스피커(150)의 좌측 자극부(154)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를 높인다.
또한, 치료자는 골전도 스위치(110)의 우측 조절부(112)를 조정하여 골전도 스피커(140)의 우측 자극부(142)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는 낮추고 이와 동시에 골전도 스위치(110)의 좌측 조절부(114)를 조정하여 골전도 스피커(140)의 좌측 자극부(144)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높인다.
이와 같이, 치료자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뇌파 파동의 밸런스에 맞추어 전술한 스피커 스위치(100)의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 및 골전도 스위치(110)의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의 조절함으로써 청각ㆍ언어 장애인이 착용하고 있는 청각 스피커(150)와 골전도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는 각 신호(즉, 청각신호 및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변환시키면서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의 좌/우 밸런스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청각 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10: 신호 조절기 100: 스피커 스위치
102, 112: 우측 조절부 104, 114: 좌측 조절부
110: 골전도 스위치 120: 메인 스위치
130: 밸런스 스위치 132: 스피커 조절부
134: 골전도 조절부 136: 통합 조절부
140: 골전도 스피커 142, 152: 우측 자극부
144, 154: 좌측 자극부 150: 청각 스피커
160: 제어부
102, 112: 우측 조절부 104, 114: 좌측 조절부
110: 골전도 스위치 120: 메인 스위치
130: 밸런스 스위치 132: 스피커 조절부
134: 골전도 조절부 136: 통합 조절부
140: 골전도 스피커 142, 152: 우측 자극부
144, 154: 좌측 자극부 150: 청각 스피커
160: 제어부
Claims (5)
- 청각ㆍ언어 장애인들의 언어 재활용으로 사용되는 청각 훈련 장치에 있어서,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머리고정부(24);
스피커 청각 자극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좌/우 청각 스피커(150);
골전도 자극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좌/우 골전도 스피커(140)로 구성된 헤드셋(20)과;
상기 각 스피커(140,15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 스위치(100)와, 골전도 스위치(110), 벨런스스위치(130)로 구성된 신호 조절기(1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셋(20)의 머리고정부(24) 양끝부분에는 위치 조절부(22)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22)에는 상기 좌/우 골전도 스피커(140)가 설치되며;
상기 좌/우 골전도 스피커(140)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머리에 접촉되는 우측 자극부(142)와 좌측 자극부(144)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 조절부(22)는 상기 좌/우 골전도 스피커(140)의 위치를 사용자의 측두엽에 맞추어 조절하며;
상기 좌/우 청각 스피커는(150)는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귀에 접촉하는 우측 자극부(152)와 좌측 자극부(154)로 구성되며;
상기 골전도 스위치(110)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140)의 우측 자극부(142)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우측 조절부(112)와, 상기 골전도 스피커(140)의 좌측 자극부(144)를 통해 출력되는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좌측 조절부(114)로 구성되며;
상기 스피커 스위치(100)는 상기 좌/우 청각 스피커(150)의 우측 자극부(152)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우측조절부(102)와, 상기 좌/우 청각 스피커(150)의 좌측 자극부(154)를 통해 출력되는 청각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좌측조절부(104)로 구성되며;
상기 벨런스 스위치(130)는;
상기 스피커 스위치(100)의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를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밸런스에 맞도록 청각신호의 세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의 청각신호의 세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스피커 조절부(132)와;
상기 골전도 스위치(110)의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를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밸런스에 맞도록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에서 세팅된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골전도 조절부(134);
상기 스피커 스위치(100)의 우측 조절부(102)와 좌측 조절부(104) 및 상기 골전도 스위치(110)의 우측 조절부(112)와 좌측 조절부(114)를 청각ㆍ언어 장애인의 좌/우 밸런스에 맞도록 청각신호 및 골전도 자극신호의 세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조절부(13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3353A KR101817834B1 (ko) | 2015-09-01 | 2015-09-01 |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3353A KR101817834B1 (ko) | 2015-09-01 | 2015-09-01 |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996A KR20170026996A (ko) | 2017-03-09 |
KR101817834B1 true KR101817834B1 (ko) | 2018-01-11 |
Family
ID=5840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3353A KR101817834B1 (ko) | 2015-09-01 | 2015-09-01 |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78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7414B1 (ko) * | 2020-09-16 | 2022-03-22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 청각 재활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766C (zh) | 1994-04-12 | 2001-04-18 | 松下电气工业株式会社 | 合成式语言训练系统 |
KR19980050924U (ko) | 1996-12-30 | 1998-10-07 | 오상수 |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
KR100528180B1 (ko) | 1999-03-23 | 2005-11-15 | 덴다 후미오 | 청각 훈련 방법 및 청각 훈련용 기록 매체 |
KR100586060B1 (ko) | 1999-03-23 | 2006-06-08 | 후미오 덴다 | 청각 훈련 장치 |
-
2015
- 2015-09-01 KR KR1020150123353A patent/KR10181783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996A (ko) | 2017-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325738A1 (en) | Hearing device | |
KR101468355B1 (ko) | 음향 및 전기 복합 자극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 | |
CN102149427B (zh) | 头颅电刺激电极单元 | |
WO2020040497A1 (ko) | Tens 치료 기능을 가지는 골전도 장치 | |
WO2004032816A2 (en) | Frequency altered feedback for treating non-stuttering pathologies | |
CN111201801A (zh) | 音乐项圈 | |
US20190313184A1 (en) | Headphone with transdermal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 |
KR101745027B1 (ko) | 맞춤형 이명치료장치 및 이명환자 청각세포 자극 방법 | |
KR101817834B1 (ko) | 언어 재활용 청각 훈련 장치 | |
KR20180024651A (ko) | 언어재활 청각 훈련 장치 | |
CN111226445A (zh) | 用于假体辅助通信的先进辅助设备 | |
Tufatulin et al. | The benefits of underwater vibrostimulation in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impaired hearing | |
WO2019220331A1 (en) | Vibro-tactil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earing disorders | |
US20230191129A1 (en) | Auditory neural interface device | |
Firszt | HiResolution sound processing | |
JP6594096B2 (ja) | 補聴器を用いた会話支援システム | |
Politis et al. | Cochlear implants and wireless connectivity Inner-core Connectivity cradling into the 2.4 GHz Arena | |
Nataletti | Design And Evaluation Of Sensory Stimulation Patterns For Enhancing Spatial Awareness | |
RU276473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ития слуха и речи у тугоухих и глухих | |
CN108924722B (zh) | 一种助听装置 | |
TWI609589B (zh) | 聽覺輔助裝置與聽覺輔助運作方法 | |
Slade et al. | Entraining alpha oscillations to facilitate auditory working memory: A TMS-EEG study | |
Lacombe et al. | Hearing | |
WO2024068005A1 (en) | Tinnitus suppress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 |
Veugen | Bimodal Stimulation Towards Binaural Integ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