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308B1 -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308B1
KR101817308B1 KR1020170047388A KR20170047388A KR101817308B1 KR 101817308 B1 KR101817308 B1 KR 101817308B1 KR 1020170047388 A KR1020170047388 A KR 1020170047388A KR 20170047388 A KR20170047388 A KR 20170047388A KR 101817308 B1 KR101817308 B1 KR 10181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expansion member
injection port
open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안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준 filed Critical 안형준
Priority to KR102017004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using expa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레에는 주입구가 형성된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주입구 내에 설치되면서 가압 혹은, 가압 해제에 따라 해당 주입구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하면서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하거나 혹은, 가압 해제하는 팽창부재;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팽창부재를 단열시키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와의 열전도로 인한 온도 저하로 팽창부재가 원치않게 수축됨을 방지하여 동작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local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국부 냉각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입되는 압축공기와의 열전도로 인한 온도 저하로 팽창부재가 원치않게 수축됨을 방지하여 동작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부 냉각장치는 냉각이 필요한 공간 내부나 냉각이 필요한 냉각 대상체로 냉기를 제공하여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이와 같은 국부 냉각장치는 주로 밀폐된 환경 내부나 전기의 사용이 위험한 공간 또는, 저전력 동작을 위한 환경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볼텍스 튜브의 구조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온기와 냉기로 분리함과 더불어 이렇게 분리된 냉기를 냉각이 필요한 공간 내부나 냉각이 필요한 냉각 대상체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국부 냉각장치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385148호, 등록특허 제10-0880276호, 등록특허 제10-1466691호, 등록특허 제10-160784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냉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을 뿐 냉각 대상 부위에 대한 온도에 따른 냉기의 공급량 조절은 사실상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자적 제어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고, 이로써 상기 온도센서의 추가 제공이나 이를 이용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밍이 요구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505574호의 경우와 같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유로부의 개폐정도가 달리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로써 온도센서 및 제어 프로그램이 생략될 수 있게 되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른 팽창부재의 부피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가압부재가 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주입구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우는 가압부재의 끝단이 주입구 내부로 노출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영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가압부재와 맞닿도록 설치된 팽창부재가 상기 가압부재로부터 전도되는 냉기로 인해 오히려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로써 실질적인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른 냉각공기의 주입량이 달리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냉각 대상 부위에 대한 온도에 상관없이 상기 팽창부재가 수축되어 개폐부재를 닫도록 동작되는 현상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505574호 등록특허 제10-1385148호 등록특허 제10-0880276호 등록특허 제10-1466691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거승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입되는 압축공기와의 열전도로 인한 온도 저하로 팽창부재가 원치않게 수축됨을 방지하여 동작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는 둘레에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는 압축공기를 냉기와 온기로 분리하는 냉온기 분리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주입구 내에 설치되면서 해당 주입구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일축 끝단이 상기 주입구 내의 개폐부재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하면서 상기 주입구 내의 개폐부재를 조작하는 팽창부재;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팽창부재를 단열시키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는 단열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팽창부재 중 상기 주입구 내로 노출되는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둘 이상 복수로 분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둘 이상 복수로 분할된 각 팽창부재들 사이에는 각 팽창부재에 비해 더욱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열전도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의 타측 끝단은 구속부재의 일단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속부재의 타단은 상기 몸체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냉각 대상 부위가 위치된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는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라 각 팽창부재의 팽창 길이가 달리 이루어지면서 연통홈의 개폐량이 조절되고, 이로써 압축공기의 주입량에 대한 조절이 별도의 수동 조작이나 전자적 제어를 통한 조작이 없이도 자연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는 개폐부재를 가압하는 부위를 온도에 따라 변형되는 팽창부재로 구성됨과 더불어 이 팽창부재의 끝단측인 주입구 내에 위치되는 부위는 단열부로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주입구를 통과하는 압축공기로 인한 팽창부재의 온도 변화없이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만 영향을 받음에 따라 그 동작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는 분할된 각 팽창부재들 사이에 열전도부재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각 팽창부재들을 서로 일체화시키지 않고도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열전도부재는 위치조절부재로부터도 열전도를 받기 때문에 각 팽창부재들의 더욱 원활한 길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개폐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의 팽창부재와 개폐부재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의 각 팽창부재가 열변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이하, “국부 냉각장치”라 함)는 크게 몸체하우징(100)과, 개폐부재(200)와, 팽창부재(300) 및 단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단열부(400)는 상기 팽창부재(300)가 압축공기에 의해 원치않게 냉각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하우징(100)은 국부 냉각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몸체하우징(100)은 내부에 장착 공간을 갖는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며, 선단측 둘레면에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1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하우징(100) 내에는 상기 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압축공기를 연결유로(120)로부터 전달받아 고속 회전의 소용돌이 현상에 의한 에너지 분리현상으로써 고온의 온기와 저온의 냉기로 분리하기 위한 냉온기 분리관(130)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냉각 대상 부위를 향하는 측)에는 상기 냉온기 분리관(130)으로부터 분리된 냉기를 냉각 대상 부위로 배출하는 냉기배출노즐(1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온기 분리관(130)의 후단에는 상기 냉온기 분리관(130)으로부터 분리된 온기가 배출되는 온기배출노즐(15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후방측 둘레면에는 상기 온기배출노즐(150)을 통해 배출되는 온기의 외부 방출을 위한 배출공(19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주입구(110)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둘레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향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10) 내의 전방측 벽면에는 후술될 개폐부재(200)의 선단 일부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요입된 연통홈(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홈(111)은 상기 주입구(110)와 상기 연결유로(120)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이와 함께, 상기 연통홈(111) 내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선단측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관통공(16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공(160)에 이르기까지 연통되도록 관통된 설치공(17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60) 내로는 후술될 팽창부재(300)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170) 내로는 상기 팽창부재(300)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조절부재(18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부재(180)는 그 선단이 상기 설치공(170)을 통과하여 몸체하우징(100)의 전방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면서 그의 회전 조작에 의해 후술될 팽창부재(300)의 위치를 결정하여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른 압축공기의 주입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위치조절부재(18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방측 외부에 위치된 냉각 대상 부위의 열기를 후술될 팽창부재(30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재(180)에는 상기 관통공(160)과 일치되면서 연장되는 연장공(181)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60) 및 연장공(181)의 내경은 후술될 팽창부재(300)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팽창부재(300)가 직경 방향으로는 변형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만 변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부재(200)는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몸체하우징(100)에 형성된 주입구(110) 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개폐부재(200)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주입구(110)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주입구(110)의 관통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인 해당 몸체하우징(100)의 축방향으로 동작되면서 그 선단 일부가 상기 주입구(110) 내의 연통홈(111)에 수용되어 상기 연통홈(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개폐부재(200)는 그의 전면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통홈(111)을 개방함과 더불어 그의 후단에 설치된 복원스프링(21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통홈(111)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상기 주입구(110)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혹은, 폐쇄된다.
다음으로, 상기 팽창부재(300)는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하면서 상기 주입구(110) 내의 개폐부재(200)를 가압하거나 혹은, 가압 해제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팽창부재(300)는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재질의 로드(rod)로 형성되며, 선단은 위치조절부재(180)의 연장공(181) 내로 수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몸체하우징(100)에 형성된 관통공(16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팽창부재(300)는 열팽창 계수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변형 가능한 피복재로 감싸여진 왁스(wax)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팽창부재(300)가 둘 이상 복수로 분할 형성함과 더불어 서로는 직렬로 맞닿도록 배치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팽창부재(300)를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그 팽창이 이루어지는 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팽창부재(300)의 팽창에 따른 길이의 변형이 더욱 길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둘 이상 복수로 분할된 각 팽창부재(300)들 사이에는 각 팽창부재(300)에 비해 더욱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열전도부재(3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한 열전도부재(31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두 팽창부재(300) 간의 열전도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팽창부재(300)의 팽창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팽창부재(300)가 서로 분할되는 부위는 위치조절부재(180)의 연장공(181) 내부가 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각 팽창부재(300)들 사이에 위치되는 열전도부재(310)가 상기 위치조절부재(180)로부터도 열전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각 팽창부재(300)들의 더욱 원활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열부(400)는 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팽창부재(300)로 열전도됨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단열부(400)는 단열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팽창부재(300) 중 상기 주입구(110) 내로 노출되는 후방측 끝단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단열부(400)에 의해 상기 주입구(110)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낮은 온도와 상기 팽창부재(300)의 높은 온도 간의 열전도됨이 방지되고, 이로써 상기 팽창부재(300)가 원치않게 냉각되면서 수축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팽창부재(300)의 후방측 끝단 부위는 여타 부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된 축경단(320)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단열부(400)의 전면에는 상기 팽창부재(300)의 축경단(320)이 압입 결합될 수 있는 압입공(410)이 요입 형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 냉각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 냉각장치는 몸체하우징(100) 전면의 냉기배출노즐(140)이 냉각 대상 부위를 향하여 냉기를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국부 냉각장치의 위치조절부재(180)는 몸체하우징(100)의 전방측 외부에 위치된 냉각 대상 부위의 열기를 제공받아 이를 팽창부재(300)에 지속적으로 전도한다.
이때, 상기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가 팽창부재(300)를 팽창시킬 정도에 이르기까지 높이 않다면 상기 위치조절부재(180)의 열전도에도 불구하고 상기 팽창부재(300)의 팽창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써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팽창부재(300)는 최초의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개폐부재(200)는 복원스프링(21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선단이 연통홈(111)에 일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주입구(110)와 연결유로(120)는 상기 개폐부재(200)에 의해 가로막혀 서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써 압축공기가 냉온기 분리관(130) 내로 공급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짐에 따른 냉각이 필요시될 경우 해당 냉각 대상 부위의 열기는 상기 위치조절부재(180)를 통해 팽창부재(300)로 열전도되고, 이렇게 전도받은 열로 인해 상기 팽창부재(300)는 점차적인 팽창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팽창부재(300)는 관통공(160) 및 연장공(181)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그 외경은 상기 관통공(160) 및 연장공(18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열로 인해 팽창되는 팽창부재(300)는 직경 방향으로는 변형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만 변형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도 함께 변형될 때에 비해 더욱 긴 길이로 변형된다.
특히, 상기 팽창부재(300)는 둘 이상 복수로 분할되어 제공됨에 따라 팽창되는 표면적이 더욱 넓어짐으로써 그 팽창 길이 역시 단일의 팽창부재(300)에 비해 더욱 긴 길이로 변형되며, 이러한 각 팽창부재(300)들 사이에는 열전도부재(310)가 추가로 구비되면서 각 팽창부재(300)들 간의 더욱 우수한 열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그 팽창 길이는 더욱 길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팽창부재(300)의 길이 변형이 이루어지면 이 팽창부재(300)의 후방측 끝단에 결합된 단열부(400)는 점차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부재(200)를 점차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개폐부재(200)의 선단은 연통홈(11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연통홈(111)을 개방하게 된다.
계속해서, 국부 냉각장치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는 주입구(110)과 연통홈(111) 및 연결유로(1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냉온기 분리관(130) 내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팽창부재(300)의 후방측 끝단은 그 팽창 변형으로 인해 연통홈(111) 내에 이르기까지 변형되지만, 이러한 팽창부재(300)의 후방측 끝단을 단열부(400)가 감싸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팽창부재(300)는 상기 주입구(110)로부터 연결유로(120)로 제공되는 압축공기의 영향에 따른 냉각됨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120)를 통해 냉온기 분리관(130) 내로 제공된 압축공기는 상기 냉온기 분리관(130)을 따라 유동되는 도중 냉기와 온기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온기는 상기 냉온기 분리관(130) 내의 벽면을 타고 후방으로 유동되면서 온기배출노즐(150)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냉기는 상기 냉온기 분리관(130) 내의 중앙측 부위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되면서 냉기배출노즐(140)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배출노즐(140)을 통해 배출되는 냉기로 인해 냉각 대상 부위는 냉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각 대상 부위가 상기 냉기의 영향을 받아 냉각되면서 온도가 점차 하락되면 이 냉각 대상 부위의 열기를 위치조절부재(180)로부터 전도받게 되는 팽창부재(300)는 점차적으로 수축되면서 그 길이가 점차 짧아지며, 이와 동시에 복원스프링(2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300)의 짧아진 길이만큼 개폐부재(200)의 선단이 연통홈(111)을 폐쇄함으로써 압축공기의 공급량 및 이로 인한 냉기의 제공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물론, 상기한 냉각 작용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가 다시금 높아질 경우에는 그 높아진 온도만큼 팽창부재(300)가 팽창되면서 길어짐과 더불어 이 길어진 거리만큼 연통홈(111)의 개방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더욱 많은 양의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결국,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는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라 각 팽창부재(300)의 팽창 길이가 달리 이루어지면서 연통홈(111)의 개폐량이 조절되고, 이로써 압축공기의 주입량에 대한 조절이 별도의 수동 조작이나 전자적 제어를 통한 조작이 없이도 자연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는 개폐부재(200)를 가압하는 부위를 온도에 따라 변형되는 팽창부재(300)로 구성됨과 더불어 이 팽창부재(300)의 끝단측인 주입구(110) 내에 위치되는 부위는 단열부(400)로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주입구(110)를 통과하는 압축공기로 인한 팽창부재(300)의 온도 변화없이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만 영향을 받음에 따라 그 동작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는 분할된 각 팽창부재(300)들 사이에 열전도부재(310)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각 팽창부재(300)들을 서로 일체화시키지 않고도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열전도부재(310)는 위치조절부재(180)로부터도 열전도를 받기 때문에 각 팽창부재(300)들의 더욱 원활한 길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개폐부재(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0. 몸체하우징 110. 주입구
111. 연통홈 120. 연결유로
130. 냉온기 분리관 140. 냉기배출노즐
150. 온기배출노즐 160. 관통공
170. 설치공 180. 위치조절부재
181. 연장공 190. 배출공
200. 개폐부재 210. 복원스프링
300. 팽창부재 310. 열전도부재
320. 축경단 400. 단열부
410. 압입공

Claims (5)

  1. 둘레에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는 압축공기를 냉기와 온기로 분리하는 냉온기 분리관이 구비되며,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선단측에는 축방향을 향해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주입구 내에 설치되면서 가압 혹은, 가압 해제에 따라 해당 주입구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몸체하우징의 관통공 내에 설치되며, 냉각 대상 부위의 온도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하면서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 혹은, 가압 해제하는 팽창부재;
    단열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팽창부재 중 상기 주입구 내로 노출되는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팽창부재를 단열시키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경은 상기 팽창부재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팽창부재가 직경 방향으로는 변형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만 변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팽창부재는 둘 이상 복수로 분할 형성되면서 서로 직렬로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둘 이상 복수로 분할된 각 팽창부재들 사이에는 각 팽창부재에 비해 더욱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열전도부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하우징 내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공에 이르기까지 연통되도록 관통된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 내로는 상기 팽창부재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조절부재의 후단이 삽입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선단은 몸체하우징의 전방측 외부로 돌출되면서 냉각 대상 부위가 위치된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KR1020170047388A 2017-04-12 2017-04-12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KR10181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88A KR101817308B1 (ko) 2017-04-12 2017-04-12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88A KR101817308B1 (ko) 2017-04-12 2017-04-12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308B1 true KR101817308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388A KR101817308B1 (ko) 2017-04-12 2017-04-12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3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220B1 (ko) 2010-11-18 2012-07-16 이종삼 볼텍스 튜브
KR101505574B1 (ko) * 2014-11-12 2015-03-25 (주)세양메카트로닉스 국부 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220B1 (ko) 2010-11-18 2012-07-16 이종삼 볼텍스 튜브
KR101505574B1 (ko) * 2014-11-12 2015-03-25 (주)세양메카트로닉스 국부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3466A (en) Hot runner heating clamp
US7465165B2 (en) Configurable manifold
US8328549B2 (en) Heating apparatus for fluid flow channel
US5360333A (en) Band heater clamp arrangement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EP2639424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oling device
EP1466715B1 (en) Hot runner nozzle with melt sealing
JP2006275179A (ja) 圧縮ガス貯蔵装置
US5896640A (en) Deflection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JP4308149B2 (ja) スプルー装置
KR101817308B1 (ko)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CN110997272B (zh) 注射单元、模具和注射成型系统
JP2008138673A (ja) エンジン冷却システム用のサーモスタット組立体
CN105164597A (zh) 卫生嵌装件和淋浴装置
US20200200066A1 (en) Axial fluid spray nozzle with vent valve
JPH10329175A (ja) マルチキャビティ式射出成形装置
US7275697B2 (en) Thermostatic valve for a cooling circuit
JP4405683B2 (ja) ロケットエンジン用の燃焼室冷却構造
KR20170141866A (ko) 능동형 온도제어가 가능한 핫러너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US20160158990A1 (en) Blown Film Extru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JP5128147B2 (ja) 射出成形装置
KR20190069779A (ko) 동작성 향상형 국부 냉각장치
CN109973198A (zh) 一种高安全性电机调温器及其工作方法
US10802514B2 (en) Dual mode thermal actuator
US20130048741A1 (en) Thermostatic valve assembly
EP3688292A1 (en) A thermostat assembly with an improved bypa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