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276B1 -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276B1
KR101817276B1 KR1020160157590A KR20160157590A KR101817276B1 KR 101817276 B1 KR101817276 B1 KR 101817276B1 KR 1020160157590 A KR1020160157590 A KR 1020160157590A KR 20160157590 A KR20160157590 A KR 20160157590A KR 101817276 B1 KR101817276 B1 KR 10181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fuel cell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인
최민성
Original Assignee
(주)진원테크놀로지
씨알이엔지 주식회사
박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원테크놀로지, 씨알이엔지 주식회사, 박종인 filed Critical (주)진원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6015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 F24D11/005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with recuperation of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05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ion of waste heat
    • F24D17/001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ion of waste heat with accumulation of heate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2Hot water storage tan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24D2200/19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01M2250/405Cogeneration of heat or hot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8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ed or waste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열을 회수하여 난방수로 공급하거나 상수를 데울 수 있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는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회수하여 냉수를 온수로 변화시키는 제1열교환기와,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온수가 이동되는 배출배관과, 배출배관과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수공급배관이 연결되고 제2열교환기에 의해 데워진 상수를 배출하는 급탕공급배관이 연결되는 급탕탱크와, 배출배관과 연결되며 온수를 배출하는 난방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제1난방탱크와, 배출된 온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이 연결되며 제1난방탱크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는 제2난방탱크와, 제2난방탱크 제2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온수를 환수하는 유입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HEA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FUR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열을 온수의 형태로 회수하여 상수를 데우거나, 난방수로 공급할 수 있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전기에너지의 생산 시에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열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과 열교환하여 회수되며, 열교환된 물은 온수로 변환하게 된다.
이러한 온수는 회수되어 이용되지 않고 그대로 낭비되어, 온수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료전지에서 발상해는 열을 회수하여 온수로 변화된 물을 난방 및 급탕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71986호가 있다. (2014.03.03. 공동주택 연료전지 시스템)
그런데 상기 기술은 연료전지에 의해 열교환된 온수가 직접 생활수로 제공되는 것으로, 연료전지의 열교환기에 생활수로 사용 가능한 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즉, 직접 사람의 몸에 접촉하는 생활수뿐만 아니라, 직접 사람의 몸에 접촉하지 않는 난방수도 상수로 이용되기 때문에,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난방 및 급탕에 이용한다 하더라도 경제적인 장점이 크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열교환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치 못한 온도의 온수가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생활수와 난방수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연료전지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198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활수와 난방수를 구분하여 제공하며, 온수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연료전지의 가동을 제어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는 연료전지에 설치되며,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회수하여 냉수를 온수로 변화시키는 제1열교환기와,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온수가 이동되는 배출배관과, 배출배관과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공급배관이 연결되고, 제2열교환기에 의해 데워진 상수를 배출하는 급탕공급배관이 연결되는 급탕탱크와, 배출배관과 연결되며, 온수를 저장하고 배출하는 난방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제1난방탱크와, 배출된 온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이 연결되며, 제1난방탱크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는 제2난방탱크와, 제2난방탱크 및 제2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온수를 제1열교환기로 환수하는 유입배관과, 온수 및 상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급탕공급배관은 제2온도감지센서와, 내부에 위치한 제1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난방환수배관은 제3온도감지센서와, 내부에 위치한 온수가 상기 제1난방탱크 또는 제2난방탱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2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2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상수의 온도에 따라, 제1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3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온수의 온도에 따라, 제2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열교환기는 제1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온수의 온도에 따라, 연료전지의 동작 및 제1열교환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난방탱크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4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2난방탱크는, 상중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5온도감지센서와, 제6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급탕탱크는, 상중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7온도감지센서와, 제8온도감지센서와, 제9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4온도감지센서 내지 제9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 또는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온수 또는 상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배관은, 연료전지와 연결되는 메인배출배관과, 일단은 메인배출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열교환기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배출배관과, 일단은 메인배출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1난방탱크와 연결되는 제2배출배관을 포함하고, 유입배관은, 연료전지와 연결되는 메인유입배관과, 일단은 메인유입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열교환기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유입배관과, 일단은 메인유입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난방탱크와 연결되는 제2유입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유입배관은 제10온도감지센서와, 제1유입배관과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3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0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온수의 온도에 따라, 제3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은 제1열교환기를 가동하여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해 냉수를 온수로 변화시키는 단계와, 온수를 제1열교환기와 연결된 배출배관을 통해 급탕탱크와, 제1난방탱크에 공급하는 단계와, 제1열교환기에 형성된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에 따라 연료전지 및 제1열교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공급된 온수를 유입배관을 통해 제1열교환기로 환수하는 단계와, 급탕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급탕탱크로 공급된 온수에 의해 데워진 상수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탕공급배관에 형성된 제2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상수의 온도를 기초로 상기 상수가 기설정된 제2온도를 유지하도록 급탕공급배관에 형성된 제1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전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전지를 가동하는 단계와,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이상인 경우, 연료전지 및 제1열교환기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난방탱크에서 외부로 공급된 온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에 형성된 제3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3온도 이상일 경우, 환수한 온수를 제1난방탱크로 유입하는 단계와, 입력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3온도 미만일 경우, 환수한 온수를 제2난방탱크로 유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난방탱크에 하부에 형성된 제4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고, 제2난방탱크에 상중부에 각각 형성된 제5온도감지센서 및 제6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고, 급탕탱크의 상중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7온도감지센서, 제8온도감지센서 및 제9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제4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4온도이하 이거나, 제7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5온도 이하이면, 연료전지 전체를 가동하는 단계와, 제5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제4온도이상 이거나, 제8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가 제5온도 이상이면, 연료전지를 제1가동조건으로 가동하는 단계와, 제6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6온도 이상이거나, 제9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가 제7온도 이상이면, 연료전지를 제2가동조건으로 가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가동조건은 제2가동조건보다 높은 비율로 연료전지를 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입배관에 형성된 제10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제10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8온도 이하이면, 유입배관에 형성된 제3개폐밸브를 동작하여 급탕탱크로 유입되는 온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활수와 난방수로 공급되는 물이 상이하기 때문에, 생활수와 난방수가 모두 상수로 제공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 및 밸브가 설치되어, 온수의 온도에 따라 밸브를 동작하고 연료전지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난방수 및 생활수의 온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연료전지 및 제1열교환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연료전지 가동 및 상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온수의 환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연료전지의 가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급탕탱크로의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1)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1)는 연료전지(100), 제1열교환기(110), 배출배관(200), 급탕탱크(300), 제1난방탱크(400), 제2난방탱크(500), 유입배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연료전지(100)는 산화 환원반응을 하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구성요소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탄화 수소 계열의 연료를 개질하여 정제된 수소 또는 탄화수소 계열의 연료와 공기를 직접 연료전지(100)에 공급하여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가 생산된다.
고체 고분자 막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연료전지(100)를 일 예로 설명하면, 연료전지(100)는 전극과,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전해질 막,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단위 셀이 복수로 적층된 구조로 전해질 막을 사이에 두고 양극과 음극이 부착된 스택을 포함한다. 양극에는 수소 또는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가 공급되고, 음극에는 산소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가 공급된다.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면, 양극에서는 수소의 전기화학적 산화가 발생하고, 음극에서는 산소의 전기 화학적 환원이 발생된다. 산화, 환원 반응은 전자를 생성하게 되고, 전자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킨다. 연료전지(100)의 구조는 공지의 구조로 구조와 관련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열교환기(110)는 연료전지(100)에서 발생한 열을 물로 회수하여 연료전지(100)의 온도를 낮춰 발전효율을 증대시키는 구성요소로, 연료전지(100)에 형성된다. 이때, 제1열교환기(110)의 내부에는 물이 위치하며, 물은 열을 회수하여 온수로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열교환기(110)는 제1온도감지센서(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온도감지센서(111)는 제1열교환기(110)를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한다. 제1온도감지센서(111)는 배출배관(200)과 연결되는 제1열교환기(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배출배관(200)으로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열교환기(110)와 배출배관(200), 제1열교환기(110)와 유입배관(600) 사이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밸브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배출배관(200)은 제1열교환기(110)에 의해 열을 회수한 물(이하, 온수)을 급탕탱크(300) 및 제1난방탱크(40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1열교환기(1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즉, 배출배관(200)의 일단은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되며 타단은 두 갈래로 갈라져 급탕탱크(300) 및 제1난방탱크(40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배관(200)은 메인배출배관(210), 제1배출배관(220) 및 제2배출배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배출배관(210)은 일단이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제1배출배관(220) 및 제2배출배관(23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배출배관(210)과 연결되지 않은 제1배출배관(220)의 일단은 급탕탱크(300)의 제2열교환기(3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배출배관(210)과 연결되지 않은 제2배출배관(230)의 일단은 제1난방탱크(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입배관(610)은 제10온도감지센서(612) 및 제3개폐밸브(6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0온도감지센서(612)는 메인유입배관(610)을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3개폐밸브(611)는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제1유입배관(620)에서 메인유입배관(610)으로 흐르는 온수의 유량을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즉, 제3개폐밸브(611)는 제1유입배관(620)으로의 온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제2유입배관(630)으로의 온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3개폐밸브(611)가 제1유입배관(620)에서 메인유입배관(610)으로 흐르는 온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메인배출배관(210)에서 제1배출배관(220)으로 흐르는 온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급탕탱크(300)는 상수를 데워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급탕탱크(300)는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공급배관(320)이 연결되어 내부로 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급탕탱크(300)의 내부에는 배출배관(200)과 연결되어 온수가 통과하는 제2열교환기(310)가 설치되고, 제2열교환기(310)에 의해 급탕탱크(300) 내부의 상수가 데워질 수 있다. 즉, 제2열교환기(310)를 통과하는 온수와 급탕탱크 내부의 상수가 열교환할 수 있다. 데워진 상수는 급탕공급배관(3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급탕공급배관(330)은 제2온도감지센서(331) 및 제1개폐밸브(3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온도감지센서(331)은 급탕공급배관(330)을 흐르는 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개폐밸브(332)는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수의 유량을 비례제어 할 수 있고, 일정한 온도의 상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탕공급배관(330)에는 급탕공급배관(330)과 급탕탱크(300)의 유로를 차단하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급탕탱크(300)의 상중하부에는 각각 제7온도감지센서(340), 제8온도감지센서(350) 및 제9온도감지센서(360)가 형성될 수 있다. 제7온도감지센서(340) 내지 제9온도감지센서(360)는 급탕탱크(300)의 상중하부에 위치한 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난방탱크(400)는 제1열교환기(110)에 의해 데워진 온수를 저장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난방탱크(400)는 배출배관(200)과 연결되어 제1난방탱크(400)의 내부로 온수가 공급된다. 제1난방탱크(400)에 저장된 온수는 제1난방탱크(400)와 연결된 난방공급배관(41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난방탱크(400)의 하부에는 제4온도감지센서(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4온도감지센서(420)는 제1난방탱크(400)의 하부에 위치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난방공급배관(410)에는 난방공급배관(410)과 제1난방탱크(400)의 유로를 차단하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난방탱크(500)는 난방공급배관(41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 온수를 환수 및 저장하여, 제1난방탱크(400) 또는 제1열교환기(11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난방환수배관(520)과 연결되며, 제1난방탱크(400)와는 연결배관(510)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배관(510)은 난방환수배관(520)의 제2개폐밸브(522)와도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난방환수배관(520)은 제3온도감지센서(521) 및 제2개폐밸브(5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온도감지센서(521)는 난방환수배관(520)을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개폐밸브(522)는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온수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2개폐밸브(522)는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온수를 제1난방탱크(400) 또는 제2난방탱크(5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개폐밸브(522)는 난방환수배관(520)의 일부를 차단하여 온수가 연결배관(510)으로만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배관(510)으로의 연결을 차단하여 온수가 난방환수배관(520)으로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난방탱크(500)의 상중부에는 제5온도감지센서(530) 및 제6온도감지센서(5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5온도감지센서(530) 및 제6온도감지센서(540)는 제2난방탱크(500)의 상중부에 위치한 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유입배관(600)은 제2열교환기(310) 및 제2난방탱크(500)에 위치한 물을 회수하여, 다시 제1열교환기(110)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1열교환기(110)의 타단과 연결된다. 즉, 유입배관(600)의 일단은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되며, 타단은 두 갈래로 갈라져 제2열교환기(310) 및 제2난방탱크(50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배관(600)은 메인유입배관(610), 제1유입배관(620) 및 제2유입배관(6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입배관(610)은 일단이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제1유입배관(620) 및 제2유입배관(63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입배관(610)과 연결되지 않은 제1유입배관(620)의 일단은 제2열교환기(31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입배관(610)과 연결되지 않은 제2유입배관(630)의 일단은 제2난방탱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1)는 급탕탱크 급수관(800) 및 유량감지부(8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급탕탱크 급수관(800)은 급탕탱크(300)와 연결되고, 유량감지부(810)는 급탕탱크 급수관(800)에 형성된다. 유량감지부(810)는 유량의 감지에 따라 발생하는 유량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제어부(700)는 열 회수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700)는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제1열교환기(110)를 통과하는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1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1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 및 제1열교환기를 가동하고, 기설정된 제1온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를 가동한다.
제어부(700)는 급탕탱크의 급수관에 형성된 유량감지부(810)로부터 유량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연료전지를 가동하고, 제2온도감지센서(331)로부터 급탕공급배관(330)을 통과하는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2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2온도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개폐밸브(332)를 비례제어한다.
제어부(700)는 제3온도감지센서(521)로부터 난방환수배관(520)을 통과하는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3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3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난방환수배관(520)의 온수를 제1난방탱크(400)로 유입하고, 기설정된 제3온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난방환수배관(520)의 온수를 제2난방탱크(500)로 유입한다.
제어부(700)는 제4온도감지센서(420)로부터 제1난방탱크(400) 내부에 위치한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4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4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를 전체 가동한다.
제어부(700)는 제7온도감지센서(340)로부터 급탕탱크(300) 내부에 위치한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5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5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를 전체 가동한다.
제어부(700)는 제5온도감지센서(530)로부터 제2난방탱크(500) 내부에 위치한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4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4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100)를 제1가동조건으로 가동한다.
제어부(700)는 제8온도감지센서(350)로부터 급탕탱크(300) 내부에 위치한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5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5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100)를 제1가동조건으로 가동한다.
제어부(700)는 제6온도감지센서(540)로부터 제2난방탱크(500) 내부에 위치한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6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6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100)를 제2가동조건으로 가동한다.
제어부(700)는 제9온도감지센서(360)로부터 급탕탱크(300) 내부에 위치한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7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7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100)를 제2가동조건으로 가동한다.
이때, 제1가동조건은 제2가동조건보다 높은 비율로 연료전지(100)를 가동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가동조건은 연료전지(100)를 75% 가동하는 것이며, 제2가동조건은 연료전지(100)를 50% 가동하는 것이다.
제어부(700)는 제10온도감지센서(612)로부터 유입배관(600) 내부에 위치한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제8온도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제8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급탕탱크(300)측으로 온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3개폐밸브(611)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수의 부피 변화로 인해 급탕탱크(300), 제2난방탱크(500) 및 유입배관(600)의 손상을 방지하는 급탕용 팽창탱크(1000) 및 난방용 팽창탱크(9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난방용 팽창탱크(900)는 제2난방탱크(500)와 연결되며, 급탕용 팽창탱크(1000)는 급탕탱크(300)와 연결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연료전지(100)의 열 회수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연료전지(100)의 열 회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100)의 열 회수 방법 중 연료전지(100) 및 제1열교환기(11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0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1열교환기(110)를 가동하여, 제1열교환기(110)에 위치한 물이 연료전지(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여, 온수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한다. S11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S100단계를 거쳐 온수로 변화된 물을 배출배관(200)을 통해 급탕탱크(300)와 제1난방탱크(400)에 공급한다.
S12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1열교환기(110)에 형성된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제1열교환기에 위치한 온수의 온도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온수의 온도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S130단계에서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1)가 기설정된 제1온도이상 인지 판단한다.
S130단계에서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1)가 기설정된 제1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S14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연료전지(100) 및 제1열교환기(110)의 가동을 정지한다.
S130단계에서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1)가 기설정된 제1온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S15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연료전지(100)를 가동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700)는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1)가 40 ℃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 및 냉각수의 가동을 정지하고, 제1온도감지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1)가 40 ℃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전지의 가동을 정지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140단계 또는 S150단계 이후, 배출배관(200)을 통해 급탕탱크(300) 및 제1난방탱크(400)에 공급된 온수를 유입배관(600)을 통해 제1열교환기(110)로 환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1열교환기(110) 내부에 위치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물의 온도에 따라 제1열교환기(110) 및 연료전지(10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급탕탱크(300)와 제1난방탱크(4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연료 연료전지 가동 및 상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20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급탕탱크 급수관(800)에 형성된 유량감지부(810)로부터 유량감지신호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S21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유량감지부(810)로부터 유량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유량감지부(810)로부터 유량감지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S220단계에서 연료전지(100)를 가동한다. 제어부(700)는 유량감지부(810)로부터 유량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S230단계로 진행한다.
S23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급탕공급배관(330)에 형성된 제2온도감지센서(331)로부터 상수의 온도를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제2온도감지센서(331)로부터 온도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S240단계에서 제2온도감지센서(331)로부터 입력된 온도(T2)가 기설정된 제2온도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S23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2온도감지센서(331)로부터 상수의 온도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S210단계로 돌아간다.
제2온도감지센서(331)로부터 입력된 온도(T2)가 기설정된 제2온도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S25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급탕공급배관(330)에 형성된 제1개폐밸브(332)의 동작을 비례제어하여, 외부로 일정한 온도의 데워진 상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원발명의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을 이용하면, 유량의 흐름 여부에 따라 연료전지(100)의 가동이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연료전지의 가동을 조절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급탕공급배관(330)을 흐르는 데워진 상수의 온도에 따라 제1개폐밸브의 동작이 비례 제어되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의 데워진 상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온수의 환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30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난방환수배관(520)에 형성된 제3온도감지센서(521)로부터 난방환수배관(520)을 통과하는 온수의 온도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S31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3온도감지센서(531)로부터 온수의 온도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제3온도감지센서(531)로부터 온수의 온도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S32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3온도감지센서(53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3)가 기설정된 제3온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제3온도감지센서(53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3)가 기설정된 제3온도 이상인 경우, S33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난방환수배관(520)을 통과하는 온수를 제1난방탱크(400)로 유입하고, 제3온도감지센서(531)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3)가 기설정된 제3온도 미만인 경우, 환수한 온수를 제2난방탱크(500)로 유입한다. 이때, 제2난방탱크(500)는 난방환수배관(520)과 연결되고, 제1난방탱크(400)와 연결배관(510)으로 연결된다.
본원발명은 난방 후 환수되는 온수의 온도에 따라, 다시 난방수로 이용하거나, 연료전지(100)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로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연료전지의 가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40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4온도감지센서(420) 내지 제9온도감지센서(360)로부터 제1난방탱크(400), 제2난방탱크(500) 및 급탕탱크(300) 내부에 위치한 온수 및 상수의 온도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S41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4온도감지센서(420) 내지 제9온도감지센서(360)로부터 온수 및 상수의 온도가 입력되는 판단한다. S42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4온도감지센서(42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4)가 기설정된 제4온도 이하인지 판단하거나, 제7온도감지센서(340)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7)가 기설정된 제5온도 이하인지 판단한다.
제4온도감지센서(42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4)가 기설정된 제4온도 이하이거나, 제7온도감지센서(340)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7)가 기설정된 제5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S45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연료전지(100)를 전체 가동한다.
제4온도감지센서(42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4)가 기설정된 제4온도를 초과하고, 제7온도감지센서(340)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7)가 기설정된 제5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S43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5온도감지센서(53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5)가 기설정된 제4온도 이상인지 판단하거나 제8온도감지센서(350)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7)가 기설정된 제5온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제5온도감지센서(53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5)가 기설정된 제4온도 이상이거나 제8온도감지센서(350)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7)가 기설정된 제5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S46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연료전지(100)를 제1가동조건으로 가동한다.
제5온도감지센서(53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5)가 기설정된 제4온도 미만이고, 제8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8)가 기설정된 제5온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S44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6온도감지센서(54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6)가 기설정된 제6온도 이상인지 판단하거나, 제9온도감지센서(360)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9)가 기설정된 제7온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제6온도감지센서(540)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6)가 기설정된 제6온도 이상이거나 제9온도감지센서(360)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T9)가 기설정된 제7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S47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연료전지(100)를 제2가동조건으로 가동한다. 이때, 제1가동조건은 제2가동조건보다 높은 비율로 연료전지(100)를 가동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가동조건은 연료전지(100)를 75% 가동하는 것이며, 제2가동조건은 연료전지(100)를 50% 가동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을 이용하면, 제1난방탱크(400) 및 제2난방탱크(500)에 저장된 온수 및 급탕탱크(300)에 저장된 상수의 온도에 따라 연료전지(100)의 가동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연료전지(100)를 가동하며, 일정한 온도의 온수 및 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중 급탕탱크(300)로의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50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배출배관(200)에 형성된 제10온도감지센서(612)로부터 유입배관(600)을 통과하는 온수의 온도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S51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10온도감지센서(612)로부터 온수의 온도(T10)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제10온도감지센서(612)로부터 온도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S52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10온도감지센서(612)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10)가 기설정된 제8온도 이하인지 판단한다.
제10온도감지센서(612)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T10)가 기설정된 제8온도 이하인 경우, S530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제3개폐밸브(611)를 제어하여, 급탕탱크(300) 온수공급을 차단하도록 제3개폐밸브(611)를 제어한다. 따라서, 급탕탱크(300) 내부에 위치한 상수가 제2열교환기(310)로 공급되는 특정온도 이하의 온수에 의해 온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활수와 난방수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수와 난방수로 공급되는 물이 상이하여 생활수와 난방수가 모두 상수로 제공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 및 밸브가 설치되어, 온수의 온도에 따라 밸브를 동작하고 연료전지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난방수 및 생활수의 온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100 : 연료전지
200 : 배출배관
300 : 급탕탱크
400 : 제1난방탱크
500 : 제2난방탱크
600 : 유입배관
700 : 제어부

Claims (12)

  1. 연료전지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회수하여 냉수를 온수로 변화시키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온수가 이동되는 배출배관과,
    상기 배출배관과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공급배관이 연결되고, 제2열교환기에 의해 데워진 상수를 배출하는 급탕공급배관이 연결되는 급탕탱크와,
    상기 배출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를 저장하고 배출하는 난방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제1난방탱크와,
    상기 배출된 온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1난방탱크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는 제2난방탱크와,
    상기 제2난방탱크 및 상기 제2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온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로 환수하는 유입배관과,
    상기 온수 및 상기 상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탕공급배관은 제2온도감지센서와, 내부에 위치한 제1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방환수배관은 제3온도감지센서와, 내부에 위치한 온수가 상기 제1난방탱크 또는 제2난방탱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2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상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3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온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는 제1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온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의 동작 및 상기 제1열교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방탱크는, 하부에 설치되는 제4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난방탱크는, 상중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5온도감지센서와, 제6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탕탱크는, 상중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7온도감지센서와, 제8온도감지센서와, 제9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온도감지센서 내지 상기 제9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 또는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온수 또는 상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은,
    상기 연료전지와 연결되는 메인배출배관과,
    일단은 상기 메인배출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배출배관과,
    일단은 상기 메인배출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난방탱크와 연결되는 제2배출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배관은,
    상기 연료전지와 연결되는 메인유입배관과,
    일단은 상기 메인유입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열교환기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유입배관과,
    일단은 상기 메인유입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난방탱크와 연결되는 제2유입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입배관은 제10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제1유입배관과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3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0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온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3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7. 제1열교환기를 가동하여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해 냉수를 온수로 변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온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연결된 배출배관을 통해 급탕탱크와, 제1난방탱크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열교환기에 형성된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공급된 온수를 유입배관을 통해 제1열교환기로 환수하는 단계와,
    상기 급탕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탕탱크로 공급된 온수에 의해 데워진 상수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탕공급배관에 형성된 제2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상수의 온도를 기초로 상기 상수가 기설정된 제2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급탕공급배관에 형성된 제1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연료전지를 가동하는 단계와,
    상기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연료전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방탱크에서 외부로 공급된 온수를 환수하는 난방환수배관에 형성된 제3온도감지센서로부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3온도 이상일 경우, 환수한 온수를 상기 제1난방탱크로 유입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3온도 미만일 경우, 환수한 온수를 제2난방탱크로 유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방탱크에 하부에 형성된 제4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제2난방탱크에 상중부에 각각 형성된 제5온도감지센서 및 제6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급탕탱크의 상중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7온도감지센서, 제8온도감지센서 및 제9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4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4온도이하 이거나, 상기 제7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5온도 이하이면, 상기 연료전지 전체를 가동하는 단계와,
    상기 제5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제4온도이상 이거나, 상기 제8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가 제5온도 이상이면, 상기 연료전지를 제1가동조건으로 가동하는 단계와,
    상기 제6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6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제9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상수의 온도가 제7온도 이상이면, 연료전지를 제2가동조건으로 가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동조건은 상기 제2가동조건보다 높은 비율로 연료전지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배관에 형성된 제10온도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온수의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0온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8온도 이하이면, 상기 유입배관에 형성된 제3개폐밸브를 동작하여 급탕탱크로 유입되는 온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열 회수 방법.
KR1020160157590A 2016-11-24 2016-11-24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181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90A KR101817276B1 (ko) 2016-11-24 2016-11-24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90A KR101817276B1 (ko) 2016-11-24 2016-11-24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276B1 true KR101817276B1 (ko) 2018-01-17

Family

ID=6102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590A KR101817276B1 (ko) 2016-11-24 2016-11-24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672B1 (ko) * 2020-06-15 2021-03-02 주식회사 동성에너지 급탕용 전기보일러를 갖는 난방시스템
KR102520013B1 (ko) * 2022-11-15 2023-04-10 주식회사 이스퀘어이앤씨 부하 반응형 연료전지 자동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390A (ja) * 2000-09-05 2002-03-15 Toyota Industries Corp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390A (ja) * 2000-09-05 2002-03-15 Toyota Industries Corp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672B1 (ko) * 2020-06-15 2021-03-02 주식회사 동성에너지 급탕용 전기보일러를 갖는 난방시스템
KR102520013B1 (ko) * 2022-11-15 2023-04-10 주식회사 이스퀘어이앤씨 부하 반응형 연료전지 자동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8083C (zh) 燃料电池系统
EP2420472B1 (en) Hydrogen generation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802571B1 (ko) 연료전지의 폐열을 이용한 냉난방 장치
US8470484B2 (en) Fuel cell system
US20100291451A1 (en) Fuel cell system
EP2065961B1 (en) Fuel cell system
CN107425210A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冷启动系统及工作方法
CN101828292A (zh) 燃料电池系统的热回收设备
WO2008016216A1 (en) Fuel cell system and cool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17276B1 (ko) 연료전지의 열 회수 장치 및 방법
KR20100091020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10126B1 (ko) 연료전지 시스템
JP201510340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361125B2 (ja) 燃料電池装置
CN103229340B (zh) 使用于低于冰点的环境条件的燃料电池电站操作系统和方法
KR101362445B1 (ko) 연료 변환기의 폐열을 이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0700548B1 (ko) 연료전지의 난방/온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006204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20077097A1 (en) Fuel cel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0671682B1 (ko) 액체연료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및 방법
JP2008186791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1080311B1 (ko) 분리형 보조 버너를 갖는 연료전지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JP2011233378A (ja) 燃料電池給湯システム
KR101200689B1 (ko) 연료 전지의 열 회수 장치
US20180069250A1 (en) Fuel cell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