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052B1 -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 Google Patents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052B1
KR101817052B1 KR1020120082334A KR20120082334A KR101817052B1 KR 101817052 B1 KR101817052 B1 KR 101817052B1 KR 1020120082334 A KR1020120082334 A KR 1020120082334A KR 20120082334 A KR20120082334 A KR 20120082334A KR 101817052 B1 KR101817052 B1 KR 10181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e
back plate
receiving plate
fixing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410A (ko
Inventor
마사야 미나미가와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Abstract

(과제) 간이한 구조로, 단열재를 장기간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는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과, 스프링부와, 암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띠장 고정 부재.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은 평판상으로, 서로 대면하고 있으며, 상기 띠장 수용판은 중심부에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돌출된 암나사부 걸림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배면판은 중심부에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스프링부는 상기 띠장 수용판과 상기 배면판을 연결하고 있으며, 암나사부는 내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암나사부 걸림부에 의해 걸려 있다. 그리고, 건물의 시공 구조로서, 띠장 고정 부재는 콘크리트벽과 그 외측에 배치된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구체벽에, 암나사부가 볼트와 나사 결합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띠장 수용판이 상기 띠장을, 배면판이 상기 단열재를 가압하고 있다.

Description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FURRING STRIP FIXING MEMBER AND CONSTRUC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경량 기포 콘크리트 등의 콘크리트제 건물의 구체벽(軀體壁; skeleton wall)에, 일정 간격을 두고 띠장(胴緣)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띠장 고정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콘크리트제 건물의 구체벽의 외측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또한, 그 외측에 공기층을 설치하고, 상기 공기층을 개재하여 외벽재를 장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암나사부와 고정부를 갖는 보강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볼트와, 콘크리트 외벽에 고정되는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채널로 이루어지는 외장재 장착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는 그 암나사부에 있어서 볼트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동시에, 그 고정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외장재 장착구에서는, 단열재를 콘크리트벽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단열재 고정 플레이트로 별도로 단열재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어 손이 많이 간다. 또한, 경년(經年), 지진 등에 의해, 단열재 고정 플레이트가 느슨해지고, 단열재의 고정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90045호
본 발명은 간이한 구조로, 단열재를 장기간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는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띠장 고정 부재와 그것을 사용한 건물의 시공 구조를 제공한다.
띠장 고정 부재는 건물의 구체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띠장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과, 스프링부와, 암나사부로 이루어진다.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은 평판상으로, 서로 대면하고 있다. 띠장 수용판은 중심부에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돌출된 암나사부 걸림부를 가지고 있다. 배면판은 중심부에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부는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을 연결하고 있다. 암나사부는 내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암나사부 걸림부에 의해 걸려 있다. 그리고, 띠장 수용판의 관통공과, 암나사부의 관통공과, 배면판의 관통공은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띠장 고정 부재는 볼트를 개재하여 건물의 구조 구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프링부의 반발에 의해, 띠장 수용판이 띠장을, 배면판이 단열재를 장기간에 걸쳐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암사나부가 띠장 수용판에 형성된 암나사부 걸림부에 의해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암나사부는 띠장 수용판과 일체형인 경우보다도 상기 띠장 수용판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렵다. 그것에 의해, 볼트의 느슨함이 억제되고, 띠장 고정 부재의 고정은 강고해진다. 또한, 띠장 수용판에 있어서, 암나사부 걸림부는 배면판과 대면한 측에 돌출되도록 형성해도 좋고, 배면판과 대면하고 있지 않은 측에 돌출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는, 암나사부가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 사이에, 후자의 경우에는, 암나사부가 띠장 수용판의 외측에 걸리게 되는데, 어느 경우에도 문제는 없으며,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띠장 수용판은 외연으로 접어 구부러진 플랜지를 가지면, 띠장 수용판이 고강도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판은 대략 원형이면, 띠장 고정 부재를 시공할 때에, 배면판을 단열재에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띠장 수용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대략 원형이란, 원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을 말한다.
또한,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은, 스프링부를 거는 스프링부 걸림부를 가지면,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과, 스프링부가 일체가 되어 작업을 행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띠장 고정 부재를 시공할 때에, 배면판을 단열재에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띠장 수용판의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배면판에 있어서, 스프링부 걸림부는 띠장 수용판과 대면한 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구체벽에, 상기한 띠장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띠장을 고정시킨 건물의 시공 구조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물의 시공 구조에서는, 건물의 구체벽은 콘크리트벽과 그 외측에 배치된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앵커가 건물의 구체벽에 박혀 있고, 볼트가 앵커에 장착되어 있으며, 띠장 고정 부재는 배면판의 관통공을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볼트와 암나사부가 나사 결합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띠장은 띠장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띠장에는 외벽재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띠장 고정 부재는 스프링부의 반발에 의해, 띠장 수용판이 띠장을, 배면판이 단열재를 가압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는, 띠장의 위치는 띠장 고정 부재의 암나사부와 볼트의 나사 결합 위치에 의해 조정되어 있으면, 외벽재를 시공할 때에 울퉁불퉁함이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단열재를 장기간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는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고정 부재의 하나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띠장 고정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띠장 고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띠장 고정 부재를 시공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띠장 고정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띠장 고정 부재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고정 부재의 하나의 실시예의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이다. 띠장 고정 부재(A1)는 띠장 수용판(a1)과, 암나사부(b1)와, 스프링부(c1)와, 배면판(d1)으로 이루어진다. 띠장 수용판(a1)과 배면판(d1)은 원형으로, 평판상이며, 서로 대면하고 있다. 띠장 수용판(a1)은 중심부에 관통공(e11)을 갖는 동시에, 배면판과 대면한 측에 돌출된 암나사부 걸림부(f1)와, 돌출된 스프링부 걸림부(g11)를 가지며, 또한, 외연에 배면판을 향하여 접어 구부러진 플랜지(h1)를 가진다. 배면판(d1)은 중심부에 관통공(e12)을 갖는 동시에, 띠장 수용판과 대면한 측에, 돌출된 스프링부 걸림부(g12)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부(c1)는 코일 스프링이며, 띠장 수용판(a1)의 스프링부 걸림부(g11)와, 배면판(d1)의 스프링부 걸림부(g12)에 의해 걸려 있고, 띠장 수용판(a1)과 배면판(d1)은, 스프링부(c1)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암나사부(b1)는 내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띠장 수용판(a1)의 배면판과 대면한 측에, 암나사부 걸림부(f1)에 의해 걸려 있다. 또한, 암나사부(b1)는 스프링부(c1)의 직경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도 3에서, 배면판(d1)의 관통공(e12)으로부터 암나사부(b1)가 보이는 점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띠장 수용판(a1)의 관통공(e11)과, 암나사부의 관통공과, 배면판(d1)의 관통공(e12)은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띠장 고정 부재(A1)를 시공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건물의 구체벽은 콘크리트벽과 그 외측에 배치된 단열재(B)로 이루어지고, 앵커(C)가 건물의 구체벽에 박혀 있고, 볼트(D)가 앵커(C)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띠장 고정 부재(A1)는 배면판(d1)의 관통공(e12), 암나사부(b1)의 관통공, 띠장 수용판(a1)의 관통공(e11)을 볼트(D)가 관통하고, 볼트(D)와 암나사부(b1)가 나사 결합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띠장(E)은 띠장 고정 부재(A1)의 띠장 수용판(a1)에 접면(接面)하는 동시에, 비스에 의해 띠장 수용판(a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띠장(E)에는, 외벽재 고정 금구(F)가 고정되어 있고, 외벽재 고정 금구(F)에 의해 외벽재(G)가 걸려 건물 외벽을 구축하고 있다. 도 4의 시공 구조의 띠장 고정 부재(A1)는, 띠장 수용판(a1)과, 암나사부(b1)와, 스프링부(c1)와, 배면판(d1)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단히 간이한 구조이다. 또한, 도 4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 띠장 고정 부재(A1)는 스프링부(c1)의 반발에 의해, 띠장 수용판(a1)이 띠장(E)을, 배면판(d1)이 단열재(B)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경년, 지진 등에 의해 느슨해지기 어려워 단열재(B)를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 띠장(E)의 위치는 띠장 고정 부재(A1)의 암나사부(b1)와 볼트(D)의 나사 결합 위치에 의해 조정되고 있기 때문에, 외벽재(G)에는 울퉁불퉁함이 없다. 또한, 도 4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 띠장 고정 부재(A1)의 배면판(d1)은 원형이기 때문에, 시공시에 배면판(d1)을 단열재(B)에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시공하기 쉽다. 또한, 띠장 수용판(a1)과 배면판(d1)은, 스프링부 걸림부(g11, g12)를 가지고 있으며, 스프링부 걸림부(g11, g12)에 스프링부(c1)를 걸고 있기 때문에, 띠장 수용판(a1)과, 배면판(d1)과, 스프링부(c1)가 일체가 되어 시공하기 쉽다. 또한, 띠장 수용판(a1)은, 외연에 플랜지(h1)를 갖기 때문에, 띠장 수용판(a1)은 고강도이다. 또한, 암나사부(b1)가 띠장 수용판(a1)에 형성된 암나사부 걸림부(f1)에 의해 걸려 있기 때문에, 볼트(D)의 느슨함이 억제되어 띠장 고정 부재(A1)의 고정은 강고해진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이다. 띠장 고정 부재(A2)는 띠장 수용판(a2)과, 암나사부(b2)와, 스프링부(c2)와, 배면판(d2)으로 이루어진다. 띠장 수용판(a2)과 배면판(d2)은 서로 대면하고 있으며, 띠장 수용판(a2)은 중심부에 관통공(e21)을 갖는 동시에, 암나사부 걸림부(f2)와, 스프링부 걸림부(g21)를 가진다. 배면판(d2)은 중심부에 관통공(e22)을 갖는 동시에, 띠장 수용판(a2)과 대면한 측에 돌출된 스프링부 걸림부(g22)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부(c2)는 코일 스프링이며, 띠장 수용판(a2)의 스프링부 걸림부(g21)와, 배면판(d2)의 스프링부 걸림부(g22)에 의해 걸려 있고, 띠장 수용판(a2)과 배면판(d2)은, 스프링부(c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암나사부(b2)는 내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암나사부 걸림부(f2)에 의해 걸려 있다. 그러나, 띠장 고정 부재(A2)는 띠장 수용판(a2)이 팔각형으로, 플랜지를 갖지 않는 것, 암나사부(b2)가 배면판(d2)과는 대면하고 있지 않는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 배면판(d2)이 팔각형인 것이 띠장 고정 부재(A1)와는 상이하다. 그러나, 띠장 고정 부재(A2)를 사용해도, 띠장 고정 부재(A1)와 동일하게, 도 4에 도시한 시공 구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띠장 고정 부재(A2)도 매우 간이한 구조이다. 그리고, 띠장 고정 부재(A2)를 사용한 시공 구조라도, 띠장 고정 부재(A2)의 스프링부(c2)의 반발에 의해, 띠장 수용판(a2)이 띠장(E)을, 배면판(d2)이 단열재(B)를 가압하여, 경년, 지진 등에 의해 느슨해지기 어려우며, 단열재(B)를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띠장(E)의 위치는 띠장 고정 부재(A2)의 암나사부(b2)와 볼트(D)의 나사 결합 위치에 의해 조정되고 있기 때문에, 외벽재(G)에는 울퉁불퉁함이 없다. 또한, 띠장 수용판(a2)과 배면판(d2)은, 스프링부 걸림부(g21, g22)에 의해 스프링부(c2)를 걸고 있기 때문에, 띠장 수용판(a2)과, 배면판(d2)과, 스프링부(c2)가 일체가 되어, 시공하기 쉽다. 또한, 암나사부(b2)가, 띠장 수용판(a2)에 형성된 암나사부 걸림부(f2)에 의해 걸려 있기 때문에, 볼트(D)의 느슨함이 억제되어 띠장 고정 부재(A2)의 고정은 강고해진다.
이상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띠장 고정 부재에 있어서, 스프링부는 접시 스프링 형상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단열재를 장기간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는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A1 내지 A2 띠장 고정 부재
B 단열재
C 앵커
D 볼트
E 띠장
F 외벽재 고정 금구
G 외벽재
a1 내지 a2 띠장 수용판
b1 내지 b2 암나사부
c1 내지 c2 스프링부
d1 내지 d2 배면판
e11 내지 e22 관통공
f1 내지 f2 암나사부 걸림부
g11 내지 g22 스프링부 걸림부
h1 플랜지

Claims (10)

  1. 건물의 구체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띠장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띠장 고정 부재로서,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과, 스프링부와, 암나사부로 이루어지고,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은 평판상으로, 서로 대면하고 있으며,
    띠장 수용판은 중심부에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돌출된 암나사부 걸림부와 돌출된 스프링부 걸림부를 가지고 있으며,
    배면판은 중심부에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돌출된 스프링부 걸림부를 가지고 있고,
    스프링부는 띠장 수용판의 스프링부 걸림부와 배면판의 스프링부 걸림부에 의해 걸리고, 띠장 수용판과 배면판을 연결하고 있으며,
    암나사부는 내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갖는 동시에, 암나사부 걸림부에 의해 걸려 있고,
    띠장 수용판의 관통공과, 암나사부의 관통공과, 배면판의 관통공은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고정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띠장 수용판은 외연으로 접어 구부러진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고정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면판은 원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고정 부재.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면판의 스프링부 걸림부는, 띠장 수용판과 대면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고정 부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암나사부는 암나사부 걸림부에 의해, 띠장 수용판의 배면판과 대면한 측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고정 부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암나사부는 암나사부 걸림부에 의해, 띠장 수용판의 배면판과 대면하지 않는 측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고정 부재.
  8. 건물의 구체벽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띠장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띠장을 고정시킨, 건물의 시공 구조로서,
    건물의 구체벽은 콘크리트벽과 그 외측에 배치된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앵커가 건물의 구체벽에 박혀 있고,
    볼트가 앵커에 장착되어 있고,
    띠장 고정 부재는 배면판의 관통공을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볼트와 암나사부가 나사 결합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띠장은 띠장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띠장에는 외벽재가 고정되어 있고,
    띠장 고정 부재는 스프링부의 반발에 의해, 띠장 수용판이 띠장을, 배면판이 단열재를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시공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띠장의 위치는 띠장 고정 부재의 암나사부와 볼트의 나사 결합 위치에 의해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시공 구조.
  10. 콘크리트벽과 그 외측에 배치된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구체벽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띠장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띠장을 고정시키는 건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앵커를 건물의 구체벽에 박고,
    볼트를 앵커에 장착하고,
    볼트에 배면판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볼트와 암나사부를 나사 결합시키고,
    배면판을 단열재에 가압한 상태로, 띠장 고정 부재를 회전시켜서 암나사부와 볼트의 나사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띠장 수용판의 위치를 조정하고,
    띠장 수용판에 띠장을 고정하고,
    띠장에 외벽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시공 방법.
KR1020120082334A 2011-07-28 2012-07-27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KR101817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5914A JP5756366B2 (ja) 2011-07-28 2011-07-28 胴縁留め付け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施工方法
JPJP-P-2011-165914 2011-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410A KR20130014410A (ko) 2013-02-07
KR101817052B1 true KR101817052B1 (ko) 2018-02-21

Family

ID=4757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334A KR101817052B1 (ko) 2011-07-28 2012-07-27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45945B2 (ko)
JP (1) JP5756366B2 (ko)
KR (1) KR101817052B1 (ko)
CN (1) CN102900797B (ko)
AU (1) AU2012205194B2 (ko)
EA (1) EA024799B1 (ko)
TW (1) TWI4997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0778B2 (ja) * 2010-11-17 2015-04-15 ニチハ株式会社 胴縁留め付け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
CN104120798A (zh) * 2013-04-25 2014-10-29 上海启鹏工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夹芯保温墙体及其制作方法
ES2586736B1 (es) * 2015-04-15 2017-09-07 Cupa Innovacion S.L.U. Fachada ventilada
CN108360774B (zh) * 2018-02-07 2019-10-29 安徽忠盛新型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首尾拼接的装饰板材及其环形拼装方法
EA038922B1 (ru) * 2018-02-28 2021-11-10 Серг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РХАНГЕЛЬСК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вес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из керамического гранита на вентилируемом фасаде здания видимым способом
CN110331794A (zh) * 2019-07-09 2019-10-15 周瑜 一种抗震的砌体或钢筋混凝土结构
CN114775833A (zh) * 2022-03-31 2022-07-22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粘滞阻尼墙与建筑砌块墙一体化构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909A (ja) * 2000-11-22 2002-08-09 Sekisui Chem Co Ltd 外壁材の出入調整構造
JP2006348491A (ja) * 2005-06-13 2006-12-28 Paramount Glass Kogyo Kk 固定具、胴縁セット及び固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724837A1 (ru) * 1989-10-27 1992-04-07 Институт "Киеворгстрой" Главкиевгорстро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US7028432B2 (en) * 2003-05-03 2006-04-18 Kinetics Noise Control, Inc. Compact ceiling isolation hanger
JP2005179987A (ja) * 2003-12-18 2005-07-07 Nichiha Corp 外壁リフォーム構造
JP2006090045A (ja) * 2004-09-24 2006-04-06 Paramount Glass Kogyo Kk 外装材取付具
JP4543184B2 (ja) * 2005-04-26 2010-09-15 旭化成建材株式会社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4717540B2 (ja) * 2005-07-26 2011-07-06 パラマウント硝子工業株式会社 リベットナット、胴縁受セット、及びナット機能付ワッシャー
PT2016238E (pt) * 2006-05-10 2010-10-04 System Spa Elemento de espaçamento para elementos planos, tais como lajes, azulejos e outros idêntico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909A (ja) * 2000-11-22 2002-08-09 Sekisui Chem Co Ltd 外壁材の出入調整構造
JP2006348491A (ja) * 2005-06-13 2006-12-28 Paramount Glass Kogyo Kk 固定具、胴縁セット及び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8959A (ja) 2013-02-07
EA024799B1 (ru) 2016-10-31
TW201317482A (zh) 2013-05-01
EA201270660A2 (ru) 2013-03-29
US8745945B2 (en) 2014-06-10
CN102900797B (zh) 2016-04-27
JP5756366B2 (ja) 2015-07-29
CN102900797A (zh) 2013-01-30
US20130025235A1 (en) 2013-01-31
KR20130014410A (ko) 2013-02-07
AU2012205194A1 (en) 2013-02-14
EA201270660A3 (ru) 2013-06-28
TWI499730B (zh) 2015-09-11
AU2012205194B2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052B1 (ko) 띠장 고정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KR101537929B1 (ko) 띠장 고정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US20110083390A1 (en) Fastener for lightweight concrete panel and panel assembly
US20110001105A1 (en) Hidden-Fastener fence
US20180371743A1 (en) Specialized connection devices and method of use
US10240342B2 (en) Building panel for ceilings or walls
KR100888987B1 (ko) 볼트
KR101483486B1 (ko) 벽체 마감 시스템
KR200451624Y1 (ko) 헛돔과 분리를 방지한 거푸집 간격 유지 및 고정용 콘너트
KR101174387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바에 사용되는 티볼트
KR200480623Y1 (ko) 건축물의 외부단열 시공구조
JP3110970U (ja) 電柱用バンド
KR20046904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 유지장치용 본체볼트 유닛
KR102440536B1 (ko) 내장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의 내장판 결합 구조
KR20110010943U (ko) 세트 앵커 볼트
KR20120121963A (ko) 걸이물 고정용 고정체
KR20200000032U (ko) 거푸집용 콘너트 모듈
KR20010108898A (ko) 모니터디코일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