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914B1 - 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 - Google Patents

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914B1
KR101816914B1 KR1020170108057A KR20170108057A KR101816914B1 KR 101816914 B1 KR101816914 B1 KR 101816914B1 KR 1020170108057 A KR1020170108057 A KR 1020170108057A KR 20170108057 A KR20170108057 A KR 20170108057A KR 101816914 B1 KR101816914 B1 KR 10181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eat belt
adjusting lever
backrest
backres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한성
이진태
황경섭
Original Assignee
신한성
이진태
황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성, 이진태, 황경섭 filed Critical 신한성
Priority to KR102017010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9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interlocking device of a vehicle seat which induces passengers to fasten a seat belt. The seat belt interlocking device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at belt installed in the seat; a locking unit interlocked with a backrest control leve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operating a backrest control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fasten the seat belt,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control lever; and a transfer unit transmitting a fasten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backrest of the seat is controlled only when the seat belt is fastened to induce passengers to fasten seat belts, and thus, the seat belt interlocking device of a vehicle seat can reduce injur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by increasing the fastening rate of the seat belt.

Description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석에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that induces occupants to wear seat belts in a seat of a vehicle.

차량의 좌석에는 벨트에 의해 탑승자를 구속하고, 차량의 주행상태가 급격하게 변화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탑승자가 좌석에서 뛰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A seat belt is provided in the seat of the vehicle to restrain the occupant by the belt and to prevent the occupant from jumping out of the seat even whe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suddenly changes an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occupant.

이러한 안전벨트는 일반적으로 차량내의 각 좌석에 설치되고 있어, 벨트에 유지되고 있는 텅을 버클에 결합시키게 되어 있다. 이 버클은 좌면과 등받이의 경계부근에서 좌석의 좌우 어느 쪽의 측부에 배치된다.Such a seatbelt is generally installed in each seat in a vehicle so that the tongue retained on the belt is coupled to the buckle. The buckle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backrest.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음주운전, 졸음운전 및 초보운전자의 능숙한 기술이 요구된다. 하지만, 피할 수 없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모든 승객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다면 승객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에게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강제하며 유도하고 있다. 대형버스의 사고가 발생하면 큰 인명피해를 나을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 좌석에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As the speed of the vehicle running on the highway becomes faster, drunk driving, drowsy driving and skillful skill of the novice driver are required. However, if all passengers are wearing safety belts when an unavoidable accident occurs, this can be an opportunity to keep passengers safe. Therefore, it is mandatory for passengers to wear safety belts. It is necessary to induce passengers to wear safety belts in all the seats of a vehicle because accidents of large buses can cause great damage to people.

일본공개특허 제2015-209155호에는 안전벨트와, 안전벨트 상에 장착된 텅과 결합되는 버클부와, 버클부에 설치된 광원부와, 좌석에 탑승자가 착석한 것을 검출하는 착석 센서가 구비되고, 광원부는 착석센서가 탑승자의 착석을 검출하면 발광하여,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율을 향상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5-209155 discloses a seat belt apparatus comprising a seat belt, a buckle portion coupled with a tongue mounted on the seat belt, a light source portion provided in the buckle portion, and a seat sensor for detecting that a passenger is seated in the seat,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ated sensor emits light when a seat occupant is seated and induces a passenger to wear the seat belt to improve the wearing rate of the seat belt.

일본공개특허 제2015-209155호(안전 벨트 장치 및 안전 벨트 시스템)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5-209155 (Safety Belt Device and Seat Belt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벨트를 하는 경우에만 좌석의 등받이 각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서 차량의 좌석에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that induces occupants to wear seat belts in a seat of a vehicle by adjusting the back angle of the seat only when the seat belt is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comprising a seat belt installed on a seat and a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backrest interlocked with each other, 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워엄과, 워엄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워엄기어를 구비한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n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 worm fixed to a shaft of the wound roll portion, and a worm gear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worm and thereby moves the locking pin member.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종동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n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 driven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wound roll portion, and a driven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en bevel gear and moving the locking pin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구와,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구를 작동시키고 이 작동에 따라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봉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로킹 봉부재를 이동시키는 종동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atching jaw formed o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 latching portion detacha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 and a locking portion for actuating the latching portion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the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drive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 portion wound with the seat belt and a driven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e bevel gear and moving the locking rod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have.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구와,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작동하면서 걸림구를 작동시키고 이 작동에 따라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롤링부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로킹 롤링부를 작동시키는 종동 베벨기어를 구비하며, 로킹 롤링부는 종동 베벨기어의 축에 고정된 회동롤과, 일단은 회동롤에 감기어 말리고 타단은 걸림구에 연결된 탄성띠판을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comprises a latching jaw formed o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 latching mechanism detacha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 and a latching portion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locks or unlocks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drive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a roll portion wound with a seat belt and a driven bevel gear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drive bevel gear and operates the locking rol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A rotating roll fixed to the shaft of the bevel gear, and an elastic band plate wound around the rotating roll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stop at the other end.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와, 로킹 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한편 로킹 핀부재를 안내하는 수용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회동롤과, 일단은 회동롤에 감기고 타단은 로킹 핀부재에 고정되어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트링을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n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a receiving member which guides the locking pin member while receiving the elastic member, wherein the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roll fixed to a shaft of the roll portion wound with the seat belt, and a pair of rollers, one end of which is wound on the pivoting roll, And a string fixed to the member to move the locking pin member.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에 의해 변속하는 변속기와, 변속기에 연결된 크랭크 축과, 크랭크 축과 로킹 핀부재를 연결하여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커넥팅 로드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n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 crankshaf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crankshaft and the locking pin member to move the locking pin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랙기어를 구비한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n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 pinion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wound roll portion, and a rack gear for moving the locking pin member as it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gear.

랙기어는 실린더를 매개로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rack gear may be structured to move the locking pin member through the cylinder.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베벨기어부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캠과, 로킹 핀부재에 연결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n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 driving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ed roll portion; a cam rotated by a bevel gear portion engaged with the driven bevel gea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ed to the locking pin member and moving the locking pin member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cam Or the like.

로킹수단은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와, 로킹 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한편 로킹 핀부재를 안내하는 수용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전달수단은 일단은 로킹 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벨트의 텅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버클에 고정되어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트링과, 스트링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며, 스트링에서 버클에 고정되는 단부는 버클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어 텅이 삽입될 때 텅에 의해 밀려들어가서 텅 측면을 따라 밀착하여 고정되면서 로킹 핀부재를 당기게 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when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a receiving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locking pin member while receiving the elastic member, wherein the transmitting means is fixed to the locking pin memb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uckle in which the tongue- And a plurality of rollers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string,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string fixed to the buckle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buckle and is pushed by the tongue when the tongue is inserted, And the locking pin member may be pulled while tightly fixed.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 의하면, 안전벨트를 하는 경우에만 좌석의 등받이 각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서 차량의 좌석에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여, 안전벨트의 착용률을 높여 사고발생시의 인명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angle of the seat is adjusted only when the seat belt is used, thereby inducing the passengers to wear the seat belt in the seat of the vehicle, Which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amage of human lif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2b는 도 2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3b는 도 3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4b는 도 4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5b는 도 5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6b는 도 6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7b는 도 7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8b는 도 8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9b는 도 9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10b는 도 10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11b는 도 11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12a는 도 11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13a는 도 11a에서 안전벨트의 텅과 버클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generally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2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2A. FIG.
3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3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3A.
4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4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4A.
5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5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5A.
6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6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6A.
7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7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7A. FIG.
8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8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8A. FIG.
FIG. 9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FIG. 9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9A. FIG.
10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10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10A. FIG.
Fig. 11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11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Fig. 12A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portion in Fig. 11A.
12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12A.
FIG. 13A is a detail view showing the tongue and buckle portion of the seat belt in FIG. 11A. FIG.
13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0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0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0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0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0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00)과, 안전벨트(20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0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00)을 포함한다.1,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00 provided on a seat S and a backrest adjusting lever 10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A locking means 100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00 and a 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00. The locking means 1000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00, 200) to the locking means (1000).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제1실시예 내지 제9실시예에 의한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안전벨트가 당겨질 때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력을 등받이 조절레버에 전달하여 등받이 조절레버를 언로킹하는 실시예이고, 제10실시예에 의한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안전벨트가 당겨져 안전벨트의 텅이 버클에 결합될 때 텅의 고정력 또는 해제력을 등받이 조절레버에 전달하여 등받이 조절레버를 언로킹하는 실시예이다.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에는 안전벨트를 복원시키는 복원 탄성스프링(비틀림 스프링 등)이 장착된다.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ore specifically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of the roll part wound around the seat belt when the seat belt is pulled,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djustment lever is unlocked. When the seat belt is pulled and the tongue of the seat belt is engaged with the buckle, the fixing force or releasing force of the tongue is transmitted to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the roll part where the seat belt is wound, a restoring elastic spring (torsion spring, etc.) for restoring the seat belt is mounted.

제1실시예 내지 제9실시예와 제10실시예는 각각 독립적으로 차량 좌석에 적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제1실시예 내지 제9실시예 중의 하나와 제10실시예를 동시예 차량 좌석에 적용하여 차량 좌석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내지 제9실시예 중의 하나와 제10실시예를 동시에 차량 좌석에 적용하여 설치할 때에는 등받이 조절레버에는 로킹구멍이 2개가 형성된다.The first to ninth and tenth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vehicle seat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one of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and the tenth embodiment can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vehicle seat And can be installed in a vehicle seat. When one of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and the tenth embodiment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a vehicle seat, two locking holes are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2b는 도 2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FIG. 2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2B is an operating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1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1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1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1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1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10)과, 안전벨트(21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1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10)을 포함한다.2A,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10 provided on a seat S, a backrest adjusting lever 2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101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1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10) is interlocked so that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10) And a transmission means 201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10 to the locking means 1010. [

등받이 조절레버(110)는 힌지축(11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10)과 전달수단(201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1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the hinge shaft 111 and the locking means 101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1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로킹수단(1010)은 등받이 조절레버(110)의 저면에 로킹구멍(1011)이 형성되고, 로킹 핀부재(1012)가 전달수단(201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01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1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 핀부재(1012)의 외면에는 전달수단(2010)의 후술하는 워엄기어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전동 숫나사가 형성된다.The locking means 1010 has a locking hole 10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10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1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1011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010 Or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10 is locked or unlo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pin member 1012, an electric male screw threaded through the worm gear described later of the transmission means 2010 is formed.

전달수단(2010)은 안전벨트(210)가 감긴 롤부(211)의 축(212)에 워엄(2011)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워엄기어(2012)가 워엄(2011)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로킹 핀부재(1012)를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워엄기어(2012)의 중심에는 로킹 핀부재(1012)가 나사결합되는 전동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워엄기어(2012)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구속수단에 의해 구속된다.The worm 2011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haft 212 of the roll 211 wound around the seat belt 210 so that the worm gear 2012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worm 2011, And the pin member 1012 is moved. At the center of the worm gear 2012, there is formed an electric female screw into which a locking pin member 1012 is screwed. The worm gear 2012 is restrained by a restraining means (not shown) so as no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1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1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12)에 연결되어 있는 워엄(2011)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워엄(2011)에 맞물린 워엄기어(2012)가 회전하며, 로킹 핀부재(1012)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핀부재(1012)가 등받이 조절레버(110)에 형성된 로킹구멍(101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1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at belt is pulled to wear the seat belt 210, the belt of the roll portion 211 is released, The worm gear 2011 connected to the worm 2011 rotates and the worm gear 2012 engaged with the worm 2011 rotates and moves the locking pin member 1012 downward, The locking pin member 1012 is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1011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10 so that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10 is unlocked so that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3b는 도 3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3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3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2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2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2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2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2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20)과, 안전벨트(22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2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20)을 포함한다.3A,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20 provided on a seat S, a backrest adjusting lever 231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102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is interlocked so that the occupants can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only when the occupant wears the seat belt And transmission means 202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20 to the locking means 1020. [

등받이 조절레버(120)는 힌지축(12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20)과 전달수단(202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the hinge shaft 121 and the locking means 102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2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

로킹수단(1020)은 등받이 조절레버(120)의 저면에 로킹구멍(1021)이 형성되고, 로킹 핀부재(1022)가 전달수단(202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02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2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 핀부재(1022)의 외면에는 전달수단(2020)의 후술하는 종동 베벨기어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전동 숫나사가 형성된다.The locking means 1020 has a locking hole 102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and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1021 while the locking pin member 1022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020 Or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is locked or unlocked.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pin member 1022 is formed with a power screw threaded through a driven bevel gear of the transmitting means 20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전달수단(2020)은 안전벨트(220)가 감긴 롤부(221)의 축(222)에 구동 베벨기어(2021)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종동 베벨기어(2022)가 구동 베벨기어(2021)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로킹 핀부재(1022)를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종동 베벨기어(2022)의 중심에는 로킹 핀부재(1022)가 나사결합되는 전동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종동 베벨기어(2022)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구속수단에 의해 구속된다.The transmission means 20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e bevel gear 2021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haft 222 of the roll portion 221 around which the seat belt 220 is wound and the driven bevel gear 2022 is engaged with the drive bevel gear 2021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22 is moved accordingly. The driven bevel gear 2022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driven bevel gear 2022 by a restraining means not shown so as no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2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2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22)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베벨기어(2021)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구동 베벨기어(2021)에 맞물린 종동 베벨기어(2022)가 회전하며, 로킹 핀부재(1022)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핀부재(1022)가 등받이 조절레버(120)에 형성된 로킹구멍(102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2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at belt pulls the seat belt 220 to wear the seat belt 220, The driven bevel gear 2021 connected to the driven bevel gear 2021 rotates and the driven bevel gear 2022 engaged with the driven bevel gear 2021 rotates and moves the locking pin member 1022 downward, The locking pin member 1022 is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1021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so that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20 is unlocked so that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4b는 도 4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4A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a se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4B is an operating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3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3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3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3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3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30)과, 안전벨트(23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3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30)을 포함한다.4A,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30 provided on a seat S, a backrest adjusting lever 231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103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3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30) is interlocked so that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30) And a transmission means 203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30 to the locking means 1030. [

등받이 조절레버(130)는 힌지축(13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30)과 전달수단(203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3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a hinge shaft 131 and the locking means 103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3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

로킹수단(1030)은 등받이 조절레버(130)의 하부에 걸림턱(1031)이 형성되고, ㄷ 단면형의 걸림구(1032)가 걸림턱(1031)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며, 로킹 봉부재(1033)의 상부가 걸림구(1032)에 힌지결합되어 전달수단(203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구(1032)를 작동시키고 이 작동에 따라 등받이 조절레버(13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 봉부재(1033)의 외면에는 전달수단(2030)의 후술하는 종동 베벨기어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전동 숫나사가 형성된다.The locking means 1030 has a locking protrusion 1031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30 and a locking member 1032 of a cross section typ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031. The locking member 1033 Is hinged to the stopper 1032 and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means 2030 to actuate the stopper 1032 and lock or unlock the backrest control lever 1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to b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rod member 1033, a power transmission male screw threaded through the driven bevel gear of the transmission means 20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전달수단(2030)은 안전벨트(230)가 감긴 롤부(231)의 축(232)에 구동 베벨기어(2031)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종동 베벨기어(2032)가 구동 베벨기어(2031)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로킹 봉부재(1033)를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종동 베벨기어(2032)의 중심에는 로킹 봉부재(1033)가 나사결합되는 전동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종동 베벨기어(2032)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구속수단에 의해 구속된다.The driving means 2030 is connected to the shaft 232 of the roll portion 231 around which the seat belt 230 is wound and the driving bevel gear 2031 is connected and fixed, and the driven bevel gear 2032 meshes with the driving bevel gear 2031 And the locking rod member 1033 is moved accordingly. The driven bevel gear 2032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driven bevel gear 2032 by a restraining means not shown so as no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3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3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32)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베벨기어(2031)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구동 베벨기어(2031)에 맞물린 종동 베벨기어(2032)가 회전하며, 로킹 봉부재(1033)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봉부재(1033)가 걸림구(1032)를 요동시켜 걸림턱(103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3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belt is pulled to wear the seat belt 230, the belt of the roll portion 231 is released, The driven bevel gear 2031 connected to the driven bevel gear 2031 rotates and the driven bevel gear 2032 engaged with the driven bevel gear 2031 rotates and moves the locking rod member 1033 upward, The locking rod member 1033 rocks the stopper 1032 to be pulled out of the locking protrusion 1031 so that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30 is unlocked so that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5b는 도 5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5A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sea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5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4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4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4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4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4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40)과, 안전벨트(24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4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40)을 포함한다.5A,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40 provided on a seat S, (104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4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40) is interlocked so that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40) And transmission means 204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40 to the locking means 1040. [

등받이 조절레버(140)는 힌지축(14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40)과 전달수단(204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4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the hinge shaft 141 and the locking means 104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4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로킹수단(1040)은 등받이 조절레버(140)의 하부에 걸림턱(1041)이 형성되고, ㄱ 단면형의 걸림구(1042)가 걸림턱(1041)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며, 로킹 롤링부(1043)의 상부가 걸림구(1042)에 결합되어 전달수단(2040)의 작동 전달에 따라 걸림구(1042)를 작동시키고 이 작동에 따라 등받이 조절레버(14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 롤링부(1043)는 전달수단(2040)의 후술하는 종동 베벨기어의 축에 고정된 회동롤(1043a)과, 일단은 회동롤(1043a)에 감기어 말리고 타단은 걸림구(1042)에 연결된 탄성띠판(1043b)을 구비한다.The locking means 104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041 at a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40 and a locking protrusion 1042 of a cross sec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041,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ortion 1042 to actuate the latching portion 1042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means 2040 and lock or unlock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locking rolling section 1043 is constituted by a rotating roll 1043a fixed to a shaft of a driven bevel gear of the transmitting means 2040 and a rotating roll 1043b having one end wound around the rotating roll 1043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topper 1042 And an elastic band plate 1043b.

전달수단(2040)은 안전벨트(240)가 감긴 롤부(241)의 축(242)에 구동 베벨기어(2041)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종동 베벨기어(2042)가 구동 베벨기어(2041)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로킹 롤링부(1043)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다.The transmission means 20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e bevel gear 2041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haft 242 of the roll portion 241 around which the seat belt 240 is wound and the driven bevel gear 2042 is engaged with the drive bevel gear 2041 And the locking rolling section 1043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4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4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42)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베벨기어(2041)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구동 베벨기어(2041)에 맞물린 종동 베벨기어(2042)가 회전하며, 로킹 롤링부(1043)의 회동롤(1043a)가 회동되어 탄성띠판(1043b)이 감김에 따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구(1042)를 걸림턱(1041)에서 이탈시켜 등받이 조절레버(14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at belt is pulled to wear the seat belt 240, the belt of the roll 241 is released, The driven bevel gear 2041 connected to the driving bevel gear 2041 rotates and the driven bevel gear 2042 engaged with the driven bevel gear 2041 rotates and the turning roll 1043a of the locking rolling portion 1043 rotates, The state in which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by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40 by releasing the stopper 1042 from the stopping protrusion 1041 as shown in Fig. .

도 6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6b는 도 6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6A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6B is an operating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5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5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5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5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5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50)과, 안전벨트(25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5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50)을 포함한다.6A,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50 provided on a seat S, (105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5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50) is interlocked so that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50) And transmission means 205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50 to the locking means 1050. [

등받이 조절레버(150)는 힌지축(15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50)과 전달수단(205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5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a hinge shaft 151 and the locking means 105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5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

로킹수단(1050)은 등받이 조절레버(150)의 저면에 로킹구멍(1051)이 형성되고, 로킹 핀부재(1052)가 전달수단(205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05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5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 핀부재(1052)의 하부에는 원판형의 머리부(1052a)가 형성되고, 머리부(1052a)의 하측에는 로킹 핀부재(1052)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053)가 구비된다. 탄성부재(1053)와 로킹 핀부재(1052)의 머리부(1052a)는 수용 안내부재(1054)에 수용되어 안내되면서 작동한다. 탄성부재(1053)은 로킹시에 로킹 핀부재(1052)에 복원력을 부여한다.The locking means 1050 has a locking hole 105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50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5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1051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050 Or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50 is locked or unlocked. A disk-shaped head portion 1052a is formed below the locking pin member 1052 and an elastic member 1053 for apply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pin member 1052 is provided below the head portion 1052a. The elastic member 1053 and the head portion 1052a of the locking pin member 1052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uide member 1054 and operated while being guided. The elastic member 1053 imparts a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pin member 1052 at the time of locking.

전달수단(2050)은 안전벨트(250)가 감긴 롤부(251)의 축(252)에 회동롤(2051)이 고정되고, 일단은 회동롤(2051)에 감기고 타단은 로킹 핀부재(1052)에 고정되어 로킹 핀부재(1052)를 이동시키는 스트링(205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스트링(2052)는 와이어 등으로 되어 있으며, 수용 안내부재(1054)를 관통하여 로킹 핀부재(1052)의 머리부(1052a)에 고정된다.The transfer means 20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on roll 2051 is fixed to the shaft 252 of the roll portion 251 around which the seat belt 250 is wound and one end is wound on the rotation roll 2051 and the other end is wound on the locking pin member 1052 And a string 2052 which is fixed and moves the locking pin member 1052. The string 2052 is made of a wire or the like and is fixed to the head portion 1052a of the locking pin member 1052 through the accommodation guide member 1054.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5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5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52)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롤(2051)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스트링(2052)이 감김에 따라 로킹 핀부재(1052)가 당겨져 로킹구멍(105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5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도 6b 참조). 이때, 로킹 핀부재(1052)는 탄성부재(1053)를 압축하면서 수용 안내부재(1054)에 의해 안내된다.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ack person pulls the belt to wear the seat belt 250, the belt of the roll 251 is released, The locking pin member 1052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hole 1051 as the string 2052 is wound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50 is unlocked, (See Fig. 6B). At this time, the locking pin member 1052 is guided by the accommodation guide member 1054 while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1053.

도 7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7b는 도 7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7A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sea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7B is an operating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6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6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6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6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6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60)과, 안전벨트(26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6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60)을 포함한다.7A,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60 provided on a seat S, a backrest adjusting lever 25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106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6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60) is interlocked so that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60) And transmission means 206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60 to the locking means 1060. [

등받이 조절레버(160)는 힌지축(16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60)과 전달수단(206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6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the hinge shaft 161 and the locking means 106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6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

로킹수단(1060)은 등받이 조절레버(160)의 저면에 로킹구멍(1061)이 형성되고, 로킹 핀부재(1062)가 전달수단(206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06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6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구멍(1061)의 상부는 로킹 핀부재(1062)가 끼워지는 원통구멍이고, 로킹구멍(1061)의 하부는 전달수단(2060)의 후술하는 크랭크 축 및 커넥팅 로드의 작동에 따라 로킹 핀부재(1062)를 안내하는 원뿔형 구멍으로 되어 있다.The locking means 1060 has a locking hole 106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60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6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1061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060 Or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60 is locked or unlocked.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hole 1061 is a cylindrical hole into which the locking pin member 1062 is fitt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hole 106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in member 106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rankshaft and the connecting rod, 1062, respectively.

전달수단(2060)은 안전벨트(260)가 감긴 롤부(261)의 축(262)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2061a, 2061b, 2061c)에 의해 변속하는 변속기(2061)와, 변속기(2061)의 출력측에 연결된 크랭크 축(2062)과, 크랭크 축(2062)의 편심부와 로킹 핀부재(1062)를 연결하여 크랭크 축(2062)의 회전에 따라 로킹 핀부재(1062)를 이동시키는 커넥팅 로드(2063)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커넥팅 로드(2063)는 판형태로 되어 있으며, 봉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transmission means 2060 includes a transmission 2061 which is shifted by a plurality of gears 2061a, 2061b and 2061c connected to the shaft 262 of the roll portion 261 around which the seat belt 260 is wound, A connecting rod 2063 which connects the eccentric portion of the crankshaft 2062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62 and moves the locking pin member 106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rank shaft 2062, . The connecting rod 2063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o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6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6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62)에 연결되어 있는 변속기(2061)를 통해 변속되어 크랭크 축(206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커넥팅 로드(2063)으로 통해 로킹 핀부재(1062)가 당겨져 로킹구멍(106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6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도 7b 참조).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ack person pulls the belt to wear the seat belt 260, the belt of the roll portion 261 is released, And the crankshaft 2062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in member 1062 is pulled through the connecting rod 2063 to be pulled out of the locking hole 1061 and the backrest control lever 160 are unlocked so that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see Fig. 7B).

도 8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8b는 도 8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8A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8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7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7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7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7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7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70)과, 안전벨트(27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7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70)을 포함한다.8A,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70 provided on a seat S, a backrest adjusting lever 26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107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7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70) is interlocked so that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70) And transmission means 207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70 to the locking means 1070. [

등받이 조절레버(170)는 힌지축(17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70)과 전달수단(207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7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a hinge shaft 171 and the locking means 107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7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로킹수단(1070)은 등받이 조절레버(160)의 저면에 로킹구멍(1071)이 형성되고, 로킹 핀부재(1072)가 전달수단(207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07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7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 핀부재(1072)는 전달수단(2070)의 후술하는 랙기어에 고정된다.The locking means 1070 has a locking hole 107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60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7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1071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070 Or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70 is locked or unlocked. The locking pin member 1072 is fixed to a rack gear described later of the transmission means 2070.

전달수단(2070)은 안전벨트(270)가 감긴 롤부(271)의 축(272)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2071)와, 피니언 기어(2071)에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로킹 핀부재(1072)를 이동시키는 랙기어(2072)를 구비한다. 랙기어(2072)의 상단에는 로킹 핀부재(1072)가 고정된다.The transmission means 2070 includes a pinion gear 2071 fixed to a shaft 272 of a roll portion 271 around which the seat belt 270 is wound and a pinion gear 2071 which moves the locking pin member 1072 as it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gear 2071 And a rack gear 2072 for allowing the rack gear 2072 to rotate. A locking pin member 1072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rack gear 2072.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7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7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72)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2071)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랙기어(2072)가 직선운동하고 로킹 핀부재(1072)가 당겨져 로킹구멍(107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7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도 8b 참조).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ack person pulls the belt to wear the seat belt 270, the belt of the roll portion 271 is released, The pinion gear 2071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2071 rotates so that the rack gear 2072 linearly moves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72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hole 1071 to unlock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70 So that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see Fig. 8B).

도 9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9b는 도 9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9A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9B is an operating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8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8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8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8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8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80)과, 안전벨트(28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8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80)을 포함한다.9A,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80 provided on a seat S, a backrest adjusting lever 27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108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8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80) is interlocked to allow the passengers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80) And transmission means 208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80 to the locking means 1080. [

등받이 조절레버(180)는 힌지축(18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80)과 전달수단(208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8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a hinge shaft 181 and the locking means 108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8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

로킹수단(1080)은 등받이 조절레버(180)의 저면에 로킹구멍(1081)이 형성되고, 로킹 핀부재(1082)가 전달수단(208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08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8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 핀부재(1082)는 전달수단(2080)의 후술하는 랙기어에 실린더(1083)를 매개로 연결되어 작동한다.The locking means 1080 includes a locking hole 108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80 and a locking pin member 108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1081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080 Or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80 is locked or unlocked. The locking pin member 1082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rack gear described later of the transmission means 2080 through a cylinder 1083.

전달수단(2080)은 안전벨트(280)가 감긴 롤부(281)의 축(282)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2081)와, 피니언 기어(2081)에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로킹 핀부재(1082)를 이동시키는 랙기어(2082)를 구비한다. 랙기어(20872)의 상부는 실린더(1083)을 매개로 로킹 핀부재(1072)에 연결된다.The transmission means 2080 includes a pinion gear 2081 fixed to the shaft 282 of the roll portion 281 around which the seat belt 280 is wound and a pinion gear 2081 movably moving the locking pin member 1082 as the pinion gear 2081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gear 2081. [ And a rack gear 2082 for allowing the rack gear 2082 to rotate. The upper portion of the rack gear 20872 is connected to the locking pin member 1072 through the cylinder 1083.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8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8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82)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2081)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랙기어(2082)가 직선운동하고 실린더(1083)을 매개로 연결된 로킹 핀부재(1082)가 당겨져 로킹구멍(108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8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도 9b 참조).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ack person pulls the belt to wear the seat belt 280, the belt of the roll portion 281 is released, The rack gear 2082 is linearly moved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82 connected via the cylinder 1083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hole 1081. This causes the pinion gear 2081, The lever 180 is unlocked so that the back B can be adjusted (see Fig. 9B).

도 10a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10b는 도 10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시트(S)와 등받이(B)와 팔받이(A)는 도 2a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FIG. 10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sea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10B is an operating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Since the seat S, the backrest B, and the armrest A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A, their illustration is omitted.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9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9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9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9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9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090)과, 안전벨트(29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09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090)을 포함한다.10A,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90 provided on a seat S, a backrest adjusting lever 209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B, (109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90), where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90) is interlocked so that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90) And transmission means 209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90 to the locking means 1090. [

등받이 조절레버(190)는 힌지축(191)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090)과 전달수단(209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9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a hinge shaft 191 and the locking means 109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09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로킹수단(1090)은 등받이 조절레버(190)의 저면에 로킹구멍(1091)이 형성되고, 로킹 핀부재(1092)가 전달수단(209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09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9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이다. 로킹구멍(1091)의 상부는 로킹 핀부재(1092)가 끼워지는 원통구멍이고, 로킹구멍(1091)의 하부는 전달수단(2090)의 후술하는 커넥팅 로드의 작동에 따라 로킹 핀부재(1092)를 안내하는 원뿔형 구멍으로 되어 있다.The locking means 1090 has a locking hole 109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90 and the locking pin member 109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1091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090 Or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90 is locked or unlocked.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hole 1091 is a cylindrical hole into which the locking pin member 1092 is fitt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hole 109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in member 109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transmitting means 2090, And is formed into a conical hole for guiding.

전달수단(2090)은 안전벨트(290)가 감긴 롤부(291)의 축(292)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2091)와, 구동 베벨기어(2091)에 맞물리는 베벨기어부(2092a)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캠(2092)과, 로킹 핀부재(1092)에 연결되어 캠(2092)의 회전에 따라 로킹 핀부재(1092)를 이동시키는 제1, 제2 링크부재(2093, 2094)를 구비한다. 캠(2092)의 평면(제1링크부재가 접촉하는 면)에는 돌출핀(2092b)이 형성되고, 제1링크부재(2093)에는 돌출핀(2092b)가 끼워져 안내되는 장공의 안내구멍(2093a)가 형성된다.The transmission means 2090 includes a drive bevel gear 2091 fixed to the shaft 292 of the roll portion 291 wound with the seat belt 290 and a bevel gear portion 2092a engaged with the drive bevel gear 2091 And a first link member 2093 and a second link member 2094 which are connected to the locking pin member 1092 and move the locking pin member 109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2092 . A projecting pin 2092b is formed on the plane of the cam 2092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link member comes into contact), and the first link member 2093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2093a of a long hole, through which the projecting pin 2092b is inserted,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9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게 되면, 롤부(291)의 벨트가 풀리면서 축(292)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베벨기어(2091)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베벨기어부(2092a)를 통해 캠이 회전하며, 제1링크부재(2093) 및 제2링크부재(2094)를 매개로 연결된 로킹 핀부재(1092)가 당겨져 로킹구멍(109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9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도 10b 참조).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at belt is pulled to wear the seat belt 290, the belt of the roll 291 is released, The driving bevel gear 2091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093 and the second link member 2094 is rotated so that the cam rotates through the bevel gear portion 2092a, The member 1092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hole 1091 so that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90 is unlocked so that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see FIG. 10B).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등받이 조절레버 로킹 상태), 도 11b는 도 11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Fig. 11A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rest adjusting lever locking state), Fig. 11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to be.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는 시트(S)에 설치된 안전벨트(20)와,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10)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안전벨트(20)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등받이 조절레버(1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등받이 조절레버(1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1100)과, 안전벨트(20)의 착용 작동을 로킹수단(1100)에 전달하는 전달수단(2100)을 포함한다. 등받이 조절레버(10)는 힌지축에 의해 팔받이(A)에 힌지 결합되며, 로킹수단(1100)과 전달수단(2100)은 팔받이(A)의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11A and 11B, a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elt 20 provided on a seat S, An apparatus for interlocking a backrest adjusting lever (10) so as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0) only when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20), characterized in that 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a transmission means 2100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action of the seat belt 20 to the locking means 1100.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0 is hinged to the armrest A by a hinge shaft and the locking means 1100 and the transmitting means 2100 are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armrest A. [

도 12a는 도 11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며, 도 13a는 도 11a에서 안전벨트의 텅과 버클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서 등받이 조절레버가 언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FIG. 12A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portion in FIG. 11A, FIG. 12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12A, Fig. 13B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is unlocked in Fig. 13A. Fig.

로킹수단(1100)은 등받이 조절레버(10)에 형성된 로킹구멍(1101)과, 전달수단(2100)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로킹구멍(1101)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0)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1102)와, 로킹 핀부재(1102)에 탄성 복원력을 탄성부재(1103)와, 탄성부재(1103)를 수용하는 한편 로킹 핀부재(1102)를 안내하는 수용 안내부재(1104)를 구비한다.The locking means 1100 includes a locking hole 1101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0 and a locking hole 1101 formed i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0 so as to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1101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2100, A locking pin member 1102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ing pin member 1102 and an elastic member 1103 for elastically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pin member 1102 and a holding pin member 1102 for guiding the locking pin member 1102 while receiving the elastic member 1103, Member (1104).

전달수단(2100)은 일단은 로킹 핀부재(1102)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벨트(20)의 텅(21)이 걸리는 걸림턱(22a)이 형성된 버클(22)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로킹 핀부재(1102)를 이동시키는 스트링(2101)과, 스트링(2101)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2102)를 구비한다. 스트링(2101)은 로킹 핀부재(1102)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시트(S)의 하측으로 통해 반대편의 버클(22)측으로 배치되어, 버클(22)의 개구부를 지나서 버클(22)의 외측에 타단이 고정된다. The transmission means 2100 is fixed to an opening of the buckle 2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ocking pin member 1102 and the other end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2a to which the tongue 21 of the seat belt 20 is caught, A string 2101 for moving the string 2102 and a plurality of rollers 2102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string 2101. The string 2101 is fixed at one end to the locking pin member 1102 and extends downward to the side of the buckle 22 opposite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S so as to pass through the buckle 2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에서, 착석자가 안전벨트(20)를 착용하기 위해 벨트를 당겨서, 텅(21)을 버클(22)의 개구부 속으로 밀어 넣으면, 스트링(2101)이 텅(21)에 의해 개구부내로 밀려들어가서 텅(21) 측면을 따라 밀착하여 고정되면서(도 13b 참조), 로킹 핀부재(1102)를 당기고, 이에 따라 로킹 핀부재(1102)가 로킹구멍(1101)에서 빠지게 되어 등받이 조절레버(10)를 언로킹하여 등받이(B)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도 12b 참조). 이때, 탄성부재(1103)은 수용 안내부재(1104)에서 변형되면서 텅(21)이 버클(22)에서 해제되었을 경우에 스트링(2101)에 복원력을 부여한다.In the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lack person pulls the belt to wear the seat belt 20 and pushes the tongue 21 into the opening of the buckle 22 The string 2101 is pushed into the opening by the tongue 21 and tightly fixed along the side of the tongue 21 as shown in Figure 13b so as to pull the locking pin member 1102,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1101 so that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10 is unlocked so that the backrest B can be adjusted (see FIG. 12B). At this time, when the tongue 21 is released from the buckle 22 while the elastic member 1103 is deformed in the receiving guide member 1104, the elasticity member 1103 gives the restoring force to the string 2101. [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100,110: 등받이 조절레버 20,200,210: 안전벨트
1000,1010,1100: 로킹수단
1011,1101: 로킹구멍 1012,1102: 로킹 핀부재
2000,2010,2100: 전달수단
2011: 워엄 2101: 스트링
2012: 워엄기어 2102: 롤러
10, 100, 110: backrest adjusting lever 20, 200, 210:
1000, 1010, 1100: locking means
1011, 1101: locking hole 1012, 1102: locking pin member
2000, 2010, 2100:
2011: Worm 2101: String
2012: Worm gear 2102: Rollers

Claims (11)

삭제delete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워엄과, 상기 워엄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워엄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by being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The transmitting means
And a worm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ed portion of the seat belt, and a worm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and thereby moving the locking pin member.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종동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occupant wears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by being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The transmitting means
A driving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 portion wound with the seat belt and a driven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ing bevel gear and moving the locking pin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Interlocking device.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구와,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구를 작동시키고 이 작동에 따라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 봉부재를 이동시키는 종동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 latching mechanism detachably attached to the latching jaw, and a latching mechanism configured to actuate the latching part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to lock or unlock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a locking rod member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drive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 portion wound with the seat belt and a driven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e bevel gear and moving the locking rod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Seat belt interlocking device.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구와,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걸림구를 작동시키고 이 작동에 따라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롤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 롤링부를 작동시키는 종동 베벨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롤링부는 상기 종동 베벨기어의 축에 고정된 회동롤과, 일단은 상기 회동롤에 감기어 말리고 타단은 상기 걸림구에 연결된 탄성띠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 latching mechanism detachably attached to the latching jaw, and a latching mechanism configured to actuate the latch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to lock or unlock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a locking rolling portion
The transmitting means
A driving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 portion wound with the seat belt; and a driven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ing bevel gear and operating the locking rol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Wherein the locking rolling portion includes a rotating roll fixed to a shaft of the driven bevel gear and an elastic band which is wound on the rotating roll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retaining portion at the other end.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와, 상기 로킹 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한편 상기 로킹 핀부재를 안내하는 수용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회동롤과, 일단은 상기 회동롤에 감기고 타단은 상기 로킹 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트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 locking pin member formed o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by being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an accommodation guide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and guiding the locking pin member,
The transmitting means
And a string which is fixed to the shaft of the roll part wound with the seat belt and which is wound on the rotation roll at one end and fixed to the locking pin member to move the locking pin member. Belt interlocking device.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에 의해 변속하는 변속기와, 상기 변속기에 연결된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과 상기 로킹 핀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커넥팅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by being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The transmitting means
A crankshaf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a crankshaft connected to the crankshaft and the locking pin member to rotate the crankshaft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crankshaft, And a connecting rod for moving the seat belt.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랙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by being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The transmitting means
A pinion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 portion wound with the seat belt; and a rack gear configured to move the locking pin member when the pinion gear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실린더를 매개로 상기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ack gear moves the locking pin member via a cylinder.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안전벨트가 감긴 롤부의 축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베벨기어부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캠과, 상기 로킹 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passengers wear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nd a locking pin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by being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The transmitting means
A driving bevel gear fixed to a shaft of the roll portion wound with the seat belt; a cam rotated by a bevel gear portion engaging with the driving bevel gear; and a cam connected to the locking pin memb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for moving the seat belt.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레버를 연동시켜, 탑승자들이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작동을 상기 로킹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에 형성된 로킹구멍과,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구멍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등받이 조절레버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로킹 핀부재와, 상기 로킹 핀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한편 상기 로킹 핀부재를 안내하는 수용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일단은 상기 로킹 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전벨트의 텅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버클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 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링에서 상기 버클에 고정되는 단부는 상기 버클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텅이 삽입될 때 상기 텅에 의해 밀려들어가서 상기 텅 측면을 따라 밀착하여 고정되면서 상기 로킹 핀부재를 당기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only when the occupant wears the seat belt by interlocking the seat belt installed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can be locked or unlocked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wear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to the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A locking pin member formed on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backrest adjusting lever by being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ing means; And an accommodation guide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and guiding the locking pin member,
The transmitting means
A string which is fixed to the locking pin member at one end and fixed to a buckle formed with a locking tongue of the seat belt to move the locking pin member, and a plurality of rollers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string,
And an end of the string fixed to the buckle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buckle and is pushed by the tongue when the tongue is inserted and is tightly fixed along the side of the tongue to pull the locking pin member. Seat belt interlock device for vehicle seats.
KR1020170108057A 2017-08-25 2017-08-25 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 KR101816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57A KR101816914B1 (en) 2017-08-25 2017-08-25 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57A KR101816914B1 (en) 2017-08-25 2017-08-25 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914B1 true KR101816914B1 (en) 2018-01-09

Family

ID=6100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057A KR101816914B1 (en) 2017-08-25 2017-08-25 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9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449A (en) 2021-02-25 2022-09-01 (주)대한솔루션 Checking system for wearing seat belts of vehicles
KR20230147862A (en) 2022-04-15 2023-10-24 유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ctive type safty belt fix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449A (en) 2021-02-25 2022-09-01 (주)대한솔루션 Checking system for wearing seat belts of vehicles
KR20230147862A (en) 2022-04-15 2023-10-24 유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ctive type safty belt fix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703B2 (en) Re-settable vehicle seat belt buckle pre-tensioner presen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DE102014204311B4 (en) Four-point seat belt device
KR101816914B1 (en) Interlocking Apparatus for Safety Belt of Vehicle Seat
EP2241476A1 (en) Vehicle child's seat
CN110236813B (en) Wheelchair braking system
EP2933153B1 (en) Restraint system for use in a vehicle
KR101681088B1 (en) Wheelchair Brake System
CN103707783A (en) Child seat, particularly a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DE102008026410A1 (en) Safety belt system for restraining passenger sitting on seat of vehicle, comprises safety-belt retractor for winding end of safety belt, and another safety-belt retractor is provided for winding end of another safety belt
DE202014104626U1 (en) Vehicle seat with a rotatable backrest
DE60307917T2 (en) Belt system for a vehicle
CN102781735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unlocking a vehicle seat belt
JP2006335148A (en) Motorized lock device, and electric slide seat
EP2364888B1 (en) Seatbelt device
JP2007196881A (en) Seat belt device for vehicle
JP5687145B2 (en) Seat belt device
EP3280611B1 (en) Vehicle seat with twistable backrest and shiftable gear unit for the splitting of a drive couple between two longitudinal backrest sides
KR101300910B1 (en) Control apparatus for emergency release of vehicle's door
CN111148659A (en) Passenger accommodation device for a motor gam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motor game having such a passenger accommodation device
KR101452120B1 (en) Lift buckle apparatus of seatbelt for automobile
KR102617421B1 (en) Seat belt retractor
DE19822548A1 (en) Control for safety belts and vehicle doors
KR101130620B1 (en) Safety belt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970010443A (en) Height adjuster for vehicle seat belt
KR200143797Y1 (en) Webbinh guiding structure of seat belt for a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