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744B1 -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744B1
KR101816744B1 KR1020160108231A KR20160108231A KR101816744B1 KR 101816744 B1 KR101816744 B1 KR 101816744B1 KR 1020160108231 A KR1020160108231 A KR 1020160108231A KR 20160108231 A KR20160108231 A KR 20160108231A KR 101816744 B1 KR101816744 B1 KR 10181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rescription
mobile device
pharmac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265A (ko
Inventor
황강춘
임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디서버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디서버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디서버리스
Priority to KR1020160108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7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06F19/326
    • G06F19/34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소비자(환자)가 건강을 위한 빠른 의약품 구매 상담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모바일 디바이스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상품인 의약품을 가격 검색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병(감기 등)에 대해서 병/의원에 방문 없이 검진받고 조제를 원하는 약국에 처방전을 전달하여 조제, 조제된 약을 자신의 위치에 전달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사이트에서 원하는 건강정보 검색, 자신의 몸에 맞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빠르게 검색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국 의약품 구매 기능(소비자에게 의약품 판매 기능), 소비자(환자)에 맞는 의약품 찾기 기능, 진료 예약 기능, 처방전 전달 기능, 인터넷 진료 기능, 소비자 배송 기능을 통해 약국의 일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그 밖의 전문 의약품 등 판매망을 확보하여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Drug providing system based on drug shopping for customers, drug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원격진료 및 의료 민영화 과정의 사전 과정으로, 추후의 법개정 및 관련 규제의 완화와 발맞추어 건강을 위한 빠른 의약품 구매 상담과 모바일 디바이스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의약품 내지 상품을 가격 검색 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한 이전의 출원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446251호 "이알엠구축에 의한 약품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이의운용방법은 환자, 약국, 병원, 제약회사, 금융기관 및 택배회사 각 영역의 ERM을 ISP에 구축하여 약품의 공동주문, 계획생산 및 이에 따른 약국의 재무관리와 환자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ERM구축에 의한 약품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환자)가 건강을 위한 빠른 의약품 구매 상담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모바일 디바이스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상품인 의약품을 가격 검색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병(감기 등)에 대해서 병/의원에 방문 없이 검진받고 조제를 원하는 약국에 처방전을 전달하여 조제, 조제된 약을 자신의 위치에 전달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사이트에서 원하는 건강정보 검색, 자신의 몸에 맞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빠르게 검색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446251호 "이알엠구축에 의한 약품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이의운용방법"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93626호 "의약품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소비자(환자)가 건강을 위한 빠른 의약품 구매 상담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모바일 디바이스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상품인 의약품을 가격 검색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병(감기 등)에 대해서 병/의원에 방문 없이 검진받고 조제를 원하는 약국에 처방전을 전달하여 조제, 조제된 약을 자신의 위치에 전달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사이트에서 원하는 건강정보 검색, 자신의 몸에 맞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빠르게 검색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국 의약품 구매 기능(소비자에게 의약품 판매 기능), 소비자(환자)에 맞는 의약품 찾기 기능, 진료 예약 기능, 처방전 전달 기능, 인터넷 진료 기능, 소비자 배송 기능을 통해 약국의 일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그 밖의 전문 의약품 등 판매망을 확보하여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은,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약국 회원 가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약국 가맹점 등록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처방 가능한 판매 의약품 등록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제 1 내지 제 3 단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의해 등록된 판매 의약품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 뒤, 의약품 쇼핑몰 사이트에 게시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소비자 회원 가입을 수행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액세스(access)하여 약국 선택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를 판단한 뒤, 처방 없이 의약품 구매의 경우,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선택된 약국에 대한 의약품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6 단계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배송회사 서버(50)로 제 6 단계에서 주문 및 결제된 의약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는 제 7 단계; 배송 회사 서버(50)를 운영하는 배송 회사에 의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받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배송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8 단계; 및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대한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는 제 9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 단계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를 판단한 뒤, 처방 후 의약품 구매의 경우,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처방 의뢰 요청을 전송하는 제 6-1 단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처방 의뢰 요청을 전달하는 제 6-2 단계; 및 처방 의뢰 요청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가 처방 의뢰를 확인하는 제 6-3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3 단계 이후,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약사의 처방에 따른 의약품 등록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수행하는 제 6-4 단계; 및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처방 의약품 등록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송하는 제 6-5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약국 의약품 쇼핑을 위한 약국 선택시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의한 추천/기획/인기 의약품을 구비한 약국 제시, 의약품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에 의한 약국 선택, 소비자에 맞는 의약품 찾기 서비스에 의한 약국 선택, 지역약국 의약품 검색에 의한 약국 선택, 건강정보 의약품 검색에 의한 약국 선택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 단계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의약품 결제 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의약품 주문 확인을 제공받으며, 각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된 의약품 복약 지도 정보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은, 소비자(환자)가 건강을 위한 빠른 의약품 구매 상담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모바일 디바이스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상품인 의약품을 가격 검색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병(감기 등)에 대해서 병/의원에 방문 없이 검진받고 조제를 원하는 약국에 처방전을 전달하여 조제, 조제된 약을 자신의 위치에 전달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사이트에서 원하는 건강정보 검색, 자신의 몸에 맞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빠르게 검색 및 구매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은, 약국 의약품 구매 기능(소비자에게 의약품 판매 기능), 소비자(환자)에 맞는 의약품 찾기 기능, 진료 예약 기능, 처방전 전달 기능, 인터넷 진료 기능, 소비자 배송 기능을 통해 약국의 일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그 밖의 전문 의약품 등 판매망을 확보하여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의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구성의 개념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중 의약품 쇼핑몰을 제공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기반의 의약품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중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출력된 유전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을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 및 처방 의뢰 요청 과정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중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기반의 의약품 제공 방법 중 도 5의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 및 처방 의뢰 요청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의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구성의 개념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10G), 네트워크(20),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30G), 빅테이터 기반의 약국 정보와 의약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SAL(Smart Adaptive Learning)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 배송회사 서버(50), 회원 병원 서버 집합체(60G), 공급업체 서버(70) 및 카드사 서버(80)를 포함한다.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10G)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이루어진다. 각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약국 선택 및 처방 의뢰 요청/의약품 구매, 병원 선택 및 진료 예약, 약국 선택 및 처방 정보 전달, 그리고 인터넷 원격 진료를 중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각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액세스(access)하여 의약품 복약 지도 조회, 진료 예약정보 조회 및 처방 정보 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10G)의 각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 네트워크(20),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30G)의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 배송회사 서버(50), 회원 병원 서버 집합체(60G)의 각 회원 병원 서버(60), 공급업체 서버(70) 및 카드사 서버(8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30G)는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과 같거나 다른 자연수)의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이루어진다.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의약품 처방 및 복약지도 정보, 판매 가능한 의약품 재고/단가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의약품 주문 정보 확인, 처방 정보 조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해 선택된 의약품에 대한 배송회사 서버(50)에 대한 배송 요청 및 의약품 전달을 통한 배송을 수행한다.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공급업체 서버(70)에 대한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의한 의약품 주문 정보 확인을 제공하며, 재고 및 단가관리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즉, 공급업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제약회사나 의약품 도매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를 운영하는 약국 또는 회원 병원 서버(60)에서 운영하는 병원에서 의약품에 대해서 주문 및 결제시,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의해 결제 정보가 은행/카드사 서버(80)로 제공된 이후, 은행/카드사 서버(80)에 의한 결제 금액 승인에 의해 은행/카드사 서버(80)로부터 승인 금액을 공급업체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입금받을 수 있다.
요약하자면, 공급업체 서버(70)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업체별로 가맹점을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한 뒤,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 및 회원 병원 서버(60)에서 주문결제시 각 약국 및 각 병원에 대한 판매 대금을 입금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중 의약품 쇼핑몰을 제공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에서 회원 병원 서버(60), 공급업체 서버(70) 및 카드사 서버(80)가 제외된 상태로 도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기반의 의약품 제공 방법의 기본적인 과정을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약국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S10).
단계(S10)의 약국 회원 가입 완료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약국 가맹점 등록을 수행한다(S20).
단계(S20)의 약국 가맹점 등록 완료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처방 가능한 판매 의약품 등록을 수행한다(S30).
단계(S30)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단계(S30)에서 등록된 판매 의약품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 뒤, 의약품 쇼핑몰 사이트에 게시를 수행한다(S40). 한편 단계(S10) 내지 단계(S40)의 과정은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와 다른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m개의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대해서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단계(S40) 이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소비자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S50). 한편, 단계(S50)의 소비자 회원 가입 과정은 단계(S10) 이전, 단계(S10) 내지 단계(S4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0)의 소비자 회원 가입과 단계(S40)의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의한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판매 의약품에 대한 게시가 모두 완료되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약국 선택을 수행한다(S60). 여기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약국 의약품 쇼핑의 사전 과정으로 약국 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의한 추천/기획/인기 의약품을 구비한 약국 제시, 의약품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에 의한 약국 선택, 소비자에 맞는 의약품 찾기(영양제, 감기, 배탈, 관절, 치아, 귀 등) 서비스에 의한 약국 선택, 지역약국 의약품 검색에 의한 약국 선택, 건강정보 의약품 검색에 의한 약국 선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S60)에 따른 약국 선택 이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를 판단한다(S70). 즉 단계(S70)에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장치를 통해 처방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70)의 판단 결과 처방 없이 의약품 구매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단계(S110)로 진행하며, 반대로 단계(S70)의 판단 결과 처방 후 의약품 구매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처방 의뢰 요청을 전송한다(S80a).
단계(S80a)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단계(S80a)의 처방 의뢰 요청을 전달한다(S80b). 여기서 처방 의뢰 요청은 약사에 의한 처방 요청으로 후술하는 의사에 의한 처방과는 구별되며, 약사에게 처방 의뢰를 하고 싶은 소비자(환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점에서 의사에 의한 처방과는 차별화될 수 있다.
단계(S80b)에 의한 처방 의뢰 요청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는 처방 의뢰를 확인한 뒤(S90), 네트워크(20)를 통해 약사의 처방에 따른 의약품 등록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수행한다(S100a).
단계(S100a)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처방 의약품 등록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송한다(S100b).
단계(S100b) 이후, 그리고 단계(S70)의 판단 결과 처방 없이 의약품 구매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선택된 약국에 대한 의약품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한다(S110).
단계(S110)에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의 의약품 주문시, 다수의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 선택에 따른 장바구니 담기, 의약품 결제 및 의약품 구매요청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의약품 결제 후, 의약품 주문 확인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된 의약품 복약 지도 정보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10)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배송회사 서버(50)로 단계(S110)에서 주문 및 결제된 의약품 배송 요청을 전송한다(S120).
단계(S120) 이후, 배송 회사 서버(50)를 운영하는 배송 회사에 의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받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배송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단계(S130)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대한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한다(S14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중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출력된 유전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을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 및 처방 의뢰 요청 과정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에서 회원 병원 서버(60)가 추가된 상태로 도시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중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송수신부(41), 제어부(42) 및 데이터베이스(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42)는 의약품 등록 모듈(42a), 의약품 소비자 등록 모듈(42b),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 처방을 위한 질의 제공 모듈(42d), 약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e),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f), 원격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g) 및 오프라인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h)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42)의 구성을 중심으로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의약품 등록 모듈(42a)은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약국 회원 가입 과정뿐만 아니라,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병원 회원 가입 과정을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며, 약국 회원 가입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와 회원 병원 서버(6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43)로의 저장을 수행한다.
또한, 의약품 등록 모듈(42a)은 약국 회원 가입 및 병원 회원 가입 완료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약국 가맹점 등록 과정을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며,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병원 가맹점 등록 과정을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러한, 약국 가맹점 등록을 통해 의약품 등록 모듈(42a)은 가맹점 등록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서 제공한 의약품에 대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의 결제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결제 금액 입금을 중개하며, 중개에 따른 미리 설정된 수수료로 결제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의 수수료를 입금받아서 운영비로 사용되도록 중개한다.
다음으로, 의약품 등록 모듈(42a)은 약국 가맹점 등록 완료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액세스에 따른 처방 가능한 판매 의약품 등록 과정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등록된 의약품을 데이터베이스(42)로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별로 저장한다.
즉, 의약품 등록 모듈(42a)은 등록된 의약품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 뒤, 의약품 쇼핑몰 사이트에 게시를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은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와 다른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m개의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대해서 모두 수행될 수 있다.
의약품 소비자 등록 모듈(42b)은 각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소비자 회원 가입 과정을 제공한다. 여기서 소비자 회원 가입에서 의약품 소비자 등록 모듈(42b)은 각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지역명, 즐겨 찾는 의약품, 신체정보, 성별정보, 건강정보(급성질환, 만성질환, 자주 걸리는 질병정보, ...) 등을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소비자 등록 모듈(42b)은 각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네트워크(20)를 통해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미도시)로부터 치료 이력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할 수 있다.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판매 의약품에 대한 게시가 모두 완료되면, 각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약국 선택 과정을 제공한다. 여기서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해서 약국 의약품 쇼핑을 위한 사전 과정으로 추천/기획/인기 의약품을 구비한 약국 제시, 의약품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에 의한 약국 선택, 소비자에 맞는 의약품 찾기(영양제, 감기, 배탈, 관절, 치아, 귀 등) 서비스에 의한 약국 선택, 지역약국 의약품 검색에 의한 약국 선택, 건강정보 의약품 검색에 의한 약국 선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한 약국 선택에 따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의사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에 대한 질의 과정을 네트워크(20)를 통해 수행한다. 즉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장치를 통해 처방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의사 처방 없이 의약품 구매가 가능한 일반 의약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요청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주문 및 결제를 처리한다.
즉,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의 의약품 주문 과정에서, 다수의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 선택에 따른 장바구니 담기, 의약품 결제 및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하는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의약품 구매요청 과정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그리고,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의약품 결제 후, 의약품 주문 확인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된 의약품 복약 지도 정보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배송회사 서버(50)로 주문 및 결제된 의약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배송 회사 서버(50)를 운영하는 배송 회사에 의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받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배송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후,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 또는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의약품을 제공한 공급업체 서버(70)에 대한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처방을 위한 질의 제공 모듈(42d)은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에 의해 의사 또는 약사의 처방에 의한 의약품 구매 요청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경우,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해서 네트워크(20)를 통해 처방 의뢰를 위해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소비자의 건강정보 추출하여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 및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후, 처방을 위한 질의 제공 모듈(42d)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 및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처방을 위한 질의를 수신하여,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전송하여 응답을 반환받은 뒤, 각 질의를 수행한 회원 병원 서버(60) 및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전달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회원 병원 서버(60)를 운영하는 회원 병원에 대한 선택은 상술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처방을 위한 질의 제공 모듈(42d)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에 대해서 일반 의약품 또는 전문 의약품에 의한 처방, 그리고 원격진료 또는 오프라인 진료 여부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약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e)은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일반 의약품에 의한 처방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일반 의약품으로 처방 가능한 경우, 처방을 위한 질의 제공 모듈(42d)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소비자의 건강정보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송을 통해 일반 의약품 주문 및 결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f)은 약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e)의 판단 결과 일반 의약품에 의한 처방이 불가능한 경우, 전문 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한 뒤, 처방을 위한 질의 제공 모듈(42d)에 의해 수집된 정보 중 그리고 원격진료 또는 오프라인 진료 여부 정보를 이용해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f)은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없는 간단한 질환(감기를 제외한 흔한 급성 질환, 간단한 찰과상 등)에 대한 의사 처방전이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의사 처방전을 수신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한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달함으로써,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에 의해 전문 의약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요청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주문 및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후의 과정은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에 의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의 의약품 주문 과정에서, 다수의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 선택에 따른 장바구니 담기, 의약품 결제 및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하는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의약품 구매요청 과정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 과정과 같은 동일한 과정이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f)에 의해서 수행된다. 그리고,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의약품 결제 후, 의약품 주문 확인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된 의약품 복약 지도 정보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f)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배송회사 서버(50)로 주문 및 결제된 의약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배송 회사 서버(50)를 운영하는 배송 회사에 의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받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배송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f)은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직접 찾아가서 약을 수령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모바일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f)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의사 처방전에 의한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 또는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의약품을 제공한 '공급업체 서버(70)'에 대한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원격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g)은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없는 간단한 질환이 아니라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한 질환에 대한 의사 처방전이 필요한 경우,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원격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g)은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없는 간단한 질환(감기를 제외한 흔한 급성 질환, 간단한 찰과상 등)이지만 환자가 고령, 영아, 유아 등과 같은 면역력이 약한 환자인 경우이거나 획득된 소비자의 건강정보 중 질환과 관련된 정보 중 민감치가 높은 정보의 변동량이 임계치 미안인 만성 질환인 경우로, 원격 진료를 통한 온라인 확인에 의한 의사 처방전으로 발행이 가능한 예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원격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g)은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분석한 경우,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 간의 온라인 원격 진료에 의한 의사 처방전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하는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전달함으로써,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에 의해 전문 의약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요청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주문 및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후의 과정은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에 의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의 의약품 주문 과정에서, 다수의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 선택에 따른 장바구니 담기, 의약품 결제 및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하는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의약품 구매요청 과정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 과정과 같은 동일한 과정이 원격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g)에 의해서 수행된다. 그리고,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의약품 결제 후, 의약품 주문 확인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된 의약품 복약 지도 정보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g)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배송회사 서버(50)로 주문 및 결제된 의약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배송 회사 서버(50)를 운영하는 배송 회사에 의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받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배송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할 수 있다.
오프라인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h)은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한 경우,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를 운영하는 병원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환자 간의 오프라인 진료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의사 처방전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하는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전달함으로써,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에 의해 전문 의약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요청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주문 및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후의 과정은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42c)에 의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의 의약품 주문 과정에서, 다수의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 선택에 따른 장바구니 담기, 의약품 결제 및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하는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의약품 구매요청 과정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 과정과 같은 동일한 과정이 오프라인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h)에 의해서 수행된다. 그리고,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의약품 결제 후, 의약품 주문 확인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된 의약품 복약 지도 정보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오프라인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42h)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배송회사 서버(50)로 주문 및 결제된 의약품 배송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배송 회사 서버(50)를 운영하는 배송 회사에 의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선택된 의약품을 제공받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한 배송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기반의 의약품 제공 방법 중 도 5의 처방 후 의약품 구매 여부(S70) 및 처방 의뢰 요청(S80a)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도 9는 일반 의약품과 전문 의약품별 제공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처방 의뢰 요청을 수행한다(S80a-1).
단계(S80a-1)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소비자의 건강정보 추출하여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 및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S80a-2).
단계(S80a-2) 이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 및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는 처방을 위한 질의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를 통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전송하여 응답을 수신한다(S80a-3).
단계(S80a-3)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에 대해서 일반 의약품 또는 전문 의약품에 의한 처방, 그리고 원격진료 또는 오프라인 진료 여부 정보를 수신한다(S80a-4).
단계(S80a-4) 이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단계(S80a-4)에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일반 의약품에 의한 처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80a-5).
단계(S80a-5)의 판단 결과, 일반 의약품으로 처방 가능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일반 의약품 주문 및 결제에 따른 도 5의 단계(S110) 이후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80a-6).
반대로, 단계(S80a-5)의 판단 결과 일반 의약품에 의한 처방이 불가능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전문 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한 뒤, 단계(S80a-4)에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S80a-7).
단계(S80a-7)의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없는 간단한 질환(감기를 제외한 흔한 급성 질환, 간단한 찰과상 등)에 대한 의사 처방전이 필요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의사 처방전을 수신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한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달에 따른 도 6의 단계(S80b) 내지 단계(S140)의 과정을 수행한다(S80a-8).
반대로, 단계(S80a-7)의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한 질환에 대한 의사 처방전이 필요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0a-9).
즉,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없는 간단한 질환(감기를 제외한 흔한 급성 질환, 간단한 찰과상 등)이지만 환자가 고령, 영아, 유아 등과 같은 면역력이 약한 환자인 경우이거나 단계(S80a-2)에서 획득된 소비자의 건강정보 중 질환과 관련된 정보 중 민감치가 높은 정보의 변동량이 임계치 미안인 만성 질환인 경우로, 원격 진료를 통한 온라인 확인에 의한 의사 처방전으로 발행이 가능한 예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단계(S80a-9)의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분석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 간의 온라인 원격 진료에 의한 의사 처방전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하는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달에 따른 도 6의 단계(S80b) 내지 단계(S140)의 과정을 수행한다(S80a-10).
반대로, 단계(S80a-9)의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를 운영하는 병원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환자 간의 오프라인 진료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의사 처방전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하는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달에 따른 도 6의 단계(S80b) 내지 단계(S140)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S80a-11).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액세스하여, 각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40)에 의해 등록된 의약품, 그리고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에 대한 쇼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해서 소비자에게 맞는 의약품, 그리고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 찾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의해 제시된 증상 리스트 및 의약품 리스트(육체피로 구내염, 눈피뢰건조, 신경통, 기능성 비타민 등) 중에서 선택한다.
이에 따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선택된 것 중 관련 의약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을 최소한 데이터베이스(43)에서 추출하여 최소 5종 이상 제시한 뒤,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한 구체적인 증상(수험생영양, 직장인영양, 병중영양, 체력강화영양 등)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43)에서 관련 의약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에 대해서 최소 3종 이상을 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된 것은 "영양제1(종합영양제), 영양제2(고혈압환자), 영양제3(당뇨환자), 영양제4(장염환자)…" 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이후, 소비자 선택 후 지역 약국 선택 후 앱 약국에서 결제 후 배송 또는 지역 약국 선택 후 약사에게 의뢰함 결제 후 배송하도록 한다.
한편,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해서 소비자에게 맞는 의약품, 그리고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 찾기 기능의 다른 제공 방식으로, 증상 리스트 중 "기침만"(마른 기침, 간질거림 기침)이라는 선택에 따라 약품 5개 이상 제시하거나, 증상 리스트 중 "콧물"(알러지비염, 비후성비염, 계절성비염)이라는 선택에 따라 약품 5개 이상 제시하거나, 증상 리스트 중 "가래"(누렇고 진한가래, 묽은 가래)이라는 선택에 따라 약품 5개 이상 제시거나, 증상 리스트 중 "몸살"(온몸동통, 발열, 두통, 춥고 향기)"이라는 선택에 따라 약품 5개 이상 제시할 수 있다.
이후의 과정은 동일하게 소비자가 상기 증상에 대해 선택 후 지역 약국 선택 후 앱약국에서 결제 후 배송 또는 지역 약국 선택 후 약사에게 의뢰함 결제 후 배송을 제공한다.
한편,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해서 소비자에게 맞는 의약품, 그리고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 찾기 기능의 다른 제공 방식으로, 증상 리스트 중 "배탈"에 대한 선택 이후, "복통"(아랫배복통, 윗배통증)에 대한 선택시 의약품 5개 이상을 제시하거나, "설사"(하루 5번, 하루3번)에 대한 선택시 의약품 5개 이상을 제시할 수 있다. 이후의 과정은 동일하게 소비자가 상기 증상에 대해 선택 후 지역 약국 선택 후 앱약국에서 결제 후 배송 또는 지역 약국 선택 후 약사에게 의뢰함 결제 후 배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해서 소비자에게 맞는 의약품, 그리고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 찾기 기능의 다른 제공 방식으로, 증상 리스트 중 "통증"에 대한 선택 이후, "치통"(충치통, 풍치통) ,"근육통"(허리, 목, 관절), "생리통" 등에 대한 선택시 각 관련된 의약품 5개 이상을 제시할 수 있다.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대해서 소비자에게 맞는 의약품, 그리고 건강기능성 식품(의약외품) 찾기 기능의 다른 제공 방식으로, 병명으로, 증상으로 찾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치질, 위염, 건망증, 어지러움, 변비, 빈혈, 좌골신경통, 축농증, 알러지피부, 포진, 무좀, 습진, 식욕부진, 비만, 결막염, 불면증, 방광염, 천식, 종창, 소화불량, 외상, 손발저림, 여드름, 빈뇨, 구내염, 면역부족, 지방간, 백내장, 하지정맥류, 월경증후군, 갱년기장애…기타 등에서 병명을 선택하는 경우 관련 의약품을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가 선택하는 모든 의약품의 종류의 개수를 미리 한도로 제한 요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
10G :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
20 : 네트워크
30G :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 집합체
30 :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
40 : SAL(Smart Adaptive Learning)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
41 : 송수신부
42 : 제어부
42a : 의약품 등록 모듈
42b : 의약품 소비자 등록 모듈
42c : 일반 의약품 쇼핑몰 제공 모듈
42d : 처방을 위한 질의 제공 모듈
42e : 약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
42f : 의사 처방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
42g : 원격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
42h : 오프라인 진료 기반 의약품 제공 모듈
43 : 데이터베이스
50 : 배송회사 서버
60 : 회원 병원 서버
60G : 회원 병원 서버 집합체
70 : 공급업체 서버
80 : 카드사 서버

Claims (6)

  1.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처방 의뢰 요청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소비자의 건강정보 추출하여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 및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 및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가 처방을 위한 질의를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를 통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전송하여 응답을 수신하는 제 3 단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에 대해서 일반 의약품 또는 전문 의약품에 의한 처방, 그리고 원격진료 또는 오프라인 진료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단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상기 제 3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일반 의약품에 의한 처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판단 결과, 일반 의약품으로 처방 가능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는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일반 의약품 주문 및 결제에 따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한 의약품 결제 후,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의약품 주문 확인을 제공하며, 의약품을 게시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부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에 등록된 의약품 복약 지도 정보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제공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일반 의약품에 의한 처방이 불가능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전문 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한 뒤, 상기 제 3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 6-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6-1 단계 이후,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없는 질환(감기를 제외한 흔한 급성 질환, 간단한 찰과상 포함)에 대한 의사 처방전이 필요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네트워크(20)를 통해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의사 처방전을 수신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한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달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의한 처방 의뢰를 확인한 뒤, 네트워크(20)를 통해 약사의 처방에 따른 의약품 등록을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로 수행하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처방 의약품 등록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송하는 제 6-2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6-1 단계 이후,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확인이 필요한 질환에 대한 의사 처방전이 필요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6-2 단계;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분석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와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 간의 온라인 원격 진료에 의한 의사 처방전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하는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달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의한 처방 의뢰 확인 뒤, 네트워크(20)를 통해 약사의 처방에 따른 의약품 등록을 수행하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처방 의약품 등록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송하는 제 6-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6-2 단계 이후,
    판단 결과 환자의 상태를 온라인 확인에 의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한 경우, SAL 기반 의약품 중개 서버(40)가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를 운영하는 병원과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환자 간의 오프라인 진료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의사 처방전을 선택된 회원 병원 서버(6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한 뒤, 의사 처방전을 포함하는 처방 의뢰 요청에 대한 선택된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로의 전달에 따라 약국 모바일 디바이스(30)에 의한 처방 의뢰 확인 뒤, 네트워크(20)를 통해 약사의 처방에 따른 의약품 등록을 수행하면, 소비자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처방 의약품 등록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송하는 제 6-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108231A 2016-08-25 2016-08-25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KR10181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231A KR101816744B1 (ko) 2016-08-25 2016-08-25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231A KR101816744B1 (ko) 2016-08-25 2016-08-25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65A KR20160108265A (ko) 2016-09-19
KR101816744B1 true KR101816744B1 (ko) 2018-01-09

Family

ID=5710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231A KR101816744B1 (ko) 2016-08-25 2016-08-25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02B1 (ko) * 2018-04-09 2018-05-23 연제량 병원의 구매 패턴 분석을 통한 구매 지원 시스템 및 구매 지원 방법
KR20220015131A (ko) 2020-07-30 2022-02-08 전병문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6454B (zh) * 2021-01-22 2022-02-22 阿里健康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开方数据处理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609A (ja) * 2000-10-17 2002-04-26 Kowa Shinyaku Kk 医薬関連商品の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251B1 (ko) 2001-04-18 2004-08-30 (주)아야닷컴 이알엠구축에 의한 약품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이의운용방법
KR100893626B1 (ko) 2008-02-25 2009-04-20 (주) 케이팜텍 의약품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609A (ja) * 2000-10-17 2002-04-26 Kowa Shinyaku Kk 医薬関連商品の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02B1 (ko) * 2018-04-09 2018-05-23 연제량 병원의 구매 패턴 분석을 통한 구매 지원 시스템 및 구매 지원 방법
KR20220015131A (ko) 2020-07-30 2022-02-08 전병문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KR102504515B1 (ko) * 2020-07-30 2023-02-28 전병문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65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73953C1 (en) Method for competitive prescription drug and/or bidding service provider selection
JP2009528640A (ja) 競合処方薬および/または入札サービスプロバイダ選択のための方法
CN102521774A (zh) 药品导购智能服务系统
KR101919037B1 (ko) 주문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6744B1 (ko) 소비자를 위한 의약품 쇼핑 기반의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US20030033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 on-line buyer's club
US20010034616A1 (en) Billing process for botanicals, supplements and homeopathic remedies
KR20170141326A (ko) 의약품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2456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시스템
JP2002123609A (ja) 医薬関連商品の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633181B1 (ko) 코드 및 상품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마켓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8236B1 (ko) 영양 테라피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마켓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171549B1 (ko) 의약품 불용재고 해소를 위한 교품 방법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30098417A (ko) Sal 기반의 가격 비교가 가능한 의약품 구매 시스템
Ferdous et al. Prospects of E-Commerce in pharmaceutical industry of Bangladesh: lessons from the case of drugstore. com
KR10042527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JP200135713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漢方薬の処方を提供する方法
KR100338154B1 (ko) 의약품 입찰 시스템
KR20010104050A (ko) 인터넷 가상 종합병원 시스템
KR20140103673A (ko) 의약품 거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6759A (ko) 의약품 거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30078809A1 (en) Prescription approval system and method
KR102504515B1 (ko)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JP7339627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7339626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