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741B1 -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741B1
KR101816741B1 KR1020160098475A KR20160098475A KR101816741B1 KR 101816741 B1 KR101816741 B1 KR 101816741B1 KR 1020160098475 A KR1020160098475 A KR 1020160098475A KR 20160098475 A KR20160098475 A KR 20160098475A KR 101816741 B1 KR101816741 B1 KR 10181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user
digital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중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9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3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ate control, e.g. request to the server to modify its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23Monitoring of network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network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수신망과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부;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의 융합 시,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검출하는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데이터 속도 조절부; 및 적어도 한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속도 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속도로 수신하고, 그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융합함으로써,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관련 컨텐츠를 결합한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Convergence broadcasting receiver of the user selection scheme}
본 발명은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방송을 각각 수신하고 그 방송을 융합하되, 사용자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개선된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방송 표준이 전환되었으며, 다양한 단말 및 방송 표준을 이용한 방송 제공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HD 및 UHD 등의 방송 품질은 고품질의 방송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방송 표준을 이용할 수 있는 티브이 등의 단말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방송 및 다양한 표준의 방송을 단말을 통해 수신하기 위해서는, 해당 방송의 표준을 수신할 수 있는 전용 단말 및 이에 연결되어 해당 방송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송 출력용 단말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며, 다른 방송 표준 또는 고품질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단말을 구매하여 해당 컨텐츠를 지원하는 방송 표준을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만 했다.
이에 따라, 이종의 방송 표준 및 고품질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컨텐츠화하여 티브이 등의 단말에 출력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고정 및 이동 환경하에서, 방송망으로 전송된 이종의 품질 및 부가 컨텐츠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융합하여, 단말 및 통신 환경 내에서 최적화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가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수신망과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의 융합 시,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검출하는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데이터 속도 조절부; 및 상기 적어도 한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속도 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속도로 수신하고, 그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융합함으로써,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관련 컨텐츠를 결합한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는, 상기 방송 품질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품질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로 방송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는, 사용자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 정보에 따른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속도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데이터 속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시청 시간 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정보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상기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융합하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융합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과금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줄여주면서도 다양한 방송 품질을 수신 상황에 맞도록 유연하게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 기능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사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송출 안테나 및 방송관련 디지털 데이터를 송출하는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으로 데이터 수신부(110),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 및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됨으로써,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융합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융합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각 구성은, 네트워크 독립형 융합방송의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동일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외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종의 네트워크 또는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의 수신망으로서, 방송사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통신망을 통해,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신모듈에는, 프로토콜의 전환이 가능한 표준 방송신호 수신 모듈과, 역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토콜의 전환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신부(110)는 서로 다른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신호 수신 장치(미도시) 및, 이종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수신하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국내의 경우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표준에 의해 수신 가능한 영상신호 데이터를 의미한다.)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이나, 이외의 국내외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수신모듈은, 이하 설명할 융합 컨텐츠, 즉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들이 융합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품질 및 방송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구성이다. 즉, 서로 다른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부가 컨텐츠를 각 데이터 및 컨텐츠가 송출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신하도록 마련된 구성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방송 컨텐츠, 즉 융합 컨텐츠의 방송 품질은, 기본적인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2차원의 디폴트 방송 화면 이외에, 현재 제공 가능한 품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3차원 방송 화면,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UHD(Ultra High Definition) 품질들 중 어느 한 품질의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해당 품질은, 각 수신모듈의 수신 상황의 체크 결과에 따라서 수신되는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네트워크 서버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방송과 관련된 디지털 데이터로서, 표준 방송신호 이외의 프로토콜로 송출되는 디지털 형태의 방송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 및 IPTV 등에서 이용되는 방송과 관련된 부가적인 컨텐츠로서 부가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 데이터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데이터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는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의 융합 시,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검출한다.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는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한다.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는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속도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와,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융합함으로써,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관련 컨텐츠를 결합한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고정 및 이동 환경하에서,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상황에 맞추어 자동으로 다양한 품질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어, 전용 단말 없이도 다양한 방송 품질을 수신 상황에 맞도록 유연하게 수신하여 시청하면서도, 방송 시청 시 사용자에게 비용을 발생시키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데이터 수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수신모듈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방송 품질 및 부가 컨텐츠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는, 수신 가능한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들만을 융합하여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즉, 수신모듈로부터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융합 컨텐츠의 방송 품질을,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디폴트 방송 화면, 3차원 방송 화면,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중 어느 한 품질에 대응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융합 컨텐츠는, 복수의 수신모듈이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송품질뿐 아니라, 부가 컨텐츠가 서로 다르게 포함되도록 생성된 컨텐츠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이종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응용 가능한 수신모듈을 복수개 마련하고,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송 품질 및 부가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종의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방송 컨텐츠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들은 고정 및 이동 환경하에서,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품질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어, 전용 단말 없이도 다양한 방송 품질을 수신 상황에 맞도록 유연하게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품질 표시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방송 품질 표시부(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품질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즉, 방송 품질 표시부(131)는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디폴트 방송 화면(151), 3차원 방송 화면(152), SD(Standard Definition)(153), HD(High Definition(154) 및 UHD(Ultra High Definition)(155)와 같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151 내지 155)에서 융합 컨텐츠의 방송 품질을 선택하면, 방송 품질 표시부(131)는 선택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로 방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는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융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품질로,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관련 컨텐츠를 결합한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품질로 융합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 기능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는,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서 채용된 데이터 수신부(110),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 및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156)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 정보에 따른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151 내지 155)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즉,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는,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디폴트 방송 화면(151), 3차원 방송 화면(152), SD(Standard Definition)(153), HD(High Definition(154) 및 UHD(Ultra High Definition)(155)와 같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156)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는, 디폴트 방송 화면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0' Kbps, , 3차원 방송 화면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 '6' Mbps, SD(Standard Definition)는 '3'Kbps, HD(High Definition)는 '1'Mbps 및 UHD(Ultra High Definition)'3'Mpbs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151 내지 155)와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156)를 선택하면,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는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 속도로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에 맞추어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에 융합하여 보다 선명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데이터 요금제에 맞는 데이터 속도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 기능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는, 데이터 정보 입력부(133)와 계산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서 채용된 데이터 수신부(110),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 및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 정보 입력부(133)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을 입력받기위한 인터페이스(157)와 시청 시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158)을 포함하고 있다.
계산부(134)는 상기 데이터 정보 입력부(133)를 통해 입력된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 정보와 시청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계산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시청 시간 정보를 입력하면, 계산부(134)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을 통해 시청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159)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이 300Mbyte이고, 시청 시간 정보가 1시간이면, 1시간 동안 300Mbyte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품질 예상 정보 예를 들어, SD(Standard Definition) 방송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후, 계산부(134)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에 맞는 방송 품질로 융합 콘텐츠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사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송출 안테나 및 방송관련 디지털 데이터를 송출하는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으로 데이터 수신부(110),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 및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됨으로써,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융합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융합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각 구성은, 네트워크 독립형 융합방송의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동일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복수의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부(110)가,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수신망과 이종의 네트워크로부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S110).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는 외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종의 네트워크 또는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의 수신망으로서, 방송사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통신망을 통해,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수신모듈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신모듈에는, 프로토콜의 전환이 가능한 표준 방송신호 수신 모듈과, 역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토콜의 전환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신부(110)는 서로 다른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신호 수신 장치(미도시) 및, 이종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수신하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우리 나라의 경우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표준에 의해 수신 가능한 영상신호 데이터를 의미한다.)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이나, 이외의 국내외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수신모듈은, 이하 설명할 융합 컨텐츠, 즉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들이 융합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품질 및 방송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마련된 구성이다. 즉, 서로 다른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부가 컨텐츠를 각 데이터 및 컨텐츠가 송출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신하도록 마련된 구성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방송 컨텐츠, 즉 융합 컨텐츠의 방송 품질은, 기본적인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2차원의 디폴트 방송 화면 이외에, 현재 제공 가능한 품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3차원 방송 화면, HD(High Definition), UHD(Ultra High Definition) 품질들 중 어느 한 품질의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해당 품질은, 각 수신모듈의 수신 상황의 체크 결과에 따라서 수신되는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네트워크 서버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방송과 관련된 디지털 데이터로서, 표준 방송신호 이외의 프로토콜로 송출되는 디지털 형태의 방송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 및 IPTV 등에서 이용되는 방송과 관련된 부가적인 컨텐츠로서 부가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 데이터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데이터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어서,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가,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의 융합 시,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검출한다(S120).
이어서,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한다(S130).
이후,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가,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를 통해 조절된 속도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융합함으로써,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관련 컨텐츠를 결합한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고정 및 이동 환경하에서,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상황에 맞추어 자동으로 다양한 품질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어, 전용 단말 없이도 다양한 방송 품질을 수신 상황에 맞도록 유연하게 수신하여 시청하면서도, 방송 시청 시 사용자에게 비용을 발생시키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데이터 수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수신모듈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방송 품질 및 부가 컨텐츠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는, 수신 가능한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들만을 융합하여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즉, 수신모듈로부터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융합 컨텐츠의 방송 품질을,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디폴트 방송 화면, 3차원 방송 화면,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중 어느 한 품질에 대응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융합 컨텐츠는, 복수의 수신모듈이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송품질뿐 아니라, 부가 컨텐츠가 서로 다르게 포함되도록 생성된 컨텐츠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및 이종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응용 가능한 수신모듈을 복수개 마련하고,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송 품질 및 부가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종의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방송 컨텐츠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들은 고정 및 이동 환경하에서, 방송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품질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어, 전용 단말 없이도 다양한 방송 품질을 수신 상황에 맞도록 유연하게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품질 표시부(131)가, 상기 방송 품질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 중 하나의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로 방송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품질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품질 표시부(131)에 의해 수행된다.
즉, 방송 품질 표시부(131)는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디폴트 방송 화면, 3차원 방송 화면,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및 UHD(Ultra High Definition)와 같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151 내지 155)에서 융합 컨텐츠의 방송 품질을 선택하면, 방송 품질 표시부(131)는 선택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로 방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이후, 방송 컨텐츠 생성부(140)가, 상기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속도 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속도로 수신하고, 그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융합함으로써,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관련 컨텐츠를 결합한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4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품질로 융합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가, 사용자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 정보에 따른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사용자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 정보에 따른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에 의해 수행된다.
즉,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는, 표준 방송신호에 따른 디폴트 방송 화면, 3차원 방송 화면,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및 UHD(Ultra High Definition)와 같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는, 디폴트 방송 화면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0' Kbps, , 3차원 방송 화면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 '6' Mbps, SD(Standard Definition)는 '3'Kbps, HD(High Definition)는 '1'Mbps 및 UHD(Ultra High Definition)'3'Mpbs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151 내지 155)와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156)를 선택하면, 데이터 속도 선택부(132)는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 속도로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에 맞추어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에 융합하여 보다 선명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데이터 요금제에 맞는 데이터 속도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데이터 정보 입력부(133)가 사용자로부터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시청 시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계산부(134)가 상기 데이터 정보 입력부(133)를 통해 입력된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상기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시청 시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데이터 정보 입력부(133)와 상기 데이터 정보 입력부(133)를 통해 입력된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상기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계산하는 계산부(134)에 의해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시청 시간 정보를 입력하면, 계산부(134)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을 통해 시청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이 300Mbyte이고, 시청 시간 정보가 1시간이면, 한시간 동안 300Mbyte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품질 예상 정보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방송 가능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속도 조절부(130)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용할 수 있는 데이터에 맞는 방송 품질로 융합 콘텐츠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및 네트워크 독립형 융합방송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데이터 수신부 120 :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
130 : 데이터 속도 조절부 140 : 방송 컨텐츠 생성부

Claims (4)

  1. 적어도 둘 이상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수신망과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의 융합 시,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검출하는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데이터 속도 조절부; 및
    상기 적어도 한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속도 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속도로 수신하고, 그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와 융합함으로써, 상기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관련 컨텐츠를 결합한 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시청 시간 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정보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 가능한 데이터 량과, 상기 융합 방송 품질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는,
    상기 방송 품질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 가능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품질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품질 예상 정보로 방송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도 조절부는,
    사용자가 이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속도 정보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 정보에 따른 방송 품질 예상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속도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데이터 속도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4. 삭제
KR1020160098475A 2016-08-02 2016-08-02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KR10181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75A KR101816741B1 (ko) 2016-08-02 2016-08-02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75A KR101816741B1 (ko) 2016-08-02 2016-08-02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741B1 true KR101816741B1 (ko) 2018-01-09

Family

ID=6100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75A KR101816741B1 (ko) 2016-08-02 2016-08-02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7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2473A (ja) * 2014-10-20 2016-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2473A (ja) * 2014-10-20 2016-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3848B (zh) 用于多设备呈现的定制视频流式传输
US20110214061A1 (en)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lient Devices
US8661367B2 (en) Providing access to parts of contents for network display device
US8863200B2 (e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JP2022019726A (ja) コンテンツ提示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319825A1 (en) Methods, systems, and means for restricting control of a home entertainment device by a mobile device
EP2843961A1 (en) Method for relaying contents in contents reproducing device
EP276021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ent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server and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KR101358325B1 (ko) 외부로부터 수신된 환경 설정 값에 따라 환경을 설정하는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환경설정방법
KR20210058791A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6740B1 (ko)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방법
KR1008966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방법
KR101816741B1 (ko) 사용자 선택 방식의 융합방송 수신 장치
KR20150011652A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20180064647A (ko) 하이브리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6378B1 (ko) 휴대 단말을 통한 융합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융합방송 모니터링이 가능한 휴대 단말
CA280005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KR201600684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채널 리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090013346A1 (en) Method for restricting viewing access to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49721B1 (ko) 휴대 단말을 통한 융합방송 수신 장치 및 융합방송 출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
JP7096564B2 (ja) 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
KR100864908B1 (ko) 통신망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20160126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69021B1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