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48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483A
KR20160126483A KR1020150057530A KR20150057530A KR20160126483A KR 20160126483 A KR20160126483 A KR 20160126483A KR 1020150057530 A KR1020150057530 A KR 1020150057530A KR 20150057530 A KR20150057530 A KR 20150057530A KR 20160126483 A KR20160126483 A KR 2016012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broadcast
display device
display
broadcas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경
정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483A/ko
Publication of KR2016012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3Automatically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e.g. when a recording by reservation has been programmed for two programs in the same time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진입한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시청 모드는,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상기 UI 오브젝트 중,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만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집중 시청 기능을 설정, 해제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TV가 수행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TV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UI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에는 포인터 리모콘에 의해 표시되는 포인터, 외부 기기와의 연동 정보, 예약 녹화 또는 예약 시청 알림 정보, TV에 설치된 APP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 등 사용자가 TV를 조작하는데 필요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UI가 표시된다.
이러한 UI 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시청 환경을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TV 시청에 방해가 되는 요소가 될 수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방송 컨텐츠에 집중하고 있고 TV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에는 관심이 없는 상태에서 상술한 UI가 표시되는 경우 이러한 UI는 사용자의 방송 시청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집중 시청 기능을 설정, 해제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시청 모드는,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상기 UI 오브젝트 중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만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시청 모드는,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상기 UI 오브젝트 중,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만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집중 시청 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PG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사 로고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집중 시청 모드의 설정 여부를 묻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집중 시청 모드에서 이탈한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부 기기로부터 연동이 요청된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동안 발생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른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영상 획득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GUI 생성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terminal)를 포함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connecter)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연결된 외부 장치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가 송신한 동작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시청 가능 영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73)는 WiFi direct, WiDi, 기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마트 폰, 노트 북, PC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GUI 생성부(19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UI 오브젝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UI 생성부(195)는 포인터 리모콘의 동작에 대응되는 포인터, 외부 기기와의 연동 정보에 대한 팝업 창, 예약 녹화 또는 예약 시청 알림 정보에 대한 팝업창, TV에 설치된 APP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팝업창 등 사용자가 TV를 조작하는데 필요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UI 오브젝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GUI 생성부에서 생성된 UI 오브젝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GUI 생성부(195)에서 생성된 UI 오브젝트 영상을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저장된 UI 오브젝트 영상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집중 시청 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UI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210)에는 각종 UI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UI 오브젝트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 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어를 돕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오브젝트는 리모콘의 컨트롤을 위한 포인터, 각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팝업 창, TV를 제어하거나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OSD 메뉴일 수 있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방송 컨텐츠 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210)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방송 컨텐츠 시청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영상일 수 있다.
도 2의 디스플레이 방치(100)의 화면에는 UI 오브젝트(221, 222, 223)들이 표시되어 있다. 이 중 제1 UI 오브젝트(221)는 App의 업데이터가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팝업 창, 제2 UI 오브젝트(222)는 예약 녹화가 시작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팝업 창, 제3 UI 오브젝트(223)는 리모콘을 컨트롤하기 위한 포인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210)에는 다양한 UI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방송 시청을 방해할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방법은,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S310), 수신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330),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단계(S350),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 하는 단계(S370) 및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 아니면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는 단계(S39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집중 시청 모드는, 수신한 방송 컨텐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UI 오브젝트 중 수신한 방송 컨텐트 만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이다.
방송 수신부(130)는 방송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트는 방송 제공자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를 뜻하는 것으로, 방송 컨텐트는 방송 프로그램 및 방송 광고로 나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방송되는 명확한 시간 규격과 제목이 있는 정보단위이다. 방송 프로그램의 예로써, 보도/논평 프로그램, 교육/교양 프로그램, 정보 제공 프로그램, 드라마 및 영화 프로그램, 음악 프로그램, 오락 프로그램, 스포츠 프로그램 등이 있을 수 있다.
방송 광고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 즉, 방송을 통하여 하는 광고이다. 미국의 경우 방송 광고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중에 방영되나, 대한민국의 경우 방송 광고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되고 다른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기 전에 방영된다.
방송 수신부(130)는 방송 컨텐트를 방송 신호로써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컨텐츠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방송 컨텐츠와 함께 GUI 생성부(195)에서 생성된 UI 오브젝트, 저장부(140)에 저장된 UI 오브젝트 또는 기타 서버나 외부 기기기부터 수신한 UI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방송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없이 UI 오브젝트만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인지,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을 제외한 다른 컨텐츠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을 제외한 다른 컨텐츠에는 방송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를 EPG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EPG)) 란 TV 화면 상에 방송 편성표를 알려주는 것으로, EPG 정보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EPG 정보(410)를 방송 수신부(41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IP 통신 네트워크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EPG 정보(410)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EPG 정보(410)에는 편성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및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한 EPG 정보(410)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및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가 A 방송국의 c 방송 프로그램이 11:00부터 12:00까지 방영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데, 11시 10분에 사용자가 A 방송국에 할당된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EPG 정보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18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EPG 정보가 B 방송국의 d 방송 프로그램이 13:00부터 14:30까지 방영되고 B 방송국의 e 방송 프로그램이 14:40부터 16:00까지 방영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데, 14시 35분에 사용자가 B 방송국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EPG 정보와 현재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제외한 다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8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된 방송사 로고(511)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510)은 각 방송사마다의 고유의 로고(511)를 포함하며, 로고(511)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방송 프로그램을 제외한 다른 컨텐츠, 예를 들어 방송 광고의 영상은 로고(511)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방송 컨텐츠 영상이 방송사의 로고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 영상이 방송사의 로고를 포함하고 있으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 영상이 로고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이 아닌 것으로(예를 들어 방송 광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각 방송국의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캡쳐하여 로고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고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추출된 로고와 함께 추출된 로고에 대한 부가 정보, 예를 들어 추출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국 정보 또는 추출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국이 사용하는 채널 정보를 저장부(140)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면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각 방송국의 로고와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을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에 방송국의 로고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의 채널 정보 또는 방송국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 또는 방송국 정보와 함께 저장된 로고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한 로고를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A 채널의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로고와 함께 저장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A 채널에 대응하는 로고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고,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에 독출된 로고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에 로고가 포함되었으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 결과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에 로고가 포함되지 않았으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각 방송 국의 로고를 캡쳐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고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컨텐츠 영상을 비교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서버로부터 로고를 다운받고, 다운받은 로고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EPG 정보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편성 시간과 실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서로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프로그램의 편성 시간은 12:00부터 14:00까지로 예정되어 있으나, 방송사 사정에 의해 12:05부터 14:05까지 방송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4에서 설명한 EPG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인지 판단하는 방법 및 도 5에서 설명한 로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중첩적으로 적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먼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PG 정보로부터 방송 시작 시간을 검출하고, EPG 정보로부터 검출된 방송 시작 시간 보다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과 저장된 로고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로부터 검출된 방송 시작 시간이 12:00이고,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제어부(170)는 11:50부터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과 저장된 로고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PG 정보로부터 방송 종료 시간을 검출하고, EPG 정보로부터 검출된 방송 종료 시간 보다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과 저장된 로고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로부터 검출된 방송 종료 시간이 14:00이고,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제어부(170)는 13:50부터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과 저장된 로고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EPG 정보와 로고 정보를 중첩적으로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함으로써,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경우에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과 로고의 비교 없이 EPG 정보만을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기 전, 즉,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영상과 로고의 비교 없이 EPG 정보만을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이 아니면 집중 시청 모드에서 이탈하는 단계에서는, 시청하던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집중 시청 모드 중 수집되었던 각종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위한 UI를 디스플레이 해야 하기 때문에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정확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EPG 정보와 함께 로고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것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에서는, 집중 시청 모드에서 이탈하는 단계에서와 같은 정확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에서는, 로고 정보를 이용하는 것 없이, EPG 정보만을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함으로써, 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도 4,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PG 정보 또는 로고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시청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시청하기 시작한 시간 정보, 사용자가 특정 채널로부터 다른 채널로 채널을 전환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키거나 채널을 변환하는 등의 사용자 시청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제어부(170)는 EPG 정보를 이용하여 12:00에 A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A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로 12:10에 채널을 전환 했고 더 이상의 채널 전환이 없었다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A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10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12:20분에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제어부(170)는 EPG 정보를 이용하여 12:00에 A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A 방송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로 11:55에 채널을 전환했고 더 이상의 채널 전환이 없었다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12:00부터 기 설정된 시간 기 설정된 시간(10분)이 지난 12:10에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제어부(170)는 EPG 정보를 이용하여 12:00에 A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A 방송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로 12:10에 채널을 전환하였으나, 12:15에 다른 채널로 채널을 전환한 경우,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10분)동안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바,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캡쳐한 영상과 로고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방송사에서 a 로고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캡쳐한 영상들에 a 로고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170)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일정 시간 동안 특정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더라도, 사용자가 TV를 시청하지 않고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EPG 정보나 로고 정보, 영상 획득부(160)에서 촬영된 영상 및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시청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EPG 정보나 로고 정보, 사용자의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획득부(160)는 TV를 시청하기 위해 사용자가 위치할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으나, 영상 획득부(160)에서 촬영된 영상에 사용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제어부(170)는 EPG 정보로부터 12:00에 A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는 정보가 검출되고, 사용자가 A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로 12:10에 채널을 전환 했고 더 이상의 채널 전환이 없었다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TV를 시청하던 사용자가 12:15분에 자리를 비우면, 제어부(170)는 12:20이 되더라도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리를 비운 사용자가 12:25에 다시 TV를 시청하기 시작한 경우, 제어부(170)는 12:25부터 기 설정된 시간(10)이 경과한 12:35부터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인 경우, A 방송 프로그램이 7분동안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의 채널 전환에 의하여 B 방송 프로그램이 3분동안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된 바, 집중 시청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제어부(170)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이고, 현재 채널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집중 시청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 및 UI 오브젝트 중, 방송 컨텐트 만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경우, 리모콘의 컨트롤을 위한 포인터, 각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팝업 창, TV를 제어하거나 TV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OSD 메뉴 등의 UI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지 않고, 방송 수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에서의 기 설정된 시간은,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없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입력이 있는 시점으로부터 기산되고,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있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된 시점으로부터 기산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없는 제1 입력은, 사용자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은 다른 채널 정보 보기, 인터넷 접속, 채널 전환, 음소거 등일 수 있다.
한편,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있는 제2 입력은,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데 도움이 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은 현재 시청 중인 방송 정보 보기, 화면 조정, 볼륨 조절 등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6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는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없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입력이 있는 시점부터 기산하여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동일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없는 제1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 판단하는 기산점을 제1 입력이 입력되는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이고, 사용자가 12:00부터 a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12:05에 제1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12:05부터 10분이 경과한 12:15에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6b는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있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된 시점부터 기산하여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동일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있는 제2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 입력과 관계 없이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된 시점을 기산점으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0분이고, 사용자가 12:00부터 a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12:05에 제2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12:00부터 10분이 경과한 12:10에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구분하여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산점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집중 시청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집중 시청 모드 진입 여부를 묻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된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방해 금지 모드를 ON/OFF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방해 금지 모드 ON은 일정 조건이 만족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이고, 방해 금지 모드 OFF는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이다.
제어부(170)는 방해 금지 모드가 ON 되어 있는 경우, 도 4,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질문하는 팝업 창(711)을 방송 컨텐츠 영상(710)과 함께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집중 시청 모드 설정을 승낙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집중 시청 모드 설정 여부를 질문하는 팝업창 및 집중 시청 모드 진입을 승낙하는 사용자 입력 없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집중 시청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의 화면(810)에는 집중 시청 모드 중 DLNA 요청, APP 업데이트 알림, 시청 예약, 예약 녹화 알림, 기타 알림 및 리모콘 포인터 등의 UI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고, 방송 컨텐츠 만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집중 시청 모드 중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30부터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되어 14:00에 집중 시청 모드가 해제된 경우, 제어부(170)는 12:30부터 14:00까지 발생된 이벤트의 내용과 발생 시간을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본 디스플레이 방법은,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EPG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포함된 로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이 아니면, 예를 들어 방송 광고 이면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한편,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외에도 집중 시청 모드를 종료하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도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집중 시청 모드를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에서 이탈하고, 집중 시청 모드 중 발생된 이벤트들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채널 전환이 있는 경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채널을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고, 전환된 채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함께 집중 시청 모드 중 발생된 이벤트들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채널 전환이 있고 전환된 채널에서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채널을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고, 전환된 채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채널이 전환되면 전환된 채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것에 관계 없이 집중 시청 모드를 해제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고, 광고 방송 영상(910)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어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면,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가 종료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집중 시청 모드의 설정 중에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방송 컨텐츠와 함께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 상태에서 발생된 이벤트 항목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된 테이블(920)로써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벤트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구체적인 이벤트 정보(930)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항목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한 테이블로써 화면에 표시하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가 해제되면 이벤트의 내용을 설명하는 팝업 창을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순차 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외부 기기로부터 연동이 요청된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과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그 밖에 노트북, PC, 디스플레이 장치와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기기 등의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기기와 연동함으로써 외부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재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외부기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가 외부 기기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부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연동을 요청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외부 기기의 연동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의 TV 시청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연동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부(173)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연동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으로부터 스마트 폰(200)으로 전송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외부기기는 현재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상태이므로 현재 연동이 불가하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어 연동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에서 이탈하면 통신부(173)를 통하여 연동 요청 메시지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으로부터 스마트 폰(200)으로 전송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외부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현재 집중 시청 모드가 종료된 상태이므로 현재 연동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동 요청을 할 수 있다.
도 11은 집중 시청 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른 알고리즘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에 대한 즉시 응답이 필요한 경우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10). 즉시 응답이 필요한 경우로는 DLNA 요청, 집중 모드 해제 키 등이 있으며, 즉시 응답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는 App 업데이트 정보, 시청 예약, 예약 녹화를 포함할 수 있다.
S1110 단계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즉시 응답이 필요한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이 집중 시청 모드 해제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20). 사용자 입력이 집중 시청 모드 해제 입력인 경우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 해제 입력인 경우에는 집중 시청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S1120 단계에서 집중 시청 모드 해제 입력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DLNA 요청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종료 후, 즉, 집중 시청 모드가 해제되면 발생된 이벤트를 표시하고 외부 기기로 연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시 S1110 단계로 돌아가서, 즉시 응답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발생된 이벤트가 예약 관련 프로그램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30). 그리고 제어부(170)는 발생된 이벤트가 예약 관련 프로그램이 아니면, 예를 들어 App 업데이트 정보인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 종료 후, 즉, 집중 시청 모드 해제 후 App 업데이트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발생된 이벤트가 예약 관련 프로그램인지 판단하고(S1130), 예약 관련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시청 예약 또는 예약 녹화인 경우에는 예약 시간이 시작되면 녹화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예약 녹화 대상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인 경우, 제어부(170)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녹화를 수행하고, 집중 시청 모드가 해제되면 예약 녹화가 시작되어 종료되었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예약 시청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 대한 것인 경우, 예약 시청하기로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집중 시청 모드가 해제되면 사용자가 시청하던 채널이 예약 시청이 설정된 채널이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예약 시청 대상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인 경우, 예약 시청하기로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예약 시청하기로 설정되어 있던 방송 프로그램이나 채널을 녹화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가 종료되면 현재 예약 시청하기로 설정 되어 있던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중임을, 또는 예약 시청하기로 설정되어 있던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리모콘 입력에 의한 리모컨 포인터의 경우, 제어부(170)는 집중 시청 모드가 설정된 경우 리모컨 포인터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집중 시청 모드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170)는 리모컨 포인터를 화면에 다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는,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 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출력이 종료되면 셋탑 박스가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집중 시청 모드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수신된 방송 컨텐트 만이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방송 수신부: 130 제어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Claims (12)

  1.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시청 모드는,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상기 UI 오브젝트 중,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만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포함된 로고(LOGO)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없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이 있는 시점으로부터 기산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있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된 시점으로부터 기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2 방송 컨텐트에 대한 예약 시청 시간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송 컨텐트에 대한 예약 시청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여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연동 거절 메시지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연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채널 전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I 오브젝트는,
    원격 제어 장치의 컨트롤을 위한 포인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팝업 창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OSD 메뉴’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UI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이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시청 모드는,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및 상기 UI 오브젝트 중,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 만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포함된 로고(LOGO)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지 판단하거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없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이 있는 시점으로부터 기산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과 관계 있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된 시점으로부터 기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부는, 제2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송 컨텐트에 대한 예약 시청 시간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고,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송 컨텐트에 대한 예약 시청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방송 컨텐트를 수신하여 녹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연동 거절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집중 시청 모드로부터 이탈하면 연동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57530A 2015-04-23 2015-04-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26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30A KR20160126483A (ko) 2015-04-23 2015-04-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30A KR20160126483A (ko) 2015-04-23 2015-04-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483A true KR20160126483A (ko) 2016-11-02

Family

ID=5751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530A KR20160126483A (ko) 2015-04-23 2015-04-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64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53A1 (ko) * 2022-06-28 2024-0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53A1 (ko) * 2022-06-28 2024-0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3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channel switching during commercial breaks and/or other program segments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9967626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595768B2 (en) Enhanced program preview content
US8661367B2 (en) Providing access to parts of contents for network display device
US201500267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receiver
KR102016171B1 (ko) 미디어 서비스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JP201209512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90119712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list and sub-lis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1345851A (zh)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70064396A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3344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vent messages related to subscribed video channels
US20150189383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60126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JP6110330B2 (ja) 放送受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端末
US20090013355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102392B1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KR100617842B1 (ko)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601420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방송 컨텐트 차단 방법
EP431917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20130024131A (ko) 영상 표시 기기,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정보 전송 방법 및 프로그램 정보 수신 방법
KR20090074640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KR20110115837A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60133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96229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콘텐츠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