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726B1 -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 Google Patents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726B1
KR101816726B1 KR1020160074695A KR20160074695A KR101816726B1 KR 101816726 B1 KR101816726 B1 KR 101816726B1 KR 1020160074695 A KR1020160074695 A KR 1020160074695A KR 20160074695 A KR20160074695 A KR 20160074695A KR 101816726 B1 KR101816726 B1 KR 10181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sustained
release layer
controlled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524A (ko
Inventor
정현근
이종권
김종걸
권대용
Original Assignee
안국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국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국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726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 제어형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서로 인접한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서방출층에는 서방화제로서 친수성 고분자 물질인 카복시비닐폴리머가 단독으로 또는 폴리에틸렌옥시드와 함께 포함되어 있어서, 1일 1회 복용이 가능하고, 특히 기존의 단일 서방정과는 달리 속방출층에서의 즉각적인 약물 방출로 인해 즉각적이며 지속적인 효과 발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방출제어형 정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Controlled-release tablet containing bepotastine}
본 발명은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 조절형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서로 인접한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서방출층에는 서방화제로서 친수성 고분자 물질인 카복시비닐폴리머가 단독으로 또는 폴리에틸렌옥시드와 함께 포함되어 있어서, 1일 1회 복용이 가능하고, 특히 기존의 단일 서방정과는 달리 속방출층에서의 즉각적인 약물 방출로 인해 즉각적이며 지속적인 효과 발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방출제어형 정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은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만성 코 질환으로서, 치명적인 질환은 아니지만 심한 경우에는 천식 유발과 전두통 증상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저해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이러한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는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한 면역반응이 원인이 되며, 이러한 면역반응은 혈액 내 특이 면역 단백질(IgE)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특이 항원에 대한 특이 면역 단백질(IgE)의 수치가 높게 존재하게 되면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항히스타민제는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에서 면역 체계에 의해 방출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차단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막는 일차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 시켜주는 효과가 있을 뿐 근본적인 증상 치료는 불가능하며, 졸림 등과 같은 부작용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베포타스틴(bepotastine)은 항히스타민 작용을 갖는 선택적 항알레르기 제제로서 H1-히스타민 수용체의 비진정 선택성 길항제이며, 항히스타민제의 통상적인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도 베실산 베포타스틴 10 mg 제제가 타리온정이라는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베토타스틴 제제는 약물 투여 1시간 후에 유효성분의 혈중 농도가 최고에 이르며, 이후 상기 혈중농도가 급속하게 소실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1일 2회 복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다른 약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포타스틴 제제에 대해서도 그 복용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서방출성 제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서방출성 제제는 속방출성 제제에 비해 그 크기가 매우 커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서방출성 정제의 크기를 축소하여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적 과제로 대두되어 왔다. 즉, 서방출성 정제는 방출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제의 크기를 적정하게 만드는 기술이 더 어렵고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소개된 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공개특허 제2014-0052540호(공개일자; 2014년 05월 07일) 및 국내 공개특허 제2014-0016260호(공개일자; 2014년 02월 07일)에는 1일 1회 투여로 24시간 동안 약효가 지속되는 방출조절형 베포타스틴 제제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소개된 방출조절형 제제 제제는 서방성 담체 및 친수성, 소수성 방출 조절제를 이용하여 1일 1회 복용을 구현하고 있으나, 주성분인 베포타스틴을 함유하는 단일형 서방제인 관계로 복용 이후에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효과가 발현되기 시작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타리온정의 경우, 유효성분의 혈중농도가 최고에 이르는 시점(Tmax)이 복용 후 1.5 시간 인데 비해, 상기 공개특허 제2014-0052540호에 소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Tmax가 3.7 시간을 기록하고 있고, 상기 공개특허 제2014-0016260호의 [도 9] 및 [도 10]에서도 대조약 및 실시예의 Tmax를 비교하면 상기 타리온정에 비해 약 2배 이상 지연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4-0052540호(공개일자; 2014년 05월 07일) 공개특허 제2014-0016260호(공개일자; 2014년 02월 07일)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1일 1회 복용이 가능하되, 체내에서 신속한 효과 발현과 함께 지속적인 혈중농도를 유지하도록 최적의 약물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제어형 정제는, 베포타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서, 상기 속방출층은 상기 정제의 단위중량에 대하여 베포타스틴 3~4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붕해제 3~36 중량%와; 디만니톨,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부형제 10~43 중량%와; 경질무수규산,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글리세릴베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활택제 0.5~2 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방출층은 상기 정제의 단위중량에 대하여 베포타스틴 3~4 중량%와; 카복시비닐폴리머 또는 카복시비닐폴리머와 폴리에틸렌옥시드로 이루어진 서방화제 6~30 중량%와; 미결정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중에서 선택된 난용성 부형제 20~35 중량%와; 경질무수규산,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활택제 3~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속방출층은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mg,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0mg, 직타용 디만니톨 98mg, 직타용 미결정셀룰로오스 29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m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방출층은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mg, 카복시비닐폴리머 71G NF 20mg, 분자량이 900,000~5,000,000인 폴리에틸렌옥시드 20mg, 미결정셀룰로오스 90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mg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는 1일 1회 복용만으로 충분한 소염진통 효과를 발현할 수 있고, 특히 정제 한 개의 단위 중량이 300mg으로 서방성 및 방출 제어형 정제의 기능을 감안했을 때 사이즈가 작아서 복용 편의성이 크게 개선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출제어형 정제는 속방출층 및 서방출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정제로서 일반적인 혼합기 및 타정기를 사용하여 저비용과 신속한 제조가 가능한 건식 공정으로 생산 하여, 복용 이후 즉각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약물 방출을 실현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에 대한 용출시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3, 4에 대한 용출시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3은 실시예 1 및 4에 대한 용출시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 5, 6에 대한 용출시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시판중인 타리온정 및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체내 혈중농도 패턴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는 서로 인접한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을 갖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속방출층은 베포타스틴과 붕해제, 부형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지고, 서방출층은 베포타스틴과 서방화제, 부형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은 상하로 적층된 2층 구조로 이루어 질수도 있고, 서방출층을 중간층으로 하여 그 양면 속방출층이 적층된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인 베포타스틴은 상기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에 각각 상기 방출제어형 정제의 단위중량에 대하여 3~4 중량%씩 포함된다. 상기 베포타스틴은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besylate)나 베포타스틴 살리실레이트(salicyl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속방출층에 포함되는 붕해제로는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상기 정제의 단위중량에 대하여 3~36 중량%이다.
그리고 상기 속방출층에 포함되는 부형제로는 디만니톨,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10~43 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식 생산을 위해서 직타용 유당(예; Flowlac), 직타용 디만니톨(예; D-mannitol 200SD), 직타용 미결정셀룰로오스(예; Vivapur 12)를 사용하여 혼합물의 흐름성을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방출층에서 활택제는 경질무수규산,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글리세릴베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있고, 그 함량은 상기 정제의 단위중량에 대하여 0.5~2 중량%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속방출층의 붕해제로서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부형제로는 직타용 미결정셀룰로오스와 직타용 디-만니톨, 활택제로서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서방출층에서 본 발명의 특징인 서방화제로는 친수성 고분자 물질인 카복시비닐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카복시비닐폴리머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함께 사용한다. 이때, 상기 카복시비닐폴리머로는 예컨대, 루비리졸(Lubrizol)사의 Carbopolⓡ 71G NF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arbopolⓡ의 71G NF는 점도가 4,000~11,000cP( Brookfild RVT, 20rpm, neutralized to PH 7.3~7.8, 0.5 wt% mucilage, spindle #5 )이며, 입도는 최소 95%가 40mesh( 425microns )를 통과하고 최대 10%가 100mesh( 150microns )를 통과하는 입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카복시비닐폴리머 71G NF’라 함은 상기 Carbopolⓡ의 71G NF 와 동일한 점도 및 입도 범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상기 카복시비닐폴리머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주성분의 방출속도가 너무 늦어지거나 너무 빨라져서 원하는 방출패턴을 얻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고, 나아가 상기 카복시비닐폴리머의 입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방출 재현성에서 편차가 크게 나타나거나 건식법으로 생산하는데 흐름성 불량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옥시드는 분자량이 900,000~5,0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폴리에틸렌옥시드의 분자량이 900,000 미만이면 주성분의 방출이 너무 빨리 일어나고, 반대로 5,000,000을 초과하면 주성분의 방출이 너무 느려져서 역시 원하는 방출패턴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서방화제의 함량은 상기 정제의 단위중량에 대하여 6~30 중량%를 포함하는데, 상기 함량이 6 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의 용출속도가 너무 빨라서 원하는 서방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반대로 상기 30 중량%를 초과하면, 유효성분의 용출속도가 너무 늦어져서 복용 후 효과적인 방출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상기 서방출층의 부형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난용성 부형제 20~35 중량%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서방출층에 유당이나 디 만니톨 등과 같은 수용성 부형제를 사용하면, 동일량의 난용성 부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빠른 용출이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난용성 부형제 대신에 수용성 부형제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이 원하는 서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양의 부형제나 서방화제를 첨가해야 하고, 이는 곧 정제 자체의 단위 중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처럼 상기 서방출층의 부형제로서 난용성 부형제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출제어형 정제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서방출층의 활택제는 경질무수규산,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3~5 중량%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서방화제로는 카복시비닐폴리머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함께 사용하고, 서방출층의 부형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는 통상의 경구투여용 정제의 타정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나, 건식법(직타법이라고도 함)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에 포함되는 구성성분들을 각각 혼합하여 속방출층 조성물과 서방출층 조성물을 조제하고, 통상적인 타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들을 2층 구조 또는 3층 구조의 정제 형태로 타정하여 본 발명의 방출제어형 정제를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출제어형 정제는 정제 한 개의 단위중량이 300mg 이고, 여기에 포함되는 베포타스틴의 함량은 일일 유효량인 20mg이다. 이때,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에는 베포타스틴이 각각 9~11mg씩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다음 표 1 및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속방출층 조성물과 서방출층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고, 상기 조성물들을 통상적인 건식법으로 타정하여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이 2층 구조로 적층된 정제를 타정한 후, 그 위에 통상의 필름 코팅기제를 코팅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를 제조 하였다.
이하, 도표에서 속방출층의 ①은 유효성분, ②는 붕해제, ③은 부형제, ④는 활택제를 나타내고, 서방출층의 ①은 유효성분, ②는 서방화제, ③은 부형제, ④는 활택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서방출층의 서방화제로서 카복시비닐폴리머는 루비리졸(Lubrizol)사의 Carbopolⓡ 71G NF 폴리머를 사용하였고, 폴리에틸렌옥시드는 분자량이 900,000~5,000,000인 것을 사용하였다.
구분 구성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함량(mg) 중량% 함량(mg) 중량% 함량(mg) 중량%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0 3.33 10.0 3.33 10.0 3.33
②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0.0 3.33 10.0 3.33 10.0 3.33
③ 디-만니톨 98.0 32.67 98.0 32.67 98.0 32.67
③ 미결정셀룰로오스 29.0 9.67 29.0 9.67 29.0 9.67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1.00 3.0 1.00 3.0 1.00
소 계 150.0 50.00 150.0 50.00 150.0 50.00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0 3.33 10.0 3.33 10.0 3.33
② 카복시비닐폴리머 71G NF 20.0 6.67 65.0 21.67 30.0 10.00
② 폴리에틸렌옥시드 20.0 6.67 - - 10.0 3.33
③ 미결정셀룰로오스 90.0 30.00 65.0 21.67 90.0 30.00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0 3.33 10.0 3.33 10.0 3.33
소 계 150.0 50.00 150.0 50.00 150.0 50.00
합 계 300.0 100.00 300.0 100.00 300.0 100.00
구분 구성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함량(mg) 중량% 함량(mg) 중량% 함량(mg) 중량%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 - 9.0 3.00 11.0 3.67
① 베포타스틴살리실레이트 10.0 3.33 - - - -
②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0.0 3.33 88.2 29.40 107.8 35.93
③ 디-만니톨 98.0 32.67 26.1 8.70 31.9 10.63
③ 미결정셀룰로오스 29.0 9.67 9.0 3.00 11.0 3.67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1.00 2.7 0.90 3.3 1.10
소 계 150.0 50.00 135.0 45.00 165.0 55.00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 - 11.0 3.67 9.0 3.00
① 베포타스틴 살리실레이트 10.0 3.33 - - - -
② 카복시비닐폴리머 71G NF 20.0 6.67 22.0 7.33 18.0 6.00
② 폴리에틸렌옥시드 20.0 6.67 22.0 7.33 18.0 6.00
③ 미결정셀룰로오스 90.0 30.00 99.0 33.00 81.0 27.00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0 3.33 11.0 3.67 9.0 3.00
소 계 150.0 50.00 165.0 55.00 135.0 45.00
합 계 300.0 100.00 300.0 100.00 300.0 100.00
[비교예 1 ~ 4]
다음 표 3 및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속방출층 조성물과 서방출층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고, 상기 조성물들을 통상적인 건식법으로 타정하여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이 2층 구조로 적층된 정제를 타정한 후, 그 위에 통상의 필름 코팅기제를 코팅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를 제조 하였다.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비교예 1 및 2에서는 서방출층의 서방화제로서 카복시비닐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았고, 비교예 3 및 4에서는 난용성 부형제 대신에 수용성 부형제를 사용하였다.
구분 구성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함량(mg) 중량% 함량(mg) 중량%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0 3.33 10.0 3.33
②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0.0 3.33 10.0 3.33
③ 디-만니톨 98.0 32.67 98.0 32.67
③ 미결정셀룰로오스 29.0 9.67 29.0 9.67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1.00 3.0 1.00
소 계 150.0 50.00 150.0 50.00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0 3.33 10.0 3.33
② 폴리에틸렌옥시드 100.0 33.33 50.0 16.67
② 히프로멜로오스(4000mPa.s) - - 50.0 16.67
③ 미결정셀룰로오스 30.0 10.00 30.0 10.00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0 3.33 10.0 3.33
소 계 150.0 50.00 150.0 50.00
합 계 300.0 100.00 300.0 100.00
구분 구성성분 비교예 3 비교예 4
함량(mg) 중량% 함량(mg) 중량%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0 3.33 10.0 3.33
②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0.0 3.33 10.0 3.33
③ 디-만니톨 98.0 32.67 98.0 32.67
③ 미결정셀룰로오스 29.0 9.67 29.0 9.67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1.00 3.0 1.00
소 계 150.0 50.00 150.0 50.00



①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0 3.33 10.0 3.33
② 카복시비닐폴리머 71G NF 20.0 6.67 20.0 6.67
② 폴리에틸렌옥시드 20.0 6.67 20.0 6.67
③ 디만니톨 90.0 30.00 - -
③ 유당 - - 90.0 30.00
④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0 3.33 10.0 3.33
소 계 150.0 50.00 150.0 50.00
합 계 300.0 100.00 300.0 100.00
[용출시험 및 결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베포타스틴 방출제어형 정제에 대하여 각각 용출시험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첨부 도 1 ~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용출시험 조건은 의약품 동등성 기준의 비교용출시험법에 의해 pH 6.8 용출액에서 패들(paddle)을 50rpm으로 회전시키는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첨부 도 1 에 나타난 용출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포타스틴 방출제어형 정제는 속방출층이 즉각적인 약물 방출을 시작하고, 서방출층이 지속적인 약물 방출을 유지함으로써 24시간 동안 각 시간대 별로 거의 균일한 방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2에서는, 서방출층에 사용되는 부형제로서 유당이나 디만니톨과 같은 수용성 부형제를 사용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 약물이 신속하게 방출하여 정상적인 서방성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상적인 서방성 효과의 증대를 위해서는 서방층에 부형제를 더 첨가하거나 서방화제를 더 첨가하여야 하고, 이는 곧 정제 자체의 무게를 증가시켜는 원인이 된다.
도 3은 유효성분으로서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1과 베포타스틴 살리실레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4에서 서로 유사한 용출패턴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도 4는 각 구성성분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서 원하는 용출 패턴으로 방출 제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투약 시험 및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에 따라 제조된 베포타스틴 방출제어형 정제와 시판중인 타리온정을 대조약으로 사용하여 건강한 사람에게 투약하고, 혈중내의 베포타스틴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그래프화 하여 도 5에 수록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정제는 1일 1정을 투약하였고, 상기 타리온정은 1정을 투약 후 12시간 후에 다시 1정을 투약하였다. 시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정제의 경우, 유효성분의 혈중농도가 투약 후 24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유효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베포타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방출제어형 정제에 있어서,
    상기 속방출층은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mg,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0mg, 직타용 디만니톨 98mg, 직타용 미결정셀룰로오스 29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m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방출층은 베포타스틴 베실레이트 10mg, 점도가 4,000~11,000cP 이고, 입도는 최소 95%가 40mesh를 통과하며 최대 10%가 100mesh를 통과하는 카복시비닐폴리머 20mg, 분자량이 900,000~5,000,000인 폴리에틸렌옥시드 20mg, 미결정셀룰로오스 90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mg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KR1020160074695A 2016-06-15 2016-06-15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KR10181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95A KR101816726B1 (ko) 2016-06-15 2016-06-15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95A KR101816726B1 (ko) 2016-06-15 2016-06-15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24A KR20170141524A (ko) 2017-12-26
KR101816726B1 true KR101816726B1 (ko) 2018-01-11

Family

ID=6093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95A KR101816726B1 (ko) 2016-06-15 2016-06-15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72B1 (ko) * 2018-12-04 2021-05-31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베포타스틴의 방출 제어형 경구 제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armaceutical Polymers for Oral Solid Dosage Forms, 2007,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24A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572B1 (ko) 안정한 서방출형의 경구 투여용 조성물
AU2016208417B2 (en) Therapeutic compositions comprising rilpivirine HCl and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JP5351490B2 (ja) ニフェジピン含有有核錠剤およびその製法
KR101710792B1 (ko) 세레콕시브 및 트라마돌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TR201809084T4 (tr) Lopinavir içeren katı farmasötik dozaj formülasyonu.
US10537551B2 (en) Tesofensine and beta blocker combination formulations
KR101464771B1 (ko) 페닐에프린의 지속 방출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230055404A1 (en) Soli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WO2011069326A1 (zh) 包含阿替洛尔和氨氯地平的双层片剂
CN112716955A (zh) 用于治疗疼痛和阿片样物质肠功能障碍综合征的氢吗啡酮和纳洛酮
KR101816726B1 (ko) 베포타스틴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KR102306005B1 (ko) 발사르탄 및 로수바스타틴 칼슘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3241B1 (ko) 라코사미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서방성 조성물
EP2839829B1 (en) Sustained release tablet containing levodropropizin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arim et al. Effect of sodium starch glycolate on formulation of fexofenadine hydrochloride immediate release tablets by direct compression method
KR101265491B1 (ko) 사포그릴레이트염산염을 함유하는 용출률이 조절된 경구용 다층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50171119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with modified release
KR101856142B1 (ko) 실로스타졸 함유 서방출성 정제
Dahl et al. Effects of various granulating systems on the bioavailability of naproxen sodium from polymeric matrix tablets
KR20190142809A (ko) 실로스타졸과 스타틴계약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80101307A (ko) 티아넵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서방성 정제
KR20140072673A (ko) 경구용 위장질환 치료를 위한 정제
KR20120092993A (ko) 티아넵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서방성 정제
EP420573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single dosage form for treating or preventing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Niharik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etoprolol Succinate and Hydrochlorthiazide Bilayer Tablets by Wet Granu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