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819B1 - 조립형 임시 매장 - Google Patents

조립형 임시 매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819B1
KR101815819B1 KR1020170109168A KR20170109168A KR101815819B1 KR 101815819 B1 KR101815819 B1 KR 101815819B1 KR 1020170109168 A KR1020170109168 A KR 1020170109168A KR 20170109168 A KR20170109168 A KR 20170109168A KR 101815819 B1 KR101815819 B1 KR 10181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central
outer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원
Original Assignee
김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원 filed Critical 김창원
Priority to KR102017010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22Sales kios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임시 매장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의 조립형 임시 매장은 바닥이 평평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복수의 중앙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외곽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의 다른 일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 2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2 외곽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이고, 상기 중앙 프레임에는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에 삽입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곽 프레임과 제2 외곽 프레임은 중앙에서 외곽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임시 매장 {ASSEMBLED TEMPORARY SHOP}
본 발명은 조립형 임시 매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립형 임시 매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에서는 많은 제품을 소비자가 쉽게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품들을 전시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팝업 스토어 형태의 임시 매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전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전시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라든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된다.
팝업 스토어란 짧은 기간 운영하는 '임시 매장'을 말한다.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떴다 사라지는 '팝업창'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짧게는 하루, 길게는 몇 개월씩 문을 열기도 한다.
이러한 임시 매장은 기간이 차이는 있지만 설치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철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임시 매장은 주로 홍보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구매자들의 구매 의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도록 상품의 특징을 극대화하여 진열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조립형 임시 매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장 외부에서도 상품을 쉽게 볼 수 있는 조립형 임시 매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즌 및 상황에 따른 제품에 최적화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형 임시 매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은 바닥이 평평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복수의 중앙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외곽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의 다른 일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 2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2 외곽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이고,상기 중앙 프레임에는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에 삽입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곽 프레임과 제2 외곽 프레임은 중앙에서 외곽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다수의 중앙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1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제1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외곽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제2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4 연결부; 및 상기 제2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외곽 프레임 상호을 연결하는 제5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2 외곽 프레임은 링 형상 내부 공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제2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중앙 프레임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아무것도 배치되지 않는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영역의 폭은 700mm 이상 1500mm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중앙 프레임 중 일부는 좌측 프레임이 제거되고, 상기 제2 영역의 중앙 프레임 중 일부는 우측 프레임이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형 임시 매장은 상기 중앙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2 외곽 프레임은 아크릴 재질이며, 상기 프레임들 내부에 삽입된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 등에서 임시 매장 설치 시에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 외부에서도 상품을 쉽게 볼 수 있어 외부 고객의 유인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즌 및 상황에 따른 제품에 최적화된 조명을 제공하여 고객의 고매 의욕을 고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중앙 프레임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중앙 프레임 중 개방형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연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외각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에 LED가 삽입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LED 제어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구성 A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구성 B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면, 구성 A와 구성 B가 결합된 실시 예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10)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임시 매장(10)은 바닥이 평평한 플레이트(100),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중앙 프레임(200), 상기 중앙 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된 제1 외곽 프레임(300), 및 상기 중앙 프레임의 다른 일측면에 배치된 제2 외곽 프레임(4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들은 연결부(5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조립형 임시 매장을 구성하는 바닥면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00) 상에는 다수의 프레임들(200, 300, 400) 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매장 외부에서도 매장 내부를 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들(200, 300, 4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이고, 링 형상 내부에 상품이 진열된다. 이들 프레임은 가공이 용이한 목재나 아크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아크릴 수지 사용하는 경우 내부에 LED가 삽입될 수 있어 조명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200)은 동일한 형상의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프레임의 개수 및 배치 간격에 따라 매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개수는 진열 상품의 성격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2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앙 프레임(200)의 중앙 부분은 다른 프레임들 간의 간격보다 넓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중앙 프레임(200)은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되되, 플레이트(100)의 중앙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00)는 중앙 프레임(200)이 배치되는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아무것도 배치되지 않는 제3 영역(130)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3 영역(130)을 통해 사람이 출입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테이블(600)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테이블(600)의 배치 여부는 진열 주최측의 선택적인 사항이고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1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상기 제3 (130)의 폭은 대략 700mm 이상 내지 1500mm 이하일 수 있다. 즉, 중앙 프레임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되, 대략 700mm 이상 내지 1500mm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은 배치되는 중앙 프레임(200)은 제3 영역(130)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중앙 프레임(200)의 내측 벽에는 돌출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4)는 중앙 프레임에(200)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돌출부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돌출부(214)에 선반(216)을 배치하고, 선반(216)에 다양한 상품을 진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프레임(200)은 환형의 링 형상에서, 링이 연결되어 있는 폐쇄형과 링 형상에서 일측이 오픈되어 있는 개방형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형 프레임(C)과 개방형 프레임(O)은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폐쇄형 프레임이 복수개 배치된 후 오픈형 프레임이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폐쇄형 프레임(C1)이 3개, 개방형 프레임(O1)이 3개 배치되고, 다시 폐쇄형 프레임(C2)이 2개, 개방형 프레임(O2)이 4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폐쇄형 프레임과 오픈형 프레임의 배치 개수와 순서는 자유롭게 변경하다. 이때 개방형 프레임의 말단은 사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형 프레임에서 상부에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외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느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폐쇄형 프레임 사이에 개방형 프레임을 배치함으로써 미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시 매장 외부에서 내부에 진열된 상품을 쉽게 볼 수 있다.
도 2는 폐쇄형 프레임 중 하나(210)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프레임(2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이고, 상기 중앙 프레임(210)은 좌측 프레임(211)과 우측 프레임(212) 및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부(213)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을 사람이 드나들 수 있을 정도의 높이가 확보되어야 하고 또한 상품을 진열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도 확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프레임 내부 높이(a1)는 대략 2.2m 정도 일 수 있고, 중앙 프레임 내부의 폭(b1)은 대략 1.7m 정도 일 수 있다. 그리고 중앙 프레임의 외부 높이(c1)는 대략 2.4m 정도일 수 있고, 외부 폭(d1)은 대략 2.2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수치는 예시적인 수치일 뿐이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중앙 프레임은 사각형이나 타원형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모서리 부분을 곡선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즉, 중앙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부분은 소정의 곡률값을 가지는 곡면 형상이고, 가운데 부분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210)의 내측벽에는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14)는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214)의 설치 높이(e1)는 대략 800mm 정도 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4)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 상호간의 거리는 대략 300mm일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210)은 좌우측 프레임이 결합부(21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3)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무거울 뿐만 아니라 크기도 상당하므로 작업이나 운반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좌우측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결합부(213)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설치, 분해 및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3)의 두께는 대략 5mm 정도이며 아크릴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13)는 경첩 행태로 중앙부를 중심으로 접히는 형태이다.
상기 중앙 프레임(210)의 상부는 결합부(213)를 통해 연결되어 있지만, 하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 하부는 플레이트(100)에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바닥은 평평해야 하므로 좌우측 플레이트가 연결되지 않도록 해 플레이트(100)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형 프레임도 하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엄밀히 말하면 폐쇄되었다고 할 수 없지만,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개방형과 구분하기 위해 폐쇄형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상기 중앙 프레임(210)에는 다수의 연결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홀(215)은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의 상부, 중앙, 하부 영역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215)에는 연결부가 삽입되어 다수의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한다.
도 3은 개방형 프레임(220)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방형 프레임(220)은 두 개의 프레임이 연결된 형태가 아니고 하나의 프레임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체결부(213)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개방형 프레임(220)은 앞서 도 2에서 살펴본 폐쇄형 프레임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이다. 다만 한쪽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때 개방형 프레임의 상부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형 프레임의 상부는, 중앙(도 2에서 체결부가 있던 영역) 영역 전까지만 짧게 형성되거나(a), 중앙을 지나 길게 형성되거나(b), 반대측의 곡선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형성되거나(c), 반대측의 곡선이 끝나는 부분까지 형성될 수 있다(d). 즉, 개방형 프레임의 상부의 길이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이때 개방형 프레임(220)의 상부의 길이가 짧은 순서 또는 긴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연결부가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연결부(500)는 두 개의 중앙 프레임(210, 230)을 연결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프레임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다수의 프레임이 하나의 연결부(500)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5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 파이프(510), 상기 연결 파이프(500)의 끝단에 삽입되는 체결구(520), 및 상기 체결구(52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520)에 내측벽에는 나사선(52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볼트(530)이 나사결합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510)의 외경은 대략 40mm 이고, 체결구(520)의 외경은 체결구 대략 30mm 이고, 연결 파이프(510)의 내경은 체결구(52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되어 체결구(520)가 연결 파이프(5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에는 체결구(520)가 관통되는 홀(2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520)는 프레임(210)에 형성되어 있는 홀(216)을 관통하여 연결 파이프(5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다수의 프레임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레임(210, 220) 사이에 연결 파이프(510)가 위치하고, 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체결구(520)가 연결 파이프 안으로 삽입되며, 체결구(520)는 양쪽 끝단의 체결볼트(530a, 530b)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500)는 프레임의 상부, 하부, 및 가운데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500)는 중앙 프레임 상호간뿐만 아니라 제1 외각 프레임과 중앙 프레임, 제2 외각 프레임과 중앙 프레임, 외각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500)는 다수의 중앙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제1 외곽 프레임과 상기 중앙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제1 외곽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 중앙 프레임과 제2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4 연결부, 및 제2 외곽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5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임시 매장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연결부(500)가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500)는 두 개의 프레임을 연결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프레임을 관통하여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부의 체결구 및 체결볼트는 연결부의 끝단에만 체결된다.
그리고 중앙 프레임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1 외각 프레임(300)과 제2 외곽 프레임(400)은 중앙에서 외각으로 진행할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외곽 프레임(300)을 나타낸 것이다. 제2 외곽 프레임(400)은 제1 외곽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제1 외곽 프레임(300)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외곽 프레임(300)은 상기 중앙 프레임(200)과 연결부(500)를 통해 연결되며, 중앙 프레임(200)과 연결된 프레임의 크기가 가장 크고 가장 바깥쪽 프레임의 크기가 가장 작다.
도 6의 (a)는 중앙 프레임과 연결된 제1-1 외곽 프레임(310)을 나타낸 것인데, 중앙 프레임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며, 중앙 프레임보다 높이와 폭이 조금 작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1 외곽 프레임(310)의 내부 높이(a2)는 대략 2.1m 정도 일 수 있고, 제1-1 외곽 프레임(310) 내부의 폭(b2)은 대략 1.64m 정도 일 수 있다. 그리고 제1-1 외곽 프레임(310)의 외부 높이(c2)는 대략 2.32m 정도일 수 있고, 외부 폭(d2)은 대략 2.04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수치는 예시적인 수치일 뿐이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중앙 프레임은 사각형이나 타원형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모서리 부분을 곡선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즉, 중앙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부분은 소정의 곡률값을 가지는 곡면 형상이고, 가운데 부분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301)의 내측벽에는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돌출부(3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14)은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314)은 중앙 프레임에 설치된 돌출부(214)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314)의 설치 높이(e2)는 대략 800mm 정도 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4)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 상호간의 거리는 대략 300mm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중앙 프레임(210)의 상부는 결합부(213)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데, 하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플레이트가 노출된 형태임에 반해, 제1 외각 프레임(301)의 하부는 좌우측 프레임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는 결합부(303)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부에는 별도의 결합장치를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1 외곽 프레임(310)에는 상기 연결부(500)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홀(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1 외곽 프레임(310)에 형성된 연결홀(305)의 위치는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연결홀(215)의 위치와 동일하다.
도 6의 (b)는 상기 제1-1 외곽 프레임(310)에 이웃하는 제1-2 외곽 프레임(320)를 나타낸 것이다.
제1-2 외곽 프레임(320)은 제1-2 외곽 프레임(320)에 비해 높이와 너비가 적으며,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그리고 제1-2 외곽 프레임(320)은 연결부(500)에 의해 제1-1 외곽 프레임(310)에 연결된다. 이때 제1-2 외곽 프레임(320)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플레이트(100)에 부착되지 않고 공중에 떠 있게 된다. 따라서 제1-2 외곽 프레임(320)은 상부와 하부에 모두 결합부(323a, 323b)가 형성된다. 프레임의 하부가 플레이트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부를 통해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제1-2 외곽 프레임(320)의 내부 높이(a3)는 대략 1.93m 정도 일 수 있고, 제1-2 외곽 프레임(320) 내부의 폭(b3)은 대략 1.48m 정도 일 수 있다. 그리고 제1-2 외곽 프레임의 외부 높이(c3)는 대략 2.24m 정도일 수 있고, 외부 폭(d2)은 대략 1.88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수치는 예시적인 수치일 뿐이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외곽 프레임(300)은 외곽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점점 작아지면서 플레이트(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연결부(500)에 의해 이웃하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공중에 떠 있는 형태이다.
상기 제1 외곽 프레임의 최외곽 프레임에는 기업의 비주얼이나 로고 등을 부착하여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들(200, 300, 400)은 투명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복수의 색상을 발광하는 LED 조명 매립될 수 있다.
상기 LED 조명은 제어부와 연결되어 진열되는 제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도 7은 프레임에 LED가 매립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LED(700)가 프레임의 외곽 부분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ED를 상기 프레임들(200, 300, 400)에 매립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이때, 조립형 임시 매장의 일측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진열되는 상품의 색상을 감지하고, 색상에 적합한 조명을 자동으로 연출할 수 있다. 색상에 따른 조명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는 프레임의 상부나 돌출부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조명 제어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 조립형 임시 매장은 카메라(810), 제어부(820), 및 LED 조명부(8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10)는 돌출부 위에 진열된 상품 또는 테이블 위에 진열된 상품을 촬영하여 제어부(820)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820)는 전송받은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카메라 영상의 색상을 판단하고 색상에 따라 LED 조명부의 색상을 제어한다. LED 조명부(830)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LED는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하나의 매장 내에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장의 중앙 부분은 그린(GREEN) 색상이 강화된 조명을 출력하거나 외곽 부분은 적색(RED) 색상이 강화된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매장 관리자는 카메라 영상 분석과 상관없이 관리자가 원하는 색상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색상에 따라 조명이 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색상의 연출 시간을 설정하여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명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색상별로 채널을 설정하고, 각 채널별 색상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품별 최적의 색상을 연출하여 구매 의욕을 고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원하는 색상을 연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플레이트 200 : 중앙 플레이트
300 : 제1 외곽 플레이트 400 : 제2 외곽 플레이트
500 : 연결부 600 : 테이블
700 : LED 213 : 결합부
214 : 돌출부 216 : 선반
510 : 연결 파이프 520 : 체결구
530 : 체결볼트

Claims (7)

  1. 바닥이 평평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복수의 중앙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외곽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의 다른 일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 2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2 외곽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이고,
    상기 중앙 프레임에는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에 삽입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첩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곽 프레임과 제2 외곽 프레임은 중앙에서 외곽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임시 매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다수의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다수의 중앙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1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제1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외곽 프레임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제2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4 연결부; 및
    상기 제2 외곽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외곽 프레임 상호을 연결하는 제5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형 임시 매장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앙 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2 외곽 프레임은 링 형상 내부 공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립형 임시 매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제2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넓은 조립형 임시 매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중앙 프레임 중 일부는 좌측 프레임이 제거되고,
    상기 제2 영역의 중앙 프레임 중 일부는 우측 프레임이 제거된 조립형 임시 매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 제1 외곽 프레임, 및 제2 외곽 프레임은 아크릴 재질이며,
    상기 프레임들 내부에 삽입된 LED를 더 포함하는 조립형 임시 매장.

KR1020170109168A 2017-08-29 2017-08-29 조립형 임시 매장 KR10181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68A KR101815819B1 (ko) 2017-08-29 2017-08-29 조립형 임시 매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68A KR101815819B1 (ko) 2017-08-29 2017-08-29 조립형 임시 매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819B1 true KR101815819B1 (ko) 2018-01-05

Family

ID=6100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168A KR101815819B1 (ko) 2017-08-29 2017-08-29 조립형 임시 매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35A (ko) * 2018-01-10 2019-08-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3d프린터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골조부재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0227A (ja) 2004-10-18 2006-04-27 Shiroki Corp 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0227A (ja) 2004-10-18 2006-04-27 Shiroki Corp 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35A (ko) * 2018-01-10 2019-08-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3d프린터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골조부재 제조장치
KR102107988B1 (ko) * 2018-01-10 2020-05-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3d프린터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골조부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2812A1 (en) Product merchandising outpost system
US8196326B2 (en) Multi-frame groove-mount wall system
KR101815819B1 (ko) 조립형 임시 매장
US7584561B2 (en) Light box display
CN208941513U (zh) 嵌入式商品展示橱窗
KR200445711Y1 (ko) 전시부스용 조립부재
KR101213536B1 (ko) 액자
KR101031918B1 (ko) 액자형 조립식 간판 프레임
KR100782575B1 (ko) 조립식 진열대
US20030024143A1 (en) Suspended ceiling advertising module
KR100796349B1 (ko) 다기능 조명장치
KR101488895B1 (ko) 조명광고판
US20150075044A1 (en) Custom framed led light panel display
US20080192487A1 (en) Collapsible lamp shade and assembly
TWM506348U (zh) 展示箱結構
US20110148721A1 (en) Column-antenna for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s for consumer goods
KR20190030995A (ko) 진열대
KR101682977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547891B1 (ko) 조명수단이 형성된 매달아 거는 상품 진열대
KR101017706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광고장치
CN2513183Y (zh) 一种具有广告功能的货架
KR20110009672U (ko) 다용도 거치대
KR101444194B1 (ko)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US8869439B1 (en) Frameless convex header
KR200384176Y1 (ko) 상품진열을 위한 월시스템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