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774B1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774B1
KR101815774B1 KR1020160093418A KR20160093418A KR101815774B1 KR 101815774 B1 KR101815774 B1 KR 101815774B1 KR 1020160093418 A KR1020160093418 A KR 1020160093418A KR 20160093418 A KR20160093418 A KR 20160093418A KR 101815774 B1 KR101815774 B1 KR 10181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cover
panel
fram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석희
박찬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7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7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oking appliance.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portion for generating heat; a cooktop case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heating portion is installed; an upper plate frame provid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cooktop case; a glass panel positioned above the upper plate frame so as to form an insertion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frames such that the insertion space is seen through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glass panel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frame to be separable therefrom; and a design pane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upper plate frame and the glass panel so as to be separable therefrom, and expressing colors and shapes seen through from the outside of the glass panel.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device provided in a cooking device used for cooking food.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A cooking device is one of household appliances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Such cooking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Cooking equipment can be classified into open type and closed type cooking equip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pace where food is placed. The closed cooking devices include an oven and a microwave oven, and open cooking devices include a cooktop and a hop.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A closed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that shields a space where food is placed and cooks food by heating a shielded space. The open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is placed in an open space and the food or food container is heated to cook food.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The closed type coo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that is shielded when the food is placed and food is to be cooke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where food is substantially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 the inside or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heat the cooking chamber.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closed type cooking device and an open type cooking device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combined to provide various cooking utensils and a plurality of foods simultaneously. In such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installed, a flow path of cooling air for cool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nd electrical components is accompanied.

상기 복합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In the above complex cooking device, an open type cooking devic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osed type cooking device. Also, the open coo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ers or burners, and is installed so that a large number of dishes can be cooked at the same time.

즉 사용자가 바베큐요리나 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생선구이와 같이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grills the oven such as a barbecue dish or bread, or grilled fish, the user uses a closed type cooking device to cook the food. When the user puts the food into the container and heats the food, Cooking is done using cooker.

개방형 조리기기 중 대표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은, 가스레인지 형태의 개방형 조리기기로서, 가스가 연소할때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Among open type cooking devices, an open type cooking device in the form of a gas range is widely used, and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using a flame generated when the gas is burned.

이러한 형태의 개방형 조리기기는, 크게 버너바디, 버너헤드 및 버너헤드캡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This type of open type cooking apparatus generally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urner body, a burner head, and a burner head cap.

이에 따르면, 개방형 조리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된 버너바디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버너바디의 상부에는 유로를 통해 공급된 가스가 배출되는 버너헤드가 설치되며, 버너헤드캡은 버너헤드의 상부에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rner body in which a flow path for supplying a gas is formed in a main body forming an outer shape of an open type cooking device, and a burner head for discharging gas supplied through a flow path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urner body, The head cap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urner head.

그리고 버너바디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버너바디가 보이지 않도록 상판이 설치되고, 상판의 상부에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삼발이가 설치된다.An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where the burner body is installed so that the burner body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a trivet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개방형 조리기기의 상판으로는, 금속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켜 내식성 및 청결성을 높인 법랑 재질의 상판이 널리 이용된다.As an upper plate of an open type cooking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 upper plate of an enamel material having a metal surface coated with a vitreous glaze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and cleanliness is widely used.

또한 최근에는 상판의 부식과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디자인 측면을 강화하는 등의 이유로 강화유리, 세라믹 글라스 재질의 상판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use of reinforced glass or ceramic glass top plates has been increasingly used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preventing corrosion and sagging of the top plate and strengthening the design side.

그러나 상기한 형태의 상판들은 통상적으로 검은 색상으로 마련되므로, 이러한 상판을 갖는 조리기기들은 소비자에게 디자인적 요소를 어필하기 어렵고, 시기나 유행에 따라 변화되는 소비자들의 미적 취향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type of top plates are usually provided in a black color, the cooking devices having such a top plate are difficult to appeal to designers of consumers,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flect the aesthetic taste of consumers who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ing or fashion have.

본 발명은 소비자들에게 디자인적 요소를 어필할 수 있고, 시기나 유행에 따라 변화되는 소비자의 미적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which can appeal a design element to consumers and reflect the aesthetic taste of consumers who are changed according to a time or fash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판 내부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contamination of the inside of a top plate.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상부에 덮이도록 마련되는 상판프레임과; 상기 상판프레임과의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이 투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판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래스패널; 및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프레임 및 상기 글래스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글래스패널의 외부에서 투시되는 색상, 형상을 표현하는 디자인패널;을 포함한다.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unit for generating heat; A cooktop case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A top plate frame provided to cover the top of the cooktop case; A glass panel positioned above the upper frame to form an insertion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a design pane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plate frame and the glass panel, the design panel expressing color and shape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glass panel.

또한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상기 글래스패널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상판프레임과 상기 글래스패널 및 상기 디자인패널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공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글래스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through-hole for communic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with the outside of the glass panel, wherein the through-hole is formed by connecting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panel frame, the glass panel, and the design panel vertically, And the hea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lass panel through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판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버너커버; 및 상기 글래스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버너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상판프레임과 상기 글래스패널을 서로 결합시키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rner body installed in an internal space of the cooktop case; A burner cover which surrounds the burner body and is fixed at least a part of the burner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top plate frame; And an upper cover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lass panel and is coupled to the burner cover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to couple the upper panel frame and the glass pan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버너커버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상부커버 측으로 노출되는 결합면이 형성되는 제1커버본체부, 및 상기 상판프레임의 하부면과의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커버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 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커버본체부와 결합되는 제2커버본체부, 및 상기 글래스패널의 상부면과의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커버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rner cover may include a first cover main body formed with a coupling surface exposed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to the upper cover side, and a second cover main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cover main body to interfer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frame Wherein the upper cover includes a second cover main body coupled to the first cover main body portion exposed to the upper cover side and a second cover main bod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cover panel so as to interfer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panel. And a second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cover main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글래스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ack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glass panel.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관통부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글래스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글래스패널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본체부; 및 상기 패킹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글래스패널과 상기 상판프레임 사이를 실링하는 제1연장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cking member may include: a packing main body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glass panel so as to surround the upper cover and the glass panel so as to surround the perforations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acking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to seal between the glass panel and the upper plate frame.

또한 상기 제1연장실링부는, 하단부가 상판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xtension sealing portion has a length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sealing portion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frame.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제1연장실링부에서 상기 상판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프레임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2연장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ck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ded seal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frame and closely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ck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상판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디자인패널만을 간단하게 교체하는 것만으로 상판 전체의 디자인을 쉽고 간편하게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에게 디자인적 요소를 어필할 수 있고, 시기나 유행에 따라 변화되는 소비자의 미적 취향을 반영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of the entire upper plate can be easily and simply changed by simply replacing the design panel only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upper plate. Therefore, design elements can be appealed to consum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duct that reflects the aesthetic taste of consumers who change according to the season or fashion.

또한 본 발명은 상판프레임과 디자인패널 사이, 그리고 디자인패널과 글래스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을 막을 수 있도록 구조가 변경된 패킹부재를 이용하여 상판 내부로 오염물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판 내부의 오염 발생이 억제되고 상판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minants ar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upper plate by using a packing member whose structure is changed between the upper plate frame and the design panel and between the design panel and the glass panel, And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is kept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프레임과 글래스패널 및 디자인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프레임과 글래스패널 및 디자인패널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패킹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자인패널의 교체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자인패널의 교체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k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p plate frame, a glass panel, and a desig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top plate frame, a glass panel, and a desig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cking member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replacement of the design panel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replacement of a design panel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1 and 2,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outer appearance by a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tect a plurality of part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there is a cooktop portion 20 provided for cooking food by heating the opened space, that is,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or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판(21)이 제공된다.The cook top part (20)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21) for support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to be cooked while forming an upper surface appearance.

이러한 상판(21)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으며, 상판(21)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22)가 위치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21,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to be cooked can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21, at least one heating section 22 for heat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to be cooked, .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And an oven unit 30 is installed below the cooktop unit 20. In the inner space of the oven part (30), a cooking chamber (31) for providing space for cooking food is located.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The cooking chamber 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n open front f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heated to cook the food while the cooking chamber 31 is shielded. That is, in the oven portion 30,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substantially.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An upper heater 34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rom above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1 and a lower heater 34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rom below A lower heater 35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Further,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ere can be further provided a convection portion 36 for he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by convecting hot air.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The convection section 36 forcibly flows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at is, the convection part 36 is configured to he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by flowing air while sucking and heating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discharging the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us, the foo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uniformly heated.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In the oven part (30), a door (3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31) is rotatably provided.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The door 32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2, a handle 33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door 32 when the door 32 is to be rotated.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door 32 by the handle 33. [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A control panel 5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top portion 20, that is, above the door 32. The control panel 51 may b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 control panel 5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51. The control panel 51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operation signals for operating the cooktop unit 20 and the oven unit 30, (52) is provided.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5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switches through which a user can directly input operation signals.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부저 기판 고정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부저 기판 고정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control panel 51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buzzer board fixing panel and the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buzzer board fixing unit, cooking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like.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the cooking apparatus can be confirmed.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An electric field chamber 50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oktop portion 20 and the oven portion 3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are located. The control panel 5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chamber 50 and the control panel 51 substantially shields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chamber 5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프레임과 글래스패널 및 디자인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프레임과 글래스패널 및 디자인패널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패킹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자인패널의 교체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자인패널의 교체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p plate frame, a glass panel, and a desig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top plate frame, a glass panel, and a desig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packing member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replacement of a design panel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replacement of a design panel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부(20)는, 가열부(22)와 쿡탑케이스(23) 및 상판(21)을 포함한다.3 to 5, the cooker unit 20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unit 22, a cooktop case 23, and a top plate 21.

쿡탑케이스(23)는, 오븐부(30)와 상판(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판(21)의 하부에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oktop case 23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oven part 30 and the upper plate 21 and may b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21 .

쿡탑케이스(23)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판(21)이 설치되어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을 차폐한다.An upper plate 21 is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oktop case 23 to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23.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21)은 상판프레임(211)과 글래스패널(213) 및 디자인패널(2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plate 21 may include a top plate frame 211, a glass panel 213, and a design panel 215.

상판프레임(211)은, 쿡탑케이스(23)의 상부에 덮이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판프레임(211)은, 부식에 강하고 쉽게 처지지 않는 금속 재질, 좀 더 바람직하게는 녹이 쉽게 생기지 않고 부식이 잘되지 않으며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금속(Stainless steel) 재질, 금속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켜 내식성 및 청결성을 높인 법랑 재질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frame 211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ooktop case 23. The upper frame 21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hich is resistant to corrosion and not easily sagged, more preferably a stainless steel material which does not easily rust and does not easily corrode and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An enamel material having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nd cleanliness, and the like.

글래스패널(213)은, 상판프레임(211)과의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판프레임(211)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글래스패널(213)은, 외부로부터 삽입공간이 투시되도록 마련되며, 상판프레임(2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glass panel 213 is positioned above the top plate frame 211 so that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glass panel 213 and the top plate frame 211. The glass panel 21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frame 211 to allow an insertion space to be opened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글래스패널(21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열성이 좋은 투명한 강화유리 또는 세라믹 글래스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lass panel 213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exemplifi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transparent tempered glass or ceramic glass having good heat resistance.

이와 같이 강화유리 또는 세라믹 글래스 형태로 제공되는 글래스패널(213)은, 부식에 강하고 쉽게 처지지 않을 뿐 아니라, 매끄럽고 평평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어 더욱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glass panel 213, which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empered glass or a ceramic glass, is resistant to corrosion and not easily sagged, and can provide a smooth and flat surface,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aesthetic feeling.

디자인패널(215)은, 상판프레임(211)과 글래스패널(213) 사이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판프레임(211) 및 글래스패널(2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패널(215)은, 글래스패널(213)의 외부에서 투시되는 색상, 형상을 표현하도록 마련된다.The design panel 21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211 and the glass panel 213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211 and the glass panel 213. The design panel 215 is provided to express the color and shape of the glass panel 213 viewed from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판(21)에 의해 상부가 덮인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는, 가열부(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At least one heating section 22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23 whose top is covered by the upper plate 2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22)는 버너바디(221), 버너헤드(222) 및 버너헤드캡(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section 22 is exemplified as including the burner body 221, the burner head 222, and the burner head cap 223.

버너바디(221)는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러한 버너바디(221)의 내부에는 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버너바디(221)의 상부에는 유로를 통해 공급된 가스가 배출되는 버너헤드(222)가 설치되고, 버너헤드(222)의 상부에는 버너헤드캡(223)이 설치된다.The burner body 221 is fixed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23, and a channel through which gas is supplied is formed inside the burner body 221. A burner head 222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rner body 221 and a burner head cap 223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rner head 222.

버너헤드(222) 및 버너헤드캡(223)은, 버너바디(221)와 함께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 즉 상판(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쿡탑케이스(23)의 외부, 즉 상판(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The burner head 222 and the burner head cap 223 may be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 top case 23 together with the burner body 221, that is, below the top plate 21, That is, above the upper plate 21,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는 상판(21)에는,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과 글래스패널(213)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부(h)가 형성된다.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23 and the inner space of the glass panel 213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21 provided with the upper plate frame 211,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hrough-hole h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is formed.

이러한 관통부(h)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공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enetrating portion h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upper plate frame 211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s formed to penetrate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in the vertical direction.

버너헤드(222) 및 버너헤드캡(223)이 상판(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경우, 관통부(h)는 가열부(22)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이 상판(21)의 상부로 올라오기 위한 통로가 된다. 그리고 버너헤드(222) 및 버너헤드캡(223)이 상판(2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경우, 관통부(h)는 버너헤드(222)를 버너바디(221)와 연결시키기 위한 통로가 된다.When the burner head 222 and the burner head cap 223 ar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21, the penetration portion h is formed such that the flame generated by the heating portion 22 is dir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1 It becomes a passage for coming up. When the burner head 222 and the burner head cap 223 ar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upper plate 21, the passage h has a passage for connecting the burner head 222 to the burner body 221 do.

본 실시예에서는, 버너헤드(222) 및 버너헤드캡(223)이 상판(2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관통부(h)는 버너헤드(222)를 버너바디(221)와 연결시키기 위한 통로가 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urner head 222 and the burner head cap 223 ar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upper plate 21, and the penetrating portion h connects the burner head 222 with the burner body 221 As shown in FIG.

또한 가열부(22)에는, 버너커버(223)와 상부커버(2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22 may further include a burner cover 223 and an upper cover 224.

버너커버(223)는,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서 버너바디(221)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판프레임(2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버너커버(223)는, 제1커버본체부(223a)와 제1플랜지부(2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rner cover 223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burner body 221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 top case 23 and at least a part thereof is fixe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frame 211. The burner cover 223 may include a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and a first flange portion 223b.

제1커버본체부(223a)는, 관통부(h)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커버본체부(223a)의 상부면에는, 관통부(h)를 통해 상부커버(224) 측으로 노출되는 결합면이 형성된다.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e shape of the penetrating portion 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a coupling surface exposed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h toward the upper cover 224 is formed.

제1플랜지부(223b)는, 제1커버본체부(223a)의 하단부에 마련되되, 제1커버본체부(223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플랜지부(223b)는 제1커버본체부(223a)가 쿡탑케이스(23)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면으로서 마련된다.The first flange portion 223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The first flange portion 223b is provided as a coupling surface for coupling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to the cooktop case 23. [

상부커버(224)는, 글래스패널(2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관통부(h)를 통해 버너커버(223)와 결합되어 상판프레임(211)과 글래스패널(213)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224)는, 제2커버본체부(224a)와 제2플랜지부(22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cover 224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lass panel 213 and is coupled with the burner cover 223 through the through hole h to join the upper plate frame 211 and the glass panel 213 together . The upper cover 224 may include a second cover body portion 224a and a second flange portion 224b.

제2커버본체부(224a)는, 관통부(h)보다 직경이 작은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커버본체부(224a)는 관통부(h)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제1커버본체부(223a)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body portion 224a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hollow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enetrating portion h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over body portion 224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through a passage formed by the penetrating portion h.

이때 제1커버본체부(223a)와 제2커버본체부(224a) 간의 결합은, 제1커버본체부(223a)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면과 제2커버본체부(224a)를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and the second cover body portion 224a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 coupling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223a and the second cover body portion 224a with bolts, Or the like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제2플랜지부(224b)는, 제2커버본체부(224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플랜지부(224b)는 글래스패널(213)의 상부면과의 간섭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해당되며, 이러한 제2플랜지부(224b)와 글래스패널(213) 간에 이루어지는 간섭에 의해 상부커버(224)가 글래스패널(213)의 상부면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The second flange portion 224b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ain body portion 224a. The second flange portion 224b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interferen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panel 213 is caused and the upper cover 224 is fix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flange portion 224b and the glass panel 213. [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panel 213.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상부커버(224)와 글래스패널(213)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member 24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224 and the glass panel 213.

패킹부재(24)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킹본체부(241)와 제1연장실링부(243)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packing member 2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the packing body portion 241 and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 have.

패킹본체부(241)는, 관통부(h)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커버(224)와 글래스패널(213),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플랜지부(224b)와 글래스패널(213)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된다.The packing body portion 241 is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penetrating portion h from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cludes an upper cover 224 and a glass panel 213 and more specifically a second flange portion 224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panel 213.

제2플랜지부(224b)와 글래스패널(213) 간의 간섭은 제2플랜지부(224b)와 글래스패널(213)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된 패킹본체부(241)를 매개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설치된 패킹본체부(241)는 상부커버(224)와 글래스패널(213) 사이를 실링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flange portion 224b and the glass panel 213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cking body portion 241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lange portion 224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panel 213, The installed packing body portion 241 serves to seal between the upper cover 224 and the glass panel 213.

제1연장실링부(24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패킹본체부(241)의 내주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연장실링부(243)는, 관통부(h)에 삽입되어 글래스패널(213)과 상판프레임(211) 사이를 실링한다.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shaped packing body portion 241.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h to seal between the glass panel 213 and the upper frame 21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상판(21)을 이루고, 이러한 상판(21)에는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공이 연결된 형태의 관통부(h)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frame 211,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upper plate 21. The upper plate 21, A through hole h is formed in the glass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in such a manner that through holes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관통부(h)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사이, 그리고 디자인패널(215)과 글래스패널(213)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을 통해 오염물이 침투하여 상판(21) 내부가 오염될 위험성이 있게 된다.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panel frame 211 and the design panel 215 and between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at the portion where the penetrating portion h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21 may be contaminated.

제1연장실링부(243)는, 패킹본체부(241)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Pipe)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부(h)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사이, 그리고 디자인패널(215)과 글래스패널(213) 사이에 형성된 틈을 막음으로써, 상판(21) 내부로 오염물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상판(21)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acking body portion 241 and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h,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enetration of contaminants into the inside of the top plate 21 by interposing the gap formed between the panel 215 and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so that the inside of the top plate 21 can be kept clean .

여기서 제1연장실링부(243)는, 그 하단부가 상판(21)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상판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연장실링부(243)는,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 사이에 형성된 모든 틈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에 대한 효과적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is formed to have a length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most plate frame located at the lowermost one of the upper plates 21.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is formed to have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all the gaps formed between the upper frame 211 and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So that effective sealing of the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can be achieved.

한편 패킹부재(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장실링부(245)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cking member 24 may be provided in a form further including a second extended sealing portion 245 as shown in FIG.

이에 따르면, 제2연장실링부(245)는, 제1연장실링부(243)에서 상판프레임(2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판프레임(211)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형성된다.The second extended sealing portion 245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frame 211 in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243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1.

이러한 제2연장실링부(245)를 더 포함하도록 마련된 패킹부재(24)는, 관통부(h)가 형성된 상판(21)의 내부를 "][" 형상으로 실링하는 실링 구조를 형성하여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한 오염물의 침투가 더욱 어려워지게 함으로써,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에 대한 더욱 효과적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packing member 24 further including the second extended sealing portion 245 is formed by forming a sealing structure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21 on which the penetrating portion h is formed in a shape of "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can be made more difficult by making the penetration of contaminants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upper panel 211 and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more difficult. So that effective sealing can be achiev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판프레임(211)과 글래스패널(213)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고, 이처럼 적층된 상판프레임(211)과 글래스패널(213) 사이의 삽입공간에 디자인패널(215)이 삽입되는 형태로 상판(21)이 조립되어 쿡탑부(20)의 상부면을 이루게 된다.2 to 5, the upper panel frame 211 and the glass panel 213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esign panel 215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anel frame 211 and the glass panel 213, The upper plate 21 is assembled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top 20.

이때 디자인패널(215)에 표현된 색상, 형상은 투명 재질로 형성된 글래스패널(213)을 통해 투시되어 외부로 보여지며, 이와 같이 글래스패널(213)을 통해 투시된 디자인패널(215)의 색상, 형상이 쿡탑부(20)의 상부면을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lors and shapes expressed in the design panel 215 are viewed through the glass panel 213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re displayed outside. The color and shape of the design panel 215 viewed through the glass panel 213, So that the shape forms an image seen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cooktop portion 20. [

상기와 같이 쿡탑부(2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판(21)은, 상판(21)을 이루는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이 각각 서로 분리될 수 있게 결합된다.The upper plate 21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frame 211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21 by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

이러한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이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상판(21)의 관통부(h)에는 먼저 패킹부재(24)가 끼워진 후, 버너커버(223)가 상판프레임(211)의 하부로부터 끼워지며, 글래스패널(213)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24)가 안착된다.The upper panel frame 211,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nel frame 211, the upper panel frame 211, the upper panel 211,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The burner cover 223 is fit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frame 211 and the upper cover 224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glass panel 213. [ Respectively.

상부커버(224)와 버너커버(223)가 체결부재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 버너커버(223)의 제1플랜지부(223b)가 상판프레임(211)을 글래스패널(21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상부커버(224)의 제2플랜지부(224b)가 글래스패널(213)을 상판프레임(21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형태의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의 분리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upper cover 224 and the burner cover 223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mber or the like, the first flange portion 223b of the burner cover 223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plate frame 211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glass panel 213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24b of the upper cover 224 presses the glass panel 21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lass panel 21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rame 211. Accordingly,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이와 같이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판(21)의 분리는, 상부커버(224)와 버너커버(223) 간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부커버(224) 및 패킹부재(24)를 분리시킨 후, 글래스패널(213)과 디자인패널(215)을 들어내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paration of the upper plate 21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plate frame 211 with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cancels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cover 224 and the burner cover 223, The cover 224 and the packing member 24 are separated and then the glass panel 213 and the design panel 215 are lifted.

바람직하게는, 글래스패널(213)의 관통공이 상판프레임(211)의 관통공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rough-hole of the glass panel 21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rough-hole of the upper plate frame 211.

이에 따르면, 상판프레임(211)의 관통공이 다른 구성, 예를 들면 버너커버(223)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형성되었다고 할 때, 글래스패널(213)을 들어내는 과정에서 관통공을 통해 글래스패널(213)의 내부에 끼워진 버너커버(223)와 같은 다른 구성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글래스패널(213)을 들어내는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frame 211 is formed in a different size, for exampl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urner cover 223, the glass panel 213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glass panel 213. [0100]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형태로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판(21)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패널(213)을 통해 투시된 디자인패널(215)의 색상, 형상이 결국 쿡탑부(20; 도 3 참조)의 상부면을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upper plate 21 in which the upper plate frame 211,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s shown in FIG. 7, The color and shape of the design panel 215 eventually form the image seen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cooktop 20 (see FIG. 3).

즉 디자인패널(215)의 색상, 형상에 의해 상판(21) 전체의 색상, 형상이 표현되고, 이에 따라 쿡탑부(20)의 상부면을 통해 보여지는 전체 이미지가 형성되므로, 디자인패널(215)의 색상, 형상이 어떠한지에 따라 쿡탑부(20)의 상부면을 통해 보여지는 전체 이미지가 좌우될 수 있다.The color and shape of the entire upper plate 21 are expressed by the color and the shape of the design panel 215 and thus the entire image view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top 20 is formed, The entire image view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top 20 can be influenced depending on the color and shape of the cooktop 20.

따라서 상판(21)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디자인패널(215)만을 색상 또는 형상이 상이한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상판(21) 전체의 디자인이 변경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entire upper plate 21 is not replaced, the entire design of the upper plate 21 is changed only by replacing only the design panel 215 with another color or different shap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및 글래스패널(213)의 분리 가능한 결합에 의해 상판(21)이 형성되므로, 상부커버(224)와 버너커버(223) 간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고 글래스패널(213)을 들어낸 후 디자인패널(215)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디자인패널(215)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로써 상판(21)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상판(21) 전체의 디자인을 쉽고 간편하게 변경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plate 21 is formed by the detachable coupling between the upper plate frame 211,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cover 224 and the burner cover 223 The design panel 215 can be easily replaced in such a manner that the glass panel 213 is lifted and the design panel 215 is replaced after the glass panel 213 is lifted and thereby the upper panel 21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upper panel 21. [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change the entire desig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상판(21)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디자인패널(215)만을 간단하게 교체하는 것만으로 상판(21) 전체의 디자인을 쉽고 간편하게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에게 디자인적 요소를 어필할 수 있고, 시기나 유행에 따라 변화되는 소비자의 미적 취향을 반영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ign of the entire upper plate 21 can be easily and simply changed by simply replacing the design panel 215 only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upper plate 21 , It is possible to appeal the design element to the consumers and to provide the products reflecting the aesthetic taste of consumers who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season or fashion.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상판프레임(211)과 디자인패널(215) 사이, 그리고 디자인패널(215)과 글래스패널(213) 사이에 형성된 틈을 막을 수 있도록 구조가 변경된 패킹부재(24)를 이용하여 상판(21) 내부로 오염물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판(21) 내부의 오염 발생이 억제되고 상판(21)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cking member 24 having a structure changed so as to block the gap formed between the upper panel frame 211 and the design panel 215, and between the design panel 215 and the glass panel 213, The contamination inside the upper plate 21 is suppressed and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21 is kept clea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상판
22 : 가열부
23 : 쿡탑케이스
24 : 패킹부재
211 : 상판프레임
213 : 글래스패널
215 : 디자인패널
221 : 버너바디
222 : 버너헤드
223 : 버너커버
223a : 제1커버본체부
223b : 제1플랜지부
224 : 상부커버
224a : 제2커버본체부
224b : 제2플랜지부
241 : 패킹본체부
243 : 제1연장실링부
245 : 제2연장실링부
h : 관통부
10: Body
20: cook top
21: Top plate
22:
23: Cooktop Case
24: packing member
211: top plate frame
213: Glass panel
215: Design panel
221: Burner body
222: Burner head
223: Burner cover
223a: first cover main body portion
223b: a first flange portion
224: upper cover
224a: the second cover body portion
224b: second flange portion
241:
243: first extension sealing part
245: second extension sealing part
h:

Claims (9)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
상기 쿡탑케이스의 상부에 덮이도록 마련되는 상판프레임;
상기 상판프레임과의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이 투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판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래스패널; 및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프레임 및 상기 글래스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글래스패널의 외부에서 투시되는 색상, 형상을 표현하는 디자인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프레임과 상기 글래스패널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며 결합되고,
상기 디자인패널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상기 상판프레임과 상기 글래스패널에 의해 압박되며 상기 상판프레임 및 상기 글래스패널 사이에 고정되는 조리기기.
A heating unit for generating heat;
A cooktop case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A top plate frame provided to cover the top of the cooktop case;
A glass panel positioned above the upper frame to form an insertion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And a design pane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glass panel and expressing color and shape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glass panel,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glass panel are pressed and jo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heating unit,
Wherein the design panel is pressed between the top plate frame and the glass panel being pressed in a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ixed between the top plate frame and the glass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상기 글래스패널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상판프레임과 상기 글래스패널 및 상기 디자인패널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공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글래스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enetrat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an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with an outside of the glass panel,
Wherein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by connecting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frame, the glass panel, and the design panel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hea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lass panel through the through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버너바디;
상기 버너바디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상판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버너커버; 및
상기 글래스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버너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상판프레임과 상기 글래스패널을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며 결합시키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burner body installed in an internal space of the cooktop case;
A burner cover which surrounds the burner body and is fixed at least a part of the burner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top plate frame; And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burner cover through the penetration to press the upper panel frame and the glass panel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커버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상부커버 측으로 노출되는 결합면이 형성되는 제1커버본체부, 및 상기 상판프레임의 하부면과의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커버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 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커버본체부와 결합되는 제2커버본체부, 및 상기 글래스패널의 상부면과의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커버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플랜지부가 상기 상판프레임을 상부방향으로 압박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기 글래스패널을 하부방향으로 압박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burner cover may include a first cover main body formed with a coupling surface exposed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to the upper cover side, and a second cover main body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cover main body so as to interfer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a second flange portion
The upper cover includes a second cover main body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ver main body portion exposed toward the upper cover side and a second cover main body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cover main body portion so as to interfer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panel And a second flange portion,
Wherein when the burner cover and the upper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flange portion presses the upper plate frame upward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presses the glass panel down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글래스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ack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glass pan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관통부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글래스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글래스패널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본체부; 및
상기 패킹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글래스패널과 상기 디자인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로 노출된 측방향의 틈 및 상기 디자인패널과 상기 상판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로 노출된 측방향의 틈을 실링하는 제1연장실링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5,
A packing body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glass panel so as to surround the upper cover and the glass panel so as to surround the through portion from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acking body portion and formed between the glass panel and the design panel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to be laterally expos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o be exposed between the design panel and the upper plate frame, And a first extension sealing portion sealing the gap in the lateral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실링부는, 하단부가 상판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extension seal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lower end thereof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제1연장실링부에서 상기 상판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프레임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2연장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ck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extended sealing portion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frame at the first extended sealing portion and closely contacted with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ck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KR1020160093418A 2016-07-22 2016-07-22 Cooking appliance KR1018157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18A KR101815774B1 (en) 2016-07-22 2016-07-22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18A KR101815774B1 (en) 2016-07-22 2016-07-22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774B1 true KR101815774B1 (en) 2018-02-21

Family

ID=6152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18A KR101815774B1 (en) 2016-07-22 2016-07-22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77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8675A (en) 2009-08-07 2011-02-24 Rinnai Corp Enameled top panel for heating cooker
US20120012093A1 (en) * 2010-07-14 2012-01-19 Whirlpool Corporation Graphic cooktop cover
JP2015055456A (en) * 2013-09-13 2015-03-23 鳴海製陶株式会社 Glass top plate for gas coo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8675A (en) 2009-08-07 2011-02-24 Rinnai Corp Enameled top panel for heating cooker
US20120012093A1 (en) * 2010-07-14 2012-01-19 Whirlpool Corporation Graphic cooktop cover
JP2015055456A (en) * 2013-09-13 2015-03-23 鳴海製陶株式会社 Glass top plate for gas coo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18597B2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160025347A1 (en) Gas burner assembly
US10415824B2 (en) Cooktop appliance with a gas burner assembly
US9791156B2 (en) Elongated burner assembly
US10274202B2 (en) Gas burner assembly for an appliance
US20160025348A1 (en) Burner assembly
US9995490B2 (en) Gas burner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1626491B1 (en) cooking appliance
JP2010178815A (en) Cooking grill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using the same
CN209610827U (en) Multi-function pressure cooker
KR101702660B1 (en) Cooking appliance
KR101864491B1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CN109527983A (en) Multi-function pressure cooker
KR101815774B1 (en) Cooking appliance
KR101634059B1 (en) Two faces flying pan
KR101623975B1 (en) Cooking appliance
US11499723B2 (en) Griddle cover with an integrated splatter shield
JP2008021473A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oven
JP6690145B2 (en) Heating cooker
CN219763130U (en) Four-in-one oven
KR100584294B1 (en) service structure of gas ovenrange
KR101815777B1 (en) Fixing structure of cooktops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1217789A (en) Cooker
KR20090018422A (en) An apparatus for cooking
KR100522401B1 (en) Device for broilling meat by the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