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562B1 -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 Google Patents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562B1
KR101815562B1 KR1020170063209A KR20170063209A KR101815562B1 KR 101815562 B1 KR101815562 B1 KR 101815562B1 KR 1020170063209 A KR1020170063209 A KR 1020170063209A KR 20170063209 A KR20170063209 A KR 20170063209A KR 101815562 B1 KR101815562 B1 KR 10181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rainwater
water
openin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훈
김진수
서성혁
정결
Original Assignee
김훈
김진수
서성혁
정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김진수, 서성혁, 정결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2017006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5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reuse and discharge of rainwater of a stand using low-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LI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device comprises a roof, a water collection portion, a support portion, a storage tank, a drain pipe, and a chai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ollect and store rainwater in a storage tank provided below the ground in case it rains, and to supply the rainwater to landscaping trees.

Description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system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본 발명은 빗물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LID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ing rainwater,

저영향 개발(low-impact development, LID) 기술이란 강우유출 발생지에서부터 침투, 저류를 통해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를 최소화하여 개발 이전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토지이용계획 및 도시 개발 기법을 말한다.Low-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refers to land-use planning and urban development techniques to minimize the number of ecosystems from urbanization through infiltration and storage, and to bring them as close as possible to pre-development conditions.

199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전형적인 친환경 우수관리 실천수단인 BMP(Best Management Practice)를 기반으로 저영향 개발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였으며, 최근 미국의 북서부를 중심으로 도시계획 차원에서 배수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LID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In the late 1990s, the concept of low impact development was established based on BMP (Best Management Practice), a typical eco-friendly management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drainage system LID is actively being utilized.

세부 적용기준은 지역별로, 그 지역의 기후, 지형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공통적으로는 투수면적을 늘려, 유출수의 침투를 보다 많이 하여 홍수 및 정화기능을 강화하고, 친환경적인 배수환경을 조성하여 건강한 물 순환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The detailed application criteria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climate, and topography of the area, but 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meable area to increase the flood and purification functions by increasing the infiltration of the effluent, and to creat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drainage environment, The goal is to build a system.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 유출량에 비해 1인당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부족한 물 부족 국가로 해당되어 물에 대한 효율적 관리의 중요성과 활용가치의 향상에 다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빗물에 대한 관리와 이용방법이 최근 활발히 연구개발 중에 있다.In Korea, there is a lack of water that can not use per capita water compared to rainfall runoff. Therefor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and the improvement of utilization value is spreading more. As a method to practice this, management and use of rainwater have been actively under research and development.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을 통해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설치와 관리기준을 마련하여 적극적인 빗물이용방법을 확대하고 있다.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actively expanding the use of rainwater by establishing standards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through the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of Reuse of Water.

그러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규모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정해져 있어 소규모 건축물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이 지붕면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scale of the target buildings to which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s set to a certain level or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acilities that can use roof surfaces such as small buildings and bus stops are in serious condition.

이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2794호(2016. 10. 6. 이하 ‘선행문헌 1’)의 “친환경 유지관리 버스정류장 빗물 이용 시설”에서는, 강우 시 버스 정류장에 내리는 빗물을 수집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도 간편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빗물 수처리 장치를 통과한 후 빗물 저장조에서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 이용부를 통해 빗물을 조경용수, 청소용수, 살수용수, 제설용수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빗물 이용 시설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using rainwater in an eco-friendly maintenance bus stop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2794 (October 6, 20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Facility "collects rainwater that falls on a bus stop in a rainfall, passes through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easily maintain the rainwater while remov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stores rainwater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A rain water utilization facility that can be used for water for landscaping, cleaning water, water for drinking water, water for disposal, and the like.

상기 선행문헌 1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스스로 물을 조경용수, 청소용수, 살수용수 및 제설용수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물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techniqu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utilize the water for landscaping water, cleaning water, sprinkling water, disposal water, and the like, thereby contributing to solving the problem caused by water shortage.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의 빗물을 조경용수로 사용하게 될 경우, 빗물밸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제어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when the rainwater of the prior art document 1 is used as landscape water, there is a need for the user to control the rainwater valve by himself / herself.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196호(2013. 2. 6. 이하 ‘선행문헌 2’)의 “버스 쉘터”에서는, 지붕에 모아진 빗물이 제1기둥을 통해 지면의 매설된 하수관과 바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 지붕의 사부에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에 발생된 전력을 주 전원으로 이용하는 조명, 히팅부 및 에어컨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스 쉘터에서 버스를 승차하기 위해 대기 중인 대기승객이 쾌적한 환경에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도록 하는 버스 쉘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n the "Bus Shelter"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5196 (Feb. 2, 2013, 'Prior Art 2'), A drain pip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er pipe of the roof, a lighting unit using a power generated from a solar cell module provided on a roof part of the roof as a main power source, a heating unit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Discloses a bus shelter that allows passengers to wait for a bus in a pleasant environment.

상기 선행문헌 2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배수파이프에 의해 빗물이 하수관으로 바로 이동되어 빗물의 유실이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지만, 건기 시에 버스 정류장 주변에 형성된 조경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살수장치 등이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landscape water formed around the bus stop at the time of dry seaso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water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and the like.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1825호(2014. 1. 17. 이하 ‘선행문헌 3’)의 “빗물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류장 쉘터 및 운영 방법”에서는, 적어도 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면 지붕, 적어도 한 경사면의 낮은 쪽 가장자리와 맞닿아 위치하여 적어도 한 경사면에 낙하한 빗물이 집결되면, 집결된 빗물 중 적어도 일부를 측면 저수패널의 저수 공간으로 전달하는 집수부 및 두 개의 투명 또는 반투명 평판 부재들을 마주보게 이격시키고, 평판 부재들의 가장자리를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둘러 형성된 수밀 공간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저수공간으로 제공하는 측면 저수패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1825 (Apr. 1, 2014, "Prior Art 3"), "public transport stop shelter providing a rainwater storage space and operating method" A collecting part for transmitting at least a part of the collected rainwater to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side storage panel when the rainwater falling on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is gather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dge of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Discloses a side storage panel separating th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flat plate members facing each other and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watertight space formed by the rectangular frame with the edges of the flat plate members into the storage space.

상기 선행문헌 3의 기술을 이용하였을 경우, 경사면 지붕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모아 측면의 투명한 저수 공간에 장기간 저장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저장된 빗물의 수위가 점점 줄어드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수자원의 중요성을 대기 승객들에게 시각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techniqu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3, the rainwater flowing down from the slope roof can b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transparent water storage space of the side for a long time, and the visual quality of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rainwater gradually decreases over time, To the waiting passengers visually.

그러나 저장된 빗물에 의해 저수패널 내부에 물 때 등이 발생되어 저수패널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hygienically manage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panel due to water in the water storage panel due to stored rainwater.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26939호(2007. 5. 24. 이하 ‘선행문헌 4’)의 “빗물 저장 설비”에서는, 기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출부에 설치된 전자 밸브에 개폐 신호를 출력해 저장조의 저장 수량을 제어하는 저장 수량 제어부를 가지며, 기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강우가 예상될 때에는 전자 밸브를 개방해 저장조 내에 잔존하는 빗물을 배출함으로써 저장조를 치수(治水)조로서 기능시키는 한편, 기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상되는 강우의 우려가 없는 기간은 전자 밸브를 폐쇄해 저장조 내에 잔존하는 빗물을 저장하여 이수(利水)조로서 기능시키는 빗물 저장 설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in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of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126939 ("Prior Art Document 4", Apr. 24, 2007), on the basis of the weather dat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by outputting an opening / closing signal. When the rainfall is expected based on the weather data, the electromagnetic valve is opened to discharge rainwater remaining in the storage tank, On the other hand,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that closes a solenoid valve to store rainwater remaining in the storage tank and functions as a water tank is disclosed in a period in which there is no fear of rainfall expected based on weather data.

상기 선행문헌 4의 기술을 이용하였을 경우, 하나의 저장조가 이수조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치수조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빗물을 공원, 학교 또는 건물 내의 화장실이나 녹화시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녹화시설에 이용될 경우, 저장조에 구비된 빗물을 분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technique of the prior art document 4, one reservoir functions as a reservoir and has a function of dimensioning, so that rainwater can be used in a restroom or a greenhouse in a park, a school or a build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device for spraying the rainwater in the storage tank is required.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784호(2004. 1. 7. 이하 ‘선행문헌 5’)의 “도로의 조경 가로수 급수시설”에서는, 별도의 급수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가로수의 성장에 필요한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수시설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e "Utility Landscape Watering System for Roads" of Utility Model No. 20-0337784 (July 7, 20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5"), a water supply operation is not performed separately Discloses a water supply facility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an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the growth of a roadside tree.

상기 선행문헌 5의 기술을 이용하였을 경우, 가로수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뿌리에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건기 및 우기와 상관없이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어 가로수의 뿌리가 수분에 의해 썩는 단점이 있다.When the techniqu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5 is used, it is advantageous to directly supply water to roots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rowth of aquatic trees. However, sinc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irrespective of dry season and wet season, There is a drawback that it rotates.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279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279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196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519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182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5182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26939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2693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784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7784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기 시 정류장 지면 아래에 구비된 저장조에 빗물을 모아 저장하여 건기 시 조경수에 수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accumulating rainwater in a storage tank provided below a ground,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system.

또한, 저장조에 빗물을 저장함으로써 정류장 또는 도로 등에서 빗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센서에 의해 저장조에 구비된 물의 배출속도를 조절하여 조경수가 물 부족으로 인해 시들지 않게 할 수 있는 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by storing the rainwater in the storage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nwater from overflowing at a stop or on the road, and to control the discharge speed of the water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by the sensor so that the landscap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wasting due to water shortage. Reusable and rain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더욱이, 저장조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배수로가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어 물이 배수로 내부에 고이지 않으며, 배수로에 구비된 다수의 통공에 의해 조경수의 뿌리까지 직접 물이 전달되는데 용이한 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drainage pa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torage tank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water is not accumulated in the drainage water, and the LID technology which facilitates direct water transfer to the roots of the landscape water by the plurality of holes provided in the drainage chann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tion stop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날씨 수신부를 포함하여 상측에 구비되는 지붕; 상기 지붕 상측에 하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거름망을 포함하여 형성된 집수부; 상기 지붕 또는 집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지지부, 제2지지부 및 제3지지부를 포함하며, 하측 일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붕이 지면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구비된 지지부; 상측이 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하측은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저장조 센서부 및 외측에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비된 저장조; 상기 저장조 하측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조경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구비된 배수로; 및 상기 저장조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된 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reuse emission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system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The rainwater reuse emiss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weather reception unit capable of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A roof; A collecting part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above the roof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ltering net; A first support por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third support portion, which are extended from the bottom of the roof or the collecting portion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re fixed to the groun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roof can be supported apart from the ground At least one support; A reservoir having an upper side projecting from the ground, a lower side being formed to be fixed to the ground, at least one reservoir sensor part at the inner sid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ipe at the outer side;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ly water to the landscape water; And at least one chair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unit.

또한, 상기 지붕은, 상기 집수부와 이격되어 상기 날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롤러; 상기 롤러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날씨 수신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부 센서부; 상기 롤러를 감쌈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회전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됨으로써 상기 집수부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부; 및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수동으로 상기 롤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of may include a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adapted to be rotated according to the weather; An opening / closing sensor unit provided inside the roller, the opening / closing sensor unit being configured to rotate the roller by a signal of the weather receiver; An opening / closing part formed by wrapping the roller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ng part by extending or redu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roller;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roller and manually adjusting the roller. And a control unit.

더욱이, 상기 지붕은, 상기 집수부와 이격되어 상기 지붕 상측에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의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와 연결되어 날씨 수신부 및 저장조 센서부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oof may include a solar cell module separated from the collector and provided on the roof, wherein the chair comprises: a storage battery for storing power generated in the solar cell modul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battery to control the weather receiver and the storage sensor unit.

또한, 상기 저장조는, 내측 상측에 하나 이상 구비된 UV램프; 및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로를 통해 물이 배수될 때 상기 배수로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조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servoir may include at least one UV lamp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ervoir; And a reservoir opening / clos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side to open / close the drainage passage when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더욱이,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배수로가 개방되어 빗물의 배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pump provided inside the storage tank, the drainage passage being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adjust the discharge speed of the rainwater.

또한,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 내에 구비된 빗물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정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urifier disposed inside the reservoir and configured to purify the rain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더욱이, 상기 배수로는, 타측 단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외경을 따라 하나 이상의 분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drainage channel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branch pipe along an outer diameter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본 발명은 우기 시 정류장 지면 아래에 구비된 저장조에 빗물을 모아 저장하여 건기 시 조경수에 수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rainwater can be collected and stored in a storage tank provided below the ground of the stop period during the wet season, and water can be supplied from time to time to the landscape water during dry season.

또한, 저장조에 빗물을 저장함으로써 정류장 또는 도로 등에서 빗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센서에 의해 저장조에 구비된 물의 배출속도를 조절하여 조경수가 물 부족으로 인해 시들지 않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rainwater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at a stop or a road by storing rainwater in the storage tank, and the discharge speed of water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can be controlled by the sensor, so that the landscap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wasting due to water shortage.

더욱이, 저장조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배수로가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어 물이 배수로 내부에 고이지 않으며, 배수로에 구비된 다수의 통공에 의해 조경수의 뿌리까지 직접 물이 전달되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Further, the drainage pa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torage tank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water is not accumulated in the drainage water, and water is easily transferred to the roots of the landscapeize water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drainage passage.

또한, 저장조 내에 UV램프 또는 정화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장기간 물을 저장하는 데 있어서 물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by providing a UV lamp or a purifier in the storage tank,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in storing 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더욱이, 상기 저장조 내측 일측에 센서에 의해 액상비료가 배출됨으로써 양분이 부족한 조경수의 생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quid fertilizer is discharged by a sensor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tank,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rowth of landscape water lacking nutri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c-c’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c-c’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c-c’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c-c’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c-c’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및 빗물 배출속도 조절장치의 c-c’부분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지붕
110 : 집수부 111 : 거름망
120 : 날씨 수신부
130 : 롤러 131 : 개폐부 132 : 개폐 조절부
140 : 태양전지모듈
200 : 지지부
210 : 제1지지부
220 : 제2지지부
230 : 제3지지부
240 : 연결관 241 : 제1연결관 242 : 제2연결관
300 : 저장조
320 : UV램프
330 : 저장조 개폐부
340 : 저장조 센서부 341 : UV램프 조절 센서 342 :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 343 : 수위 조절 센서
350 : 액상비료 저장부
360 : 펌프
370 : 정화장치
400 : 배수로
410 : 통공
420 : 분기관
500 : 의자
510 : 축전지
520 : 제어부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ionary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control apparatus utiliz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toppage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control apparatus utiliz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apparatus for regulating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using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a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control apparatus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using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age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control apparatus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a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control apparatus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ionary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control apparatus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an apparatus for regulating rainwater re-use and rainwater discharge rate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Symbols>
100: roof
110: collecting section 111:
120: weather receiver
130: roller 131: opening / closing part 132:
140: Solar module
200:
210: a first support
220: second support portion
230: third support portion
240: connector 241: first connector 242: second connector
300: Storage tank
320: UV lamp
330: Storage tank opening /
340: storage tank sensor unit 341: UV lamp storage tank sensor 342: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unit adjustment sensor 343:
350: liquid fertilizer storage unit
360: pump
370: Purification device
400: drainage
410: through hole
420: Branch engine
500: Chair
510: Battery
520: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all transform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the element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the element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somewhat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Further,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modified by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stat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modifications.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re is no clear counterpoint. Any feature that is specifically or advantageously indicated as being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or feature that is indicated as being preferred or advantageou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100), 집수부(110), 지지부(200), 저장조(300), 배수로(400) 및 의자(5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1 to 5, the station rainwater reuse discharg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ing the LI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of 100, a water collecting unit 110, a support unit 200, a storage tank 300, A water drainage passage 400, and a chair 500. [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붕(100)은 일측에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날씨 수신부(120)를 포함하여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of 100 may include a weather receiving unit 120 capable of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on one side thereof.

상기 날씨 수신부(120)의 신호에 의해 후술될 제어부(520)가 제어되어 후술될 롤러(130) 또는 상기 저장조(300)에 구비된 저장조 센서부(340) 등이 조절됨으로써 건기 시 조경수의 뿌리에 직접 수시로 물을 공급하거나 저장조(300)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trol unit 5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trolled by the signal of the weather receiver 120 to control the roller 130 or the storage tank sensor unit 340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an be directly supplied from time to time or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더욱이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100)은 후술될 집수부(110)와 이격되어 롤러(130), 개폐부 센서부(미도시), 개폐부(131) 및 개폐조절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3, the roof 100 may include a roller 130, an opening and closing part sensor (not shown), an opening and closing part 131, and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part (not shown) spaced apart from the collecting part 110 132).

상기 롤러(130)는 후술될 집수부(110)와 이격되어 후술될 개폐부 센서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oller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llecting part 11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rotated by a signal of an opening / closing part senso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개폐부 센서부(미도시)는 상기 롤러(130) 내측에 구비되고, 후술될 제어부(52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롤러(1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part sensor unit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roller 130, and the roller 130 can be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a signal of a control unit 5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개폐부(131)는 상기 롤러(130)를 감쌈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됨으로써 상기 집수부(11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art 131 may be formed by wrapping the roller 130 and may be extended or re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roller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ng part 110.

예를 들면, 우기 시 상기 날씨 수신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롤러(1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rainy season, the roller 13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signal of the weather receiving unit.

이때, 상기 개폐부(131)가 상기 롤러(130)방향으로 축소되어 상기 집수부(110)의 상측이 개방됨으로써, 후술될 지지부(200)를 통해 저장조(300) 내에 빗물이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part 131 is re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roller 130 and the upper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10 is opened, so that rainwater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through the supporting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저장조(300) 내의 물이 일정량 채워졌거나 건기 시, 상기 저장조(300) 내의 물의 넘침 또는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 센서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롤러(1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overflow or evaporation of water in the reservoir 300 when the water in the reservoir 300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or dry during the dry season, the roller 13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Can be rotated.

이때, 상기 개폐부(131)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집수부(110)의 상측이 폐쇄됨으로써, 상기 저장조(300)에 저장된 물의 넘침 또는 증발이 예방되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10 is closed, it is easy to prevent water overflow or evaporation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또한, 상기 지붕(100)은 후술될 집수부(110)와 이격되어 상기 지붕 상측에 태양전지모듈(14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of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llecting part 1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olar cell module 140 may be provided on the roof.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에 의해 후술될 축전지(510) 및 제어부(5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 있다.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supply power to the storage battery 510 and the control unit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solar cell module 140.

상기 개폐조절부(132)는 상기 롤러(130)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1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등의 상기 롤러(130) 제어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동으로 상기 롤러를 제어해야 할 경우, 상기 개폐조절부(132)를 수동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러(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of the roller 130 is performed such that the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40,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32 may be formed by manually opening the opening / When the roller 130 needs to be controll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2 may be manually rotated to rotate the roller 130.

다음으로, 상기 집수부(110)는 상기 지붕(100) 상측에 하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거름망(11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water collecting part 110 may be formed so as to be depressed downward on the roof 100 and include at least one filtering net 111. [

상기 집수부(110)에 의해 후술될 상기 저장조(300)에 빗물이 용이하게 집수(集水)되기 위하여 저면이 후술될 지지부(200) 방향으로 기울도록 구비되어 중력에 의해 빗물이 상기 지지부(200)에 용이하게 모임으로써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collect rainwater easily in the storage tank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300 is inclined toward the support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by gravity, So that they can flow easily.

이때, 상기 집수부(110)는 하나 이상의 거름망(11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llecting par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filtering net 111.

상기 거름망(111)에 의해 상기 집수부(110) 및 상기 지지부(200) 상측 단부가 날씨 또는 외력 등에 의해 낙하되는 크기가 큰 이물질이 상기 집수부(110) 및 지지부(200)를 막히지 않도록 상기 집수부(110) 상측 또는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A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size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10 and the supporting part 200 fall down due to weather or an external force by the sieve 111 is not blocked by the water collecting part 110 and the supporting part 200, One or more of them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이때 상기 거름망(111)은 상기 이물질이 용이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10~50mesh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eve 111 may be provided at 10 to 50 mesh so that th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filtered.

만약, 상기 거름망(111)이 10mesh보다 작게 구비될 경우, 크기가 작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상기 집수부(110) 및 지지부(200)를 통과하게 되어 상기 집수부(110) 및 지지부(200) 내측이 자주 막히게 되는 단점이 있고, 50mesh보다 크게 구비될 경우, 빗물이 상기 거름망(111)을 통과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집수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거름망(111)이 막히는 단점이 있다.If the sieve 111 is smaller than 10mesh, small foreign matter can easily pass through the sump 110 and the support 200 so that the inside of the sump 110 and the support 200 It is time-consuming that the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sieve 111 and takes a long time to collect, or the sieve 111 is clogged by the foreign matter .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지붕(100) 또는 집수부(1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 일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붕(100)이 지면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00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100 or the water collecting part 110 and has a lower part fixed to the ground so that the roof 10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Or more.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200)는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20) 및 제3지지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210, a second support part 220, and a third support part 230.

상기 제1지지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10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태양전지모듈(140)과 후술될 축전지(510) 및 제어부(5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연결선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4, the solar cell module 140, the battery 5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 unit 5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unit 210. The first support unit 2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1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for connection.

상기 제2지지부(220) 및 제3지지부(230)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220 and 2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s shown in FIGS.

상기 제2지지부(220) 및 제3지지부(230)는 상기 집수부(110)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220 and the third support part 23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110.

따라서 상기 제2지지부(220) 및 제3지지부(230)에 의해 상기 집수부(110)로부터 빗물이 흐름으로써 후술될 저장조(300)에 빗물이 용이하게 집수될 수 있고, 별도의 집수관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rainwater flows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110 by the second supporting part 220 and the third supporting part 230, so that rainwater can be collected easily in the storage tank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eparate water collecting pipe is requir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beauty can be kept beautiful.

또한, 연결관(240)은 상기 지지부(200)의 하측과 상기 저장조(300) 상측 또는 의자(500)의 배면 일측이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240 may be provided at one or more of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200 and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300 or one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chair 500.

이때, 상기 연결관(240)은 제1연결관(241), 제2연결관(242)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pe 24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ipe 241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242.

상기 제1연결관(241)은 상기 제1지지부(210)와 대응되어 상기 제1지지부(210)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ipe 241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support part 210.

상기 제1연결관(241)은 후술될 의자(500)의 배면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에 의해 모아진 전기가 후술될 의자에 구비된 축전지(510)에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ipe 24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a rear surface of a chair 5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electricity collected by the solar cell module 140 is easily stored in a battery 510 provided in a chair .

상기 제2연결관(242)은 상기 제2지지부(220) 및 제3지지부(230)와 대응되어 상기 제2지지부(220) 및 제3지지부(230) 하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ipe 242 may be provided below the second support part 220 and the third support part 2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support part 220 and the third support part 230, respectively.

상기 제2연결관(242)은 상기 저장조(300)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집수부(110)로부터 집수된 빗물이 상기 저장조(300)에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ipe 242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300 so that the rainwater collected from the storage unit 110 can be easily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다음으로, 상기 저장조(300)는 상측이 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하측은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reservoir 3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ide protrudes from the ground and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ground.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장조(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램프(320) 및 저장조 개폐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tank 300 may further include a UV lamp 320 and a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unit 330, as shown in FIG.

상기 UV램프(320)는 상기 저장조(300)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One or more UV lamps 3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tank 300.

상기 UV램프(320)의 파장은 100~400nm의 파장인 UV램프(320)를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00~280nm의 UV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The UV lamp 320 uses a UV lamp 320 having a wavelength of 100 to 400 nm, preferably a UV lamp having a wavelength of 100 to 28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280nm의 파장이 이용될 수 있는데, UV파장 중 가장 짧은 파장을 이용하여 DNA의 염기 중 티민의 분자구조를 집중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상기 파장을 흡수한 티민이 이웃한 티민이나 시토신과 눌러 붙게 되어 티민이 중합되게 되고, DNA의 복제를 저해하게 됨으로써 생명체로서의 기능이 용이하게 정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ore preferably, a wavelength of 200 to 280 nm can be used. By intensively destroying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ymine in the base of DNA using the shortest wavelength of the UV wavelength, the thymine absorbing the wavelength can be detected as a neighboring thymine or cytosine And thus the thymine is polymerized, and DNA replication is inhibited, so that the function as a living organism can be easily stopped.

더욱이, 상기 파장은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과 단백질을 산화시켜 세균들의 생명활동이 연장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the above wavelength has an advantage of oxidizing the phospholipid and protein which constitute the cell membrane, so that the life activity of the bacteria can not be prolonged.

따라서, 장기간 물을 저장하는 데에 있어서 물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in storing 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는 상기 저장조 내측에 구비되어 후술될 상기 배수로(400)를 통해 물이 배수될 때 상기 연결관(240) 또는 배수로(40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connection pipe 240 or the drainage passage 400 can be opened or closed when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400 to be described later.

우기 시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하측으로 고정되어 상기 배수로(40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저장조(300)에 빗물을 저장되어 정류장 또는 도로 등에서 빗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The rainwater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to prevent the rainwater from overflowing at a stop or on the road, because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is fixed to the lower side when it is rainy, and the drainage path 400 is kept closed.

더욱이, 건기 시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상측으로 고정되어 상기 연결관(240)이 폐쇄되고, 배수로(320)가 개방되어 후술될 배수로(320)를 통해 상기 저장조(300)에 저장된 빗물의 배출속도 및 배출량을 조절하여 건기 시 조경수가 물 부족으로 인해 시들지 않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during the dry season,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is fixed to the upper side to close the connection pipe 240, and the drainage path 320 is opened to discharge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0 through the drainage path 320, Speed and discharge amoun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landscap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wasting due to water shortage during dry season.

상기 저장조 센서부(340)는 UV램프 조절 센서(341),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 및 수위 조절 센서(343)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tank sensor unit 340 may include a UV lamp control sensor 341, a storage tank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ensor 342, and a water level control sensor 343.

상기 UV램프 조절 센서(341)는 상기 UV램프(320)와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건기 또는 우기 시 UV램프(32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V lamp adjustment sensor 341 may be provided to be apart from the UV lamp 320 to control on / off of the UV lamp 320 during a dry or wet season.

따라서 상기 UV램프 조절 센서(341)의 신호에 의해 상기 UV램프(320)의 온/오프가 조절제어 됨으로써 장기간 빗물을 장기간 저장하는 데에 있어서 물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on / off control of the UV lamp 320 is controlled by the signal of the UV lamp adjustment sensor 341,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of water for long-term storage of rain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는 후술될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후술될 저장조 내측에 상기 배수로(400)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tank opening and closing part adjustment sensor 342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drainage passage 400 inside the storage tank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open or close the storage tank opening and closing part 330 according to a signal of a control part to be described later.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날씨 수신부(120)의 신호가 후술될 제어부(520)로 이동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520)에서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에 보냄으로써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gnal of the weather receiver 1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 unit 520 sends the signal to the storage control unit 342, And can be controlled to be fix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따라서 건기 시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240)이 폐쇄되며, 배수로(400)가 개방되어 조경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is moved upward by the signal of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adjustment sensor 342 during the dry season, the connection pipe 240 is closed, the drainage passage 400 is opened, Can supply.

또한, 우기 시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240)이 개방되고, 배수로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저장조(300)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rainy season,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is moved downward by a signal from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adjustment sensor 342, and the connection pipe 240 is opened and the drainage path is closed,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store rainwater.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저장조(300)에 구비된 빗물의 배출속도를 조절하여 조경수가 물 부족으로 인해 시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adjustment sensor 342 is provided to control the discharge speed of the rainwater in the storage tank 300, so that the landscap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wasting due to lack of water.

더욱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와 연동되도록 저장조 내측에 액상비료 저장부(3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7, the liquid fertilizer storage unit 350 may further be included inside the storage tank to selectively interlock with the storage tank opening and closing part regulation sensor 342.

이때,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에 의해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개방될 때, 상기 액상비료 저장부(350)가 개방되어 빗물과 함께 배출됨으로써 양분이 부족한 조경수의 생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is opened by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adjustment sensor 342, the liquid fertilizer storage part 350 is opened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rainwater, thereby controlling the growth of landscape water lacking nutrients .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30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에 의해 상기 배수로(400)가 개방되어 빗물의 배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펌프(360)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the drainage passage 400 may be opened by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to adjust the discharge rate of the rainwater, 360).

이때 상기 펌프(360)는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의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pump 360 can be controlled by the signal of the storage tank opening and closing part adjustment sensor 342.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342)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펌프에 의해 빗물의 배출속도와 상기 저장조(300)의 최하측에 구비되는 빗물이 용이하게 배출 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is opened by the signal of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adjustment sensor 342, the discharge speed of the rainwater by the pump and the rainwater provid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storage tank 300 And can be easily discharged.

상기 수위 조절 센서(343)는 상기 저장조 내측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조의 수위가 1/4 채워지면, 신호를 후술될 제어부(520)에 보내고, 상기 수위 조절 센서(343)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520)로부터 상기 개폐부 센서부(미도시)에 보내게 됨으로써 상기 집수부(110)가 폐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adjustment sensor 343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52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tank is 1/4, 520 to the opening / closing part sensor unit (not shown) so that the collecting part 110 can be closed.

따라서 상기 수위 조절 센서(343)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조(300)의 넘침을 방지하고, 빗물에 의한 상기 UV램프(320)의 누전(漏電)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flow of the storage tank 300 by the signa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sensor 343 and to prevent leakage of the UV lamp 320 due to rainwater.

더욱이, 상기 저장조(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정화장치(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reservoir 300 may further include a purifier 370, as shown in FIG.

상기 정화장치(370)는 후술될 상기 저장조(30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300) 내에 구비된 빗물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urifier 37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tank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purify the rainwater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300.

상기 정화장치(370)에 의해 상기 저장조(300) 내에 구비된 빗물이 정화됨으로써, 장마 등과 같이 오랜 기간 빗물을 보관하는데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urifier 370 purifies the rainwater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300, thereby facilitating storage of rain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rainy season.

또한, 상기 정화장치(370) 내에 형성된 필터에 의해 상기 저장조 내에 구비되는 빗물의 부유물 등이 상기 필터에 흡착되어 상기 빗물 배출 시 조경수의 뿌리가 빗물의 부유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formed in the purifier 370 is advantageous in that floating matters such as rainwater, which are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are adsorbed to the filter, thereby preventing the roots of the landscape water from being damaged by the floating matters of the rainwater have.

상기 배수로(400)는 상기 저장조(300) 하측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조경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410)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age passage 40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300 and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0 to supply water to the landscapeize water.

이때, 상기 배수로(400)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1~10도 기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개방되어 빗물이 상기 배수로(400)를 통해 흐를 때, 중력에 의해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ainage passage 400 is inclined downwardly by 1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when the rainwater flows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400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30 of the storage tank, .

만약, 상기 배수로(400)의 각도가 1도 미만으로 기울게 되면, 상기 저장조 개폐부(330)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배수로(400) 내에 빗물이 잔존하게 되어 상기 배수로(400) 내부가 물에 의해 부식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10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상기 조경수의 뿌리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데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If the angle of the drainage passage 400 is less than 1 degree, rainwater remains in the drainage passage 400 when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330 is closed, so that the inside of the drainage passage 400 is corrod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supply water directly to the roots of the landscape water.

더욱이, 상기 배수로(400)는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단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외경을 따라 하나 이상의 분기관(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drainage passage 4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branch pipes 420 along the outer diameter in the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as shown in FIG.

상기 분기관(420)에 의해 조경수의 뿌리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ranch pipe 420 directly supplies water to the roots of the landscape water.

상기 의자(500)는 상기 저장조(300)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chair 500 may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30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이때, 상기 의자(500)는 상기 제1연결관(241)과 연결되어 축전지(510) 및 제어부(520)를 내측에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i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241 to further include a battery 510 and a control unit 520 on the inner side.

상기 축전지(510)는 상기 태양전지모듈(140)에서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battery 510 may be provided to store power generated in the solar cell module 140.

더욱이, 상기 축전지(520)에 의해 상기 날씨 수신부(120), 개폐부 센서부(미도시) 및 저장조 센서부(340)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battery 520 may be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weather receiver 120, the opening / closing part sensor unit (not shown), and the storage tank sensor unit 340.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축전지(510)와 연결되어 날씨 수신부(120), 개폐부 센서부(미도시) 및 저장조 센서부(34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2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510 to control the weather receiving unit 12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sensor unit (not shown), and the storage unit sensor unit 340.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날씨 수신부(120)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52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부 센서부(미도시) 및 저장조 센서부(340)의 신호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Not shown) and the storage tank sensor unit 340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520. The control unit 520 receives the signal of the weather receiver 120 from the controller 520, Signal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은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배출 조절장치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축 토목산업 등의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control system for stop rainwater reuse using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and is an industrial usable invention such as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industry.

Claims (7)

일측에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날씨 수신부를 포함하여 상측에 구비되는 지붕;
상기 지붕 상측에 하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거름망을 포함하여 형성된 집수부;
상기 지붕 또는 집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지지부, 제2지지부 및 제3지지부를 포함하며, 하측 일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붕이 지면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구비된 지지부;
상측이 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하측은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저장조 센서부 및 외측에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비된 저장조;
상기 저장조 하측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조경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구비된 배수로; 및
상기 저장조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된 의자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은,
상기 집수부와 이격되어 상기 날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롤러;
상기 롤러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날씨 수신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부 센서부;
상기 롤러를 감쌈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회전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됨으로써 상기 집수부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부; 및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수동으로 상기 롤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은,
상기 집수부와 이격되어 상기 지붕 상측에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의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와 연결되어 날씨 수신부 및 저장조 센서부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는,
내측 상측에 하나 이상 구비된 UV램프; 및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로를 통해 물이 배수될 때 상기 배수로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조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배수로가 개방되어 빗물의 배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 내에 구비된 빗물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정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로는,
타측 단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외경을 따라 하나 이상의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지지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의자의 배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연결관; 및 상기 제2지지부 및 제3지지부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저장조 상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UV램프의 파장은 100 내지 400nm인 것이고,
상기 저장조 센서부는, 상기 UV램프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건기 또는 우기 시 상기 UV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포함된 UV램프 조절 센서,
상기 배수로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조 개폐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조 개폐부 조절 센서; 및 상기 저장조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가 채워지면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보냄으로써 상기 집수부가 폐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수위 조절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는,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어 내측에 축전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로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1 내지 10도 기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 개발(LID) 기술을 활용한 정류장 빗물 재사용 배출 조절장치.
A roof provided on the upper side including a weather receiv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on one side;
A collecting part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above the roof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ltering net;
A first support por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thir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roof or the collecting portion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of or the collecting portion is fixed to the ground so that the roof can be supported apart from the ground At least one support;
A reservoir having an upper side projecting from the ground, a lower side being formed to be fixed to the ground, at least one reservoir sensor part at the inner sid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ipe at the outer side;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ly water to the landscape water; And
And a chair which is disposed at least one of the support members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The roof,
A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rotatable according to the weather;
An opening / closing sensor unit provided inside the roller, the opening / closing sensor unit being configured to rotate the roller by a signal of the weather receiver;
An opening / closing part formed by wrapping the roller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ng part by extending or redu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roller; And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roller and adapted to manually adjust the roller,
The roof,
And a solar cell module disposed on the roof above the solar cell module,
The chair comprises:
A battery for storing power generated in the solar cell module; And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battery to control the weather receiver and the storage tank sensor unit,
The storage tank,
At least one UV lamp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ide; And
And a drain opening / clos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rainage passage so that the drainage passage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And at least one pump provided inside the reservoir for opening the drainage path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regulate the rate of discharge of the rainwater,
And a purifier provided inside the reservoir and configured to purify rain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In the drain,
And one or more branch pipes along an outer diameter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A first connection pipe provided below the first support and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chair;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provided below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The wavelength of the UV lamp is 100 to 400 nm,
The storage tank sensor unit may include a UV lamp control sensor which is provided to be apart from the UV lamp and is capable of controlling on / off of the UV lamp when it is dry or wet,
A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adjusting sensor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ainage passage and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storage tank opening / closing part by a signal of the control part; And a water level sensor provided at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and configured to close the water collecting unit by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storage tank is filled, A battery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drainage channel is inclined by 1 to 10 degrees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63209A 2017-05-23 2017-05-23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KR101815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09A KR101815562B1 (en) 2017-05-23 2017-05-23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09A KR101815562B1 (en) 2017-05-23 2017-05-23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562B1 true KR101815562B1 (en) 2018-01-05

Family

ID=6100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209A KR101815562B1 (en) 2017-05-23 2017-05-23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56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372A (en) * 2021-12-22 2022-04-01 瑞宇建设有限公司 Green energy-sav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04569B1 (en) * 2021-12-16 2022-06-02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Smart bench system
CN115024191A (en) * 2022-04-15 2022-09-09 张旭 Gardens intelligence watering device based on photovoltaic system
CN115024191B (en) * 2022-04-15 2024-06-07 内蒙古高速善美生态开发有限公司 Gardens intelligence watering device based on photovoltaic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799B1 (en)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Rainwater collecting device and facility for using rainwater with the device
KR101351825B1 (en) * 2012-10-12 2014-01-17 주식회사 에코준컴퍼니 Mass transit stop shelter providing rain w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25B1 (en) * 2012-10-12 2014-01-17 주식회사 에코준컴퍼니 Mass transit stop shelter providing rain w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340799B1 (en)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Rainwater collecting device and facility for using rainwater with the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569B1 (en) * 2021-12-16 2022-06-02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Smart bench system
CN114263372A (en) * 2021-12-22 2022-04-01 瑞宇建设有限公司 Green energy-sav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4263372B (en) * 2021-12-22 2023-11-28 瑞宇建设有限公司 Green energy-sav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5024191A (en) * 2022-04-15 2022-09-09 张旭 Gardens intelligence watering device based on photovoltaic system
CN115024191B (en) * 2022-04-15 2024-06-07 内蒙古高速善美生态开发有限公司 Gardens intelligence watering device based on photovoltaic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580790U (en) Multifunctional landscape flower bed based on rainwater regulation
CN209907525U (en) Urban road rainwater collection, purification and utilization system
KR101874386B1 (en) Smart Pot Using Rainwater
KR102187898B1 (en) Bench to filter, store and drain rainwater
CN107190840B (en) Roof rainwater collecting and processing system suitable for old community transformation
KR101815562B1 (en) Rainwater reuse drainage control system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CN109851165A (en) A kind of small-scale waste water treatment for reuse integration afforestation equipment and method
KR20190037756A (en) Eco-Friendly Pergola
KR101182259B1 (en) artificial cultivation system of collected rainwater
CN210636250U (en) Novel sponge urban road
KR101230015B1 (en) A field-toilet water facilities for recycling of rainwater
CN112343162A (en) Rainwater collection, purification and recycling system for sponge city planning construction
JP2003105883A (en) Temperature increase preventive system
CN205382555U (en) Rainwater collect to be handled, infiltration is stored, usable no power device
CN208105448U (en) A kind of tree case controlling rainfall runoff
CN113216320B (en) Rainwater ecological purification and collection utilization system suitable for low greenbelt rate
WO2008035964A1 (en) Growing location, method and holder
CN107605009A (en) Living area rainwater is regulated and stored system automatically
CN209891286U (en) Rainwater collection, purification, regulation and storage ecological utilization system for sponge urban viaduct
CN208563516U (en) A kind of roofing vertical current biology delaying basin
KR101656668B1 (en)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vegtation waterway
JP3693176B2 (en) Rainwater underground filtration water supply system
KR101899987B1 (en)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CN218713688U (en) System combining road water supply and drainage and greening irrigation
CN220666708U (en) Modularized green roof rainwater collecting and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