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433B1 - 전기 이불 - Google Patents

전기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433B1
KR101815433B1 KR1020170092393A KR20170092393A KR101815433B1 KR 101815433 B1 KR101815433 B1 KR 101815433B1 KR 1020170092393 A KR1020170092393 A KR 1020170092393A KR 20170092393 A KR20170092393 A KR 20170092393A KR 101815433 B1 KR101815433 B1 KR 10181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vet
coupled
fastening member
electric
blan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창
Original Assignee
김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창 filed Critical 김재창
Priority to KR102017009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이불에 관한 것으로, 아랫면에 복수의 제1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부 이불과 윗면에 복수의 제2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하부 이불 및 상부 이불과 하부 이불 사이에 개재되는 열선판을 포함하고,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가 열선판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전기 이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이불{ELECTRIC BEDCLOTHES}
본 발명은 전기 이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두 겹의 이불과 그 사이의 열선판을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전기 이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이불은 내장된 전열선을 이용하여 몸의 보온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것으로, 주로 동절기에 사용되며 부분적인 난방을 통해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열선을 이용하여 이불을 난방하는 전기 이불에는 전기담요와 전기매트 등이 있다. 전기 매트는 부직포 따위의 소재에 전열선을 삽입하고 옥돌이나 가죽소재 등을 첨부하여 바닥면을 난방하는 것이며, 전기담요는 전열선을 삽입한 부직포 따위의 소재 위에 천 재질로 마감 처리를 한 것이다.
전기 이불은 발열을 위한 전열선, 온도조절기, 외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열선은 전류의 흐름에 저항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전도체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큰 고유저항과 낮은 저항온도계수 그리고 높은 내구성 등의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PVC 열선이 널리 사용된다.
온도조절기는 전기 이불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전기 이불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온도 값과 같아지면 전달하는 전기를 차단하고 일정 수치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전기를 공급한다.
전기 이불에는 전열선이 내장되어 있어 구겨서 사용하거나 전열선이 물에 노출되는 경우에 전열선이 파손될 수가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활방수 기능이 추가되어 세탁이 가능한 전기 매트, 또는 얇은 천 내부에 전열선을 삽입하여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담요 등 사용자의 니즈에 따른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 전열선을 이불 내부에 넣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담요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961호에서 히터열선을 내장한 내피와 외피를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지퍼로 고정한 착탈식 외피를 갖는 전기요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히터열선은 발열시트에 지그재그로 배선한 후 발열 시트를 포개어 접착 고정하여 봉제한 후 외피와 지퍼로 결합 고정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전기담요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934호에서 상부외피와 하부외피의 사이에 발열수단, 쿠션재, 단열재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난방 매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난방 매트는 끈 부재나 지퍼, 스냅 단추 등에 의해 상호 분리 및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기담요 및 난방 매트는 가장자리에만 결합 수단을 구비하여 중간 부분은 분리가 되어있다. 따라서 바닥에 깔아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나 사용자가 이불과 같이 덮어 사용하기에는, 내장된 발열수단이 가장자리 외에는 외피와 제대로 고정되지 있지 않아 전열선이 파손될 우려가 있어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961호(2003년10월13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934호(2016년10월06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두 겹의 이불 각 변과 중앙부에 체결 부재를 부착하여 열선판을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고, 두 겹의 이불과 열선판을 상호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이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랫면에 복수의 제1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부 이불; 윗면에 복수의 제2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하부 이불; 및 상부 이불과 하부 이불 사이에 개재되는 열선판을 포함하고;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가 열선판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체결 부재는 상부 이불의 아랫면 일측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1 암단추와, 상기 아랫면 일측을 제외한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1 수단추를 포함하고, 제2 체결 부재는 하부 이불의 윗면 일측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2 수단추와, 상기 윗면 일측을 제외한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2 암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부 이불의 아랫면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수단추가 제1 암단추와 결합되고 하부 이불의 윗면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암단추가 제2 수단추와 결합됨으로써, 상부 이불 및 하부 이불이 원통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열선판은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와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부 이불 윗면 일측에는 온도조절기가 설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 이불 윗면 일측에는 전기접속구가 설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이불은 상부 이불과 하부 이불, 및 열선판으로 구성되어 상부 이불과 하부 이불, 및 열선판의 그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 부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열선판이 이불 내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전기 이불 내에서 열선판의 흔들림이 없고,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전열선의 파손 가능성이 낮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이불과 하부 이불의 일 측면에 부착된 체결 부재의 암수가 다르게 배치됨으로 인해 일 측면의 체결 부재와 타 측면의 암수가 다르게 배치된 체결 부재를 결합하여 전기 이불을 원통 형태로 재구성하여 신체의 전면을 난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전기 이불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전기 이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전기 이불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를 따르는 전기 이불은 상부 이불(10), 하부 이불(25) 및 열선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이불(10)은 열이 방출됨을 방지하고 이불의 외면이 본연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차렵 또는 솜과 같은 소재로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이불(10)의 아랫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제1 체결 부재가 결합된다. 예컨대 제1 체결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불(10)의 아랫면에 격자형 배치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제1 채결 부재가 6 by 4로 상부 이불(10)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체결 부재의 수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고 그 이하가 될 수도 있다. 물론 격자형 이외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는 예를 들어 스냅 단추일 수 있으나, 스냅 단추 이외에도 지퍼, 끈 등의 두 장 이상의 직물을 결합할 수 있게 하는 모든 형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체결 부재는 상부 이불(10)의 아랫면 일측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1 암단추(12)와, 아랫면 일측을 제외한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1 수단추(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이불(10)의 윗면 일측에는 온도조절기(16)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조절기(16)는 전기 이불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전기 이불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온도 값과 같아지면 전달하는 전기를 차단하고 일정 수치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전기를 공급한다. 이와 같은 온도조절기(16)는 예를 들어 온도조절기 고정부재(13)를 통해 상부 이불(10)의 윗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온도조절기 고정부재(13)는 통상의 결합부재(스냅 단추, 볼트-너트 등)일 수 있다.
상부 이불(10)의 윗면 일측에는 전기접속구(15)가 설치될 수 있다. 전기접속구(15)는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접속구(15)는 전기접속구 고정 부재를 통해 상부 이불(10)의 윗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접속구 고정 부재는 전기접속구(15)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상부 이불(10)의 윗면 일측에 고정시키는 전기접속구 고정용 수단추(14a)와, 하부 이불(25)의 윗면에 전기접속구 고정용 수단추(14a)와 상응하도록 위치되는 전기접속구 고정용 암단추(1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선판(20)에는 전기접속구 고정용 수단추(14a) 및 전기접속구 고정용 암단추(14c)와 상응하는 위치에 전기접속구 고정용 관통홀(14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접속구 고정용 수단추(14a)가 전기접속구(15)를 관통하고 열선판(20)에 형성된 전기접속구 고정용 관통홀(14b)을 관통하여 전기접속구 고정용 암단추(14c)와 결합됨으로써, 전기접속구(15)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이불(25)은 이불 본연의 부드러움과 열선판(20)의 열의 완충을 위해 린넨, 모시, 레이온, 면 따위의 소재로 상부 이불(10)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이불(25)의 윗면에는 복수의 제2 체결 부재가 결합된다. 예컨대 제2 체결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이불(25)의 윗면에 격자형 배치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체결 부재는 제1 체결 부재와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제2 체결 부재는 예를 들어 스냅 단추일 수 있으나, 스냅 단추 이외에도 지퍼, 끈 등의 두 장 이상의 직물을 결합할 수 있게 하는 모든 형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체결 부재는 하부 이불(25)의 윗면 일측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2 수단추(26)와, 윗면 일측을 제외한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2 암단추(2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이불(10)과 하부 이불(25)이 결합될 때에는 상부 이불(10)에 형성된 제1 수단추(11)와 하부 이불(25)에 형성된 제2 암단추(27)가 상호 결합하고, 상부 이불(10)에 형성된 제1 암단추(12)와 하부 이불(25)에 형성된 제2 수단추(26)가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열선판(20)은 상부 이불(10)과 하부 이불(25) 사이에 개재된다. 열선판(20)에는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와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22)이 형성된다. 이 때, 관통홀(22)의 직경은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가 관통홀(22)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선판(20)은 상부 이불(10) 및 하부 이불(25)과 같은 크기를 갖는 천 따위의 직물 두 장과, 직물 두 장의 사이에 구비된 전열선(2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열선(21)은 열선판(20)의 관통홀(22)과 겹치지 않도록 지그재그로 배선되어 봉재 또는 접착을 통해 직물 두 장 사이에서 배선의 형태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불은 상부 이불과 하부 이불, 및 열선판으로 구성되어 상부 이불과 하부 이불, 및 열선판의 그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 부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열선판이 이불 내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전기 이불 내에서 열선판의 흔들림이 없고,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전열선의 파손 가능성이 낮다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전기 이불의 단면도이다.
결합된 전기 이불의 일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체결 부재와 제2 체결 부재의 결합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이불(10)이 바깥쪽으로, 하부 이불(25)이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말아 접어 전기 이불이 원통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이불(10)의 아랫면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수단추(11)가 그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암단추(12)와 결합되고 하부 이불(25)의 윗면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암단추(27)가 그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수단추(26)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단추(11)와 제1 암단추(12), 그리고 제2 암단추(28)와 제2 수단추(26)가 결합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이불이 원통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라 원통 형태를 형성한 전기 이불은 사용자의 몸을 둘러 쌀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전면을 따뜻하게 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전기 이불은, 상부 이불(10)과 하부 이불(25), 그리고 상부 이불(10)과 하부 이불(25) 사이에 개재되는 열선판(20)을 포함하고,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가 열선판(20)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어 열선판(20)이 전기 이불 내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흔들리거나 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전열선(21)의 파손 가능성이 낮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부 이불(10)의 일측과 그 타측에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1 체결 부재끼리 결합하고 하부 이불(25)의 일측과 그 타측에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2 체결 부재끼리 결합하여 전기 이불을 원통 형태로 재구성하여 신체 전면을 난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상부 이불 11: 제1 수단추
12: 제1 암단추 13: 온도조절기 고정부재
14a: 전기접속구 고정용 수단추 14b: 전기접속구 고정용 관통홀
14c: 전기접속구 고정용 암단추 15: 전기접속구
16: 온도조절기 20: 열선판
21: 전열선 22: 관통홀
25: 하부 이불 26: 제2 수단추
27: 제2 암단추

Claims (6)

  1. 상부 이불(10);
    하부 이불(25);
    상부 이불(10)과 하부 이불(25) 사이에 개재되는 열선판(20);
    상부 이불(10)의 아랫면 일측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1 암단추(12)와, 상기 아랫면 일측을 제외한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1 수단추(11)를 포함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하부 이불(25)의 윗면 일측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2 수단추(26)와, 상기 윗면 일측을 제외한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제2 암단추(27)를 포함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가 열선판(20)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부 이불(10)과 하부 이불(25)이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이불(10)의 아랫면 타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수단추(11)가 상기 제1 암단추(12)와 결합되고 하부 이불(25)의 윗면 타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2 암단추(27)가 상기 제2 수단추(26)와 결합됨으로써 상부 이불(10) 및 하부 이불(25)이 원통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전기 이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판(20)은 상기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 체결 부재와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 체결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전기 이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불(10) 윗면 일측에는 온도조절기(16)가 설치되는 전기 이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불(10) 윗면 일측에는 전기접속구(15)가 설치되는 전기 이불.
KR1020170092393A 2017-07-21 2017-07-21 전기 이불 KR10181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93A KR101815433B1 (ko) 2017-07-21 2017-07-21 전기 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93A KR101815433B1 (ko) 2017-07-21 2017-07-21 전기 이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433B1 true KR101815433B1 (ko) 2018-01-05

Family

ID=6100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393A KR101815433B1 (ko) 2017-07-21 2017-07-21 전기 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07A (ko) * 2018-01-16 2019-07-24 경홍석 온열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07A (ko) * 2018-01-16 2019-07-24 경홍석 온열매트
KR102050807B1 (ko) * 2018-01-16 2019-12-03 경홍석 온열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2760B2 (en) Dual warmth level comforter
US20080283513A1 (en) Heating Pad for Use with Animals
US9332853B2 (en) Electrically heated foot canopy for bed top sheets, blankets, quilts or beds and the like
KR101815433B1 (ko) 전기 이불
KR100849523B1 (ko) 찜질 매트
KR20080010959A (ko) 면상 발열체가 적용된 매트리스
KR102405643B1 (ko) 양면형 상부매트가 구비된 매트리스
US20230029675A1 (en) Pet bed with removable warming or cooling unit
KR200446516Y1 (ko) 숯 방석
JP2002125822A (ja) 組掛け布団
JP2017000311A (ja) 暖房マット
KR20090058608A (ko) 탄소사를 이용한 전열 커버식 침구류의 제조방법
KR101314561B1 (ko) 사계절용 전열 카페트
US11197556B1 (en) Combination mattress
KR200465239Y1 (ko) 전기온열보료
JP6010761B2 (ja) 電気採暖具
JP6574977B2 (ja) 暖房マット
JP3149531U (ja) 多目的電気足温器
CN211883226U (zh) 一种保暖冬被
KR20240025231A (ko) 사계절 이용이 가능한 냉온매트
KR20230007834A (ko) 탄소섬유층이 갖추어진 침구류
CN213550972U (zh) 一种睡袋
JP3245527U (ja) 電気掛け布団
KR20230083949A (ko) 사용의 용이성과 사계절 이용 가능의 냉온매트
KR200384244Y1 (ko) 자기 발생 전기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