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221B1 - 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 - Google Patents

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221B1
KR101815221B1 KR1020160081175A KR20160081175A KR101815221B1 KR 101815221 B1 KR101815221 B1 KR 101815221B1 KR 1020160081175 A KR1020160081175 A KR 1020160081175A KR 20160081175 A KR20160081175 A KR 20160081175A KR 101815221 B1 KR101815221 B1 KR 10181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elease paper
bracket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폴리텍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폴리텍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폴리텍크
Priority to KR102016008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eamless bonding or sewing line coating device which includes: a release paper supply part; an elevating part combined with the release paper supply part and a first bracket; a discharge part elevating combined with the elevating part to be movable, and storing a glue container inside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glue; an application par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a spot discharging the glue through the discharge part and a second bracket, and applying the glue to a side of the release paper supplied through the release paper supply part; a transfer part making the glue on the release paper transferred to objects to be bonded; and a control part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he objects are two sewed or non-sewed fabrics, and the device is used for waterproofing a seam of the objects or bonding the two fabrics seamlessly.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king seamless products such as clothes, bags, or underwear, and applying a waterproofing ability to even seamed products.

Description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amless joining or seamline coating,

본 발명은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류 내지는 가방 및 신발 등과 같이 다수의 직물, 부직포, 가죽, 레쟈 등의 편물로 이루어진 제품에 대한 무봉제 접합을 수행하여 봉제 효과를 구현하고, 봉제된 제품의 경우 봉제선을 코팅하여 제품의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ating a non-sewn bond or a sewing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sewn bond for a product made of a plurality of fabrics such as clothes, bags, sho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ating a sewing line or a sewing line, which can improve the waterproof effect of a product by coating a sewing line in the case of a sewn product.

일반적으로 아웃도어(outdoor) 제품은 외부 활동에 특화된 제품으로서, 의류, 신발 및 가방 등의 제품이 주종를 이루며, 이러한 아웃도어 제품은 근래에 들어 봉제선 없이(무봉제, seamless) 출시되고 있다.In general, outdoor products are mainly products for outdoor activities, and products such as clothes, shoes and bags are the main products. Such outdoor products have recently been released without sewing (seamless).

무봉제 제품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5345호 무봉제 마스크와 그의 제조방법(이하, '제1선행기술'이라 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456호 무봉제 스포츠웨어 및 아웃도어 의류의 마감처리방법(이하, '제2선행기술'이라 함)이 개시된 바 있다.A sewing mas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ior art') and Korean Patent No. 10-1293456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75345 for non-sewn products, and sewing sportswear and outdoor cloth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prior art ") has been disclosed.

이러한 무봉제 제품은 일반적으로 봉제선이 생략되므로, 봉제부와 피부가 접촉할 때 피부에 대한 압박 및 마찰(예를 들어, 쓸림 등의 현상)을 해소할 수 있어, 착용감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방수효과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Such a non-sewn product generally eliminates the sewing line,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essing and friction (e.g., swelling) of the skin when the sew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그러나 제1선행기술은, 편직기를 이용하여 봉제 없이 제조되는 것이므로, 편직기 전용의 제품 즉, 마스크만 제조할 수 있으며, 마스크가 아닌 타 제품의 경우에는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바, 타 제품의 제조를 위해서는 편직기를 제품에 맞춰 개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prior art is manufactured without using a knitting machine using a knitting machine, only a product dedicated to a knitting machine, that is, a mask can be manufactured, and other products other than a mask are not easily manufact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nitting machine needs to be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

또한, 제2선행기술은 적어도 두 장의 원단을 먼저 초음파 융착기를 통해 융착시킨 후에, 심실링 테이프(seamsealing tape)로 마감하여야 하므로, 융착이라는 부가적 공정이 수반되며, 따라서 원단의 접합 공정이 번거롭고 까다로우며, 융착과정에서 원단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In the second prior art, since at least two fabrics are first fused to each other through an ultrasonic welder and then closed with a seamsealing tape, an additional process of fusing is involved, and thus the process of joining the fabrics is troublesome and difficult And damage to the fabric may occur during the fusing process.

또한, 심실링 테이프 자체도 접착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압출(T-die, Blown) 혹은 용매 코팅(Solvent coating) 공정으로 생산된 필름 형태의 접착제 필름 층에 열풍(Hot-Air), 혹은 열판(Hot-Plate) 형태로 강력한 온도와 압력을 가해야만 접합상태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접합 조건이 매우 까다로우며 몇몇 원단에서는 융착 과정에서 원단의 손상이 발생하고, 후처리 공정이 더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심실링 테이프는 봉제선에 대한 방수기능 부여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Also, in order to exhibit the adhesive performance of the ventricular ring tape itself, hot air or Hot (hot) air is applied to the film type adhesive film layer produced by the extrusion (T-die, blown) or solvent coating process -Plate form, it is necessary to apply a strong temperature and pressure to achieve the bonding state. Therefore, the joining condition is very difficult, and in some fabrics, the fabric is damaged in the fusing process, and the post-treatment process is further required. The ventricular ring tape is also used for waterproofing the sewing line.

따라서, 다양한 무봉제 제품을 용이하게 제작하거나 봉제선에 대한 방수효과를 간편하게 부여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접합 과정의 간소화 및 후처리 공정의 최소화가 가능한 원단 접합 및 방수용 코팅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하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n apparatus for easily producing various non-sewn products or for imparting a waterproof effect to a sewing line easily, and further, there is a study on a fabric joining and waterproof coating apparatus capable of simplifying a bonding process and minimizing a post- Development is urgent.

KR 10-1275345 BKR 10-1275345 B KR 10-1293456 BKR 10-1293456 B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도어 의류 제품 뿐만 아니라 속옷 및 일반 의류, 신발, 가방, 모자, 장갑, 자동차 내장재 등 여러 분야에서 봉제로 제작하던 부분을 무봉제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봉제선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방수작업이 용이한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wing machine for sew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underwear, general clothing, shoes, bags, hats, gloves, Which can be manufactured in a non-sewn state, and which can be easily waterproofed in the presence of a sewing l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제의 원재료 및 래진(Resin) 기반의 용기 형태를 직접 용융해 이형지에 도포하거나 직접 코팅한 후, 봉제 또는 필름(핫멜트)으로 형성된 재료를 가열에 의할 필요없이 도포된 접착제를 두 장의 원단(피접합체) 사이 또는 봉제선에 전사하는 것만으로도 접합 또는 방수처리가 가능하므로, 종래의 무봉제 접합 방법에 비하여 공정이 최소화되어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며, 또한, 종래 테이프(심실링테이프)의 사용으로 인한 이질감을 배제할 수 있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 adhesive which comprises directly melting an adhesive raw material and a container type based on a Resin and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release paper or directly coating the adhesive, Can be bonded or waterproofed only by transferring the tape between two sheets of cloth (bonded members) or a sewing line, so that the process can be minimiz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n-sewn bonding method, Tape or the like) which can eliminate the sense of heterogeneity caused by the use of the adhesive tape or the tape.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노즐에 잔류하는 접착제가 장치에 마련된 회수부에 의해 수거되도록 하여, 장치 재가동시 미수거되어 잔류되는 접착제가 제품에 한꺼번에 전사되어 발생되는 제품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원활한 제품 생산을 기대할 수 있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efective product which is caused when the adhesive remaining on the nozzle is collected by the collecting part provided in the device and the residual adhesive which is not collected when the device is returned and is transferred at once to the product, And to provide a device for coating a non-sewn joint or a sewing line, which can be expected to produce a smooth produ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제 용기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가 회전구조로 이루어져,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개폐가 용이하므로, 접착제 용기의 신속한 교체와 더불어 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ening an adhesive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without a separate tool, because the upp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dhesive container has a rotating structur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제 용기를 미리 예열시키는 히팅부가 장치 일측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 접착제 용기를 교체하였을 때 고체상태의 접착제가 용해되는 동안 대기할 필요 없이 용기의 교체와 동시에 바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heating an adhesive container by separately providing a heating unit for preheating the adhesive container so that when the adhesive container is replaced, Which is capable of securing continuity of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 제거 및 용융이 용이하지 아니한 수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과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a non-sewn bonding or bouton coating which facilitates this process by using the contain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n which is not easy to supply, remove and mel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형지 공급부; 상기 이형지 공급부와 제1 브래킷을 통해 결합된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접착제 용기가 수용되어 접착제를 일정하게 토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와 제2 브래킷을 통해 접착제가 토출되는 지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형지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이형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 상기 이형지에 도포된 접착제가 피접합체에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부; 및 상기 장치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접합체는 봉제되거나 봉제되지 아니한 두 장의 원단으로서, 봉제선 부분의 방수를 위한 것이거나 두 장의 원단이 접착제에 의해 무봉제로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ft unit coupled to the release paper feeding unit via the first bracket; A discharging unit coupled to the lifting uni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ving an adhesive tank accommodated therein to constantly discharge the adhesive; A dispenser for dispensing an adhesive to one side of a release paper supplied through the release paper feeder, the dispenser being disposed below the point where the adhesiv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the second bracket; A transferring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adhesive applied on the release paper sheet to the member to be bonded; And a controller for setting the driving of the device, wherein the bonded object is two sheets of fabric which are not sewn or sewn, for waterproofing the sewing line portion, or for bonding two sheets of fabric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ag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can be used as a non-sewn bonding or sewing line coating.

상기 이형지 공급부는, 다수의 가이드가 기설정된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브래킷과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 이형지 롤이 거치되는 이형지 거치대; 및 상기 플레이트와 이형지 거치대 사이에 결합 매개체로서 존재하는 거치대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ease paper supply unit may include a guide plat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hape with a plurality of guides, and coupled with the first bracket; A release sheet holder on which the release roll is mounted; And a cradle bracket as a coupling medium between the plate and the release cradle.

상기 승강부는, 스크루 로드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 상기 스크루 로드를 감싸는 승강부 하우징; 및 상기 승강부 하우징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lift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rod; A lifting unit housing surrounding the screw rod; And at least a pair of limit senso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housing.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스크루 회전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하되, 상기 리미트 센서와 작용하여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피구동부; 및 내부에 접착제 용기가 수용되고 접착제를 일정하게 토출시키며, 상기 피구동부를 매개로 상기 승강부와 결합되는 배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discharging unit includes a driven unit having a limit switch for moving up and dow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And an eject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container therein and discharging the adhesive uniformly and being coupled to the elevating portion via the driven portion.

상기 배출기는, 내부에 접착제 용기가 수용되는 관체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상부를 폐쇄하며, 상기 접착제 용기 상부를 천공시키는 상부펀치가 마련된 상부덮개; 상기 본체 하부를 폐쇄하며, 상기 접착제 용기 하부를 천공시키는 하부펀치가 마련된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와 연통되며, 접착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ejector includes a tubular body in which an adhesive container is accommodated; An upper cover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punch for pier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A lower cover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lower punch for pier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And a nozzl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cover and discharging the adhesive to the outside.

상기 본체는, 그 외부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되어 접착제를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부; 상부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덮개와 축결합을 위한 회전축이 관통하는 회전축공; 및 상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회전과 이탈이 제한되도록 걸림축이 수용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ncludes a heating part provided at least in one area outside the heating part to heat the adhesiv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rotary shaf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through which a rotary shaft for axial coupling with the upper cover passes; And a latching jaw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to receive the latching shaft so as to restrict rotation and disengagement of the upper lid.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본체 상부를 개폐하며, 저면에 접착제 용기 상부를 천공시키는 상부펀치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과 걸림축이 탄력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판재; 상기 관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 및 걸림축과 힌지 결합된 레버; 및 상기 상부판재와 레버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레버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마찰을 줄이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lid has an upp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n upper punch for piercing an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lid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and the latching shaft elastically penetrate. A lever hinged to the rotation shaft and the engagement shaft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bearing which separates the upper plate and the lever and reduces friction when the lever rotates about the hinge.

상기 상부판재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접착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상부유로; 및 상기 본체 상부와 상부판재 사이를 기밀하게 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upper plate includes an upper flow path for introducing outside air 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adhesiv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a packing that airtightens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late member.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접착제 용기 하부를 천공시키고 내부 유로가 형성된 하부펀치; 상기 하부펀치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판재; 및 상기 본체 하부와 하부판재 사이를 기밀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lid includes: a lower punch having an inner passage formed therein by dril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A lower plate member on which the lower punch is seated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packing that airtightens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late.

상기 노즐은, 접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 상기 노즐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설치되어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제한하는 조절편; 및 상기 조절편의 고정 위치를 제한하여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설정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nozzle includes: an exhaust hole through which the adhesive is discharged; A regulating piece which is provided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nozzle and restricts a coating thickness of the adhesive; And an adjusting screw for restrict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adjusting member to set a coating thickness of the adhesive.

상기 접합장치는, 상기 제1 브래킷과 결합된 제3 브래킷을 통해 상기 배출기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누출되는 접착제 잔량을 수거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bon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ing unit through a third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collecting residual amount of adhesive leaking from the nozzle.

상기 도포부는, 공급되는 이형지 유도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한 쌍의 지지판재; 이형지가 공급되는 타단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를 견인하는 제1 롤러;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이형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제1 롤러를 구동시키는 도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lication unit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guides interposed therebetween for guiding a release sheet to be fed; A first roller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o which the release paper is fed and pulls the release paper coated with the adhesive; A support provided in the area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to support the release paper; And an application motor for driving the first roller.

상기 전사부는, 상기 제1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가 설치되는 전사프레임; 및 상기 제2 롤러를 구동시키는 전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transfer portion includes: a second rolle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oller; A transfer frame in which the second roller is installed; And a transfer motor for driving the second roller.

상기 접합장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리프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joi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lift for mak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com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 실린더; 상기 리프트 실린더와 결합된 리니어 모듈; 및 상기 리니어 모듈과 상기 제2 브래킷 사이에 결합시키는 리프트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 includes a lift cylinder; A linear module coupled with the lift cylinder; And a lift bracket coupled between the linear module and the second bracket.

상기 접합장치는, 상기 접착제 용기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dhesive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 가방 및 내의 등과 같은 제품에 대한 무봉제 제작과, 봉제선에 대한 방수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easy sewing of a product such as a garment, a bag, and the inside, and waterproofing work of a sewing line.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이형지에 도포하거나 직접 코팅한 후, 도포된 접착제만을 두 장의 원단(피접합체) 사이에 전사하는 것 만으로 무봉제 접합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무봉제 접합보다 공정이 최소화되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테이프(심실링테이프)로 인한 이질감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adhesive to the releasing paper or directly coating it, and then transfers the applied adhesive only between the two sheets of fabric (bonded members), the non-stick bonding is performed,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due to the tape (the ventricular ring tape)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봉제선에 접착제만을 전사하는 것만으로, 봉제선의 방수가 이루어지므로, 종래 테이프에 의한 작용감 저하를 개선하고, 제품 두께 및 무게의 최소화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waterproofing of the sewing line is performed only by transferring only the adhesive to the sewing lin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deterioration of the action by the conventional tape and to minimize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노즐에 잔류하는 접착제가 회수부에 의해 수거되도록 하여, 접착제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생산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ective product due to the adhesive by allowing the adhesive remaining on the nozzle to be collected by the collecting portion, an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conomic loss and the productivity increase can be expected .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덮개가 회전구조로 이루어져,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개폐가 용이하므로, 접착제 용기에 대한 신속한 교체와 더불어 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upper cover has a rotating structure, i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even without a separate tool,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prompt continuing replacement of the adhesive container and continuity of work.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 용기를 미리 예열시키는 히팅부가 마련되어, 접착제 용기의 교체와 함께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ing unit for preheating the adhesive container in advan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ity of the operation can be maintained with replacement of the adhesiv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와 펀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와 펀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이면상태의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release pap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if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and a pu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a back surface state for illustrating a cover and a pu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nozz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coa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lif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hea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본 발명의 접합장치는 의류 내지는 가방 및 신발 등과 같은 다수의 편으로 이루어진 아웃도어 제품과 더불어, 무봉제 내의(기저귀 내지는 속옷 등)와 같이 피부와 접촉하는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The bo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anufacture products that contact the skin, such as in a non-sewn (diaper or undergarment, etc.), as well as an outdoor product comprising a plurality of pieces such as clothing or bags and sho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장치(100)는 의류 내지는 가방 및 신발 등과 같이 다수의 편으로 이루어진 피접합체(340)를 무봉제 접합시키거나, 봉제선을 코팅하여 제품의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sewing method which can increase the waterproof effect of a product by sewing or bonding a plurality of pieces to be joined 340, such as clothes, bags, shoes, It is a device for bonding or sewing coating.

이러한 장치(100)를 사용하면, 종래와 달리 대상 제품에 적용되던 심실링 테이프를 배제할 수 있으며, 접착제만으로 피접합체(340)가 접합되므로, 봉제선에 의한 이질감을 제거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더불어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두께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use of such a device 100 eliminates the ventricular ring tape applied to a target product unlike the conventional device. Since the bonded object 340 is bonded only by the adhesiv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sense of shearing by the sewing line, It is possible not only to improve the esthetics but also to reduce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product, thereby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또한, 접착제를 전사하는 것 만으로도 피접합체의 무봉제 접합이 가능하므로, 제조 공정의 최소화가 가능함은 물론, 후처리 공정이 배제되며, 따라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bond the bonded object to a non-sewn bond by merely transferring the adhesiv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inimized, and the post-treatment process can be omitted.

이상과 같은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 공급부(110), 이형지 공급부(110)와 제1 브래킷(291)을 통해 결합된 승강부(120), 승강부(120)에 의해 상/하 수직 이동하며 접착제를 일정하게 토출시키는 배출부(130), 제1 브래킷(291)과 연결된 제2 브래킷(293)을 통해 설치되며, 공급되는 이형지(119)에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도포부(260),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119)와 피접합체(340)를 마찰시켜 이형지(119)의 접착제가 피접합체(340)에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부(270) 및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구동스위치(330)와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320)를 포함하고, 이러한 장치(100)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테이블 상단과 하단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각 상세한 구성설명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lifting unit 120 coupled to the releasing paper feeding unit 110, a releasing paper feeding unit 110 and a first bracket 291, A discharging unit 130 for vertically moving and discharging the adhesive uniformly and a second bracket 293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291. The applying unit 260 for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releasing paper 119 A transfer unit 270 for transferring the adhesive of the releasing paper 119 to the bonded object 340 by friction between the releasing paper 119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and the bonded object 340 and a driving switch And a control unit 320 for setting a driving mode. The apparatus 100 is selectively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able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여기서 테이블(300)은 작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수단인 것이며, 자동화 시스템에 따라 테이블이 아닌 전용의 지그(jig)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장치(100)는 테이블(3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아니한다.Here, the table 300 is one means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may be installed in a dedicated jig instead of a table according to an automation system. Thus, the apparatus 100 is not limited to being installed in the table 30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2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release pap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 공급부(110)는 다수의 이형지 가이드(117)가 마련된 가이드 플레이트(115), 이형지 거치대(111), 및 가이드 플레이트(115)와 이형지 거치대(111) 사이에 마련된 거치대 브래킷(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lease paper supply unit 110 includes a guide plate 11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lease paper guides 117, a release paper holder 111 and a cradle bracket 113 provided between the guide plate 115 and the release paper holder 111 ).

가이드 플레이트(115)는 이형지 가이드(117)가 설치되는 편평한 판재인 것이며, 이형지 가이드(117)는 권출되는 이형지의 경로 안내와 더불어, 이형지의 탄력적 권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guide plate 115 is a flat plate member on which the release guide 117 is installed. The release guide 117 guides the path of the release sheet to be unwound and allows the release of the release sheet.

승강부(120)는 제1 브래킷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115)와 결합되며, 이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lift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guide plate 115 through the first bracket,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승강부(120)는 배출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승강부(120)는 스크루 로드(123)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121), 스크루 로드(123)를 감싸는 승강부 하우징(125) 및 승강부 하우징(125)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리미트 센서(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ing unit 120 i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discharging unit 130. The elevating unit 120 includes a lifting motor 121 for rotating the screw rod 123, a lifting unit housing 125 for surrounding the screw rod 123, And a pair of limit sensors 127 arrang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elevating housing 125.

승강모터(121)는 제어부(320)를 통해 회전속도 설정이 용이한 서보모터 또는 스탭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3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속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배출부(130)를 승하강시킨다.The elevating motor 121 is preferably a servomotor or a step motor which can easily set the rotational speed through the control unit 320. The control unit 320 rotates forward and reverse at a predetermined speed to rotate the discharging unit 130 Up and down.

여기서, 배출부(130)는 피구동부(140)와 배출기(150)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피구동부(140)는 승강부(120)와 배출기(150) 사이를 연결시키는 매개요소로 존재하며, 피구동부(140)는 스크루 로드(123) 회전에 대응하여 스크루 로드(123)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피구동체(141), 피구동체(141) 일측에 마련되어 리미트 센서(127)와 작용하는 리미트 스위치(143) 및 피구동체(141)와 배출기(150)가 결합되도록 하는 피구동체 브래킷(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charging unit 130 includes a driven unit 140 and a discharger 150. The driven unit 140 is provided as an intermediate element for connecting the lifting unit 120 and the discharging unit 150, The driven portion 140 includes a driven member 141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crew rod 123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rod 123, a limit switch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riven member 141 and operative with the limit sensor 127 143, and a driven member bracket 145 for coupling the driven member 141 and the ejector 150.

리미트 센서(127)는 배출부(130)로 하여금 상한선과 하한선을 제한하기 위해 한 쌍으로 존재하며, 상한선은 제1 센서(127-1)에 의해 감지되고, 하한선은 제2 센서(127-2)에 의해 감지된다.The limit sensor 127 is present in a pair to limit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discharge portion 130. The upper limit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27-1 and the lower limit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27-2 Lt; / RTI >

상한선과 하한선 감지는 스크루 로드(123)에 의해 상/하 수직 이동하는 리미트 스위치(143)가 리미트 센서(127)에 감지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피구동체(14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통상의 방식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upper limit and lower limit detection means that the limit switch 143 which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screw rod 123 is detected by the limit sensor 127. This means that the movement of the driven member 141 moving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배출부(130)에는 접착제 용기(240)가 수용되며, 접착제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배출기(150)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discharging unit 130 accommodates the adhesive container 240 and discharges the adhesive to the outside. Referring to FIG. 4, the discharg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도 4a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기(150)는 접착제 용기(240)가 수용되는 본체(160), 본체(160)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170),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덮개(220) 및 하부덮개(220)에 마련되어 접착제를 배출시키는 노즐(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배출기(150)의 분해도인 도 5와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4A and 4B, the ejector 150 includes a main body 160 in which the adhesive container 240 is received, an upper cover 1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60, a lower cover 220 for closing the lower portion, And a nozzle 230 provided on the lower cover 220 for discharging the adhesive. Hereinafter, FIGS. 5 and 6, which are exploded views of the ejector 150, will be described together.

본체(160)에는 내부에 접착제 용기(240) 수용을 위한 수용부(161)가 마련되고, 외곽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를 가열하는 히터(163)가 마련된다.The main body 160 has a receiving portion 161 for receiving the adhesive agent container 240 therein and a heater 163 for heating the adhesive agent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uter case.

히터(1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60) 상부와 하부 각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heater 163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60 as shown in FIG.

또한, 본체(160)의 상부에는 일측에 회전축공(167)이 마련되고, 타측에 걸림턱(165)이 마련된다.A rotation shaft hole 16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60 and a locking jaw 165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회전축공(167)은 상부덮개(170)의 회전 개폐를 위한 것이며, 걸림턱(165)은 계단형태의 다단 구조로서, 상부덮개(17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rotation shaft hole 167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lid 170 and the latching jaw 165 is a stepwise multistage structure for fixing the upper lid 170.

상부덮개(170)는 본체(160)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판재(171), 상부판재(171)가 개방될 수 있도록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레버(180), 상기 상부덮개(170)가 축결합되는 회전축(190), 상기 상부덮개(170)가 본체(160)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 cover 170 includes an upper plate 171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60, a lever 180 for releasing the upper plate 171 so that the upper plate 171 can be opened, And a latch shaft 200 for fixing the upper lid 170 to the main body 160.

상부판재(171)는 외부 공기가 본체(160)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거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상부유로(173), 본체(160)에 수용된 접착제 용기(240)의 일측을 천공시키는 상부펀치(175), 회전축(190)과 걸림축(200)이 관통하는 관통공(1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 plate 171 is provided with an upper flow path 173 for allowing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main body 160 or for discharging the air, an upper punch 175 for piercing one side of the adhesive container 240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60, , And a through hole (177)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190) and the engagement shaft (200) penetrate.

상부유로(173)는 상부펀치(175)에 의해 개방된 접착제 용기(240)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공기 압력에 의해 접착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거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압력해제와 함께, 토출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flow path 173 allows air to be injected into the adhesive container 240 opened by the upper punch 175 so that the adhesiv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air pressure or the in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So that discharge is restricted.

상부펀치(175)는 접착제 용기(240) 상부를 천공시키기 위한 도구이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로(173)와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공을 통해 공기가 접착제 용기(240)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로서 존재한다.The upper punch 175 is a tool for perfo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240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flow path 173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air is injected into the adhesive container 240 through the punch Or as a flow path for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관통공(177)은 회전축(190)과 걸림축(200)의 일측이 관통하는 홀(hole)인 것이며, 이러한 관통공(177)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탄성체 수용부(179)가 마련되고, 여기에 수용되는 탄성체(S)는 회전축(190)과 걸림축(200)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through hole 177 is a hole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190 and one side of the engagement shaft 200 are passed. The through hole 177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accommodating portion 179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e elastic body S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190 is adapt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shaft 190 and the engagement shaft 200.

여기서, 관통공(17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는 회전축(190)이 지나는 홀이고, 다른 하나는 걸림축(200)이 지나는 홀인 것인데,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여 관통공(177)으로 명명한다. 또한 부호도 동일하게 부여하였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하는 대상은 서로 다른 것이다.Here, the through hole 177 is a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190 passes, and the other is a hole through which the engagement shaft 200 passes. The through hole 177 is referred to as a through hole 177 because the shape and structure are the same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lso given. However, as shown, the objects to be penetrated are different.

레버(180)는 본체(160)와 상부판재(171)를 강제로 밀착시키거나 이를 해제하여 본체(160) 상부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8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160) 상부를 도 4a와 같이 폐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도 4b와 같이 이를 해제하여 접착제 용기(2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lever 180 urges the main body 160 and the upper plate 171 to force the upper body 171 to close or release the upper body 171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60 is opened and close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60 may be rotat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4A, or may be released as shown in FIG. 4B to expose the adhesive container 240 to the outside.

이러한 레버(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181), 힌지(185)가 결합되는 힌지공(183), 레버(180) 회전 시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베어링(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ever 180 includes a grip portion 181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a hinge hole 183 to which the hinge 185 is coupled, and a bearing 210 for minimizing friction upon rotation of the lever 180 .

베어링(210)은 베어링 수용부(187)에 안착되며, 베어링 회전축(211)을 통해 고정되어, 상부판재(171)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한다.The bearing 210 is seated in the bearing receiving portion 187 and is fixed through the bearing rotation shaft 211 to minimize friction with the upper plate member 171.

회전축(190)은 일단의 관통공(177)을 통해 힌지(185)와 결합하는 제1 결합공(191), 타단의 회전축공(167)에 고정나사(19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 사이에는 탄성체 수용부(179)에 대응하는 제1 탄성부 지지턱(193)이 마련된다.The rotary shaft 19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otary shaft hole 167 of the other end through a fixing screw 195 and has a first engaging hole 191 engaging with the hinge 185 through a through hole 177, And a first elastic part supporting step 193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receiving part 179 is provided between both ends.

걸림축(200)은 일단에 관통공(177)을 통해 힌지(185)와 결합되는 제2 결합공(203), 타단에 걸림턱(165)에 안착되는 걸림헤드(201) 및 양단 사이에 탄성체 수용부(179)에 대응하는 제2 탄성부 걸림턱(205)이 마련된다.The engaging shaft 200 has a second engaging hole 203 at one end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hinge 185 through a through hole 177 and an engaging head 201 which is seated on the engaging step 165 at the other end, A second elastic portion latching jaw 205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79 is provided.

이상과 같은 상부덮개(17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80)를 힌지(185)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본체(160)와 상부판재(171)의 밀착상태가 해제되며, 이후, 상부덮개(170)를 회전축(19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접착제 용기(240)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4 to 6, when the lever 180 is rotated about the hinge 185, the upper body 170 is released from the close contact state between the body 160 and the upper plate 171, When the upper cover 170 is rotated about the rotary shaft 190, the receiving portion 16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adhesive container 240 may be exposed as shown in FIG. 4B.

따라서, 상부덮개(170) 개방시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개폐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접착제 용기(240)에 대한 신속한 교체와 더불어 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lid 170 is opened, it is easy to open and close without any tools, so that the continuity of the operation can be expected with the rapid replacement of the adhesive container 240.

하부덮개(220)는 접착제 용기(240)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판재(225), 하부판재(225) 중심에 형성되어 접착제 용기(240) 하부를 천공시키는 하부펀치(221), 하부펀치(221)에 형성된 하부유로(223), 하부판재(225)와 본체(160) 사이를 기밀하게 하는 패킹(2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wer cover 220 includes a lower plate 225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240, a lower punch 22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225 to puncture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240, a lower punch 221, And a packing 227 that hermetically seals between the lower plate member 225 and the main body 160. As shown in FIG.

하부유로(223)는 노즐까지 연장되어, 접착제가 하부유로(223)와 노즐(23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데,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lower flow path 223 extends to the nozzle, and the adhesiv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flow path 223 and the nozzle 23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30)은 공기 압력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거나, 이를 제한되며, 이는 상부덮개(170)를 통해 이전에 설명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노즐(230)에는 하부유로(223)를 통해 공급되는 접착제를 토출시키는 배출공(231)이 형성되고, 노출되는 접착제의 두께를 제한하는 조절편(233) 및 체결공(235)을 통해 조절편(233)을 고정시키는 조절나사(2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nozzle 230 is discharged or limited to the outside by the air pressure,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the upper cover 17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 discharge hole 231 for discharging the adhesive supplied through the lower flow path 223 is formed in the nozzle 230 and is controlled through the adjusting piece 233 and the fastening hole 235 for limiting the thickness of the exposed adhesive. And an adjusting screw 237 for fixing the piece 233.

조절편(233)은 조절나사(237)를 통해 상하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높이 조절은 조절나사(237)의 조임과 풀림을 통해 가능토록 하였다.The adjustment piece 233 is adjustably adjustable up and down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237, and the height adjustment is made possible by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adjustment screw 237.

한편, 접착제는 공기압력에 의해 토출이 제한되나, 노즐에 잔류하는 접착제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누출은 피접합체(340)의 훼손과 더불어, 제품의 불량을 유발하는 바, 이에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부(250)가 마련되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ischarge of the adhesive is limited by the air pressure, the adhesive remaining in the nozzle may leak to the outside. Such leakage may cause defective products and damage of the product 340, In order to prevent this, a recovery unit 25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8,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8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부(250)는 제1 브래킷(291)을 수단으로 설치되어 노즐(230)에 잔류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접착제를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llecting part 250 is provided by means of the first bracket 291 to collect the adhesive which remains on the nozzle 230 and leaks to the outside.

이러한 회수부(250)는 제1 브래킷(291)을 통해 설치된 제3 브래킷(295), 제3 브래킷(295)을 통해 설치된 회수부 실린더(251), 회수부 실린더(251) 단부에 마련되어 노즐(230)로부터 노출되는 접작제를 수용하는 바스켓 형태의 받침대(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covery unit 250 includes a third bracket 295 provided through the first bracket 291, a recovery unit cylinder 251 provided through the third bracket 295, a nozzle unit 251 provided at the end of the recovery unit cylinder 251, And a base 253 in the form of a basket for receiving the adhesive agent exposed from the base plate 230.

따라서, 도 8a와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부 실린더(251)의 신장과 복원에 의하여 노즐을 통해 누출되는 접착제를 회수하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접착제로 인한 제품의 불량이 방지되므로,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생산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adhesive leaking through the nozzle is recovered by extension and restoration of the recovery cylinder 251, thus preventing defective product due to the adhesive, And productivity can be expected to increase.

도포부(2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이형지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구조물인 것이며,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3, the application unit 260 is a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one side of a releasing paper to be suppli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9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coa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부(260)는 공급되는 이형지를 유도하는 다수의 가이드(263)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한 쌍의 지지판재(261), 이형지(119)가 공급되는 타단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119)를 견인하는 제1 롤러(267),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이형지(119)를 지지하는 지지대(265) 및 제1 롤러(267)를 구동시키는 도포모터(2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application unit 260 includes a pair of support plates 261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guides 263 for guiding the release paper to be fed, A supporting table 265 provided in an area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and supporting the release paper 119 and a dispensing motor 269 for driving the first roller 267. The first roller 267 draws the release paper 119, .

도포모터(269)는 제2 브래킷(293)에 설치되며, 제1 롤러(267)와 통상의 벨트(belt)를 통해 연결된다.The application motor 269 is installed in the second bracket 293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267 through a normal belt.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119)는 도 10에 도시된 전사부(270)를 통해 피접합체(340)에 전사되며,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release paper 119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s transferred to the bonded body 340 through the transferring portion 270 shown in Fig. 1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10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부(270)는 피접합체(340)에 접착제가 전사되도록 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전사부(270)는, 제1 롤러(267)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롤러(275), 제2 롤러(275)가 설치되는 전사프레임(273) 및 제2 롤러(275)를 구동시키는 전사모터(2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ransfer portion 270 is an area where the adhesive is transferred to the bonded object 340. The transfer unit 270 includes a second roller 275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oller 267, a transfer frame 273 on which the second roller 275 is provided, And a motor 271.

따라서,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 사이에 피접합체(340)를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접착제가 피접합체(340)에 전사되고, 이후, 이형지(119)와 피접합체(340)는 박리배출된다.The adhesive is transferred to the bonded body 340 by simply passing the bonded body 340 between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and thereafter the release paper 119 and the bonded body 340 are bonded to each other, Is exfoliated.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는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 사이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리프트(280)를 구비하는데,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1, th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 280 that allows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to close or separate from each other, .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11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lif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80)는 이형지 공급부(110), 승강부(120), 배출부(130) 및 도포부(260)와 전사부(270)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ft 280 is for urging or releasing the release paper feed unit 110, the elevation unit 120, the discharge unit 130, and the application unit 260 and the transfer unit 270.

이러한 리프트(280)는 리프트 실린더(281), 리프트 실린더(281)와 결합된 리니어 모듈(283) 및 리니어 모듈(283)과 제2 브래킷(293) 사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리프트 브래킷(2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리니어 모듈(283)은 통상의 레일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ift 280 includes a lift cylinder 281, a linear module 283 coupled with the lift cylinder 281, and a lift bracket 285 for coupling between the linear module 283 and the second bracket 293 . Here, since the linear module 283 has a general rail structu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도 11a와 같이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는 리프트(280)에 의해 이격되거나, 도 11b와 같이 서로 밀착되어 작업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1A,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lift 280, or can work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1B.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의 일측에는 접착제를 미리 예열시킬 수 있도록 히팅부(310)가 더 마련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2, a heating unit 31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adhesive can be preheated in advance.

이러한 히팅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용기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의 편의와 연속성을 위해 테이블(300) 상단에 존재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Such a heating portion 3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ccommodate at least one adhesive container, and it is highly desirable to be present at the top of the table 300 for convenience and continuity of operation.

따라서 접착제 용기(240)를 미리 예열시키는 히팅부(310)를 통해, 접착제 용기(240)의 신속한 교체, 작업의 연속성 유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heating unit 310 for preheating the adhesive container 240, the effect of quick replacement of the adhesive container 240 and maintenance of continuity of the operation can be expec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의 작동 실시예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미기재된 부호와 작동상태는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example of th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but the reference numerals and operation state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1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 공급부(110)로부터 이형지(119)가 도포부(260)에 연속 공급되며, 공급되는 이형지(119) 일면에는 배출부(130)에 의해 공급된 접착제가 도포된다.The releasing paper 119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releasing paper supplying unit 110 to the applying unit 260 and the adhesive supplied by the discharging unit 130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releasing paper 119 to be supplied.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119)는 제1 롤러(267)에 견인되어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 사이를 통과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 사이로 공급되는 피접합체(340)에 전사된다.The release paper 119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s pulled by the first roller 267 and passes between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and similarly passes through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To the bonded body 340 to be supplied.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를 통과한 피접합체(340)와 이형지(119)는 서로 박리되며, 이형지(119)는 폐기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되는 롤(roll)에 권선되어 재활용될 수도 있다.The bonded body 340 and the release paper 119 which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release paper 119 is discarded or wound on a roll provided separately It may be recycled.

전사가 완료되면, 리프트(280)에 의해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는 서로 이격되며, 배출기(150)는 승강부(12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다.When the transfer is completed,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lift 280, and the discharger 150 moves upward by the lifting portion 120.

배출기(150)가 이동하면, 회수부(250)가 전진하여 노즐(230)에 잔류하는 접착제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접착제 잔량을 회수한다.When the ejector 150 moves, the recovery unit 250 advances to recov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dhesive to prevent the adhesive remaining on the nozzle 230 from flowing down.

이후, 피접합체(340)에 대한 전사작업이 재개되면, 리프트(280)에 의해 제1 롤러(267)와 제2 롤러(275)는 다시 밀착되고, 회수부(250)가 후퇴한다. 그리고 배출기(150)는 도포부(260)와 밀착상태가 되도록 하부로 이동한 후, 이형지(119)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시작하며, 이후 피접합체(340)로 전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Thereafter, when the transfer operation to the clamped body 340 is resumed, the first roller 267 and the second roller 275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gain by the lift 280, and the recovery unit 250 is retracted. The ejector 150 moves dow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pplication unit 260 and then begins to apply the adhesive to the release paper 119 and then repeats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the bonded body 340.

이와 같은 장치는 토탈 의류 산업 전반에 걸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 Such a device is fully industrially available throughout the total garment industry.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장치 110 : 이형지 공급부
111 : 이형지 거치대 113 : 거치대 브래킷
115 : 가이드 플레이트 117 : 이형지 가이드
119 : 이형지 120 : 승강부
121 : 승강모터 123 : 스크루 로드
125 : 승강부 하우징 127 : 리미트 센서
130 : 배출부 140 : 피구동부
141 : 피구동체 143 : 리미트 스위치
145 : 피구동체 브래킷 150 : 배출기
160 : 본체 161 : 수용부
163 : 히터 165 : 걸림턱
167 : 회전축공 170 : 상부덮개
171 : 상부판재 173 : 상부유로
175 : 상부펀치 177 : 관통공
179 : 탄성체 수용부 180 : 레버
181 : 파지부 183 : 힌지공
185 : 힌지 187 : 베어링 수용부
190 : 회전축 191 : 제1 결합공
193 : 제1 탄성부 지지턱 195 : 고정나사
200 : 걸림축 201 : 걸림헤드
203 : 제2 결합공 205 : 제2 탄성부 지지턱
210 : 베어링 211 : 베어링 회전축
220 : 하부덮개 221 : 하부펀치
223 : 하부유로 225 : 하부판재
227 : 패킹 230 : 노즐
231 : 배출공 233 : 조절편
235 : 체결공 237 : 조절나사
240 : 접착제 용기 250 : 회수부
251 : 회수부 실린더 253 : 받침대
260 : 도포부 261 : 지지판재
263 : 가이드 265 : 지지대
267 : 제1 롤러 269 : 도포모터
270 : 전사부 271 : 전사모터
273 : 전사프레임 275 : 제2 롤러
280 : 리프트 281 : 리프트 실린더
283 : 리니어 모듈 285 : 리프트 브래킷
291 : 제1 브래킷 293 : 제2 브래킷
295 : 제3 브래킷 300 : 테이블
310 : 히팅부 320 : 제어부
330 : 구동스위치 340 : 피접합체
100: apparatus 110: release paper supply unit
111: release sheet holder 113: holder bracket
115: guide plate 117: release paper guide
119: release paper 120:
121: lift motor 123: screw rod
125: lifting housing 127: limit sensor
130: discharge part 140: driven part
141: Driven driven member 143: Limit switch
145: driven member bracket 150: ejector
160: main body 161:
163: Heater 165:
167: rotating shaft hole 170: upper cover
171: upper plate member 173:
175: upper punch 177: through hole
179: elastic body accommodating portion 180: lever
181: grip part 183: hinge ball
185: Hinge 187: Bearing receiving portion
190: rotating shaft 191: first engaging hole
193: first elastic part supporting jaw 195: fixing screw
200: latching axis 201: latching head
203: second engagement hole 205: second elastic part support chin
210: Bearing 211: Bearing rotary shaft
220: lower cover 221: lower punch
223: Lower flow path 225: Lower plate member
227: packing 230: nozzle
231: Exhaust hole 233: Regulating piece
235: fastening hole 237: adjusting screw
240: Adhesive container 250:
251: Recycle part cylinder 253:
260: application part 261: support plate
263: guide 265: support
267: first roller 269: dispensing motor
270: Transfer section 271: Transfer motor
273: Transfer frame 275: Second roller
280: lift 281: lift cylinder
283: Linear module 285: Lift bracket
291: first bracket 293: second bracket
295: third bracket 300: table
310: a heating unit 320:
330: drive switch 340:

Claims (16)

이형지 공급부;
상기 이형지 공급부와 제1 브래킷을 통해 결합되며,
스크루 로드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 상기 스크루 로드를 감싸는 승강부 하우징; 및 상기 승강부 하우징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스크루 로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하되, 상기 리미트 센서와 작용하여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피구동부; 및 내부에 접착제 용기가 수용되고 접착제를 일정하게 토출시키며, 상기 피구동부를 매개로 상기 승강부와 결합되는 배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접착제 용기가 수용되어 접착제를 일정하게 토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와 제2 브래킷을 통해 접착제가 토출되는 지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형지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이형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
상기 이형지에 도포된 접착제가 피접합체에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부; 및
장치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접합체는 봉제되거나 봉제되지 아니한 두 장의 원단으로서, 봉제선 부분의 방수를 위한 것이거나 두 장의 원단이 접착제에 의해 무봉제로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A release paper supply unit;
And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release paper supply unit via the first bracket,
A lift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rod, a lifting housing for surrounding the screw rod, And at least a pair of limit senso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housing;
A driven unit that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rod and is operated by the limit sensor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And an ejector for receiving the adhesive container therein and discharging the adhesive uniformly, and an ejector coupled to the elevator through the driven part, wherein the adhesive container is vertically movably coupled with the elevator, A discharge unit for uniformly discharging the adhesive;
A dispenser for dispensing an adhesive to one side of a release paper supplied through the release paper feeder, the dispenser being disposed below the point where the adhesiv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the second bracket;
A transferring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adhesive applied on the release paper sheet to the member to be bonded;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driving of the apparatus,
Wherein the bonded object is two sheets of fabric which are not sewn or sewn, for waterproofing the sewing line portion, or for bonding the two sheets of cloth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by an adhesive ag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 공급부는,
다수의 가이드가 기설정된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브래킷과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이형지 롤이 거치되는 이형지 거치대; 및
상기 플레이트와 이형지 거치대 사이에 결합 매개체로서 존재하는 거치대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e-
A gu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guid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coupled with the first bracket;
A release sheet holder on which the release roll is mounted; And
And a cradle bracket as a coupling medium between the plate and the release crad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내부에 접착제 용기가 수용되는 관체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상부를 폐쇄하며, 상기 접착제 용기 상부를 천공시키는 상부펀치가 마련된 상부덮개;
상기 본체 하부를 폐쇄하며, 상기 접착제 용기 하부를 천공시키는 하부펀치가 마련된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와 연통되며, 접착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jector
A tubular body in which an adhesive container is accommodated;
An upper cover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punch for pier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A lower cover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lower punch for pier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And
And a nozzle which communicates with the lower cover and discharges the adhesive to the out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외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되어 접착제를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부;
상부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덮개와 축결합을 위한 회전축이 관통하는 회전축공; 및
상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회전과 이탈이 제한되도록 걸림축이 수용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body includes:
A heat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region outside the heating unit to heat the adhesiv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rotary shaf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through which a rotary shaft for axial coupling with the upper cover passes; And
And a latching jaw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to receive the latching shaft so as to restrict rotation and disengagement of the upper li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본체 상부를 개폐하며, 저면에 접착제 용기 상부를 천공시키는 상부펀치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과 걸림축이 탄력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판재;
상기 관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 및 걸림축과 힌지 결합된 레버; 및
상기 상부판재와 레버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레버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마찰을 줄이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pper cover comprises:
An upper plate having an upper punch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erfo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and the latching shaft elastically penetrate;
A lever hinged to the rotation shaft and the engagement shaft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nd a bearing spaced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lever to reduce friction when the lever rotates about the hin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접착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상부유로; 및 상기 본체 상부와 상부판재 사이를 기밀하게 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plate member comprises:
An upper flow path for introducing outside air 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adhesiv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a packing for airtightening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late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접착제 용기 하부를 천공시키고 내부 유로가 형성된 하부펀치;
상기 하부펀치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판재; 및
상기 본체 하부와 하부판재 사이를 기밀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cover comprises:
A lower punch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container is pierced and an inner flow path is formed;
A lower plate member on which the lower punch is seated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nd a packing for airtightening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접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
상기 노즐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설치되어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제한하는 조절편; 및
상기 조절편의 고정 위치를 제한하여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설정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ozzle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adhesive is discharged;
A regulating piece which is provided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nozzle and restricts a coating thickness of the adhesive; And
And an adjusting screw for restricting a fixing position of the adjusting member to set a coating thickness of the adhesi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장치는,
상기 제1 브래킷과 결합된 제3 브래킷을 통해 상기 배출기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누출되는 접착제 잔량을 수거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bonding apparatus,
And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adhesive leaking from the nozzle, the collecting part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ing device through a third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공급되는 이형지 유도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한 쌍의 지지판재;
이형지가 공급되는 타단에 마련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지를 견인하는 제1 롤러;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이형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제1 롤러를 구동시키는 도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unit comprises:
A pair of support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guides interposed therebetween for guiding a release sheet to be fed;
A first roller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o which the release paper is fed and pulls the release paper coated with the adhesive;
A support provided in the area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to support the release paper; And
And an application motor for driving the first roller.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는,
상기 제1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가 설치되는 전사프레임; 및
상기 제2 롤러를 구동시키는 전사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second rolle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oller;
A transfer frame in which the second roller is installed; And
And a transfer motor for driving the second roller.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장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리프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o 13,
In the bon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lift for mak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n close contact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 실린더;
상기 리프트 실린더와 결합된 리니어 모듈; 및
상기 리니어 모듈과 상기 제2 브래킷 사이에 결합시키는 리프트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ift includes:
Lift cylinder;
A linear module coupled with the lift cylinder; And
And a lift bracket coupled between the linear module and the second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장치는,
상기 접착제 용기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접합 또는 봉제선 코팅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onding apparatus,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dhesive container to a preset temperature.
KR1020160081175A 2016-06-28 2016-06-28 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 KR101815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75A KR101815221B1 (en) 2016-06-28 2016-06-28 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75A KR101815221B1 (en) 2016-06-28 2016-06-28 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221B1 true KR101815221B1 (en) 2018-01-05

Family

ID=6100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175A KR101815221B1 (en) 2016-06-28 2016-06-28 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2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461B1 (en) 2018-02-14 2018-11-08 (주)썬테크 Head Turning Seam-seal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49Y1 (en) * 2008-07-04 2009-10-01 (주)현대케미칼 Sheet for Protecting Waterproof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964142B1 (en) 2009-08-14 2010-06-16 (주)현대케미칼 Sheet for protecting waterproof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0203028A (en) 2009-02-04 2010-09-16 Brother Ind Ltd Device for bonding cloth
KR101293456B1 (en) 2011-11-09 2013-08-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nish processing method of seamless sportswear and outdoor clot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49Y1 (en) * 2008-07-04 2009-10-01 (주)현대케미칼 Sheet for Protecting Waterproof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0203028A (en) 2009-02-04 2010-09-16 Brother Ind Ltd Device for bonding cloth
KR100964142B1 (en) 2009-08-14 2010-06-16 (주)현대케미칼 Sheet for protecting waterproof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293456B1 (en) 2011-11-09 2013-08-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nish processing method of seamless sportswear and outdoor clot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461B1 (en) 2018-02-14 2018-11-08 (주)썬테크 Head Turning Seam-seal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1803B1 (en) Rotary hot air welder and stitchless seaming
US234397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uniting sheets of thermoplastic materials
US4608114A (en) Seal tape sticking device
EP13436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fabrics without sewing
CN101243903B (en) Hemming system and method for hemming a fabric
US11746453B2 (en) Attachment for sealing seams
JP4664096B2 (en) Waterproof seam sealing machine
JP5251560B2 (en) Cloth bonding equipment
KR101815221B1 (en) Device for seamless join and seamline coating
KR20110136352A (en) Hotair welder for waterproof tape having auxiliary pressing means
CN102312373A (en) Be used to engage or with the equipment that engages textiles
CN107618187A (en) It is adapted to couple to the method for the overlapping material layer of small part and the auto-joining device for performing this method
US3162564A (en) Heat sealing apparatus
KR100865949B1 (en) Pack packing machine
EP2233278B1 (en) Cloth bonding apparatus
CN214324246U (en) Full-automatic mask machine with mask seals
EP2233277B1 (en) Cloth bonding apparatus
KR101900461B1 (en) Head Turning Seam-sealing apparatus
JPH01244832A (en) Hot air sealer
JP6114224B2 (en) Annular fabric bonding equipment
Jones The use of heat sealing, hot air and hot wedge to join textile materials
CN101550638B (en) Belt loop slackening apparatus
KR101656839B1 (en) A device for welding fabrics
CN10555549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bag by fabric
CN113172942A (en)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composite plastic woven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