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765B1 -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 Google Patents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765B1
KR101814765B1 KR1020160019947A KR20160019947A KR101814765B1 KR 101814765 B1 KR101814765 B1 KR 101814765B1 KR 1020160019947 A KR1020160019947 A KR 1020160019947A KR 20160019947 A KR20160019947 A KR 20160019947A KR 101814765 B1 KR101814765 B1 KR 10181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jack
perforator
casing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054A (ko
Inventor
박병곤
박민서
Original Assignee
박병곤
박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곤, 박민서 filed Critical 박병곤
Priority to KR102016001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7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2Fluid rotary type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18Anchoring or feeding in the boreho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상의 구동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천공기에 직접 연결되고 자가 구동을 통해 천공기를 굴진시켜 종래의 로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적은 구동력에 의해서도 굴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는, 내부의 양측에서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통 구조의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천공기가 장착되는 샤우드(20)와; 상기 실린더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부가 지중의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를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하거나 상기 굴착공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다수의 실린더 지지잭(30)과; 상기 샤우드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부가 지중의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샤우드를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하거나 상기 굴착공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샤우드 지지잭(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 지지잭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설치되면서 하나의 실린더 지지판(32)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HYDRAULIC DRIVING MACHINE OF EXCAVATOR AND METHOD FOR EXCAVATING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기에 연결되어 자가 구동을 통해 천공기를 굴진시키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관로(상하수도관, 가스관, 전력구 등) 시공, 지반 보강 등을 위한 작업으로 지반 굴착 작업(수평, 수직 등)이 수반된다.
지반 굴착은 말뚝기초 시공, 착정, 시추,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토류벽 가설 또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압밀촉진 등의 목적으로 지반에 수직으로 굴착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굴착 기술은, 지상에 중장비를 통해 지지대가 세워지고, 지지대에 회전기(모터 등)가 설치되며, 이 회전기에 천공기가 로드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기는 지상에 배치되며, 천공기는 지중에서 굴착작업을 하게 되는데, 회전기의 회전력이 로드를 통해 천공기에 전달되기 때문에 로드와 천공기의 회전을 위하여 매우 큰 동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심도가 깊어질수록 로드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고심도에서 원활한 굴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과도한 동력의 사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크고 장비의 손상이 발생된다.
종래 천공기에 의한 굴착 기술에 의하면 지상의 구동장치를 통해 천공기를 굴진시키는 것이며, 즉 천공기는 지중 깊은 곳을 천공하는데 반해 구동장치는 지상에서 천공기를 굴진시키게 되고 천공기에는 많은 로드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굴착심도에 맞춰 다수의 로드를 연결하며, 따라서 많은 수량의 로드를 필요로 하고 다수의 로드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큰 공사비용이 소요되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공개특허 제10-2011-0028147호)은 내부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압축공기 이동로가 형성되는 스크류축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축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크류날개가 형성되는 오거부; 상기 오거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에어햄머 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공기 이동로와 연통되게 상기 에어햄머 몸체부의 내부중심부에 소정공간으로 압축공기 가압부가 형성되며, 회전운동과 함께, 상기 압축공기 가압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순간 가압을 통해 충격전진 하는 에어 햄머부; 및 지반을 굴착하는 비트 몸체부가 상기 에어 햄머부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비트 몸체부의 중심 선단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되게 파일럿 비트가 형성되는 굴착 비트부;로 구성되는 지하굴착용 정밀보링 오거비트서, 스크류축을 지상에서부터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1-002814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상의 구동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천공기에 직접 연결되고 자가 구동을 통해 천공기를 굴진시켜 종래의 로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적은 구동력에 의해서도 굴착이 가능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는, 내부의 양측에서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통 구조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천공기가 장착되는 샤우드와; 상기 실린더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부가 지중의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를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하거나 상기 굴착공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다수의 실린더 지지잭과; 상기 샤우드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부가 지중의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샤우드를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하거나 상기 굴착공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샤우드 지지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에 의하면, 천공기에 연결되어 천공기와 함께 굴진하면서 지중 굴착공을 천공하고 지상에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과 달리 천공기 후방에서 구동력을 발생하여 적은 구동력에 의해서도 굴착이 가능하므로 시공비를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지상에서 종래 다수의 로드를 연결하는 작업이 없어지므로 공기를 단축함과 아울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적용된 안내롤러와 샤우드 커버의 연결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궤도가 적용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굴착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케이싱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케이싱의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케이싱 시공 방법의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케이싱 시공 방법으로서 굴착과 동시에 케이싱을 설치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케이싱 시공 방법으로서 굴진 방향을 변경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의 모니터링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유압모터가 연결된 도면.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케이싱 시공 방법으로서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케이싱을 시공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가 굴신형 붐에 연결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가 천공기와 연결된 도면.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는, 내부에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실린더(10), 실린더(10) 내부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출몰하며 천공기(600)(도 4에 도시됨)와 연결되어 천공기(600)를 전후진[전진은 천공기(600)의 굴진 방향]시키는 샤우드(20), 실린더(10)의 둘레부에 전후진[전진은 굴착공(1)(도 3에 도시됨)의 내벽을 향하는 방향]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가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되어 실린더(10)를 굴착공(1)에 고정하는 실린더 지지잭(30), 샤우드(20)의 단부 바람직하게 천공기(600)에 연결되는 소켓(40)의 둘레부에 전후진[전진은 굴착공(1)(도 3에 도시됨)의 내벽을 향하는 방향]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가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되어 샤우드(20)를 굴착공(1)에 고정하는 샤우드 지지잭(50)으로 구성된다.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통 구조이며, 실린더 지지잭(30)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유체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포트가 구성되고 이 포트에는 유체공급라인이 커플러 등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포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실린더(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배치되어 샤우드(20)의 이동 폭을 극대화하며, 각각 유체가 주입 및 배출(서로 반대로 작용)되어 샤우드(20)의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린더(10)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하나 이상의 홀을 갖는 형태도 가능하고, 이 홀을 통해서는 천공기(600)와 관련된 유압호스 등의 배선이 가능하다.
상기 포트는 실린더(10)에 홀이 적용된 경우 상기 홀의 안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심도가 깊어질수록 로드를 연결하지 않으며 크레인의 인양와이어(300)로 연결되어 인양와이어(300)의 풀림과 감김을 통해 높이가 조절되고[또는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장비의 굴신형 붐(300-1)에 연결되어 사용], 실린더(10)의 상부에는 인양와이어(300)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리나 굴신형 붐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된다. 인양 와이어(300)는 반드시 사용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며 왜냐하면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는 자가 구동식으로 전후진 모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샤우드(20)는 실린더(10) 내부에 출몰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단부에 결합되는 소켓(40)을 매개로 하여 천공기(600)와 연결되어 천공기(6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실린더 지지잭(30)은 유압잭으로서 실린더(10)의 둘레부에 설치되며 로드(31)의 단부가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됨으로써 실린더(10)를 굴착공(1) 내부에서 고정하며, 따라서 다수개(도면에는 3개를 예를 들어 도시함)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실린더 지지잭(30)은 로드(31)의 단부가 직접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로드(31)의 면적이 좁아 지지력이 약할 수 있으므로 로드(31)보다 큰 면적의 실린더 지지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10)의 크기 상 실린더 지지잭(30)은 1단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2단 이상이 바람직하고 즉 실린더 지지잭(30)은 실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설치되는 실린더 지지잭(30)은 각각의 실린더 지지판을 통해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더 넓은 지지면적을 통해 지지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하나의 실린더 지지판(32)으로 연결된다.
실린더 지지판(32)은 굴착공(1)의 형태에 맞춰 곡선형의 외주면을 갖는 판재로서 실린더 지지잭(30)을 통해 전진하여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되고 반대로 실린더(10)측으로 후진하여 굴착공(1)의 내벽에서 떨어진다.
실린더 지지잭(30)은 실린더(10)의 외주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실린더(10)를 보호하고 실린더 지지잭(3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린더(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고정띠(33)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띠(33)는 실린더(10) 둘레부에 결합되는 가이드(60)의 외주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물론, 가이드(60)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띠(33)가 실린더(10)의 외주면에 직접 고정된다.
실린더 지지판(32)은 실린더 지지잭(30)의 로드(31)의 단부에 고정되어 이 로드(31)의 출몰에 의해 전후진한다.
또한, 굴착공(1)의 굴착에 따른 슬라임은 로드(31)의 오동작과 손상을 유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드 보호캡(34)이 적용된다.
로드 보호캡(34)은 로드(31)의 둘레부를 감싸고 로드(31)가 장착되는 실린더 지지잭(32)의 홀을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슬라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로드(31)를 보호하는 것이며, 로드(31)의 출몰을 간섭하지 않도록 실린더 지지판(32)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의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일측은 실린더 지지판(32)에 고정되고 타측은 로드(31)를 감싸면서 실린더 지지잭(30)의 둘레부를 감싸 보호한다. 로드 보호캡(34)은 로드(31)가 최대로 돌출된 위치에서 단부가 실린더 지지잭(30)의 앞부분을 보호하는 길이이다.
샤우드 지지잭(50)은 샤우드(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소켓(40)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가 설치된다.
샤우드 지지잭(50)도 유압잭으로서 유압에 의해 로드(51)가 출몰하고, 큰 지지력의 확보를 위하여 로드(51)의 단부에는 로드(51)보다 큰 면적의 샤우드 지지판(52)이 적용된다.
샤우드 지지판(52)은 굴착공(1)의 형태에 맞춰 외형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샤유드 지지잭(50)도 로드(51)의 보호와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로드 보호캡(53)이 적용된다. 이 로드 보호캡(53)은 전술한 실린더 지지잭(30)의 로드 보호캡(34)과 동일한 구조이다.
샤우드 지지잭(50)은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평면에서 볼 때 실린더 지지잭(30)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샤우드 지지잭(50)은 1단으로 도시되었으나 소켓(40)의 크기를 크게 하여 2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샤우드(20)가 실린더(10) 내부에 삽입 및 외부로 인출되며 전술한 로드 보호캡들과 동일한 목적[샤우드(20)의 보호와 오동작 방지] 달성을 위하여 샤우드 보호커버(7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우드 보호커버(70)는 샤우드(20)의 출몰에 상관없이 항상 샤우드(20)를 보호하는 크기이며 단부가 소켓(40)에 고정된다.
샤우드 보호커버(70)는 샤우드(20)의 삽입시 실린더(10)쪽으로 이동되어야 하고, 이때, 실린더 지지잭(3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야 하므로 가이드(60)가 적용된다.
가이드(60)는 샤우드 보호커버(7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실린더(10)의 둘레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가이드(60)와 샤우드 보호커버(70)는 각각 실린더(10)의 원형에 맞춰 6각형이 바람직하고 즉 6개의 면이 실린더(10)에 지지된다.
샤우드(20)가 실린더(10) 안에 삽입되면 샤우드 보호커버(70)가 가이드(60)와 실린더(10)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휨과 비틀림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지만, 샤우드(20)가 실린더(10)에서 인출되면 샤우드 보호커버(70)가 휨과 비틀림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 실린더(10)도 보강하기 위하여 실린더(10)의 외주면에는 보강띠(80)가 갖추어진다.
보강띠(80)는 예컨대 6각의 띠로서 실린더(10)의 둘레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전체적으로 하나만 설치되는 것과 2개 이상(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따라서, 보강띠(80)와 가이드(60)의 사이에는 샤유드 보호커버(70)가 입출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보강띠(80)와 샤우드 보호커버(70)는 샤우드 보호커버(7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안내홈(81)과 안내돌기(71)가 형성된다.
안내홈(81)과 안내돌기(71)는 삼각형, 반구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도면에서처럼 일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는 물론 균일한 단면적의 엠보싱의 형태도 가능하다.
안내홈(81)은 보강띠(80)의 외면에 실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안내돌기(71)는 샤우드 보호커버(70)의 내면에 실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따라서, 샤우드 보호커버(70)는 안내돌기(71)가 보강띠(80)의 안내홈(81)을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또한, 안내돌기(71)가 보강리브의 기능을 겸하여 샤우드 보호커버(70)는 가이드(60)로부터 인출되어도 휨과 비틀림을 일으키지 않는다.
즉, 보강띠(80)와 가이드(60) 및 이들(80,60) 사이를 이동하는 샤우드 보호커버(70)는 습동부이며, 이들(80,60,70)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윤활유가 충진된다. 물론, 윤활유는 밀폐 공간 안에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충진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안내홈(81)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롤러(82)가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안내롤러(82)는 샤우드 보호커버(70)의 안내돌기(71)가 수용되도록 중앙의 단면적이 양측의 단면적보다 적어 홈을 갖는 구조이며, 즉, 안내돌기(71)는 안내롤러(82)의 홈을 따라 이동하고 안내롤러(82)는 제자리 회전하면서 안내돌기(71)의 마찰력을 극소화한다.
또한, 실린더(10)와 샤우드(20)가 동일 내지 유사한 길이이기 때문에 샤우드(20)가 최대로 인출되면 샤우드 보호 커버(70)의 단부가 실린더(10)에 지지될 수 없거나 지지기반이 매우 약하여 샤우드 보호 커버(70)가 비틀림과 휨 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린더(10)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으로서 도면 기준 상단부와 하단부(상단부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함) 중 일측 이상에는 연장블록(11)이 적용된다.
연장블록(11)은 내부에 홀이 형성된 6각형의 블록 형태 또는 내부에 홀이 원기둥의 둘레부에 6각 띠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실린더(1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샤우드 보호 커버(70)의 길이를 연장블록(11)만큼 더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샤우드(20)가 최대로 인출되더라도 샤우드 보호 커버(70)는 연장블록(11)에 의해 길어진 부분이 실린더(10)와 가이드(60)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비틀림과 휨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연장블록(11)이 적용되는 경우 샤우드 보호 커버(70)의 단부에는 샤우드 보호 커버(70)가 실린더(10)의 끝까지 삽입될 때 실린더 지지잭(3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홈이 형성된다.
보호띠(80)는 연장블록(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지지판(32)과 샤우드 지지판(52)은 각각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스파이크는 굴착공(1) 주변의 지중에 박혀 더 큰 정착력을 확보한다.
본 발명은 도 4에서처럼, 실린더 지지판(32) 대신 궤도(35)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린더 지지판(32)은 실린더를 지지하는 기능만 할 뿐이며, 궤도(35)는 실린더 지지잭(30)에 의해 굴착공의 공벽에 밀착되어 실린더를 굴착공에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아울러 유압식 구동 장치(100)가 마찰력없이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궤도(35)는 굴착공과 밀착되어 자유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압식 천공 장치(100)에 적용되는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유압모터(지상의 작업자에 의한 컨트롤)에 의해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궤도(35) 대신 바퀴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궤도(35)는 실린더 지지잭(30)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린더 지지판(32)을 통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궤도나 바퀴는 샤우드 지지잭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굴착 방법은 다음과 같다(도 5참고).
1. 장치 연결.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의 소켓(40)에 천공기(600)를 연결한다.
천공기(600)와 소켓(40)의 연결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2. 굴진.
유압식 구동 장치(100)의 초기 상태는 샤우드(20)가 실린더(10) 안에 삽입된 상태이며, 실린더 지지잭(30)의 로드(31)에 유압을 가하여 로드(31)가 인출되도록 하며, 따라서, 실린더 지지판(32)이 전진하다가 굴착공(1)의 내벽면에 밀착 지지된다(A 참고).
이와 같이 실린더 지지잭(30)을 통해 실린더(10)를 굴착공(1)에 지지한 상태에서 샤우드(20)를 인출하면 샤우드(20)와 함께 천공기(600)가 전진하여 굴진한다(B 참고).
이 상태에서 천공기(600)가 천공 구동할 수 있고, 실린더(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샤우드 지지잭(50)의 로드(51)를 인출시키면 샤우드 지지판(52)이 전진하여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 지지잭(30)의 실린더 지지판(32)을 후진시켜 굴착공(1)의 내벽면에서 떨어뜨리고, 샤우드(20)의 삽입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하면 샤우드(20)가 샤우드 지지판(52)에 의해 굴착공(1)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실린더(10)가 도면 기준으로 전진하게 된다(C 상태).
이 위치에서 굴진을 위해서는 실린더 지지판(32)을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하고, 샤우드 지지판(52)을 굴착공(1)의 내벽에서 떨어뜨린 후 샤우드(20)를 인출하면 천공기(600)가 하강하게 된다(D 상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천공기(600)를 계획 심도까지 굴진시키며, 인양 와이어(300)가 적용된 경우 천공기(600)의 심도에 맞춰 인양 와이어(300)만 풀어줌으로써 시공이 가능하므로 종래처럼 로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천공기(600)를 지상쪽으로 후진하는 것은 굴진과 역순이며, D 상태에서 C 상태처럼 샤우드(20)를 삽입한 후 샤우드 지지잭(50)을 통해 샤우드(20)를 굴착공(1) 내벽면에 지지하고, 샤우드(20)의 인출방향으로 유압을 가하면 샤우드(20)가 고정 상태이므로 실린더(10)가 상승한다. 실린더(10)의 상승이 후 실린더 지지잭(30)을 통해 실린더(10)를 굴착공(1)에 지지하고(B 상태) 샤우드(20)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샤우드(20)의 삽입방향으로 유체를 가하여 샤우드(20)가 상승하도록 한다. 이상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후진한다.
인양 와이어(300)가 적용된 경우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 모두를 굴착공(1)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인양 와이어(300)를 통해 굴착공(1) 안에서 지상으로 인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 천공과 수평 천공 모두가 가능하다.
한편, 연약지반에 굴착공을 천공하는 경우 지반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관의 케이싱을 시공한다.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는 케이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먼저 강관의 케이싱(2)은 원형이지만 일직선으로 절개하고 원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압축하여 준비한다. 이와 같이 케이싱(2)을 작은 크기로 압축한 것은 굴착공(1) 안에서 간섭을 받지 않고 신속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설치 후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를 통해 원상태로 복원한다.
도 7a와 도 7b를 참고하여 케이싱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실린더 지지잭에 의한 케이싱 연결.
샤우드 지지잭(50)을 통해 샤우드(20)를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하고 샤우드(20)가 실린더(10) 안에 삽입되는 상태를 초기 위치로 한다. 실린더 지지잭(30)은 굴착공(1)의 내벽과 떨어진 상태이다.
케이싱(2)을 실린더(10)의 후방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샤우드(2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유압을 가하면 샤우드(20)가 굴착공(1)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실린더(10)가 케이싱(2)을 향해 후진하게 되어 케이싱(2) 내부에 삽입된다.
2. 케이싱 이동.
실린더 지지잭(30)의 실린더 지지판(32)을 확장시켜 실린더 지지판(32)이 케이싱(2)에 지지되도록 한다.
샤우드(20)의 삽입방향으로 유압을 가하면 샤우드(20)가 굴착공(1)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실린더(10)와 케이싱(2)이 함께 전진한다.
3. 실린더 후진.
실린더 지지잭(30)을 케이싱(2)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샤우드(20)의 인출방향으로 유압을 가하면 샤우드(20)가 굴착공(1)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실린더(10)가 케이싱(2)의 내부에서 외부로 후진하고, 결국 케이싱(2)은 실린더(10)와 샤우드(20)의 사이에 남게 된다.
4. 케이싱 확장.
실린더 지지잭(30)을 확장시켜 굴착공(1)에 지지하고 샤우드 지지잭(50)을 굴착공(1)으로부터 떨어뜨린다.
샤우드(20)의 삽입 방향으로 유압을 가하면 실린더(10)가 굴착공(1)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샤우드(20)가 후진하여 케이싱(2) 안에 삽입된다.
이어서, 샤우드 지지잭(50)을 확장시키면 샤우드 지지판(52)이 케이싱(2)을 강제로 확장시켜 케이싱(2)이 초기 상태인 원형으로 확장된다.
이후 샤우드 지지잭(50)을 케이싱(2)에 지지한 상태에서 실린더 지지잭(30)을 굴착공(1)에서 떨어뜨리고 샤우드(20)의 인출방향으로 유압을 가하면 실린더(10)가 후진하고, 실린더 지지잭(30)을 굴착공(1)에 지지한 상태에서 샤우드 지지잭(50)을 케이싱(2)에서 떨어뜨리고 샤우드(20)의 삽입방향으로 유압을 가하면 샤우드(20)가 케이싱(2) 안에서 외부로 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샤우드(20)의 인출과 삽입 및 실린더 지지잭(30)의 확장과 축소의 반복을 통해 케이싱(2)을 자유롭게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싱(2)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가 케이싱(2) 안에 들어가서 절개부를 용접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을 통해 2개 이상의 케이싱(2)도 설치가 가능하고 2개 이상의 케이싱을 각각 설치한 후 이들의 이음부를 용접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천공기(600)로 천공한 후 케이싱(2)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로 케이싱(2)을 이동시키면서 천공기(600)로 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천공기(600)와 유압식 구동 장치(100)를 연결하고, 케이싱(2)을 천공기(600)의 둘레부에 끼운 상태에서 유압식 구동 장치(100)의 샤우드 지지잭(50)을 케이싱(2)을 고정한다. 이 고정은 샤우드 지지잭(50)을 벌려 케이싱(2)이 굴착공의 공벽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방법도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의 확장과 수축을 통해 굴착이 이루어진다.
케이싱(2)은 전술한 케이싱(2)과 동일하게 절단된 케이싱이며, 선단부가 천공기(600)의 굴착수단을 간섭하지 않는 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의 돌출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굴착공의 천공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a와 도 9b에서처럼 어느 하나의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을 짧게 돌출시키고 나머지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을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시킨 상태에서 천공이 가능하고, 이렇게 되면 유압식 구동 장치(100)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지기 때문에 도 9b와 같이 천공기(600)에 의한 천공방향이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천공 방향이 경로를 이탈한 경우 정상 경로로 바로 잡을 수 있고, 또한, 천공 각도를 자유롭게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압식 구동 장치(100)의 위치 확인을 통해 각종 굴착 정보를 확인하도록 도 10과 같이 실린더 지지잭(30)에 위치센서(710)가 설치된다. 위치센서(710)는 실린더 지지잭(30)의 현재 심도의 위치 정보를 알려준다. 또한, 위치센서(7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실린더 지지잭(30)에 각각 설치되어 평면 상에서 실린더 지지잭(30)들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센서(710)는 무선/유선 등을 통해 지상의 서버(700)와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서버(700)에 전송하고, 서버(700)는 프로그램을 통해 모니터(720)에 유압식 구동 장치(100)의 위치를 화면 출력하고, 이때, 위치센서(710)에 의한 감지 값이 수치 등을 통해 화면 출력된다.
위치센서(710)는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유압식 구동 장치(100)로서 유압을 이용한 것이며, 따라서, 유압 라인의 큰 증설없이 유압모터(400)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유압모터(400)가 없는 유압식 구동 장치(100)는 전후진만 가능하지만, 유압모터(400)가 적용된 유압식 구동 장치(100)는 전후진이 가능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소켓(40)에는 유압모터(400)가 설치되며, 이 유압모터(400)에는 공급측 유압라인과 배출측 유압라인이 연결된다. 상기 공급측 유압라인과 배출측 유압라인은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계통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즉, 유압모터(400)는 유압 구동 장치(100)의 유압계통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하고, 회전축(410)이 회전형 굴착수단[예를 들어 스크류(420), 굴착 비트 등]과 연결된다.
또한,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케이싱(2) 내부에 본 발명의 유압식 구동 장치(100)를 삽입하여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을 통해 케이싱(2)을 고정하고,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유압식 구동 장치(100)를 케이싱(2)의 시공 방향으로 세워 설치하고, 바이브레이터(500)를 통해 케이싱(2)을 지중에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유압식 구동 장치(100)에는 천공기(600)가 연결되어 천공기(600)에 의한 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천공기(600) 없이 케이싱(2)을 바이브레이터(500)에 의해 시공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본 방법에서 사용되는 케이싱(2)은 전술한 것처럼 절개된 후 작은 직경으로 변형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의 케이싱이 사용되며, 천공기(600)의 굴착수단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지고, 왜냐하면 케이싱(2)이 지중에 삽입된 후 천공기(600)이 케이싱(2)의 외부로 인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모든 용도(지반 보강, 관로 공사 등)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특히, 세미쉴드 등 대형의 관로 공사에 적합하고, 이에 맞춰 천공기(600)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천공기(600)는 대구경 천공에 적합한 것으로, 구동장치(100)의 소켓(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완충블록(610), 완충블록(610)에 연결되며 지상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에어 모터(620), 에어 모터(6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630), 샤프트(630)에 연결되는 천공 비트(640)로 구성된다.
완충블록(610)은 천공 비트(640)에 의한 천공 과정에서 원활한 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 장치로서, 구동장치(100)의 소켓(40)과 연결되고 내부에 샤우드(20)를 탄력 지지하는 완충스프링(611)이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다. 완충블록(610)은 필수적으로 적용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즉 구동장치(100)의 소켓(40)은 천공기(6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에어 모터(620)는 모터 하우징(621), 모터 하우징(621)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면서 서로 치합되는 제1,2기어(622,623), 제2기어(623)의 회전력을 샤프트(630)에 감속 전달하는 감속기로서 동력전달부(624)로 구성된다.
모터 하우징(621)은 내부에 제1,2기어(622,623)가 설치되는 공간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예를 들어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양측의 개방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2덮개로 구성되고, 커플러(650)를 통해 완충블록(610)과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650)는 지상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에어 모터(620)에 공급하도록 내부에 유로가 구비된다.
제1덮개(626)에는 에어 유입부(626a)가, 제2덮개(627)에는 에어 배출부(627a)가 갖추어진다. 이때, 에어 유입부(626a)와 에어 배출부(627a)는 평면에서 볼 때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에어 유입부(626a)에서 유입되는 에어에 의한 제1,2기어(622,623)의 회전력을 향상한다. 아울러, 에어 유입부(626a)는 제1,2기어(622,623)의 치차 결합부에 배치되어 제1,2기어(622,623)가 에어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에어가 제1기어(622)를 회전시키고 제1기어(622)가 제2기어(623)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1,2기어(622,623)는 중심축이 각각 제1,2덮개(626,627)에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서로 치합된다.
제1,2기어(622,623)는 각각 기어의 이가 오목한 단면으로 형성되며, 이는 에어의 손실없이 큰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함이고, 바람직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제1,2기어(622,623)의 일면(회전방향에 맞는 일면으로서 에어를 공급받는 방향)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1,2기어(622,623)의 축방향 양측이 막힌 홈으로 형성되어 에어의 손실없이 최대의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제1,2기어(622,623)는 에어가 손실되지 않고 제1,2덮개(626,627)가 마모되지 않도록 마감판이 적용된다.
상기 마감판은 제1,2기어(622,623)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 때, 제1,2기어(622,623)의 치는 상기 마감판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어 치차 결합을 유지함으로써 큰 회전력을 출력한다.
동력전달부(624)는 제2기어(623)의 회전력을 샤프트(630)에 감속 전달하는 것으로, 기어들이 연결되는 기어 트레인일 수 있다.
에어 모터(620)는 1개만 단독 사용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이 직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1단의 에어 모터의 출력단은 2단의 에어 모터의 입력단과 기어나 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630)는 샤프트 케이스(631)의 내부에 2개 이상의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동력전달부(624)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한다.
샤프트 케이스(631)는 모터 하우징(6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모터 하우징(621)에 결합되는 분리형 모두가 가능하고 에어 모터(620)에 유입되는 에어를 샤프트(630)를 통해 배출하도록 2개 이상의 패킹(리데나)(632)이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천공 비트(640)는 샤프트 케이싱(631)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샤프트(630)에 예컨대 커플러(66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회전하여 지반을 굴착 천공한다.
10 : 실린더, 20 : 샤우드
30 : 실린더 지지잭, 31,51 : 로드
32 : 실린더 지지판, 33 : 고정띠
34,53 : 로드 보호캡, 40 : 소켓
50 : 샤우드 지지잭, 52 : 샤우드 지지판
60 : 가이드, 70 : 샤우드 보호커버

Claims (16)

  1. 내부의 양측에서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통 구조의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천공기가 장착되는 샤우드(20)와;
    상기 실린더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부가 지중의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를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하거나 상기 굴착공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다수의 실린더 지지잭(30)과;
    상기 샤우드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부가 지중의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샤우드를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하거나 상기 굴착공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샤우드 지지잭(50)와;
    상기 샤우드를 보호하는 샤우드 보호커버와;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샤우드의 출몰에 의해 상기 샤우드 보호커버가 출몰하도록 수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둘레부에는 상기 가이드와 함께 상기 샤우드 보호커버의 출몰을 안내하며 안내홈을 갖는 보강띠가 포함되고, 상기 샤우드 보호커버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샤우드 보호커버를 보강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띠의 상기 안내홈에 장착되며 상기 샤우드 보호커버의 안내돌기가 수용되는 홈을 갖는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지지잭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이 설치되며, 2개 이상의 실린더 지지잭은 각각의 로드가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는 하나의 실린더 지지판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나의 실린더 지지판은 2개 이상의 실린더 지지잭을 통해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샤우드 지지잭은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는 샤우드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실린더 지지판과 샤우드 지지판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지지잭의 로드와 상기 샤우드 지지잭의 로드를 감싸 보호하는 로드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에는 연장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샤우드 보호커버는 상기 연장블록의 길이만큼 상기 샤우드보다 길게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실린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우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고 이 회전력을 굴착수단에 전달하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지지잭과 샤우드 지지잭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되는 궤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12. 청구항 1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천공기를 연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적용된 실린더 지지잭(30)과 샤우드 지지잭(50)의 확장과 수축을 통해 상기 천공기를 굴진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실린더 지지잭(30)의 로드(31)에 유압을 가하여 상기 로드의 단부가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를 통해 실린더(10)를 굴착공(1)에 지지한 상태에서 샤우드(20)를 인출하여 상기 천공기를 전진시키는 제2-2단계, 샤우드 지지잭(50)의 로드(51)를 인출시켜 상기 샤우드 지지잭을 상기 굴착공의 내벽에 지지하는 제2-3단계, 상기 제2-3단계에서 실린더 지지잭(30)을 상기 굴착공(1)의 내벽면에서 떨어뜨리고, 상기 샤우드(20)의 삽입방향으로 유압을 가하여 상기 실린더를 상기 천공기쪽으로 전진시키는 제2-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의 반복을 통해 상기 천공기를 굴착 심도까지 이동시키면서 굴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원형 강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한 후 안쪽으로 수축시켜 원형보다 작은 케이싱(2)을 준비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에서 준비한 케이싱을 청구항 1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후방에 셋팅하는 제20단계와;
    상기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의 샤우드 지지잭(50)을 통해 샤우드(20)를 굴착공(1)의 내벽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샤우드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유압을 가하여 실린더(10)를 상기 케이싱(2) 안에 삽입하는 제30단계와;
    실린더 지지잭(30)을 굴착공의 내벽을 향해 확장시켜 상기 케이싱(2)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샤우드(20)의 삽입방향으로 유압을 가하여 상기 실린더(10)와 케이싱(2)을 함께 전진시키는 제40단계와;
    실린더 지지잭(30)을 케이싱(2)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샤우드(20)의 인출방향으로 유압을 가하여 상기 실린더(10)를 상기 케이싱(2)의 내부에서 외부로 후진시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실린더(10)와 샤우드(20)의 사이에 남도록 하는 제50단계와;
    상기 실린더 지지잭(30)을 확장시켜 굴착공(1)에 지지하고 샤우드 지지잭(50)을 굴착공(1)으로부터 떨어뜨린 후 상기 샤우드(20)의 삽입 방향으로 유압을 가하여 상기 샤우드(20)를 후진시켜 상기 케이싱(2) 안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60단계와;
    상기 샤우드 지지잭(50)의 확장을 통해 상기 케이싱(2)을 강제로 확장시켜 상기 케이싱(2)을 초기 상태인 원형으로 만들고 절개부를 용접을 통해 봉합하여 케이싱을 굴착공 안에 설치하는 제7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14. 청구항 1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천공기를 연결하는 제1단계와;
    원형 강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한 후 안쪽으로 수축시켜 원형보다 작은 케이싱(2)을 준비하며, 상기 지중 천공기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의 샤우드 지지잭을 확장시켜 상기 케이싱의 후단부를 굴착공에 지지하는 제2단계와;
    상기 천공기를 구동하여 굴착함과 동시에 상기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적용된 실린더 지지잭과 샤우드 지지잭의 확장과 수축을 통해 상기 케이싱을 상기 천공기에 의해 굴착되는 굴착공에 삽입 설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15. 청구항 1에 의한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천공기를 연결하는 제1단계와;
    원형 강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한 후 안쪽으로 수축시켜 원형보다 작은 케이싱(2)을 준비하며, 상기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와 천공기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적용된 실린더 지지잭과 샤우드 지지잭을 확장시켜 상기 케이싱을 고정하고, 상기 케이싱의 지상측 단부에 바이브레이터를 연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천공기를 구동하여 굴착함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상기 케이싱을 지중에 압입 설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16.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적용되는 다수의 실린더 지지잭과 샤우드 지지잭들의 출몰을 다르게 하여 굴진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KR1020160019947A 2016-02-19 2016-02-19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KR10181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47A KR101814765B1 (ko) 2016-02-19 2016-02-19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47A KR101814765B1 (ko) 2016-02-19 2016-02-19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54A KR20170098054A (ko) 2017-08-29
KR101814765B1 true KR101814765B1 (ko) 2018-01-31

Family

ID=5976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47A KR101814765B1 (ko) 2016-02-19 2016-02-19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58B1 (ko) * 2018-07-25 2020-06-16 김양수 편심슬롯장치를 이용한 암반절개공법
KR102164654B1 (ko) * 2020-06-30 2020-10-12 이성진 구조물보강용 선단팽창형 마이크로파일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989A (ja) * 1999-01-22 2000-08-02 Taiyo Kiso Kogyo Kk 掘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989A (ja) * 1999-01-22 2000-08-02 Taiyo Kiso Kogyo Kk 掘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54A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5154B1 (en) Device and method for drilling and tamping grounds
KR100870988B1 (ko)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방법
KR101814765B1 (ko) 지중 천공기의 유압식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굴착 방법
KR101742786B1 (ko) 지하수와 지열 굴착공의 케이싱 삽입 착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공 케이싱 삽입 착정 방법
JPS6319328A (ja) 回転圧入式大口径鋼管類建込み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332559A (ja) 既設地中杭の撤去方法
KR102120971B1 (ko) 회동 암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 방법
JP3361776B2 (ja) 地中埋設杭の破砕処理装置
JP3860147B2 (ja) 立坑構築方法
KR20130034531A (ko) 그라우팅 주입을 위한 구멍과 차수벽 일체 시공 장치
JP3806318B2 (ja) 基礎杭造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4501517A (en) Self propelled trench shield
JP5717048B2 (ja) 小口径推進工法
KR101699938B1 (ko) 파일을 이용한 지중 벽체 시공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834567B1 (ko) 지하수와 지열 굴착공의 케이싱 삽입 착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공 케이싱 삽입 착정 방법
CN220301420U (zh) 旋管压挖桩机
CN113323053B (zh) 旋管压挖桩机
US3459452A (en) Tunneling device
ITPS990007A1 (it) Procedimento di perforazione per fori di grande diametro ad elevataprofondita' e trivella atta ad attuare detto procedimento
JPH0421013B2 (ko)
GB2270329A (en) Forming a hole in the ground
JP2015113683A (ja) 障害地盤杭打設装置及び障害地盤に鋼管杭を打設する方法
JP2019210626A (ja) シールド掘進機、及びトンネル構築方法
EP3938615B1 (en) A rock crushing unit for widening a pilot hole made on rocky terrain
KR102609304B1 (ko) 방향제어 시추공을 이용한 구조물하부 연약지반 및 지하공동 그라우팅 공법 및 이를 위한 그라우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