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693B1 - 탈출방향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탈출방향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693B1
KR101814693B1 KR1020160075989A KR20160075989A KR101814693B1 KR 101814693 B1 KR101814693 B1 KR 101814693B1 KR 1020160075989 A KR1020160075989 A KR 1020160075989A KR 20160075989 A KR20160075989 A KR 20160075989A KR 101814693 B1 KR101814693 B1 KR 10181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alarm
signal
unit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479A (ko
Inventor
이충현
김현석
류용희
서성원
이윤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69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1L41/1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Abstract

탈출방향 안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탈출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피자의 탈출방향을 설정하는 탈출방향 설정부;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부; 및 상기 이동방향을 상기 탈출방향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알람부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출방향 안내 장치{ESCAPE DIRECTION GUIDE APPARATUS}
본 발명은 탈출방향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선원들은 미리 지정된 탈출로를 따라 위험지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종래 탈출로에는 선원, 즉 대피자의 원활한 탈출을 도와주기 위하여 탈출방향을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화재시 발생하는 짙은 연기 등으로 인하여 대피자가 비상 유도등만으로 탈출방향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오히려 위험지역으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는바, 비상 유도등 외에 추가적으로 음성신호 등을 통해 이를 보완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4772호(2014.01.23,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피자를 올바른 탈출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탈출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피자의 탈출방향을 설정하는 탈출방향 설정부;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부; 및 상기 이동방향을 상기 탈출방향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알람부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출방향을 대피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탈출방향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탈출로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탈출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 및 상기 발판이 가압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발판이 가압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이 가압되면 상기 알람부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새로운 감지신호를 생성할 때마다 상기 알람부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 또는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면 앞서 생성한 알람신호보다 증폭되거나 변경된 형태의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올바른 탈출방향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알람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대피자를 올바른 탈출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출방향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출방향 안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출방향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출방향 안내 장치(10)는 탈출방향 설정부(100), 탈출방향 표시부(200), 이동방향 판단부(300), 알람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출방향 설정부(100)는 탈출로(20)를 따라 이동하는 대피자의 탈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탈출방향이란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자가 위험지역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멀어지기 위하여 탈출로(20) 상 현재 위치에서 이동하여야 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탈출방향 설정부(100)는 일 예시로서 탈출로(20)의 설계 시부터 결정된 탈출경로를 따라 대피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탈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탈출방향 설정부(100)는 다른 예시로서 관리자가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 또는 화재감지기 등의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탈출경로 및 대피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탈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 지역을 입력하거나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탈출방향 설정부(100)가 비상상황 발생 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 탈출방향 설정부(100)는 비상상황 발생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보고 대피자의 현재 위치에서 위험지역을 거치지 않고 안전지역에 이르는 탈출경로를 설정한 후에 탈출경로를 기초로 대피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탈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안전지역은 탈출로(20)의 설계 시부터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대피자의 현재 위치는 센서(320)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탈출방향 표시부(200)는 탈출로(20)에 설치되어 탈출방향 설정부(100)에서 설정된 탈출방향을 대피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탈출방향 표시부(200)는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중 하나를 점등시킴으로써 탈출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탈출방향 표시부(200)에 표시된 탈출방향은 대피자가 올바른 탈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300)는 탈출로(20)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을 판단 내지 확인할 수 있다. 대피자는 1차적으로 탈출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표시되는 탈출방향을 기초로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탈출방향 표시부(200)에 대한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화재로 인해 탈출로(20) 상에 짙은 연기가 형성되면 탈출방향 표시부(200)만으로 탈출방향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오히려 탈출방향의 반대로 이동할 수도 있는바, 대피자는 2차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300)를 통해 확인된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부(400)의 알람신호를 기초로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300)는 발판(310) 및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310)은 대피자가 탈출로(20)를 따라 이동할 때 밟힐 수 있도록 탈출로(20)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발판(310)은 직사각형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판(3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발판(310)은 탈출로(20)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피자가 탈출로(20)를 따라 이동하면 복수 개의 발판(310)이 연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센서(320)는 각각의 발판(310)에 설치되어 발판(310)이 가압되면, 즉 대피자가 발판(310)을 밟으면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320)는 예를 들어 압력센서, 무게센서, 로드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300)는 센서(32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300)는 제1 발판(310a)에 설치된 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생성된 후에 제2 발판(310b)에 설치된 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대피자가 제1 발판(310a)에서 제2 발판(310b) 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동방향 판단부(300)는 복수 개의 발판(310)이 가압되는 순서에 따라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발판(310)에는 센서(320) 외에 압전소자(330) 및 충격흡수장치(34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압전소자(330)는 발판(310)이 가압되면 알람부(400) 및 기타 전기장치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비상상황에 대처하게 할 수 있다. 충격흡수장치(340)는 탈출로(20)의 바닥과 발판(310) 사이에 개재되어 발판(310)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함으로써 발판(310)에 가해질 수 있는 강한 충격이 그대로 센서(320), 압전소자(330) 등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흡수장치(340)는 스프링 및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400)는 탈출로(20)에 설치되어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알람부(400)에서 생성되는 알람신호는 빛 또는 소리로 이루어지거나 탈출로(20)에 설치된 조명장치에 대한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차단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탈출방향 설정부(100) 및 이동방향 판단부(30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초로 알람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탈출방향 설정부(100)에서 설정된 탈출방향과 이동방향 판단부(300)에서 확인된 이동방향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대피자가 탈출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부(40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대피자는 알람부(400)에서 생성되는 알람신호를 통해 잘못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센서(320)가 새로운 감지신호를 생성할 때마다, 즉 대피자가 이동하면서 새로운 발판(310)을 밟을 때마다 알람부(40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 또는 알람부(400)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잘못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알람부(400)가 알람신호를 생성한 이후에도 계속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어부(500)가 알람부(40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알람부(400)는 제어부(500)에서 구동신호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면 앞서 생성한 알람신호보다 증폭되거나 변경된 형태의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자가 탈출로(20)에 진입하면서 제1 발판(310a)을 밟으면 제어부(500)가 정지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다음으로 제2 발판(310b)을 밟으면 제어부(500)가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어 알람부(400)에서 대피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알람신호, 즉 1차 경고음이 생성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3 발판(310c)을 밟으면 제어부(500)가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어 알람부(400)에서 앞서 생성한 알람신호보다 증폭된 형태의 알림신호, 즉 1차 경고음보다 큰 2차 경고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탈출방향 안내 장치 20: 탈출로
100: 탈출방향 설정부 200: 탈출방향 표시부
300: 이동방향 판단부 310, 310a, 310b, 310c: 발판
320: 센서 330: 압전소자
340: 충격흡수장치 400: 알람부
500: 제어부

Claims (6)

  1. 탈출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피자의 탈출방향을 설정하는 탈출방향 설정부;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실제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부; 및
    상기 이동방향을 상기 탈출방향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알람부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탈출로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탈출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 및
    상기 발판이 가압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발판이 가압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출방향을 대피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탈출방향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이 가압되면 상기 알람부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하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새로운 감지신호를 생성할 때마다 상기 알람부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 또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면 앞서 생성한 알람신호보다 증폭되거나 변경된 형태의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탈출방향 안내 장치.
KR1020160075989A 2016-06-17 2016-06-17 탈출방향 안내 장치 KR10181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89A KR101814693B1 (ko) 2016-06-17 2016-06-17 탈출방향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89A KR101814693B1 (ko) 2016-06-17 2016-06-17 탈출방향 안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79A KR20170142479A (ko) 2017-12-28
KR101814693B1 true KR101814693B1 (ko) 2018-01-04

Family

ID=6093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989A KR101814693B1 (ko) 2016-06-17 2016-06-17 탈출방향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791B1 (ko) 2018-02-20 2019-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난 유도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003A (ja) 2006-03-28 2007-10-1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幅判別装置、進行方向判別装置、および車種判別装置
KR101354772B1 (ko) * 2008-10-24 2014-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575983B1 (ko) 2014-10-15 2015-12-09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003A (ja) 2006-03-28 2007-10-1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幅判別装置、進行方向判別装置、および車種判別装置
KR101354772B1 (ko) * 2008-10-24 2014-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575983B1 (ko) 2014-10-15 2015-12-09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791B1 (ko) 2018-02-20 2019-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난 유도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79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3925C (zh) 建筑物住户紧急疏散的方法和系统及现有电梯现代化方法
US10983210B2 (en) Elevator sensor array system
KR101902888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274665B2 (ja) 高所作業車用上部衝突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衝突防止方法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JP5911339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43046B2 (ja) 誘導灯
JP2017001767A (ja) エレベータ用操作盤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305568B1 (ko)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KR101814693B1 (ko) 탈출방향 안내 장치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JP2017109830A (ja) タッチパネル操作盤
JP2011154706A (ja) 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誘導装置
JP4009606B2 (ja) 救助システム
JP4873723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誘導装置および視覚障害者案内装置
JP2011219195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TWI494901B (zh) 智慧型防災引導裝置與救援系統
KR101674387B1 (ko) 건물 내부의 대피로 음성 안내장치
KR10182823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피난 유도 장치
JP7480067B2 (ja) 操作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200491585Y1 (ko)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 화재경고장치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JP7138521B2 (ja) 物体検出センサ及び警報器
KR20180049498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피안내기능을 가지는 방독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