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68B1 -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68B1
KR101814168B1 KR1020170073715A KR20170073715A KR101814168B1 KR 101814168 B1 KR101814168 B1 KR 101814168B1 KR 1020170073715 A KR1020170073715 A KR 1020170073715A KR 20170073715 A KR20170073715 A KR 20170073715A KR 101814168 B1 KR101814168 B1 KR 10181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line
module
communication
virtual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호
송청자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Priority to KR102017007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입장에서는 은행 및 타행환, PC뱅킹, 인터넷 뱅킹, 폰 뱅킹 등 다양한 입 금기능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제휴기관 측면에서는 전국 금융기관에 대한 네트워크 망 구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매자금 입금업무의 자동화로 효율적인 자금관리가 가능하고, 입금정보를 활용한 회계업무 자동화로 업무간 소화가 가능하며, 환불자금 등 편리한 송금기능 및 일괄송금 등 전산개발을 용이하고,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가상계좌 개설시에 보안인증수단을 등록시키고, 이의 보안인증수단에 의하여 가상계좌 거래가 발생하거나 최종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취약했던 가상계좌의 보안강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FINANCIAL BUSINESSUSING VIRTUAL ACCOUNT}
본 발명은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은행권과의 제휴가 필요한 제 2금융기관 및 각 업종 별로 자금의 집계 또는 이와 유사한 업무가 필요한 제휴 기관들이, 은행권에서 사용하는 실계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가상계좌를 이용하여 금융 결제원 공동망 또는/및 인터넷이나 공중망, 전용망을 통해 금융 업무를 처리 하도록 함에 있어서, 생체인증을 통하여 입출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휴기관의 업무역 확대 및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거래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등록특허 10-0457099호에서는 은행권의 업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은행 업점에서 계좌번호를 부여받아야만 하며, 증권사나 투신사, 보 험사 등의 제 2금융기관에서 은행권의 업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따랐다. 예를 들면, 현재 금융 서비스를 위한 자동 입출금기는 특정 금융기관에서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은행권과 제 2금융기관이 업무를 제휴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특정 은행의 경우에는 제 2금융기관 자체 거래를 만들지 않고, 은행거래에 종속되어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은행들이 사용하는 금융상품을 그대로 사용해야 하거나, 은행측에 의해 일방적으로 책정되는 불합리한 수수료 지불제 도에 대해서도 모두 수용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제 2금융기관이나 건설사, 정유사, 유통점 등 자금집금(CMS)이나 기타 유사한 업무가 필요한 업체에서는 은행권의 광범위한 업망을 절대적으로 이용해야하는 업무 등이 많이 발생되고 있어, 제 2금융기관이나 은 행과의 제휴를 통해 업무처리를 해야하는 업체에서 이러한 업무 등을 원활하게 취급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가상 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물론, 현재에도 가상계좌를 이용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은행의 계좌체계를 제휴기관(제 2금융기관 및 자 금집금이나 기타 유사한 업무가 필요하여 은행과의 제휴가 필요한 업체)에 통보하면, 제휴기관에서는 상기 제휴은행 으로부터 통보받은 가상 계좌를 기록한 자체카드(예를 들면, 증권사가 독립적으로 발행하여 사용하는 증권카드)를 자사 고객에게 발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제휴은행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은행의 자동 입출금기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휴기관의 입장에서는 여러 은행과 제휴를 해야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그러나, 제휴기관의 고객에게 제휴 은행의 계좌체계를 제휴기관의 카드에 같이 기록하여 교부하므로, 발행된 카드수가 많아지면 계약해지가 어렵다는 판단아래 제휴은행에서의 일방적인 수수료 책정 또는 예금으로 여러 가지 무리한 요구를 할 우려가 있었다.
종래 발명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의 종래 발명은 제휴기관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제휴은행에서 개설한 대표계좌와 제휴기관의 다수 또는/및 하나의 고객 실계좌(제휴기관에서 실명확인된 계좌)와를 연계시켜 금융 결제원의 공동망, 또는/및 인터넷, 공중망, 전 용망 등을 통해 입금 또는/및 출금 처리하고 그 거래정보를 관리하는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안한다.
종래 명세서에서 금융업무라 함은 현금이나 수표, 여러 종류의 카드를 이용하는 입금 및 출금 업무를 포함하며, 신용카드 승인 및 결제, 신용카드 현금 서비스 업무, 전자 상거래 상의 결제업무, 자금 정산 및 집금 업무 등을 통칭한다.
종래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특히 제휴은행과 제휴기관으로 이어지는 통신망 및 자동 입출금기(ATM)와 전 자금융채널과 제휴금융기관으로 이어지는 정보 통신망을 바탕으로 연계된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의 경우에 대해 설명 한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의 한 개념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제휴기관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제휴은행에 개설된 하나의 대표계좌와, 제휴기관에서 실명 확인된 고객을 대상으로 개설된 실(명)계좌와 의 사이에서, 제휴은행의 대표계좌와 연계하여 부여된 하나의 가상계좌 및 그를 통해 제휴기관에서 상기 대표계좌로 의 입금거래 및 대표계좌로부터의 출금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연결된 하나의 실(명)계좌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의 다른 개념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제휴기관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제휴은행에 개설된 대표계좌와, 상기 대표계좌를 모계좌로 하여 1:N으로 채번하여 부여된 다수의 가상 계좌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가상계좌는 상기 대표계좌로의 입금거래만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로서, 가상의 계좌를 제휴은 행으로부터 부여받아 등록하고 관리하는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를 중심으로 제휴은행의 컴퓨 터(20)와 제휴기관의 컴퓨터(30)와 정보 통신망(40)이 접속된 금융업무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컴퓨터라 함은 가상 계좌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컴퓨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100)는, 제휴 은행의 컴퓨터로부터 제휴은행에 개설된 대표계좌를 모계 좌로 하는 가상계좌의 개설을 제휴은행에 요청하여 교부받는다. 그리고, 상기 교부받은 가상계좌와 관련된 제휴기관 고객의 실계좌 정보를 연계시켜 등록하고 관리한다.
또 상기 가상계좌를 이용하여 요청되 는 상기 대표계좌에 대한 입금 또는 출금 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비즈니스 로직 서버(BLS 서버), 통신용 서버(C/S서버) 등을 구비하고, 제휴은 행과 제휴기관의 각 컴퓨터(20)(30) 및 정보 통신망(40)에 연결된다. 상기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100)는, 가상계좌 관리모듈(110)과 금융거래 중계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계좌 관리모듈(110)은 상기 제휴 은행에 개설된 대표 계좌를 모계좌로 하고 제휴기관에 개설된 고객 실계 좌를 연결하는 가상 계좌를 제휴 은행에 개설 요청하고, 제휴 은행의 컴퓨터로부터 가상계좌를 교부받아 가상계좌 관 리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 및 관리한다. 이 가상계좌 관리모듈(110)은, 하나의 대표 계좌에 다수의 가상 계좌를 연결시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금융거래 중계모듈(120)은 상기 가상계좌 관리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된 가상계좌를 이용하는 금융거래요 청이 임의의 사용처로부터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금융거래 요청이 있는 가상계좌의 유효성 및 상기 요청된 금 융 거래의 가능여부를 제휴기관 또는/및 제휴은행의 컴퓨터를 통해 검증하고, 그 검증결과에 따라 상기 제휴은행의 대표계좌에 금융거래를 처리요청하고, 그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처로 통보한다.
상기 금융거래 중계모듈(120)은, 제휴은행의 컴퓨터(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휴은행에 구축된 업망(제휴 은행의 업점 단말기(23) 또는/및 현금 지급기(24) 또는/및 자동 입출금기(22))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상계좌를 이용 한 금융업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또 상기 금융거래 중계모듈(120)은 금융결제원(10) 공동망 을 통해 타은행 업망( 타은행의 업점 단말기(53) 또는/및 현금 지급기(51) 또는/및 자동 입출금기(52))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상계좌를 이 용한 금융업무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 금융거래 중계모듈(120)은, 제휴기관의 컴퓨터(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휴기관에 구축된 업망(제휴기관의 업점 단말기(33) 또는/및 현금 지급기(34) 또는/및 자동 입출금기 (32))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 금융거래 중계모듈(120)은, 인터넷, 전용선, 공중망 등의 정보통신망(40)으로, 자동 입출금기(ATM)(41), 및 /또는 웹-티브이(Web-TV), PCS, PDA 등의 각종 전자금융채널(42), 또는/및 다른 제휴 기관(43)을 연결하여 자체 업망을 구축하고, 그 자체 업망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휴은행의 컴퓨터(20)와 제휴기관의 컴퓨터(30)는 상기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100)가 지원하는 가상계 좌를 통해 입/출금 거래가 이루어지는 대표계좌에 대한 거래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대표계좌 데이터베이스(21) 및 가상계좌 데이터베이스(31)를 각각 구축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상계좌는 제휴기관과의 전자금융서비스 업무를 지원하는 가상의 인식번호로서, 은행권에서 사용하는 실계좌 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이며, 단말기 또는 시스템에서 구분 가능하도록 새로운 업무코드를 계좌번호에 부여하거나 또는 특정 업점 코드를 계좌번호에 부여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상계좌는 회원카드 발급시 회원카드 내에 삽입 되어 부여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와 제휴기관 컴퓨터와의 동작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가상계 좌 서비스 서버(100)는 제휴기관의 컴퓨터(30)에서 요청된 다수의 가상계좌를 제휴은행에 기 개설된 제휴기관 명의 의 대표계좌로부터 1:N으로 채번하고, 제휴기관 컴퓨터(30)는 하나의 대표계좌에 대해 다수의 가상계좌를 부여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대표계좌로부터 다수의 가상계좌를 1:N으로 채번하여 회원에게 부여하고, 각 회원들이 관련자금을 타은행이나 정보통신망을 통해 가상계좌에 입금하면 그 자금은 제휴기관의 대표계좌에 입금되고 가상계좌의 입금정보를 제휴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자금집금, 정산 및 회계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전자금융 서비 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상계좌는 제휴기관(제휴기관이 제 2금융기관일 경우)에서 실명확인된 고객을 대상으로 은행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계좌를 은행과 연계하여 부여해주는 것으로, 이는 은행권에서 실명확인을 하지 않고 제 2금융기관의 실명을 이용하여 제 2금융기관 업점에서 해당 고객에게 제 2금융기관 계좌정보와 은행권에서 사용 가능한 은행의 가상계 좌를 시스템간 상호 연결하여 부여하는 것이다.
제 2금융기관 고객이 이러한 가상계좌를 이용하여 전국 은행의 업점 단말기, 자동화기기 또는 전자금융 채널을 통 해 제 2금융기관 고객 예금계좌에 입출금이 자유롭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 발명의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과정을 도 5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종래 제휴기관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제휴은행에서 실시하는 대표계좌 개설 흐름도이다.
상기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100)는 제휴 은행의 비즈니스 로직 서버, 또는/및 통신용 서버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개별적인 서버로서도 구성 가능하다.
이하의 금융업무 처리동작에서는 제휴은행의 비즈니스 로직 서버 또는/및 통신용 서버에 탑재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휴기관으로부터 대표계좌 개설 요청이 있을 경우, 제휴은행은 대표계좌 개설요청을 접수(S511) 하여, 대표계좌를 개설(S512)하고, 그 결과를 제휴기관으로 통보(S513)함으로써, 제휴기관에서는 제휴은행에 개설된 대표계좌를 접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대표 계좌에서 가상계좌를 이용하고 있으면서, 거래금액의 입출금은 누구나 이용하고 있는 PC 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은행의 경우는 보안인증서 등 3~5중으로 이의 입출금을 통제하고 있으나, 잘못하여 비밀번호 등의 누설 등으로 어느 누구나 접속하여 해킹당할 우려가 다분히 상존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휴은행에 개설된 제휴기관의 대표계좌(모계좌 )와 제휴기관의 고객 실계좌를 연결하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가상계좌를 이용하여 전국 은행의 업망 또는/및 은행 에 제휴된 제 2금융기관의 업망 또는/및 일반 기관의 업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금융업무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제휴기관의 업무역 확대가 가능토록 한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가상계좌 개설시에 보안인증수단을 등록시키고, 이의 보안인증수단에 의하여 가상계좌 거래가 발생하거나 최종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구나, 보안솔루션으로서 지문이나 지정맥의 인식률에 대한 오차범위를 좁히기 위하여 각각의 인식률을 줄이고, 조합의 형태에 의한 인증여부를 판단할 경우에는 인증의 판단속도가 빨라지고, 인식판단장비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모듈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휴은행 및 제휴기관의 각 컴퓨터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된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휴은행과 제휴기관 사이의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휴은행에 개설된 대표 계좌를 모계좌로 하고 상기 모계좌와 상기 제휴기관에 개설된 고객 실계좌간의 금융거래를 연결하는 인식번호(Identification number)로서 다수의 가상 계좌를 상기 제휴은행 컴퓨터에 개설 요청할 시에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에 의하여 고객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입력한 후, 제휴은행의 컴퓨터로부터 가상계좌를 교부받아 등록 및 관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등록된 다수의 가상계좌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금융거래요청이 임의의 사용처로부터 발생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가상계좌의 유효성 및 상기 요청된 금융 거래의 가능여부를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에 의하여 고객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입력케 한 후, 등록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함과 동시에 그 가상계좌를 이용한 실거래 처리를 상기 제휴 은행의 컴퓨터로 요청하고, 상기 검증 및 실거래 처리 결과를 통보받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휴은행을 통해 얻은 검증 및 거래처리결과를 상기 제휴기관으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계좌를 통해 요청된 거래 정보의 처리를 상기 제휴기관에 요청하고, 그 처리결과를 통보받는 단계와 상기 제휴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거래정보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처로 통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 2단계와; 상기 대표 계좌 하나에 매칭되는 다수의 가상계좌로 다수의 상기 제휴기관 고객이 입금거래를 하는 경우 제휴기관의 자금집금, 정산, 회계관리의 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입금정보를 상기 제휴기관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은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모듈(U1)로서 지문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이고, 상기 지문모듈(U2)의 GND 1번 라인은 (-)전압 회로이고, RX 2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수신 포트이며, TX 3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송신 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이며, 이들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232통신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정맥모듈(U3)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이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이고, 상기 변환모듈(U4) 좌측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이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압 기준이며, 상기 지정맥모듈(U3)과 연동된 변환모듈(U4) 우측의 DI 5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이고, RE 6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이며, DE 7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이고, RO 8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통합모듈(U1)과 연동하게 되어,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 중 어느 하나를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 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합모듈(U1)의 D1/TX 1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이고, D0/RX 2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이며, GND 4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D2 5번 라인은 지문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송신라인이며, D3 6번 라인은 지문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수신라인이고, D8 11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송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9 12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이고, D10 13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이며, D11 14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수신포트이고, 5V 27번 라인은 (+)전압 5V출력 PIN이며, GND 29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VIN 30번 라인은 (+)전압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는 지문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는 지정맥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지문인증코드와 지정맥인증코드에 대한 알고리즘의 함수명 getfingerauthorization의 인수인 fingerprintcode와 fingerveincode로 각각 입력받아서 두 개의 인수값이 모두 유효하고 또한 두 개의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가 일치할 때 지문과 지정맥의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 모듈에서 해당사람의 코드를 출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휴 은행 및 제휴기관의 각 컴퓨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제휴 은행과 제휴 기관 사이의 금융업무를 중계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휴 은행에 개설된 대표 계좌를 모계좌로 하고 상기 모계좌와 제휴기관에 개설된 고객 실계좌와 금융거래를 연결하는 인식번호(Identification number)로서 다수의 가상 계좌를 제휴 은행에 개설 요청할 시에 구비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과, 제휴 은행의 컴퓨터로 부터 가상계좌를 교부받아 가상계좌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가상계좌를 등록 및 관리하는 가상계좌 관리모듈 및 상기 가상계좌 관리모듈에 등록된 가상계좌를 이용하는 금융거래요청이 임의의 사용처로부터 발생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가상계좌의 유효성 및 상기 요청된 금융 거래의 가능여부를 검증할 시에 구비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과, 그 검증결과에 따라 상기 제휴은행의 대표계좌에 금융거래를 처리요청하고, 그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처로 통보하고, 상기 대표계좌 하나에 매칭되는 다수 의 가상계좌로 다수의 상기 제휴기관 고객이 입금거래를 하는 경우 제휴기관의 자금집금, 정산, 회계관리 정보로 이 용할 수 있도록 입금정보를 상기 제휴기관 컴퓨터로 전송하는 금융거래 중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시스템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은 손가락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손가락안착부(252)가 지문인증모듈(250aa)이 형성된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와 평형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스캔패널(250)에 형성된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와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가 나란히 2개의 손가락을 인증할 수 있도록 2줄로 형성하고, 상기 보안인증수단은 1) 지문1(250an)과 지문2(250ar), 2) 지정맥1(250bn)과 지정맥2(250br), 3) 지문1(250an)과 지정맥1(250bn), 4) 지문2(250ar)와 지정맥2(250br), 5) 지문1(250an)과 지정맥2(250br), 6) 지문2(250ar)와 지정맥1(250bn)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되어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시스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객 입장에서는 은행 및 타행환, PC뱅킹, 인터넷 뱅킹, 폰 뱅킹 등 다양한 입 금기능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제휴기관 측면에서는 전국 금융기관에 대한 네트워크 망 구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매자금 입금업무의 자동화로 효율적인 자금관리가 가능하고, 입금정보를 활용한 회계업무 자동화로 업무간 소화가 가능하며, 환불자금 등 편리한 송금기능 및 일괄송금 등 전산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가상계좌 개설시에 보안인증수단을 등록시키고, 이의 보안인증수단에 의하여 가상계좌 거래가 발생하거나 최종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취약했던 가상계좌의 보안강화 효과가 현저히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서,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하더라도, 지문이나 지정맥의 인식률에 대한 오차범위를 좁혀 각각의 인식률을 줄여, 조합의 형태에 의한 인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의 판단속도가 빨라지고, 인식판단장비의 제조가 용이하고, 오차범위도 한결 감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모듈을 개발함으로써 실제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장단점들을 보완 지정맥 인증기술과 지문을 융합한 양손가락에 존재한 지문과 지정맥 동시 스케닝 촬영에 따른 다면입체 인증장치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게 된다면 지구촌의 종말이 오는 그 순간까지도 유일무일 한 생체인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의 한 개념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의 다른 개념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종래 도 3의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와 제휴기관 컴퓨터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종래 제휴은행에서 실시하는 대표계좌 개설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휴기관과 제휴은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상계좌 개설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지정맥과 손가락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2개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인증장치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지정맥 이미지센서와 손가락지문 이미지센서가 촬영하는 동일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a)과 손가락측면(b)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인증장치를 이용한 인증방법의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2개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 및 지정맥의 이미지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지문1과 지문2 및 지정맥1과 지정맥2가 조합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 매트릭스표이다.
도 16은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지문과 지정맥을 등록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18은 지문과 지정맥을 인증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19는 지문과 지정맥을 삭제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건 발명에 있어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증"이라는 의미는 "동시에 2가지의 인증을 거쳐야 되는 경우"와, "프로그램상 하나를 통과시에 그 하나가 거부가 있을 경우에 그대로 패스한 후 다음 것의 인증을 받는 것" 중에 어느 하나를 택일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두가지 "and"의 개념으로 인증되는 경우와, 또 다른 해석으로 지정맥의 인증시에 2 이상의 동일한 지정맥이 동일 은행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의 인증을 거부하도록 하여 지정맥인증을 패스하도록 하고, 그 다음에 지문인증을 받도록 하게 되면, 지정맥이 동일한 2 사람 중에서 지문까지 동일한 사람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오인식확율을 극히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휴기관과 제휴은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상계좌 개설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의 흐름도 이다.
도 6은 고객의 요청에 의해 제휴기관과 제휴은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상계좌 개설 흐름도로서,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를 중심으로 제휴기관과 제휴은행 모두에서 실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고객으로부터 가상계좌 요청이 있을 경우, 우선 제휴기관에서는 지문 및 지정맥의 통합촬영장치(200a)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등록시키면서 가상계좌 개설자료를 입력(S611) 받게 되고, 이때 지문 및 지정맥의 통합촬영장치(200a)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등록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S611a), 다른 자료와 함께 해당 자료를 검증(S612)하고, 자신이 가진 고객의 실(명)계좌 정보와 함께 제휴은행으로 전송하여, 해당 자료에 대한 가상계좌의 개설을 요청(S613)한다.
제휴은행에서는 가상계좌 개설자료를 접수(S614)하여 가상계좌 개설 가능 여부를 검증(S615)한 후, 기 개설된 대표계좌와 제휴기관의 실(명)계좌 정보와 연계되는 가상계좌를 개설(S616)하여 자신의 대표계좌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게 하고, 그 결과를 제휴기관으로 통지(S617)한다.
다시 제휴기관에서는 상기 통보자료를 접수(S618)하여 가상계좌 정보와 해당 고객의 실(명) 계좌와 제휴은행의 대표계좌를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S619) 및 관리하며, 가상계좌의 번호를 필요시 카드와 같은 매개수단을 사용하여 해당 고객에게 교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 흐름도로서, 업무를 제휴한 기관에서 해당 제휴기관 명의의 대표계좌를 해당 제휴은행에 개설한 후, 제휴기관 고객이 소지한 실계좌에 연계된 가상계좌를 부여받은 상태에서, 금융 결제원과 연결된 타은행 공동망 또는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와 연결된 정보 통신망 (인터넷, 공중망, 전용망 등)을 통해 특정의 사용처로부터 입출금 의뢰가 있을 경우에, 상기 가상계좌를 통해 제휴 은행에 개설된 대표계좌로의 입금 및 대표계좌로부터의 출금이 가능하도록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사용처(전국 은행, 제휴기관, 자동 입출금기, 전자금융채널 등)에서 가상계좌에 대한 거래가 발생하면(S711a), 먼저 제휴은행에서는 고객으로부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통합촬영장치(200a)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입력시키고(S711b), 이를 등록된 지문 또는/및 지정맥과 일치될 경우(S711c)에 제휴은행에서는 상기 가상계좌의 대표계좌를 갖는 제휴기관 및 가상계좌의 유효성을 차례로 검증(S711, S712)하고, 상기 요청된 금융 거래 가능여부를 검증(S713)한 후, 제휴기관에 해당 거래를 처리 요청(S714)한다.
이에 따라 거래처리요청을 접수(S715)받은 제휴기관에서는 상기 가상계좌와 연계된 고객의 실계좌를 통해 거래가능여 부(계좌 사용여부, 출금 가능한 잔고 확인 등)를 검증(S716)하여, 상기 요청된 가상계좌의 거래를 처리(S717)한 후, 그 결과를 제휴은행에 다시 통보(S718)한다. 다시 제휴은행에서는 거래처리결과를 접수(S719)하여 가상계좌를 통해 요청된 거래 내용을 판단(S720)하고, 그 판단 결과 해당 거래가 입출금 거래에 해당하는 내용이면 상기 가상계좌의 모계좌인 대표계좌에서 입출금 거래를 처리(S721)한 후, 그 처리결과를 사용처에 통지(S722)한다. 사용처에서는 이 를 접수하여 처리결과를 고객에게 통지한다.
상기 제휴은행에서의 대표계좌 입출금 처리단계는, 제휴기관과의 사전 계약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매 거래시마다 입출금 처리할 수 있으며, 거래 건수별로 또는 특정 운기간 동안의 한도를 설정한 후 마감시 일괄처리하여 입출금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의 흐름도로서, 가상계좌를 특수 목적(예를 들면 자금 집금, 요금 수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업무를 제휴한 기관에서 해당 제휴기관 명의의 대표계좌를 해당 제휴은행에 개설하고, 상기 대표계좌와 연계된 다수의 가상계좌를 제휴기관에서 다수의 고객에게 각각 부여한다.
그리고 나서, 금융 결제원과 연결된 타은행 공동망 또는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와 연결된 정보 통신망( 인터넷, 공중망, 전용망 등)을 통해 특정의 사용처로부터 상기 가상계좌를 이용한 입금 또는 출금 의뢰가 있을 경우에, 상기 가상계좌와 연계된 대표계좌로의 입금 또는 출금이 제휴은행을 통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실명확인과는 전혀 무관하게 이용 자금의 집계가 필요한 해당 고객들이 대표계좌에 입금한 내역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사용처(전국 은행, 제휴기관, 자동 입출금기, 전자금융채널 등)에서 가상계좌에 대한 거래가 발생하면(S811a), 먼저 제휴은행에서는 고객으로부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통합촬영장치(200a)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입력시키고(S811b), 이를 등록된 지문 또는/및 지정맥과 일치될 경우(S811c)에 제휴은행에서는 상기 가상 계좌와 연계된 대표계좌를 갖는 제휴기관 및 가상계좌의 유효성을 차례로 검 증(S811, S812)하여 거래가능여부(정당하게 제휴된 기관인지 혹은 정당하게 부여 및 등록된 가상계좌인지)를 검증( S813)한 후, 상기 가상계좌를 통해 요청된 거래를 직접 처리(S814)한다.
그리고 가상계좌를 통해 요청된 거래 내용을 판단(S815)하여, 해당 거래가 입금 또는 출금 거래에 해당하는 내용이면 상기 가상계좌의 모계좌인 대표계좌에서 입 금 또는 출금 거래를 처리(S816)한다. 이 후, 그 거래정보 처리결과를 자신이 관리하는 대표계좌 데이터 베이스에 기 록(S817)한 후 해당 제휴기관에 상기 거래정보 처리결과를 통지(S818)한다. 이에 따라 거래정보 처리결과를 접수(S8 19)받은 제휴기관에서는 해당 거래정보를 처리(S820)한 후, 그 거래정보 처리결과를 다시 제휴은행으로 통지(S821) 한다.
제휴은행에서는 상기 제휴기관에서의 처리결과를 접수(S822)하여 처음에 가상계좌를 통해 거래 요청된 사용처 의 고객에게 상기 제휴기관 및 제휴은행에서의 처리결과를 통지(S823)한다.
이때에도, 상기 제휴은행에서의 대표계좌 입출금 처리단계는, 제휴기관과의 사전 계약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매 거래시마다 실시간으로 입출금 처리할 수 있으며, 거래 건수별로 또는 특정 운기간 동안의 한도를 설정한 후 마감시 일괄처리하여 입출금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자금집계가 필요한 제휴기관이란 건설사, 유통점, 정유사 등을 들 수 있으며, 일 예로 건설사에서 대표계좌를 개설한 다음, 아파트 분양을 받은 고객에게 건설사가 인식할 수 있는 가상계좌(예를 들어 각 고객에게 분양된 아파트 의 동, 호수 정보가 부가된 고유한 가상계좌)가 수록된 카드를 발급하여 교부한 다음 분양대금 수납시 전국은행 업 점 또는 자동 입출금기 또는 각종 전자금융채널에서 가상계좌를 이용한 자금수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상계좌는 회원 신규 또는 요청시 제휴기관에서 제휴은행의 컴퓨터로 실시간 전송하여 건별로 가상계좌를 채 번하거나, 가상계좌를 필요한 만큼 일괄 채번하여 제휴기관에서 관리하고, 회원 신규 또는 요청시 자체적으로 채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 가상계좌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으로는, 제휴은행 및 제휴기관, 전국 은행권의 타행 창구, 자동화기기(CD/ATM), PC 뱅킹, 인터넷 뱅킹, 폰 뱅킹 등을 들 수 있으며, 회원 외에 기타 판매사업이 있 는 경우 업소(업사원 포함) 또는 대리점에 가상계좌를 부여하여 자금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 가상계좌의 금융거래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입체 촬영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특히 손가락지문과 지정맥을 통합하여 동시에 인증함으로써, 극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국가정보원 및 금융거래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창안된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입체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이용한 보안인증수단'과 동일한 의미이고, 이의 구조나 기능이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지정맥과 손가락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2개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인증장치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지정맥 이미지센서와 손가락지문 이미지센서가 촬영하는 동일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a)과 손가락측면(b)을 나타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인증장치를 이용한 인증방법의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문과 지정맥을 촬영할 수 있는 통합촬영인증장치(200a)으로서, 오브젝트 수용부(201)는 상하로 손가락 안착부를 형성하는 스캔패널상부케이스(201a) 및 이의 전장부를 수용하는 스캔패널하부케이스(201b)로 구성되며, 상기 스캔패널상부케이스(201a)의 상부에는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지문과 지정맥의 동시 촬영하는 스캔패널(250)이 설치되고, 상기 스캔패널(250)은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와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가 전후로 단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캔패널(250)의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홈측벽(251)으로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주위로 손가락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손가락안착부(252)가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와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의 혈류 흐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75)가 스캔패널(250)의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에 대향하여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의 전방으로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을 착지시킬경우 손가락의 온도 및 혈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 및 흐름에 의하여 지정맥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면에는 지정맥을 더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측면발신부(260a)를 수용하는 적외선측면발신부케이스(260)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캔패널하부케이스(201b)는 전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손가락안착테두리(253)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오브젝트를 이 스캔 패널(250) 위에 대어 지정맥 인증을 개시하며, 상기 장치에 의한 지정맥 인증이 개시되면, 적외선 광원부(240, 241)가 손가락 오브젝트를 향해서 하부 및 측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하부의 지정맥 이미지센서(230)는 오브젝트 수용부(201) 안에 내장되어 설치되며, 스캔 패널(250)을 향해 하부에서 오브젝트의 지정맥을 촬영한다.
또한, 측부의 지정맥 이미지센서(231)는 적외선측면발신부케이스(260) 안에 내장되어 설치되며, 스캔 패널(250)을 향해 측부에서 오브젝트의 지정맥을 촬영한다.
그리고, 지문인식부에서는 지문인식모듈(250aa)을 형성하여 지문의 접촉에 의하여 지문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모듈(250aa)은 다층의 박판구조로 되어 있고, 지문인증모듈의 상층부에 지문인식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온도 및 혈류 감지인증층이 형성되어 인체의 온도 및 혈류를 감지한 후에 이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2개의 손가락 지문과 지정맥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및 기술적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게 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문과 지정맥을 촬영할 수 있는 통합촬영인증장치(200a)로서, 오브젝트 수용부(201)는 상하로 손가락 안착부를 형성하는 스캔패널상부케이스(201a) 및 이의 전장부를 수용하는 스캔패널하부케이스(201b)로 구성되며, 상기 스캔패널상부케이스(201a)의 상부에는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2개 손가락의 지문과 지정맥의 동시 촬영하는 2개의 스캔패널(250n)(250r)이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스캔패널(250n)(250r)은 지문손가락접촉부(250an)(250ar)와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n)(250br)가 전후로 단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느 한쪽의 스캔패널(250n)의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n)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홈측벽(251)으로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주위로 손가락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손가락안착부(252)가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와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의 혈류 흐름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75)가 스캔패널(250)의 지문손가락접촉부(250an)에 대향하여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n)의 전방으로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을 착지시킬 경우 손가락의 온도 또는 혈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 또는 흐름에 의하여 지정맥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스캔패널의 지문손가락접촉부(250aa)(250ab)의 하부에 손가락의 혈류 흐름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05a)(205b)가 형성되거나 상기 지문인증모듈(250aa)(250ab)의 어느 하나의 층에 손가락의 혈류 흐름 또는 온도를 인증하는 박판층을 형성하여, 생체가 동시에 인증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의 작동이 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온도센서(275) 대신에 지문인식모듈(250an)(250ar)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다층의 박판구조로 되어 있고, 지문인증모듈의 상층부에 지문인식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온도 및 혈류 감지인증층이 형성되어 인체의 온도 및 혈류를 감지한 후에 이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면에는 지정맥을 더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측면발신부(260a)를 수용하는 적외선측면발신부케이스(260)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 오브젝트를 이 스캔 패널(250n)(250r) 위에 대어 지정맥 인증을 개시하며, 상기 장치에 의한 지정맥 인증이 개시되면, 좌우측면에서 적외선 광원부(241)(243)와 하부측에서 적외선 광원부(240)(244)가 손가락 오브젝트를 향해서 적외선을 조사한다.
그리고 이들의 좌우측 이미지센서(231)(232)와 하측 이미지센서(230)(233)가 각각 조사된 손가락의 지정맥을 촬영하게 된다.
상기 스캔패널하부케이스(201b)는 전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손가락안착테두리(253)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오브젝트를 이 스캔 패널(250n)(250r) 위에 대어 지문과 지정맥 인증을 개시하며, 상기 장치에 의한 지문과 지정맥 인증이 개시되면, 적외선 광원부(240)(244)가 손가락 오브젝트를 향해서 적외선을 조사한다.
이의 정확도를 위하여 좌우측에 형성된 적외선 광원부(241)(243)가 손가락 오브젝트를 향해서 적외선을 조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거의 동시에 지문인증모듈(250an)(250ar)이 동일한 오브젝트 수용부(201) 안에 설치되어 오브젝트의 손가락지문을 인증한다.
여기서, 다면 입체촬영장치로 표현하였는바, 촬영상태의 각면을 살펴보면 지정맥에 관한 하부의 2개와 측부의 2개, 지문에 관한 인식 자체로서 2개로 보면 6D촬영장치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는 손가락의 지정맥과 손가락지문을 동시에 촬영하여 둘 다 생체정보로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지문이나 지정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촬영했을 때보다 오차범위를 최대 제곱 분의 일로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 예에 따른 지정맥 촬영 인증장치(200a)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이다.
통합촬영인증장치(200a)는 적외선광원부(240), 지정맥이미지센서(230), 손가락지문이미지센서(220), 디지털 변환부(290), 복호화 알고리즘부(260), 남여식별처리부(265),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270) 및 표시부(280)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원부, 통신부 및 다양한 I/O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부(240)는 오브젝트 수용부를 향하여 적외선 광을 조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정맥 이미지를 촬상하기 적합한 630~1,000nm 파장의 적외선광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광학필터가 설치되어 광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가시선 광원부(242)는 오브젝트 수용부를 향하여 가시광선을 조사한다. 손가락 표면의 손가락지문을 촬영하기 적합한 파장의 자외선광을 방출하는 것으로써,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오브젝트 수용부를 향해 적외선광과 가시선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광원부(240)와 가시선광원부(242)가 각각 하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광원부(240)와 가시선 광원부(242)를 오브젝트 수용부(101) 안에 여러 개 설치하여 오브젝트에 골고루 적외선과 가시선이 도달하도록 하여 이미지 획득에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지정맥이미지센서(230)(231)는 하부 및 측부에서 1 개의 손가락 오브젝트 대한 지정맥 이미지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지정맥이미지센서(230)는 하나의 손가락 오브젝트 대한 지문면과 측면의 지정맥 이미지를 획득한다.
도 12(a),(b)에 나타난 것처럼, 한 손가락의 안쪽 표면과 측면에서 각각 적외선을 촬영하는 각도이다.
미설명부호 1a는 손가락마디 사이의 지정맥의 부분이고, 1b는 손가락의 마디, 1c는 지문 부분을 가리킨다.
손가락 오브젝트의 정면 이미지 촬영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이 스캔패널에 닿도록 올려놓고 촬영하고, 지정맥이미지센서(230)(231)(232)(233)의 수에 따라 측면 이미지 촬영시 손가락을 그대로 옆으로 90도로 측면이 스캔패널에 닿도록 한다.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과 측면의 촬영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디지털 변환부(290)는 상기 지정맥 이미지와 손가락지문 이미지를 모두 받아들여 지정맥과 손가락지문이미지로 추출해낸다. 디지털 변환부(290)에 의해서 본 발명은 손가락에 대한 지정맥과 손가락지문 이미지 파일을 얻는다.
제어부(210)는 디지털 변환부(290)에서 변환된 이미지 파일들이 매칭알고리즘부(26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남여식별처리부(265)는 상기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 인증시에 남자정보는 "1", 여자정보는 "2"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270)에는 사전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보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 예에 있어서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270)는 인증장치(200) 내부 메모리에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소(270)는 장치 외부의 저장소에 위치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270)는 외부로부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 공격이나 도난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암호프로세서(Crypto-processor)를 사용할 수 있다.
매칭 알고리즘부(260)는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27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획득한 후, 디지털 변환부(290)에서 획득한 사용자 생체정보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하는 경우 표시부(280)를 통해서 성공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복호화 실패시에는 표시부(280)에 인증 실패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인증장치(200a)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지정맥 이미지 획득, 처리, 인증 연산 및 인증결과를 판단한다. 획득한 지정맥 이미지의 처리와 연산에 관련해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캐니 모서리 감지(Canny edge det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가우스 필터(Gaussian Filter)를 적용하여 원본 이미지의 노이즈를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미지 그레디언트(Image Gradient)를 통해서 이미지를 모서리화한다. 즉 이미지의 스케치 선을 추출한다. Non-maximum Supression을 적용하여 모서리(스케치선)을 얇게 만드는 작업을 실시하고, 이중 한계점(Double Threshold)를 적용하여 진한 모서리는 확실한 모서리로 분류하고, 희미한 모서리는 노이즈로 간주하여 약한 모서리로 분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약한 모서리들을 삭제하고, 확실한 모서리만 남기고, 최종적으로 지정맥의 모서리화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인증장치의 인증 프로세스 실시 예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 중인 상태의 인증 장치의 오브젝트 수용부에 인증대상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위치시킨다. 이때 인증방법은 한 개의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과 지정맥을 하부 또는/및 측면을 촬영하는 방법이다.
하나의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인증하는 실시 예의 경우, 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과 측면에 대한 적외선, 가시선 촬영(S200)과 지정맥, 손가락지문 촬영(S210)이 S210이 번갈아가면서 총 2~3번 실시된다.
즉, 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에 대하여 S200, S210이 실행된 후 동일한 손가락의 측면에 대하여 S200, S210이 실행된다. 이렇게 촬영된 지정맥과 손가락지문 이미지들은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된다.
또한, S215단계에서는 남녀식별처리부(265)에서 남녀 고객정보를 등록시에 남자는 "1", 여자는 "2"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이러한 고객정보는 고객클라이언트나 가맹점클라이언트에서 등록하고, 이를 판별하는 수순으로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오인식확률을 1/2로 줄여들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객 정보는 고객 클라이언트가 지문 또는/및 지정맥 결제 앱(202)을 활성화시켜서 회원으로 등록하는 경우에 입력된 고객의 회원 정보 예를 들어, 이름, 남녀, 인증된 휴대폰 번호 등의 연락처, 비밀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촬영된 지문과 지정맥 이미지를 추출하는데 (S220), 이때 도 12(a)(b)와 같이 손가락지문 이미지에서 추출된 손가락 지문과, 두 개의 마디 주름 사이를 지정맥 이미지 추출 영역으로 사용하며, 전술한 캐니 모서리 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맥의 모서리화된 이미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S225단계에서는 남녀식별처리부(265)에서 등록된 남녀 고객정보를 남자는 "1", 여자는 "2"로 구분하여 정보를 판별한다.
그런 다음에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지금” 획득되어 이미지 처리된 손가락의 지문과 지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시 지문과 지정맥 인증의 성공이 판별되고, 실패시 인증실패로 판단된다.
인증결과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다. 그것은 음성을 동반한 결과표시일 수도 있다.
다음은 2개의 손가락을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대기 중인 상태의 인증 장치의 오브젝트 수용부에 인증대상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위치시킨다. 이때 인증방법은 두 개의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과 지정맥을 하부 또는/및 측면을 촬영하는 방법이다.
두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인증하는 실시 예의 경우, 두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과 하부 또는 측면에 대한 적외선 촬영(S200)과 지정맥, 손가락지문 촬영(S210)이 S210이 번갈아가면서 총 2~3번 실시된다.
즉, 두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에 대하여 S200, S210이 실행된 후 동일한 손가락의 측면에 대하여 S200, S210이 실행된다. 이렇게 촬영된 지정맥과 손가락지문 이미지들은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된다.
여기서, 설계에 따라 하부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촬영된 지문과 지정맥 이미지를 추출하는데 (S220), 이때 도 12(a)(b)와 같이 손가락지문 이미지에서 추출된 손가락지문과, 두 개의 마디 주름 사이를 지정맥 이미지 추출 영역으로 사용하며, 전술한 캐니 모서리 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정맥의 모서리화된 이미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지금” 획득되어 이미지 처리된 손가락의 지문과 지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시 지문과 지정맥 인증의 성공이 판별되고, 실패시 인증실패로 판단된다.
인증결과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다. 그것은 음성을 동반한 결과표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증장치는 예컨대 손가락의 지문이미지와 지정맥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하여 인증함으로써 오인식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지문과 지정맥을 인식한 이미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2개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 및 지정맥의 이미지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지문1과 지문2 및 지정맥1과 지정맥2가 조합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 매트릭스표이다.
여기서는 지문 및 지정맥의 이미지를 최소한 복수로 할 수 있는 경우가 6가지의 경우로 나타난다.
즉, 1) 지문1(250an)과 지문2(250ar), 2) 지정맥1(250bn)과 지정맥2(250br), 3) 지문1(250an)과 지정맥1(250bn), 4) 지문2(250ar)와 지정맥2(250br), 5) 지문1(250an)과 지정맥2(250br), 6) 지문2(250ar)와 지정맥1(250bn)이 되는 것이고, 이들을 더욱더 복합적으로 할 수 있으나, 2가지만의 조합으로도 지구상의 인구수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과 같이 오인식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남자와 여자를 구분 등록하여, 이를 판별토록 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경우에는 이의 오차확률이 1/2로 줄어들고, 이의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 역시 구분하여 저장하게 되면, 용량의 간편성 및 속도의 신속성 또한 배가 될 것이다.
지정맥의 경우는 더욱더 오차확률이 1억 이상이 되어 이와 조합이 될 경우에는 지구 인구의 수와 대비할 수 없는 것이 되어, 현실적으로 동일한 2개의 지문은 있을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통합모듈은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질 수 있다.
도 16은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지문과 지정맥을 등록요청하는 플로챠트이고, 도 18은 지문과 지정맥을 인증요청하는 플로챠트이고, 도 19는 지문과 지정맥을 삭제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상기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동시에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U1)은 지문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지문모듈(U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문모듈(U2)의 GND 1번 라인은 (-)전압 회로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RX 2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수신 포트로서, 지문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TX 3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송신 포트로서, 지문 모듈 상태를 읽어 오는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시리얼통신(여기서는 실시예로서 232통신을 적용하였다)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232통신이란 시리얼통신 규격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은 지정맥모듈(U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정맥모듈(U3)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적외선 LED로 손가락을 투과 후 카메라 이미지센서에서 정맥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시리얼통신(여기서는 실시예로서 485통신을 적용하였다)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485통신이란 시리얼 통신 규격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은 485-232통신의 변환모듈(U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변환모듈(U4) 좌측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정맥모듈에서 출력되는 485통신을 입력받아 232통신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모듈(U4)우측의 DI 5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로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하며, RE 6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 하는 기능을 하며, DE 7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 하는 기능을 하며, RO 8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명령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통합모듈(U1)과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문 및 지정맥 입력 및 USB출력 통합모듈(U1)을 설명한다.
상기 통합모듈(U1)의 D1/TX 1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컴퓨터로 데이터 송신 기능을 하며, D0/RX 2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로서, 컴퓨터에서 데이터 수신 기능을 하며, GND 4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D2 5번 라인은 지문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송신라인으로서, 지문 모듈로 명령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하며, D3 6번 라인은 지문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수신라인으로서, 지문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D8 11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송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9 12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10 13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11 14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수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의 상태를 읽어 오는 기능을 하며, 5V 27번 라인은 (+)전압 5V출력 PIN으로서, 지문모듈(U2), 지정맥모듈(U3), 485통신 변환모듈(U4)의 5V전압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GND 29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VIN 30번 라인은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지문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와,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저정맥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를 변환모듈(U4)에서 232통신으로 변환하여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 중 어느 하나를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 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사건 발명의 지문 및 지정맥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int getfingerauthorization(int fingerprintcode,int fingerveincode)
{
if( fingerprintcode>0 && fingerveincode>0 && fingerprintcode==fingerveincode) )
{
return fingerprintcode;
}
return 0;
}
상기 알고리즘은 통합모듈(U1)에서 지문 인증코드와 지정맥 인증코드를 입력받아서 지문과 저정맥이 동일한 사람의 것인 경우에만 인증코드를 허용하는 알고리즘이다.
좀 더 상세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지문을 검색하여 해당지문과 일치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 해당 사람의 코드번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지정맥을 검색하여 해당지정맥과 일치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 해당 사람의 코드번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문모듈(U2)의 지문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의 지정맥코드를 위의 알고리즘의 함수명 getfingerauthorization의 인수인 fingerprintcode와 fingerveincode로 각각 입력받아서 두 개의 인수값이 모두 유효하고 또한 두 개의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가 일치할 때 비로소 지문과 지정맥 통합 모듈에서 해당사람의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
그 외 지문코드와 지정맥코드가 유효하지 않을 때나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에러코드인 0을 출력한다.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의 자체 보관의 인식기나 은행에서 등록이나 인증 및 삭제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7 내지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문 및 지정맥을 등록하는 단계로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요청을 한다(S311).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요청이 있을 경우에 등록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인식기에 1차 스캔을 한다(S312).
다음에 다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1차 등록 후 등록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인식기에 2차 스캔을 한다(S313).
다음에 또 다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1차 등록 후 등록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인식기에 3차 스캔을 한다(S314).
이와 같은 3차례의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의 등록은 이들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3회 스캔 이미지가 모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15).
상기와 같이 3차례의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의 등록이 3회 스캔 이미지가 모두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시작하고, 모두 일치할 경우에는 등록을 완료시킨다(S316).
이러한 과정을 3차례 실시하여 정확한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를 등록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의 등록을 인증하는 단계로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인증요청을 한다(S321).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 당사자의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를 스캔한다(S322).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된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스캔한 이미지를 비교한다(S323).
이와 같은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스캔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24).
상기와 같이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의 스캔 이미지가 모두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시작하고, 모두 일치할 경우에는 인증을 완료시킨다(S325).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의 등록을 삭제하는 단계로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삭제요청을 한다(S331).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 삭제할 당사자의 코드를 입력한다(S332).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할 코드의 이미지를 삭제여부를 판단한다(S333).
이와 같은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스캔한 이미지를 삭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시작하고, 삭제할 경우에는 인증을 완료시킨다(S334).
상기와 같이, 지문 및 지정맥의 자체 보관의 인식기나 은행에서 등록이나 인증 및 삭제하는 방법으로 운영하게 되면,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도가 한층 더 높아지게 되고, 그 운용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
110 : 가상계좌 관리모듈
120 : 금융업무 중계모듈
10 : 금융 결제원
20 : 제휴은행 컴퓨터
30 : 제휴기관 컴퓨터
21 : 제휴은행 대표계좌 DB
31 : 제휴기관 대표계좌 DB
40 : 정보 통신망
41 : 자동 입출금기(ATM)
42 : 전자금융채널
43 : 제휴금융기관
50 : 타은행
200a : 통합촬영인증장치
201 : 오브젝트수용부
201a : 스캔패널상부케이스
201b : 스캔패널하부케이스
220, 230, 231 : 이미지센서
240, 241 : 적외선 광원부
250 : 스캔패널
250a : 지문손가락접촉부
250b :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
260a : 적외선측면발신부
260 : 적외선측면발신부케이스

Claims (7)

  1. 제휴은행 및 제휴기관의 각 컴퓨터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된 가상계좌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휴은행과 제휴기관 사이의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휴은행에 개설된 대표 계좌를 모계좌로 하고 상기 모계좌와 상기 제휴기관에 개설된 고객 실계좌간의 금융거래를 연결하는 인식번호(Identification number)로서 다수의 가상 계좌를 상기 제휴은행 컴퓨터에 개설 요청할 시에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에 의하여 고객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입력한 후, 제휴은행의 컴퓨터로부터 가상계좌를 교부받아 등록 및 관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등록된 다수의 가상계좌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금융거래요청이 임의의 사용처로부터 발생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가상계좌의 유효성 및 상기 요청된 금융 거래의 가능여부를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에 의하여 고객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입력케 한 후, 등록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함과 동시에 그 가상계좌를 이용한 실거래 처리를 상기 제휴 은행의 컴퓨터로 요청하고, 상기 검증 및 실거래 처리 결과를 통보받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휴은행을 통해 얻은 검증 및 거래처리결과를 상기 제휴기관으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계좌를 통해 요청된 거래 정보의 처리를 상기 제휴기관에 요청하고, 그 처리결과를 통보받는 단계와 상기 제휴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거래정보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처로 통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 2단계와;
    상기 대표 계좌 하나에 매칭되는 다수의 가상계좌로 다수의 상기 제휴기관 고객이 입금거래를 하는 경우 제휴기관의 자금집금, 정산, 회계관리의 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입금정보를 상기 제휴기관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은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모듈(U1)로서 지문스캔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이고, 상기 통합모듈(U1)의 D1/TX 1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이고, D0/RX 2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이며, GND 4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D2 5번 라인은 지문스캔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송신라인이며, D3 6번 라인은 지문스캔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수신라인이고, D8 11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송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9 12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이고, D10 13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이며, D11 14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수신포트이고, 5V 27번 라인은 (+)전압 5V출력 PIN이며, GND 29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VIN 30번 라인은 (+)전압 기준이 되며, 상기 지문스캔모듈(U2)의 GND 1번 라인은 (-)전압 회로이고, RX 2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수신 포트이며, TX 3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송신 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이며, 이들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232통신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정맥모듈(U3)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이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이고, 상기 변환모듈(U4) 좌측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이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압 기준이며, 상기 지정맥모듈(U3)과 연동된 변환모듈(U4) 우측의 DI 5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이고, RE 6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이며, DE 7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이고, RO 8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통합모듈(U1)과 연동하게 되어,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 중 어느 하나를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 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는 지문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는 지정맥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지문인증코드와 지정맥인증코드에 대한 알고리즘의 함수명 getfingerauthorization의 인수인 fingerprintcode와 fingerveincode로 각각 입력받아서 두 개의 인수값이 모두 유효하고 또한 두 개의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가 일치할 때 지문과 지정맥의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 모듈에서 해당사람의 코드를 출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6. 제휴 은행 및 제휴기관의 각 컴퓨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제휴 은행과 제휴 기관 사이의 금융업무를 중계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휴 은행에 개설된 대표 계좌를 모계좌로 하고 상기 모계좌와 제휴기관에 개설된 고객 실계좌와 금융거래를 연결하는 인식번호(Identification number)로서 다수의 가상 계좌를 제휴 은행에 개설 요청할 시에 구비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과, 제휴 은행의 컴퓨터로 부터 가상계좌를 교부받아 가상계좌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가상계좌를 등록 및 관리하는 가상계좌 관리모듈 및 상기 가상계좌 관리모듈에 등록된 가상계좌를 이용하는 금융거래요청이 임의의 사용처로부터 발생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가상계좌의 유효성 및 상기 요청된 금융 거래의 가능여부를 검증할 시에 구비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과, 그 검증결과에 따라 상기 제휴은행의 대표계좌에 금융거래를 처리요청하고, 그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처로 통보하고, 상기 대표계좌 하나에 매칭되는 다수 의 가상계좌로 다수의 상기 제휴기관 고객이 입금거래를 하는 경우 제휴기관의 자금집금, 정산, 회계관리 정보로 이 용할 수 있도록 입금정보를 상기 제휴기관 컴퓨터로 전송하는 금융거래 중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은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모듈(U1)로서 지문스캔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이고, 상기 통합모듈(U1)의 D1/TX 1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이고, D0/RX 2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이며, GND 4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D2 5번 라인은 지문스캔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송신라인이며, D3 6번 라인은 지문스캔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수신라인이고, D8 11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송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9 12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이고, D10 13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이며, D11 14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수신포트이고, 5V 27번 라인은 (+)전압 5V출력 PIN이며, GND 29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VIN 30번 라인은 (+)전압 기준이 되며, 상기 지문스캔모듈(U2)의 GND 1번 라인은 (-)전압 회로이고, RX 2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수신 포트이며, TX 3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송신 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이며, 이들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232통신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정맥모듈(U3)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이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이고, 상기 변환모듈(U4) 좌측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이고,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이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이고, VCC 4번 라인은 (+)전압 기준이며, 상기 지정맥모듈(U3)과 연동된 변환모듈(U4) 우측의 DI 5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이고, RE 6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이며, DE 7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이고, RO 8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통합모듈(U1)과 연동하게 되어,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 중 어느 하나를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 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보안인증수단은 손가락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손가락안착부(252)가 지문인증모듈(250aa)이 형성된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와 평형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스캔패널(250)에 형성된 지문손가락접촉부(250a)와 지정맥손가락비접촉부(250b)가 나란히 2개의 손가락을 인증할 수 있도록 2줄로 형성하고, 상기 보안인증수단은 1) 지문1(250an)과 지문2(250ar), 2) 지정맥1(250bn)과 지정맥2(250br), 3) 지문1(250an)과 지정맥1(250bn), 4) 지문2(250ar)와 지정맥2(250br), 5) 지문1(250an)과 지정맥2(250br), 6) 지문2(250ar)와 지정맥1(250bn)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되어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시스템
KR1020170073715A 2017-06-13 2017-06-13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81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15A KR101814168B1 (ko) 2017-06-13 2017-06-13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15A KR101814168B1 (ko) 2017-06-13 2017-06-13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056A Division KR102240424B1 (ko) 2017-12-11 2017-12-11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168B1 true KR101814168B1 (ko) 2018-01-03

Family

ID=6100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15A KR101814168B1 (ko) 2017-06-13 2017-06-13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207A (ko) * 2018-12-17 2020-06-2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99B1 (ko) * 2000-01-06 2004-11-16 게이트뱅크 주식회사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720957B1 (ko) * 2016-10-05 2017-03-30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다면 입체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99B1 (ko) * 2000-01-06 2004-11-16 게이트뱅크 주식회사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720957B1 (ko) * 2016-10-05 2017-03-30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다면 입체 촬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207A (ko) * 2018-12-17 2020-06-2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KR102178074B1 (ko) * 2018-12-17 2020-11-13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268B1 (ko) 보안 및 해킹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101977131B1 (ko) 서브인증을 통한 맞춤형 금융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14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transaction
US20230177508A1 (en) Contactless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WO2018097382A1 (ko) 무인 금융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 금융거래 방법
KR101837369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단말기의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14168B1 (ko)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2178074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KR101837368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52155B1 (ko)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US11954668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system for authenticating a user device
KR101792025B1 (ko) 홍채와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803396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방법
TW202038163A (zh) 共享自動化設備現金存提款服務系統
CN110136304A (zh) 支持全证件无门卡酒店入住登记自助机
KR20190041382A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단말기의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46290B1 (ko) 분리형 단말기를 연계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240424B1 (ko) 보안인증수단을 이용한 가상계좌의 금융업무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2231785B1 (ko) 양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가상화폐거래의 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화폐거래방법
KR101852156B1 (ko) 변환장치에 의한 해킹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101875200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단말기의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73286B1 (ko) 지문 알고리즘과 연계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의 통합모듈에 의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87575B1 (ko) 광고와 연계된 다중안전 잠금기능을 갖는 유무선 통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1830057B1 (ko) 이체 사실확인 및 전화번호와 매칭된 이체계좌에 의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988400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은행 통장 개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