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55B1 -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55B1
KR101852155B1 KR1020170117687A KR20170117687A KR101852155B1 KR 101852155 B1 KR101852155 B1 KR 101852155B1 KR 1020170117687 A KR1020170117687 A KR 1020170117687A KR 20170117687 A KR20170117687 A KR 20170117687A KR 101852155 B1 KR101852155 B1 KR 10185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nformation
authentication
financial transa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호
송청자
박대진
김우겸
나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Priority to KR102017011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8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the card verification value [CVV] associated with the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06Q20/425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using two different networks, one for transaction and one for security confi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우선, 스마트 폰을 온하고, 모바일 ‘올아이티탑 앱’을 로그인하는 단계(S1301); 그 다음에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을 요청하는 화면요청단계(S1302); 이 때, 약관동의 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약관동의 화면표출단계(S1303); 그리고, 약관에 동의여부를 책크하는 동의여부책크단계(S1304); 또한, 본인 인증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본인인증화면 표출단계(S1305); 그리고, 본인의 성명(S1306a), 주민등록번호(S1306b), 핸드폰번호(S1306c)를 입력하는 주요부사항 입력단계(S1306); 다음은 본인인증을 위하여 핸드폰에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로 인증하는 본인인증단계(S130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SYSTEM FOR RELAYING FINANCIAL TRANSACTION WITH MULTIPLE SAFETY FUNC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지문 인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 비밀번호 인증을 이용한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온라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내 특허등록 제10-1543222호(명칭 :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의 신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사용과 무선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은행 업무, 전자 상거래 처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모바일 기기는 신용카드를 대신하여 은행 업무, 전자 상거래 등의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은행에서 발급되는 칩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는 칩을 내장하여 전용 단말기가 설치된 편의점, 및 매장에서 비용 결제에 이용하고 있으나, 결제 가능한 비용에 제한이 있고, 전용 단말기가 없는 곳에서는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칩으로는 계좌 이체나, 일반 상거래 시, 비용 결제를 즉각 처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은행과의 전자 금융 거래에서 개인 신상 정보 또는 비밀번호 등의 누설과 도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개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인 인증서와 비밀번호 등으로 개인의 금융 거래를 보호하고 있으나, 이는 은행의 보안 기술 만을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 실수로 인한 개인 피해 발생을 은행이 방지하거나 보호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도 1에서 3과 같은 발명을 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지문 인식을 포함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은행 거래, 전자 상거래를 무인증 접속 방식으로 중계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지문 인식, 계좌 비밀번호 인증 및 전화번호 인증을 통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들 간에 금융 거래 시, 지문 인증으로 무인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통신망(4, 6)과,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과,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포함한다.
통신망(4, 6)은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비되어,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들 그리고 고객 단말기(200)와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들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는 단일 또는 복합의 통신망으로 구비된다.
고객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웹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통해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과의 금융 거래를 수행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 인식기(210)를 구비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 인식기(210)로부터 획득된 지문 정보를 통신망(4)을 통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제공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통신망(4)을 통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회원으로 등록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200)는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지문 정보와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계좌 비밀번호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등록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회원 등록 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지문 정보, 전화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다중으로 인증된다. 또 고객 단말기(200)는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과의 금융 거래를 위하여, 지문 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제공한다.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은 제휴 은행에 구비되어, 온라인으로 처리되는 은행 업무 예를 들어, 입출금, 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처리한다.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은 금융 거래 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통해 고객 단말기(200)가 무인증으로 접속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은 예를 들어, 백화점, 할인점 등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항공, 철도 등의 여객 운송 예약 시스템, 콘도, 호텔 등의 숙박 예약 시스템, 영화, 연극, 음악회 등의 문화 공연 예약 시스템, 레저 예약 시스템 등으로 구비되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통하여 전자 상거래 이용 시, 고객 단말기(200)가 무인증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가 회원 가입 시,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을 통해 회원으로 등록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과의 금융 거래 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인증 처리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으로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 시, 지문 인증을 통해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개인 금융 거래를 위한 퍼스널 포털 사이트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2)와, 통신부(104)와,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형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장치, 입출력 장치 및 저장 장치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02)는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제어부(102)는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또는, 웹서버 등과 같은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2)는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와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 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으로 무인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을 처리한다.
통신부(104)는 통신망(4, 6)을 통해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들을 연결하여,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고객 단말기(200)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연결한다.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은 예컨대, 미들웨어로 구비되며, 고객 단말기(200)의 개인 인증 기능과 해킹 차단을 위한 방화벽 기능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은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데이터베이스(120)에 기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지문 인식 처리부(112)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고객 단말기(200)의 계좌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계좌 비밀번호 처리부(114) 및, 고객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전화번호 인증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20)는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의 처리 과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지만,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20)는 회원 정보(122)와, 지문 정보(124) 및 금융 정보(126)를 저장한다. 회원 정보(122)는 고객 단말기(200)들 각각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회원으로 등록할 때, 입력된 정보 즉, 고객 단말기(200)들의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한다. 회원 정보(122)는 지문 정보(124)와 금융 정보(126)들과 상호 매칭된다.
지문 정보(124)는 고객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회원으로 등록 시, 고객 단말기(200)의 지문 인식기(210)로부터 획득된 지문 정보를 전송받아서 저장한다. 그리고 금융 정보(126)는 고객 단말기(200)의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통장 계좌의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은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저장 장치(미도시됨)에 저장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통신망(4, 6)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와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들 간에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상호 연동되어 처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단계 S15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52에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200)는 성명, 아이디,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회원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 S154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 인식기(210)를 통하여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문 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에 대응하여 지문 정보를 등록한다. 이 때,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지문 정보(124)를 저장한다.
단계 S156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기(200)를 인증한다. 단계 S158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등록한다. 등록된 계좌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금융 정보(126)에 저장된다.
단계 S160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지문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 비밀번호 등록을 매칭시켜서 고객 단말기(200)를 회원으로 등록한다.
단계 S162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 절차를 처리하면, 단계 S164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서 지문 인증을 처리한다.
단계 S166에서 입력된 지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지문 정보(124)와 일치하면, 단계 S168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인 금융거래중계서버내의 고객 단말기(200)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상기 휴대용 컴퓨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는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중계서버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유적인 개인금융거래 중계서버를 구축할 경우, 이의 데이터를 도난당할 경우 개인신상의 문제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영업적으로 은행에서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에서 결제단말기에 생체정보 결제수단에 의하여 결제시에도 상기와 같은 개념의 개인금융거래 중계서버를 공유적으로 한꺼번에 생체정보를 보유하여 운영하기보다는 금융보안을 위하여 고객 본인만이 지정하는 컴퓨터(본인의 것 또는 타인 불문한다)에 생체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오프라인-결제단말기에서 생체정보 결제시 저장된 생체정보와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될 경우에 승인되게 하여 은행에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구나, 신용카드를 내장한 스마트 폰에서의 결제에 있어서도 단순히 카드 자체의 정보를 이용한 결제보다는 스마트 폰이 가지고 있는 전화번호를 연동하여 거래 통장을 지정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에 의하면 간편하고도 보안이 확실한 결제방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4035호(공개일 2014년 08월 11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5816호(공개일 2012년 11월 19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4282호(공개일 2011년 10월 19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7486호(공개일 2006년 08월 02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킹을 피할 수 있는 개인용 장치이어야 함을 인식하여 컴퓨터 마우스 내에 중계서버를 구축하는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결제단말기에 의한 생체정보 결제시에 생체정보를 컴퓨터 본체에 보관하고, 저장된 생체정보와 오프라인-결제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가 일치될 경우 금융거래를 승인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구나, 신용카드를 내장한 스마트 폰에서의 결제에 있어서도 저장된 전화번호를 연동하여 거래 통장을 지정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에 의하면 간편하고도 보안이 확실한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지문 인식을 이용한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문 인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 번호 인증을 이용한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나 금융결제시에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증시킬 경우에는 시차를 두고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체인증에 의한 금융보안의 취약점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구나, 지문과 지정맥의 인증에 있어서 시차를 두게 함으로써, 컴퓨터 입력 데이터를 별도로 암호화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컴퓨터 해킹이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문 및 지정맥을 인식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지문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송된 지문 정보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서버를 통해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우선, 스마트 폰을 온하고, 모바일 ‘올아이티탑 앱’을 로그인하는 단계(S1301); 그 다음에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을 요청하는 화면요청단계(S1302); 이 때, 약관동의 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약관동의 화면표출단계(S1303); 그리고, 약관에 동의여부를 책크하는 동의여부책크단계(S1304); 또한, 본인 인증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본인인증화면 표출단계(S1305); 그리고, 본인의 성명(S1306a), 주민등록번호(S1306b), 핸드폰번호(S1306c)를 입력하는 주요부사항 입력단계(S1306); 다음은 본인인증을 위하여 핸드폰에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로 인증하는 본인인증단계(S1307); 그리고, 본인의 핸드폰에 ARS인증 요청하는 ARS인증요청단계(S1308);를 거쳐 본인의 핸드폰에서 ARS인증하는 ARS인증단계(S1309);를 거치게 되면, 간편비밀번호가 생성되는 화면이 표출되는 간편비밀번호 생성화면표출단계(S1310); 그 다음에 결제카드를 등록시키는 화면을 표출시키는 결제카드등록화면표출단계(S1311); 이어서, 결제카드를 스캔하여 등록시키는 카드등록단계(S1312);를 거치거나, 아니면 결제카드의 내용을 직접 입력하여 등록시키는 카드등록단계(S1313); 상기 카드등록단계(S1313)에서 입력사항으로서 카드번호(16자리)(S1314a) 및 유효기간(MM/YY)(S1314b), 그리고 CVC(뒷면 3자리)(S1314c), 카드비밀번호(앞 2자리)(S1314d)를 입력시키는 카드정보입력단계(S1314); 상기와 같이 카드가 등록되면,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은 “카드번호/유효기간/CVC/카드비밀번호”를 해당 카드사에 송신하고, 카드사로부터 고객의 정보 및 고객의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카드정보 및 전화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카드사 등록휴대폰 일치여부판단단계(S1312a);를 거친 후, 카드닉네임을 설정하는 단계(S1315);를 거쳐 최종적으로 카드정보를 DB에 저장하는 카드정보DB저장단계(S1316);를 이루게 되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송된 지문 정보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서버를 통해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우선, 스마트 폰을 온하고, 모바일 ‘올아이티탑 앱’을 로그인하는 단계(S1401); 그 다음에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을 요청하는 화면요청단계(S1402);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이 나타나게 되면, 거래코저하는 거래방법을 선택(송금, 결제 등)하는 단계(S1403); 송금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연결방식에 의하여 송금될 수 있도록 전화송금클릭단계(S1404); 올아이티탑 앱에서 거래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는 전화번호클릭단계(S1405); 또한, 전화번호와 연결된 거래은행통장이 실명으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406); 상기 연결된 은행통장이 잔액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잔액확인단계(S1407); 상기 잔액확인단계(S1407)에서 잔액이 부족할 경우에 기매칭된 은행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계좌번호를 입력하여 그 통장으로부터 잔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잔액충전단계(S1412); 상기 잔액확인결과, 송금액보다 클 경우에 계좌이체를 지정된 수순에 따라 실행하는 계좌이체실행단계(S1407a); 최종적으로 송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제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S1408a),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로 인증처리하는(S1408b) 송금확인완료단계(S1408); 상기 송금확인이 이루어진 후에 결제정보를 DB에 저장하는 결제정보DB저장단계(S1409);를 거쳐 거래처에 송금이 완료되었다는 송금완료안내단계(S1410);로 이루어지되, 다른 송금방법으로서,‘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이 나타나게 되면, 거래코저하는 거래방법을 선택(송금, 결제 등)하는 단계(S1403)에서 타인의 계좌번호로 직접 송금할 수 있도록 계좌번호송금선택단계(S1414); 상기 계좌번호를 선택할 경우에 수신 은행을 선택하고(S1415a), 계좌번호를 입력하며(S1415b), 송금액을 입력하게 되는(S1405c) 송금내역입력단계(S1415);를 거친 후, 결제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S1408a),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로 인증처리하는(S1408b) 송금완료확인단계(S1408); 그리고, 상기 송금확인이 이루어진 후에 결제정보를 DB에 저장하는 결제정보DB저장단계(S1409);를 거쳐 거래처에 송금이 완료되었다는 송금완료안내단계(S1410);로 이루어지면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를 클릭하는 전화번호클릭단계(S1405)를 지나, 전화번호를 클릭한 후에 추가되는 샵((#) 버턴을 누를 경우에 지정 거래통장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샵(#) 버턴 클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는 지문인식으로서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로 형성되며, 그 하측부에는 지정맥인식으로서 빈 손가락촬영홈(2410)을 형성하여 손가락(f)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되, 인증장치부공간에 손가락(f)을 향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 및,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지문스캔모듈 대신에 광학식 인식모듈을 사용하고, 상기 광학식 인식모듈은 이미지센서(2310a)와 적외선발신부(2320a)로 형성되어 지문의 방향으로 적외선이 조사되면서,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의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모듈(U1)은 지문스캔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문스캔모듈(U2)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232 시리얼통신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정맥모듈(U3)은 적외선 LED로 손가락을 투과 후 카메라 이미지센서에서 지정맥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지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485 시리얼통신으로 출력하되, 상기 변환모듈(U4)에서 지정맥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485 시리얼통신을 입력받아 상기 지문모듈(U2)과 같은 232 시리얼통신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 중 어느 하나를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킹을 피할 수 있는 개인용 장치이어야 함을 인식하여 컴퓨터 마우스 내에 중계서버를 구축함으로써 지문 및 지정맥의 저장에 대한 해킹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인의 지정 컴퓨터를 선정하여 개인금융거래 중계서버를 구축할 경우, 이의 데이터를 도난당할 경우 개인 1인에 국한되어 영업적으로 은행에서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극히 제한되고, 특히 오프라인에서 결제단말기에 생체정보 결제수단에 의하여 결제시에도 상기와 같은 개념의 개인금융거래 중계서버를 개별적으로 생체정보를 보유하여 운영하게 되기 때문에 금융보안을 위하여 고객 본인만이 지정하는 컴퓨터(본인의 것 또는 타인 불문한다)에 생체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오프라인-결제단말기에서 생체정보 결제시 저장된 생체정보와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될 경우에 승인되게 하여 은행에서 결제가 이루어짐으로써 보안에 있어서 최선의 방책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신용카드를 내장한 스마트 폰에서의 결제에 있어서도 단순히 카드 자체의 정보를 이용한 결제보다는 스마트 폰이 가지고 있는 전화번호를 연동하여 거래 통장을 지정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에 의하여 간편하고도 보안이 확실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의 지문 정보, 전화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를 매칭시켜서 회원으로 등록하고, 고객 단말기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면, 고객 단말기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인증 처리함으로써, 온라인 은행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한 번의 회원 가입으로 고객 단말기의 지문 정보, 전화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를 등록함으로써, 금융 거래에 따른 안전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번거롭게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어서 금융 거래에 대한 새로운 변화의 경제적인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온라인 은행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가 가능하므로, I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금융 거래를 사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하다.
그리고, 전자상거래나 금융결제시에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증시킬 경우에는 평상시 마우스를 사용하는 상태 그대로 마우스를 잡고, 1차 지문인식기에 엄지의 지문을 인식시키고, 2차 지정맥인식기에 인지나 중지 등의 지정맥 손가락을 올려 각각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인증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온라인상의 전자상거래나 금융결제시에 시차를 두고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증시킬 수 있으므로, 생체인증에 의한 금융보안의 취약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2단계 시차를 둔 인증방법은 컴퓨터상 문서 작업시에 있어서도 데이터 입력을 생체인증을 조건으로 하되, 인증의 시차를 두고 그 인증 방법이 다른 생체수단을 제공토록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컴퓨터 해킹차단 장치를 제공하고, 나아가 컴퓨터 입력 데이터를 별도로 암호화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컴퓨터 해킹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지문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은 고객 클라이언트와 가맹점 클라이언트에 탈착 가능한 지정맥 인식기를 구비하여 지정맥 정보를 등록하거나 인증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전자 결제에 따른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문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은 보안성이 높은 지정맥 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더구나, 지문과 지문을 동시에 인증할 수 있는 융합기술이 완성됨으로써, 한층 더 완벽한 보안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 마우스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문1, 지문2와 지정맥으로 인증되는 마우스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한 지불결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지문/지정맥 인증 처리절차에 관한 블록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금융거래중계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이용한 통합결제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이용한 통합결제장치의 접촉식 지문 및 지정맥 인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이용한 통합결제장치의 광학식 지문 및 지정맥 인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금융거래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분리된 생체인증통합단말기의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의 운영 수순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또는 최종 결제단계에서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점원용 및 고객용 단말기에서 동시에 표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표출되는 운영 수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또는 최종 결제단계에서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표출되는 운영 수순도
도 19는 본 발명의 금융결제방법에 대하여 지문/지정맥 인증 처리절차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등록절차 흐름도(1)
도 21은 도 2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등록절차 흐름도(2)
도 22는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결제절차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 마우스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용 마우스(M)는 지문 인증처리 모듈(112), 지문/지정맥 인증처리 모듈(113), 계좌비밀번호 인증처리부(114), 전화번호 인증처리부(116), 마우스모듈(118) 및 신호처리부(다중안전잠금모듈)(110a)를 포함한다.
우선 종래 기술의 도 1 및 도 2의 기본 발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지문 인식을 포함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은행 거래, 전자 상거래를 무인증 접속 방식으로 중계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지문 인식, 계좌 비밀번호인증 및 전화번호 인증을 통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들 간에 금융 거래 시, 지문 인증으로 무인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통신망(4, 6)과,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과, 전자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운영체계의 대전제기술은 금융중계시스템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통장개설시 성명, 주소, 주번, 전화번호, ID,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맞추어 고객단말기(컴퓨터)의 개인중계거래서버가 내재된 마우스의 지문인식기에 의하여 지문을 등록시킨 후, 상기 지문정보를 기준으로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매칭시켜 놓고, 금융거래시 결제하는 순간의 마우스 지문정보와 등록된 중계서버의 지문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금융거래를 승인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은행통장으로 이체 및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종래 발명의 고객 단말기(200)가 스마트폰, 타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게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컴퓨터의 마우스에 본인 인증의 지문정보를 저장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를 기술요지로 우선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문 인증처리 모듈(112)은 사용자의 지문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지문센서(112a)를 통해 입력받은 후, 내부적으로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 통신 포트로 내보낸다.
상기 지문/지정맥 인증처리 모듈(113)은 사용자의 지문/지정맥 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지문센서(113a)를 통해 입력받은 후, 내부적으로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 통신 포트로 내보낸다.
여기서 상기 지문/지정맥 인증처리 모듈(113)은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인증처리 모듈로 구성되어 구조적으로 마우스의 상부에 형성된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계좌비밀번호 인증처리부(114)는 우선 통장개설시 입력된 비밀번호를 지문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지문정보에 의한 결제로만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 인증처리부(116)는 우선 통장개설시 입력된 전화번호를 지문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지문정보에 의한 결제로만 운영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모듈(118)은 광 센서나 마우스 볼(118b)로부터 입력된 위치 값과 상기 왼쪽클릭버튼과 오른쪽 클릭버튼으로 표기된 좌/우 클릭버튼(118a)으로부터 입력된 버튼 클릭 횟수와 클릭된 버튼 값 등의 클릭 신호를 내부적으로 데이터화하는 과정을 거쳐 통신 포트로 내보내게 된다.
상기 지문 인증처리 모듈(112), 지문/지정맥 인증처리 모듈(113), 계좌비밀번호 인증처리부(114), 전화번호 인증처리부(116), 마우스모듈(118)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는 상기 신호처리부(다중안전잠금모듈)(110a)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스위칭된 후 마우스 케이블을 경유하여 컴퓨터 본체(6a)로 전송되어진다.
이와 같이, 그리고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 중 상기 신호처리부(다중안전잠금모듈)(110a)는 고객 단말기(200) 중 컴퓨터본체(6a)에 연계되어 있는 마우스(M)가 회원 가입 시, 상기 지문 인증처리 모듈(112) 및 지문/지정맥 인증처리 모듈(113)을 통해 회원으로 등록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과의 금융 거래 시, 지문센서(112a) 및 지문/지정맥 센서(113a)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인증 처리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으로 금융거래 및 전자 상거래 시, 지문 인증을 통해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개인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개인 금융 거래를 위한 퍼스널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문/지정맥 정보가 마우스 내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문/지정맥 정보에 의하지 아니하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유선으로 연결된 지문마우스는 해킹을 당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객단말기는 컴퓨터본체에 연계된 마우스(M)이고, 상기 마우스(M)는 지문 인증처리 모듈(112) 또는 지문/지정맥 인증처리 모듈(113), 및 마우스모듈(118)를 구비하되, 이들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신호처리부(다중안전잠금모듈)(110a)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스위칭된 후 마우스 케이블을 경유하여 컴퓨트본체로 전송하되, 전송된 지문 정보가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서버를 통해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다중안전잠금모듈)(110a)는 계좌비밀번호 인증처리부(114) 또는 전화번호 인증처리부(116)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되,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고객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증하거나,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로 상기 고객 단말기의 통장 계좌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지문 정보에 전화번호 또는 계좌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매칭시켜서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의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으로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발명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로 취급하며, 종래 기술란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문1, 지문2와 지정맥으로 인증되는 마우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M)의 지문 및 지정맥과, 손가락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마우스(M)에는 스크롤(C)과 우클릭(C1)과 좌클릭(C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우스(M)의 좌측 하단에는 지문인식기(10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우스(M) 상의 스크롤(C) 상단과 우클릭(C1)과 좌클릭(C2)의 사이에 지문 및 지정맥인식기(20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M) 좌측 하단의 지문인식기(1000)는 사각형상의 접촉식 지문인증모듈장치부(1000a)가 지문인식안착테두리(1000b) 안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우스(M) 상단의 지정맥인식기(2000)는 마우스 속으로 지문인증모듈(1001a)과 지정맥인증장치부(200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우스(M) 내부에는 일정한 거리에 카메라(2000b)와 다수개의 적외선광원(2000c)이 형성되어 지정맥인증장치부(2000a) 위로 올려지는 손가락 지정맥을 촬영하여 이를 인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둥글게 형성된 지정맥인식안착테두리(2000e)의 측부에는 손가락에 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광원(2000d)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의 앞단에는 손가락 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손가락끝받침대(2000f)가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전자상거래나 금융결제시에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증시킬 경우에는 평상시 마우스를 사용하는 상태 그대로 마우스를 잡고, 1차 지문인식기에 엄지의 지문을 인식시기고, 2차 지정맥인식기에 인지나 중지 등의 지정맥 손가락을 올려 각각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인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온라인상의 전자상거래나 금융결제시에 시차를 두고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인증시킬 수 있으므로, 2가지의 지문과 1가지의 지정맥의 융합으로 생체인증에 의한 금융보안의 취약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2단계 시차를 둔 인증방법은 컴퓨터상 문서 작업시에 있어서도 데이터 입력을 생체인증을 조건으로 하되, 인증의 시차를 두고 그 인증 방법이 다른 생체수단을 제공토록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컴퓨터 해킹차단 장치를 제공하고, 나아가 컴퓨터 입력 데이터를 별도로 암호화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컴퓨터 해킹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문인식을 이용하여 지불결제시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지문을 스캐닝하는 스캐닝기능과 스캐닝된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능을 구비한 전용 단말기를 사용한다. 단말기에 의해 인식된 지문은 신뢰성있는 기관(예를 들면, 국가기관) 또는 개인금융거래중게서버가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지문데이터와 비교되어 사용자의 지문에 의해 금융기관(예를 들면, 신용카드회사)에서 해당 거래에 대한 지불결제가 승인된다.
상기와 같은 지불결제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오프라인의 경우 전용 퍼스널 컴퓨터에 부여된 지문정보를 통합단말기에서 입력한 후, 이의 지문정보가 일치될 경우, 이의 결제신호를 금융기관에 거래내역과 함께 송부함으로써 거래승인을 실행하며, 지문을 등록한 마우스에 의하여 전자상거래와 같은 인터넷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에서는 마우스에 지문정보를 입력하여 이들 지문정보가 일치될 경우에 이의 결제신호를 인터넷사이트에 전송함으로써 거래승인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컴퓨터 본체 내에 지문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구축하고, 오프라인에서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 의하여 지문/지정맥으로 결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한 지불결제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한 지불결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불결제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46)을 통해 오프라인 상점(200a)이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사이트(22)가 금융거래중계시스템(2)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네트워크(46)에는 다중안전잠금모듈(110), 지문/지정맥 인증서버(115)를 형성한 개인금융거래중계모듈(100) 및 마우스(M)와 연계된 지문/지정맥 DB(120)가 접속되어 오프라인상점(200a)이나 인터넷사이트(22)를 통해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지문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한다.
상기 다중안전잠금모듈(110)은 예컨대, 미들웨어로 구비되며, 고객 단말기(200)의 개인 인증 기능과 해킹 차단을 위한 방화벽 기능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은 고객 단말기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데이터베이스(120)에 기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지문 인식 처리부(112)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고객 단말기의 계좌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계좌 비밀번호 처리부(114) 및, 고객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전화번호 인증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문/지정맥 DB(120)는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지문/지정맥 데이터가 저장되어 지문/지정맥 데이터의 인증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는 생체 인식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내부에 지문을 스캐닝하는 스캐닝장치와 스캐닝된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캐닝하고 이를 인식한다. 상기 단말기(1000)는 지문인증서버(115)와 연계되고, 오프라인상점(200a)에 연결되어, 인식된 지문데이터가 지문인증서버(115)로 전송되어 거래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문/지정맥 인증 처리절차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문/지정맥 인증서버(115)는 지문등록시에는 오프라인상점(210a)에 설치된 단말기(1000)에서 스캐닝되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데이터를 여러 차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문데이터확인부(220a)를 거쳐, 지문데이터승인부(230a)에 의하여 지문 DB나 지문인증서버(240a)에 그 설계특성에 맞게 저장하도록 전송하고(① 과정 참조), 결제금액을 결제요청한 경우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지문데이터승인부(230a)에서 지문인증이 된 경우에는 요청된 결제금액을 승인하는 결제승인부(250b)를 거치게 되고, 최종적으로 결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결제완료확인부(260b)에 의하여 이들의 결제정보가 데이터베이스(270b)에 저장되거나 인터넷사이트(280b)로 승인결과를 통보하는 과정을 거친다(② 과정 참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금융거래중계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점(200a)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S201), 우선 전용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는 사용자의 지문을 스캐닝한 후 스캐닝된 지문을 인식한다(S202).
이후, 상기 인식된 지문데이터는 오프라인 상점에 설치된 지불결제용 생체인증통합단말기로 입력된 후 개인금융거래중계서버(100)로 전송된다(S203).
상기 개인금융거래중계서버(100)에서는 상기 지불결제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데이터를 지문DB에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사용자를 인증한다(S204).
만약 양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지문인식을 하도록 리턴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인증될 경우에 사용자는 결제은행(통장) 또는 카드를 선택하게 한다(S205).
만약 이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결제은행(통장) 또는 카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 후, 결제은행(통장) 또는 카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결제금액을 입력하게 되고(S206), 다시 지문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207).
상기 지문정보와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될 경우에는 인증처리하고(S208), 요청된 금액에 대하여 결제를 승인한다(S209).
이어서, 결제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210), 결제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인터넷사이트로 전송하게 된다(S211).
다음은 컴퓨터본체(6a)에 내장된 개인금융거래중계서버(100)의 지문/지정맥 인증서버(115)에 마우스(M)에 의하여 지문을 등록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문을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앞으로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기술을 동시에 인증하여 간편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간편성으로 적용하고, 오인식률을 줄일 필요가 있는 기술분야에서는 이를 동시에 인증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이용한 통합결제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단말기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기에 사용되는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는 일측에는 마그네틱카드체크부(110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IC카드체크부(1101)가 형성되어 있고, 전원부(1110)의 온으로 시작하여 데이터입력부(1120)에 의하여 점원용 LCD표시부(1130)에 결제금액이 표시되어 최종결제버턴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의 전면부에는 결제용 시스템으로 전장품커버(115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일측에 손가락 하나만의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카드정보인증처리부(11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정보인증처리부(1190)는 인증카드테그부(1191) 및 스마트폰테그부(1192)가 형성되며, 이들의 기능이 동일하거나 통합될 수 있을 경우에는 하나의 안내표시부를 창안할 수 있으나, 지금은 2가지의 안내 표시로 독립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전달 목적과, 스마트폰에 등록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전달 목적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품커버(1150)의 상부에는 고객용 LCD표시부(1199a)가 고객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객용 LCD표시부(1199a)는 고객의 결제 금액과 감사의 표시가 표출되며, 여기에 광고기능을 추가하여 운용되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객용 LCD표시부(1199a)의 상단에는 홍채정보인증처리부(1194)가 형성되며, 이의 기기와 함께 설계되어 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182는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에 추가적으로 발신되는 적외선발신부이다.
기구적으로 평상시 사용하지 않거나 종래와 같이 점원용 LCD표시부(1130)만으로 결제가 가능할 경우에는 힌지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용 LCD표시부(1199a)를 접어 두고 사용하며, 내부 컴퓨터 설비를 수리하기 위할 경우에 상기 전장품커버(1150)는 힌지(1151)를 중심으로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 홍채정보인증처리부(1194)와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진다.
우선, 접촉식 지문 및 지정맥 인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이용한 통합결제장치의 접촉식 지문 및 지정맥 인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이용한 통합결제장치의 광학식 지문 및 지정맥 인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에 형성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는 상부 쪽으로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손가락촬영홈(2410)이 형성된 지점맥인증장치부(2100)이 형성되어, 여기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을 하게 되는 발명이다.
상기 지문스캔모듈(2310)은 접촉식 인식모듈을 사용하고, 그 배면에는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2320)가 형성된다.
상기 지정맥 정보를 획득하는 인증장치부(2100)는 단말기의 본체측면의 하단 모서리에서 지정맥을 인증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단말기의 내부는 상기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 및 지정맥 인증장치부(2100)가 들어갈 수 있는 상당한 인증장치부공간(2500)을 상협하광형태로 형성하고, 외곽으로 측면홈테두리(2200)를 형성하여 그 안에서 상측에는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손가락촬영홈(2410)을 형성하여 비접촉식으로 손가락(f)을 올려놓고, 이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손가락촬영홈(2410)에는 아주 얇은 손가락받침유리판을 형성하여 외부의 오물 등의 유입을 막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손가락받침유리판을 활용하여 여기에 가시광선을 차단시켜주는 적외선필터링필름을 부착하여 이미지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손가락받침유리판은 적외선필터링필름과 함께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의 근접된 전방부에서 형성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하측에 빈 손가락촬영홈(2410)을 형성하여 손가락(f)을 편하게 올려놓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빈 손가락촬영홈(2410)의 배면 인증장치부공간(2500)에는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가 나란히 형성되고,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2530)가 형성되어 지정맥 패턴을 인식할 경우에 이들이 작동되어 각종 제어 신호를 발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빈 손가락촬영홈(2410)은 상기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에 파손 등이 우려가 없게 설계될 경우에는 주위 여건에 따라 비접촉식으로 인증장치부공간(2500)과 함께 연통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2510a)의 경우에는 그 크기에 따라 지정맥을 인식하는 범위가 상이하여 넓게 인식코저할 경우에는 손가락(f)과 거리(Ha)를 길게 하면 넓은 범위의 지정맥을 인식할 수 있고,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좁은 범위의 지정맥 패턴만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이를 감안하여 단말기 내부전장부의 사이즈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창안 및 설계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 이외에 이의 깊이 즉, 손가락(f)과 거리(Ha)를 짧게 하여 단말기 자체의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창안을 하게 되었다.
미설명부호 1105는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의 지지판이다.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에서 지문의 인증처리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는 대다수 동일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문의 인증처리부로서 상기 지문스캔모듈(2310)이 접촉식 인식모듈을 사용하고, 그 배면에는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2320)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문스캔모듈(2310b)은 광학식 인식모듈을 사용하고, 이들의 구성은 이미지센서(2310a)와 적외선발신부(2320a)로 형성되어 지문의 방향으로 적외선이 조사되면서,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며, 그 배면에는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2320)가 형성된다.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을 인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금융거래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을 이용한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각각 다르게 발명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단계 S15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52에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200)는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고객의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 S154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지정맥 인식기(210)와 지문 인식기(220)를 통하여 지정맥 정보와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정맥 정보와 지문 정보를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면,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에 대응하여 지정맥 정보와 지문 정보를 등록한다.
이 때,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지정맥 정보와 지문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156에서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자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1 차적으로 지문을 인식하여 단계 S158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고객 단말기(200)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판별 결과, 두 정보가 일치하면, 단계 S164에서 2 차적으로 지정맥을 인식하고, 단계 S166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정맥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두 지정맥 정보가 일치하면, 이 수순은 단계 S168로 진행하여 3 차적으로 미들웨어 승인 처리부(120)을 통해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에서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를 열수 있도록 방화벽을 해제하고, 이어서 단계 S170에서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전자 금융 거래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도록 처리한다.
그러나 단계 S158 및 단계 S166 각각에서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정맥 정보 및 지문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172로 진행하여 전자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처리하지 못하도록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접속을 차단시킨다.
지정맥 인식의 경우에는 살아있는 상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본인만이 가능한 것이어서, 기타 추가되는 패스워드의 과정을 생략하여도 보안의 효과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통합모듈은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질 수 있다.
도 13은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을 표시한 도면이이다.
상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동시에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U1)은 지문스캔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지문스캔모듈(U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문스캔모듈(U2)의 GND 1번 라인은 (-)전압 회로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RX 2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수신 포트로서, 지문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TX 3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송신 포트로서, 지문 모듈 상태를 읽어 오는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시리얼통신(여기서는 실시예로서 232통신을 적용하였다)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232통신이란 시리얼통신 규격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은 지정맥모듈(U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정맥모듈(U3)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적외선 LED로 손가락을 투과 후 카메라 이미지센서에서 정맥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시리얼통신(여기서는 실시예로서 485통신을 적용하였다)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485통신이란 시리얼 통신 규격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은 485-232통신의 변환모듈(U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변환모듈(U4) 좌측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정맥모듈에서 출력되는 485통신을 입력받아 232통신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모듈(U4)우측의 DI 5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로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하며, RE 6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 하는 기능을 하며, DE 7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 하는 기능을 하며, RO 8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명령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통합모듈(U1)과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문 및 지정맥 입력 및 USB출력 통합모듈(U1)을 설명한다.
상기 통합모듈(U1)의 D1/TX 1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컴퓨터로 데이터 송신 기능을 하며, D0/RX 2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로서, 컴퓨터에서 데이터 수신 기능을 하며, GND 4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D2 5번 라인은 지문스캔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송신라인으로서, 지문 모듈로 명령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하며, D3 6번 라인은 지문스캔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수신라인으로서, 지문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D8 11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송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9 12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10 13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11 14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수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의 상태를 읽어 오는 기능을 하며, 5V 27번 라인은 (+)전압 5V출력 PIN으로서, 지문스캔모듈(U2),지정맥모듈(U3),485통신 변환모듈(U4)의 5V전압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GND 29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VIN 30번 라인은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지문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와,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저정맥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를 변환모듈(U4)에서 232통신으로 변환하여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한다.
이 사건 발명의 지문 및 지정맥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int getfingerauthorization(int fingerprintcode,int fingerveincode)
{
if( fingerprintcode>0 && fingerveincode>0 && fingerprintcode==fingerveincode) )
{
return fingerprintcode;
}
return 0;
}
상기 알고리즘은 통합모듈(U1)에서 지문 인증코드와 지정맥 인증코드를 입력받아서 지문과 저정맥이 동일한 사람의 것인 경우에만 인증코드를 허용하는 알고리즘이다.
좀 더 상세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지문을 검색하여 해당지문과 일치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 해당 사람의 코드번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지정맥을 검색하여 해당지정맥과 일치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 해당 사람의 코드번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문스캔모듈(U2)의 지문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의 지정맥코드를 위의 알고리즘의 함수명 getfingerauthorization의 인수인 fingerprintcode와 fingerveincode로 각각 입력받아서 두 개의 인수값이 모두 유효하고 또한 두 개의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가 일치할 때 비로소 지문과 지정맥 통합 모듈에서 해당사람의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
그 외 지문코드와 지정맥코드가 유효하지 않을 때나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에러코드인 0을 출력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분리된 생체인증통합단말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의 운영 수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분리된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는 일측에는 마그네틱카드체크부(1102)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전면 중앙에는 IC카드체크부(1190b)가 형성되어 있고, 전원부(1110a)의 온으로 시작하여 상기 종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로부터 연결된 데이터입력부에 의하여 LCD표시부에 결제금액이 표시되고 최종결제버턴을 누르게 되면, 최종 본인 인증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의 전면부에는 결제용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전장품커버(115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일측에 손가락 하나만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카드정보인증처리부(11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정보인증처리부(1190)는 인증카드테그부 및 스마트폰테그부가 형성되어 카드 등이 결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기능이 동일하거나 통합될 수 있을 경우에는 하나의 안내표시부를 창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장품커버(1150)의 일측에는 지문인증처리부(1181)가 형성되어 단순 지문만으로 인증 및 등록된 사용자를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문인증처리부(1181)는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품커버(1150)의 상부에는 고객용 LCD표시부(1199a)가 고객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1151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객용 LCD표시부(1199a)는 고객의 결제 금액과 감사의 표시가 표출되며, 여기에 광고기능을 추가하여 운용되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객용 LCD표시부(1199a)의 상단에는 홍채정보인증처리부(1194)가 형성되며, 이의 기기와 함께 설계되어 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가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전장품커버(1150)의 상부에는 지문 인증 후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입력버튼(1120a)이 10자리 숫자로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사용자가 사용한 사용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금액확인버튼(1120b)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비밀번호 수정시 사용할 수 있는 비밀번호수정입력버튼(112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밀번호입력버튼(1120a)의 하단에는 카드에 무선으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전기충전기(1190a)가 형성되어 지문인식용 카드가 접촉될 경우에 카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통합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본체연결잭(1110b)이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의 뒤편에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182는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에 추가적으로 발신되는 적외선발신부이다.
또한, 지문인증처리부(1181) 또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인증처리부(1180)에서 사용자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양자 일치될 경우에는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 형성된 고객용 LCD표시부(1199a) 또는/및,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에 형성된 점원용 PCD표시부(1130)에 증명사진(1810a)을 표출시킨다.
그리고, 여기에 사용되는 종래 POS단말기(100)는 상부에 인쇄용지부(190)를 보관하고 있는 인쇄용지보관부(107)의 뚜껑으로 본체와 힌지연결부(106)에 의하여 인쇄용지보관뚜껑(10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에는 마그네틱카드체크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IC카드체크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데이터입력부(120)에 의하여 LCD표시부(130)에 결제금액이 표시되어 최종결제버턴을 누르고, 서명부(싸인 패드)(180)에 본인 서명를 할 경우에는 요금이 지불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POS 단말기의 결제에 있어서도, LCD표시부(130)에 증명사진(1810a)을 표출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의 운영 수순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과 얼굴을 동시에 스캔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각각 다르게 발명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지문 정보와 얼굴 정보가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사용자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 처리되는 것으로, 지문 정보로 1 차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1 차에서 사용자가 2 이상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본인의 핸드폰번호(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다.
우선, 초기 단계로서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온하여 전체 시스템에 접속한다(S1211).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단계 S1211에서 고객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접속하고, 단계 S1212에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는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고객의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회원의 등록은 스마트폰을 이용하거나 은행 또는 카드사에서 직접 가입할 수 있다(S1212).
다음은 회원 가입 시 얼굴, 홍채, 지문 및 지정맥을 등록하는 단계로서, 이는 얼굴 및 홍채 인식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요청을 한다(S1213).
상기 단계에서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획득한 생체 정보를 금융 거래 중계 서버로 전송하면,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고객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들 정보를 등록한다. 이 때,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이들 생체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은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 형성된 홍채정보인증처리부(1194)와 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 및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 지문인증처리부(1181)에서 선택적으로(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말한다) 상기 각 생체정보를 스캔한다(S1214).
그리고,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전자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결제용 금융정보(통장, 카드)를 연결시 1 차적으로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된 생체정보를 인식한다(S1215).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택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고객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처리절차를 수행한다.
우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택된 인체정보와 지문 정보가 유일한지 여부 즉, 동일한 지문 정보가 2 이상 있는지를 판단한다(S1216).
판단 결과, 동일한 지문정보가 2 이상 있을 경우에는 본인 등록의 핸드폰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하고(S1217), 지문 정보가 유일하여 이를 판단 경과, 2 개의 인체정보가 일치하면, 금융정보(통장 또는 카드) 하나를 선택한다(S1218).
이러한 경우에 지문 정보의 중복확률이 10억분의 1이라면, 여기에 비밀번호 4자리만 넣게 되면 천문학적으로 중복확률이 떨어지게 되고, 이들의 서버 속도를 위하여 은행별, 나이별, 남녀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금융정보는 통장을 사용할 수 있는 은행의 선택과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카드사의 선택으로 구분하여 고객용 LCD표시부(1199a)에 표시되고, 이를 손가락으로 텃치하여 선택한다(S1219).
그 후, 상기 통장이나 카드를 선택한 경우(S1219)에는 결제금액을 입력한다(S1220).
고객이 사용한 결제금액이 입력된 경우에는 대기하고 있던 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에서 얼굴을 촬영하게 되고(S1221), 이들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2).
두 정보가 일치하면, 다시 전화번호(또는 패스워드, 생체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S1223).
그 후, 이들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또는 패스워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S1224).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에서 두 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목적하는 바의 소정의 수순이 종료되는 출금이 이루어지게 된다(S1225).
여기서 공통적으로 각 단계별로 두 가지 정보를 비교 판단시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속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S1226).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또는 최종 결제단계에서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점원용 및 고객용 단말기에서 동시에 표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표출되는 운영 수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또는 최종 결제단계에서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표출되는 운영 수순도이다.
본 발명의 얼굴사진 표출에 관한 실시예1에 있어서도 지문 정보와 얼굴 정보가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사용자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 처리되는 것으로, 지문 정보로 1 차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1 차에서 사용자가 2 이상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본인의 핸드폰번호(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다.
우선, 초기 단계로서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온하여 전체 시스템에 접속한다(S1211).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단계 S1211에서 고객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접속하고, 단계 S1212에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는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고객의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회원의 등록은 스마트폰을 이용하거나 은행 또는 카드사에서 직접 가입할 수 있다(S1212).
다음은 회원 가입 시 얼굴, 홍채, 지문 및 지정맥을 등록하는 단계로서, 이는 얼굴 및 홍채 인식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요청을 한다(S1213).
상기 단계에서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획득한 생체 정보를 금융 거래 중계 서버로 전송하면,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고객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들 정보를 등록한다. 이 때,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이들 생체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은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 형성된 홍채정보인증처리부(1194)와 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 및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 지문인증처리부(1181)에서 선택적으로(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말한다) 상기 각 생체정보를 스캔한다(S1214).
그리고,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전자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결제용 금융정보(통장, 카드)를 연결시 1 차적으로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된 생체정보를 인식한다(S1215).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택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고객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처리절차를 수행한다.
지문인증처리부(1181) 또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인증처리부(1180)에서 사용자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양자 일치될 경우(S1215a)에는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 형성된 고객용 LCD표시부(1199a) 또는/및,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에 형성된 점원용 PCD표시부(1130)에 증명사진(1810a)을 표출시킨다(S1215b).
만약, 사용자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양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접속을 차단시킨다(S1226).
그 다음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택된 인체정보와 지문 정보가 유일한지 여부 즉, 동일한 지문 정보가 2 이상 있는지를 판단한다(S1216).
판단 결과, 동일한 지문정보가 2 이상 있을 경우에는 본인 등록의 핸드폰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하고(S1217), 지문 정보가 유일하여 이를 판단 경과, 2 개의 인체정보가 일치하면, 금융정보(통장 또는 카드) 하나를 선택한다(S1218).
이러한 경우에 지문 정보의 중복확률이 10억분의 1이라면, 여기에 비밀번호 4자리만 넣게 되면 천문학적으로 중복확률이 떨어지게 되고, 이들의 서버 속도를 위하여 은행별, 나이별, 남녀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금융정보는 통장을 사용할 수 있는 은행의 선택과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카드사의 선택으로 구분하여 고객용 LCD표시부(1199a)에 표시되고, 이를 손가락으로 텃치하여 선택한다(S1219).
그 후, 상기 통장이나 카드를 선택한 경우(S1219)에는 결제금액을 입력한다(S1220).
고객이 사용한 결제금액이 입력된 경우에는 대기하고 있던 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에서 얼굴을 촬영하게 되고(S1221), 이들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2).
두 정보가 일치하면, 다시 전화번호(또는 패스워드, 생체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S1223).
그 후, 이들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또는 패스워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S1224).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에서 두 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목적하는 바의 소정의 수순이 종료되는 출금이 이루어지게 된다(S1225).
여기서 공통적으로 각 단계별로 두 가지 정보를 비교 판단시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속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S1226).
다음은 본 발명의 얼굴사진 표출에 관한 실시예2에 있어서도 지문 정보와 얼굴 정보가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사용자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 처리되는 것으로, 지문 정보로 1 차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1 차에서 사용자가 2 이상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본인의 핸드폰번호(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다.
우선, 초기 단계로서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온하여 전체 시스템에 접속한다(S1211).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단계 S1211에서 고객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접속하고, 단계 S1212에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는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고객의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회원의 등록은 스마트폰을 이용하거나 은행 또는 카드사에서 직접 가입할 수 있다(S1212).
다음은 회원 가입 시 얼굴, 홍채, 지문 및 지정맥을 등록하는 단계로서, 이는 얼굴 및 홍채 인식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요청을 한다(S1213).
상기 단계에서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획득한 생체 정보를 금융 거래 중계 서버로 전송하면,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고객 단말기에 대응하여 이들 정보를 등록한다. 이 때,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이들 생체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은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 형성된 홍채정보인증처리부(1194)와 얼굴정보인증처리부(1196) 및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 지문인증처리부(1181)에서 선택적으로(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말한다) 상기 각 생체정보를 스캔한다(S1214).
그리고,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전자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결제용 금융정보(통장, 카드)를 연결시 1 차적으로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된 생체정보를 인식한다(S1215).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택된 생체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고객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처리절차를 수행한다.
지문인증처리부(1181) 또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인증처리부(1180)에서 사용자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양자 일치될 경우(S1215a)에는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 형성된 고객용 LCD표시부(1199a) 또는/및,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에 형성된 점원용 PCD표시부(1130)에 증명사진(1810a)을 표출시킨다(S1215b).
만약, 사용자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양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접속을 차단시킨다(S1226).
그 다음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택된 인체정보와 지문 정보가 유일한지 여부 즉, 동일한 지문 정보가 2 이상 있는지를 판단한다(S1216).
판단 결과, 동일한 지문정보가 2 이상 있을 경우에는 본인 등록의 핸드폰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하고(S1217), 지문 정보가 유일하여 이를 판단 경과, 2 개의 인체정보가 일치하면, 금융정보(통장 또는 카드) 하나를 선택한다(S1218).
이러한 경우에 지문 정보의 중복확률이 10억분의 1이라면, 여기에 비밀번호 4자리만 넣게 되면 천문학적으로 중복확률이 떨어지게 되고, 이들의 서버 속도를 위하여 은행별, 나이별, 남녀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금융정보는 통장을 사용할 수 있는 은행의 선택과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카드사의 선택으로 구분하여 고객용 LCD표시부(1199a)에 표시되고, 이를 손가락으로 텃치하여 선택한다(S1219).
그 후, 상기 통장이나 카드를 선택한 경우(S1219)에는 결제금액을 입력한다(S1220).
지문인증처리부(1181) 또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인증처리부(1180)에서 사용자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의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양자 일치될 경우(S1222)에는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 형성된 고객용 LCD표시부(1199a) 또는/및,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에 형성된 점원용 PCD표시부(1130)에 증명사진(1810a)을 표출시킨다(S1223).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에서 두 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목적하는 바의 소정의 수순이 종료되는 출금이 이루어지게 된다(S1225).
여기서 공통적으로 각 단계별로 두 가지 정보를 비교 판단시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속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S1226).
다음은 상기 실시예1, 2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상기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a)에서 고객용 LCD표시부(1199a)에 표출되는 사용금액현황표(3288)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금액현황표(3288)에는 일시(3288a), 사용자 이름(3288b), 승인(취소)번호(3288c), 금액(3288d)이 표시되고, 일계(3288e), 월계(3288f), 년계(3288g)를 표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금액현황표(3288)를 이용할 경우에는 점포의 거래실적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원의 거래금액 오류나 사용자가 거래금액의 다른 수단으로의 대체 등 정정 및 취소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승인(취소)번호(3288c)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생체정보 중에는 얼굴, 홍채, 목소리, 지문, 지정맥 등의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서 지문을 먼저 인식하고, 추후 얼굴정보를 인식케 채택한 것은 가장 먼저 손가락에 의한 스마트폰에 텃치가 이루어지면서 시작이 되고, 그 사이에 결제용 통장이나 카드를 선택하는 동안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정보를 인증할 준비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실제 인체정보에 의한 본인인증이 한층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구조상 지문인식은 물론 얼굴인식 기능이 존재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만을 개발함으로써, 융합인증에 의한 보안이 강화되어 통장이나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본인의 생체인증만으로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체인증통합단말기에서 금융정보 선택 전 또는 최종 결제단계에서 손가락 인증시 본인 얼굴사진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인의 손가락 결제가 진정성이 있는지 불안하고, 본인의 얼굴이 지문 또는 지정맥에 의하여 표출되는 얼굴사진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인이 결제하였는지도 인지되지 않아 여전히 불안한 상태가 지속되는 심리적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음은 스마트 폰(이하, 휴대폰, 핸드폰으로 혼용하여 사용한다)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금융결제방법에 대하여 지문/지정맥 인증 처리절차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등록절차 흐름도(1)이며, 도 21은 도 2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등록절차 흐름도(2)이고, 도 22는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결제절차 흐름도이다.
우선 종래 기술의 도 1 및 도 2의 기본 발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지문 인식을 포함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은행 거래, 전자 상거래를 무인증 접속 방식으로 중계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지문 인식, 계좌 비밀번호인증 및 전화번호 인증을 통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들 간에 금융 거래 시, 지문 인증으로 무인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통신망(4, 6)과,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과, 전자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운영체계의 대전제기술은 금융중계시스템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통장개설시 성명, 주소, 주번, 전화번호, ID,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맞추어 고객단말기(스마트 폰)의 개인중계거래서버가 내재된 지문인식기에 의하여 지문(또는/ 및 지정맥. 이하, 같다)을 등록시킨 후, 상기 지문정보를 기준으로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매칭시켜 놓고, 금융거래시 결제하는 순간의 스마트 폰 지문정보와 등록된 개인금융거래중계서버(100)의 지문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금융거래를 승인하게 되고, 그 후 은행통장으로 이체 및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종래 발명의 고객 단말기(200)가 스마트폰, 타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게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스마트 폰에 본인 인증의 지문정보를 저장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를 기술요지로 우선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불결제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46)을 통해 각종 시스템이 금융거래중계시스템(2)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네트워크(46)에는 다중안전잠금모듈(110), 지문인증서버(115)를 형성한 개인금융거래중계모듈(100) 및 지문 DB(120)가 접속되어 인터넷넷사이트(22)를 통해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지문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한다.
도면에 표기된 부호 7a는 스마트 폰을 지칭하고 있다.
여기서는 앱과 같은 방식으로 웹구동과 동일함을 전제로 적용함을 알아두어야 한다.
상기 다중안전잠금모듈(110)은 예컨대, 미들웨어로 구비되며, 고객 단말기(200)의 개인 인증 기능과 해킹 차단을 위한 방화벽 기능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은 기본적으로 고객 단말기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데이터베이스(120)에 기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지문 인식 처리부(112)를 형성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고객 단말기의 계좌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계좌 비밀번호 처리부(114) 및, 고객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전화번호 인증 처리부(116)를 필요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문 DB(120)는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지문 데이터가 저장되어 지문 데이터의 인증시 각종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새로이 개발된 금융결제방법으로서, 지문 또는/지정맥 인증 처리에 의하여 결제되는 “올아이티탑페이(이하, ‘올아이티페이’라 한다)”라 명명되는 금융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폰에 등록하는 단계로서, 제 1단계로 올아이티탑의 앱을 다운받는 단계(통화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올아이티탑 이용시 반드시 전화를 연결하여 상담하여 본인을 인증하는 단계); 제 2단계로 올아이티탑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본인의 스마트폰에 내재된 데이터 베이스에 지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제 3단계로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에 설치한 모바일 앱을 통하여 전자서명, 비밀번호, 성명, 주소, 휴대폰번호를 입력된 상태에서, 올아이티탑 앱을 이용할 인증수단으로서 지문 또는/ 및 지정맥, 패턴, 인증 비밀번호(전호번호는 자동으로 등록된다)를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의 올아이티탑 앱에서 카드결제 방법으로서, 올아이티페이의 기능이 이미 올아이티탑 안에 탑재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상기 올아이티탑을 클릭하면 올아이티페이를 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화면에서 올아이티페이를 클릭하여 카드 결제를 선택하게 되며, 결제수단에서 대표카드로 설정된 카드로 비밀번호를 입력 후 결제가 완료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전자상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의 올아이티탑 앱에서 금융결제 방법으로서, 올아이티페이의 가입은 올아이티탑 화면에서 해당 매뉴를 클릭하고, 화면에 나타난 영상 중 올아이티머니를 클릭하며, 앞으로 입출금으로 이용할 본인의 계좌를 연결한다. 그 후 송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나타난 영상에서와 같이, 본인이 타행 계좌 송금시 은행을 선택하게 되고, 화면에 나타난 영상에서와 같이, 입금 계좌번호를 입력하게 되며, 송금액까지 입력하여 ‘보내기’를 실행한다. 그렇게 되면, 화면에서와 같이 “인증요청”의 신호에 따라 “지문을 사용하여 인증하세요”“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명령어에 따라 본인은 스마트폰의 지문인증기에 본인의 지문(비밀번호)으로 인증절차를 하게 되고, 무인증으로 전자 상거래 및 금용거래가 이루어지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전자상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올아이티페이’의 등록절차에 대하여 그 수순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등록절차 흐름도(1)이고, 도 21은 도 20에 이어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등록절차 흐름도(2)이다.
우선, 스마트 폰을 온하고, 모바일 ‘올아이티탑 앱’을 로그인하는 단계(S1301);
그 다음에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을 요청하는 화면요청단계(S1302);
이 때, 약관동의 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약관동의 화면표출단계(S1303);
그리고, 약관에 동의여부를 책크하는 동의여부책크단계(S1304);
즉, 이용약관으로서 S1304a~h에 기재된 ‘올아이티페이’에 관한 약관동의를 책크한다.
또한, 본인 인증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본인인증화면 표출단계(S1305);
그리고, 본인의 성명(S1306a), 주민등록번호(S1306b), 핸드폰번호(S1306c)를 입력하는 주요부사항 입력단계(S1306);
다음은 본인인증을 위하여 핸드폰에 지문을 인증하는 본인인증단계(S1307);
그리고, 본인의 핸드폰에 ARS인증 요청하는 ARS인증요청단계(S1308);를 거쳐 본인의 핸드폰에서 ARS인증하는 ARS인증단계(S1309);를 거치게 되면, 간편비밀번호가 생성되는 화면이 표출되는 간편비밀번호 생성화면표출단계(S1310);
그 다음에 결제카드를 등록시키는 화면을 표출시키는 결제카드등록화면표출단계(S1311);
이어서, 결제카드를 스캔하여 등록시키는 카드등록단계(S1312);를 거치거나, 아니면 결제카드의 내용을 직접 입력하여 등록시키는 카드등록단계(S1313);
상기 카드등록단계(S1313)에서 입력사항으로서 카드번호(16자리)(S1314a) 및 유효기간(MM/YY)(S1314b), 그리고 CVC(뒷면 3자리)(S1314c), 카드비밀번호(앞 2자리)(S1314d)를 입력시키는 카드정보입력단계(S1314);를 거친다.
상기와 같이 카드가 등록되면,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은 “카드번호/유효기간/CVC/카드비밀번호”를 해당 카드사에 송신하고, 카드사로부터 고객의 정보 및 고객의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카드정보 및 전화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카드사 등록휴대폰 일치여부판단단계(S1312a);를 거친 후, 카드닉네임을 설정하는 단계(S1315);를 거쳐 최종적으로 카드정보를 DB에 저장하는 카드정보DB저장단계(S1316);를 이루게 되면 종료된다(S1317).
다만, 카드사로부터 고객의 정보 및 고객의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카드정보 및 전화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이들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불일치” 안내를 하게 된다(S1318).
다음은 이들 등록‘올아이티페이’의 결제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인 ‘올아이티페이’의 결제절차 흐름도이다.
우선, 스마트 폰을 온하고, 모바일 ‘올아이티탑 앱’을 로그인하는 단계(S1401);
그 다음에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을 요청하는 화면요청단계(S1402);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이 나타나게 되면, 거래코저하는 거래방법을 선택(송금, 결제 등)하는 단계(S1403);
송금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연결방식에 의하여 송금될 수 있도록 전화송금클릭단계(S1404);
여기서 말하는 전화번호는 올아이티탑 앱에 기등록된 은행통장번호가 될 수 있고, 스마트 폰에서 검색되는 전화번호와 거래은행통장을 매칭시켜 활용가능하도록 사전에 형성한 것으로, 올아이티탑 앱에서 거래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는 전화번호클릭단계(S1405);
이 때, 전화번호 클릭에 의한 자동적인 거래통장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전화번호를 클릭한 후에 추가되는 샵((#) 버턴을 누를 경우에 지정 거래통장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샵(#) 버턴 클릭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와 연결된 거래은행통장이 실명으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406);
상기 연결된 은행통장이 잔액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잔액확인단계(S1407);
상기 잔액확인결과, 송금액보다 클 경우에 계좌이체를 지정된 수순에 따라 실행하는 계좌이체실행단계(S1407a);
최종적으로 송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제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S1408a),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로 인증처리하는(S1408b) 송금확인완료단계(S1408);
상기 송금확인이 이루어진 후에 결제정보를 DB에 저장하는 결제정보DB저장단계(S1409);를 거쳐 거래처에 송금이 완료되었다는 송금완료안내단계(S1410);로 이루어지면서 종료된다(S1411).
중간단계로서, 상기 잔액확인단계(S1407)에서 잔액이 부족할 경우에 기매칭된 은행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계좌번호를 입력하여 그 통장으로부터 잔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잔액충전단계(S1412); 물론 충전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충전완료를 통보할 수 있다(S1413).
다른 송금방법으로서,‘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이 나타나게 되면, 거래코저하는 거래방법을 선택(송금, 결제 등)하는 단계(S1403)에서 타인의 계좌번호로 직접 송금할 수 있도록 계좌번호송금선택단계(S1414);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출금되는 계좌번호는 전술한 S1412 단계에서 충전이 완료된 은행계좌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계좌번호를 선택할 경우에 수신 은행을 선택하고(S1415a), 계좌번호를 입력하며(S1415b), 송금액을 입력하게 되는(S1405c) 송금내역입력단계(S1415);를 거친 후, 결제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S1408a),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로 인증처리하는(S1408b) 송금완료확인단계(S1408); 그리고, 상기 송금확인이 이루어진 후에 결제정보를 DB에 저장하는 결제정보DB저장단계(S1409);를 거쳐 거래처에 송금이 완료되었다는 송금완료안내단계(S1410);로 이루어지면서 종료된다(S1411).
그리고, 지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지문 데이터에 지정맥 데이터를 매칭시켜 제공하거나, 지문 데이터에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제공하거나, 지문 데이터에 계좌비밀번호를 매칭시켜 제공하거나, 이들을 조합시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문 정보와 매칭되는 지정맥 정보나 전화번호 및 통장 비밀번호에 관한 서버가 스마트폰 내에 구축되기 위해서는 다소의 추가되는 프로그램의 부담은 있으나, 이를 극복할 경우에는 더 효율적인 보안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올아이티페이의 결제방법은 생체인증의 대표적인 것으로 보이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를 이용한 간편 결제방식으로 발명되었으며, 종래 숫자 형식의 패스워드나 번거로운 공인인증제도보다 오히려 보안이 더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 전자 결제 시스템
10 : 통신망
100 : 개인금융거래중계서버
110 : 다중안전잠금모듈
120 : 지문/지정맥 D/B
1000: 생체인증통합단말기
1100 : 전원부
1105 : 전장품커버
1120 : 데이터 입력부
1130 : 표시부
1135 : 광고영상발신부
1140 : 제어부
1150 : 메모리부
1160 : 통신부
1170 : 리더부
1180 :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
1190 : 카드정보 인증처리부
1194 : 홍채정보 인증처리부
1196 : 얼굴정보 인증처리부

Claims (6)

  1.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송된 지문 또는 지정맥 정보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등록된 지문 또는 지정맥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서버를 통해 무인증으로 접속하여 금융거래를 중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우선, 스마트 폰이 온된 후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올아이티탑 앱’이 실행되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S1301);
    그 다음에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을 요청하는 화면요청단계(S1302);
    이 때, 약관동의 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약관동의 화면표출단계(S1303);
    그리고, 약관에 동의여부를 책크하는 동의여부책크단계(S1304);
    또한, 본인 인증화면이 표출되게 되는 본인인증화면 표출단계(S1305);
    그리고, 본인의 성명(S1306a), 주민등록번호(S1306b), 핸드폰번호(S1306c)를 입력하는 주요부사항 입력단계(S1306);
    다음은 본인인증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와 인증하는 본인인증단계(S1307);
    그리고, 본인의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ARS인증 요청하는 ARS인증요청단계(S1308);를 거쳐 본인의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ARS인증하는 ARS인증단계(S1309);를 거치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간편비밀번호가 생성되는 화면이 표출되는 간편비밀번호 생성화면표출단계(S1310);
    그 다음에 상기 스마트폰이 결제카드를 등록시키는 화면을 표출시키는 결제카드등록화면표출단계(S1311);
    이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스캔된 결제카드를 등록시키는 카드등록단계(S1312);를 거치거나, 아니면 결제카드의 내용을 직접 입력받아 등록시키는 카드등록단계(S1313);
    상기 카드등록단계(S1313)에서 입력사항으로서 카드번호(16자리)(S1314a) 및 유효기간(MM/YY)(S1314b), 그리고 CVC(뒷면 3자리)(S1314c), 카드비밀번호(앞 2자리)(S1314d)를 입력받는 카드정보입력단계(S1314);
    상기와 같이 카드가 등록되면, 상기 스마트폰이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은 “카드번호/유효기간/CVC/카드비밀번호”를 해당 카드사 서버에 송신하고, 카드사 서버로부터 고객의 정보 및 고객의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카드정보 및 전화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카드사 등록휴대폰 일치여부판단단계(S1312a);를 거친 후, 카드닉네임을 설정하는 단계(S1315);를 거쳐 최종적으로 카드정보를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의 DB에 저장하는 카드정보DB저장단계(S1316);를 이루게 되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2.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송된 결제비밀번호와 지문 또는 지정맥 정보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등록된 결제비밀번호와 지문 또는 지정맥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서버를 통해 무인증으로 접속하여 금융거래를 중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우선, 스마트 폰이 온된 후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올아이티탑 앱’이 실행되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S1401);
    그 다음에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에‘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을 요청하는 화면요청단계(S1402);
    ‘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이 나타나게 되면, 거래코저하는 거래방법을 선택(송금, 결제 등)하는 단계(S1403);
    송금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연결방식에 의하여 송금될 수 있도록 전화송금클릭단계(S1404);
    올아이티탑 앱에서 거래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는 전화번호클릭단계(S1405);
    또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를 통해 전화번호와 연결된 거래은행통장이 실명으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406);
    상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를 통해 연결된 은행통장이 잔액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잔액확인단계(S1407);
    상기 잔액확인단계(S1407)에서 잔액이 부족할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이 기매칭된 은행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계좌번호를 입력하여 그 통장으로부터 잔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잔액충전단계(S1412);
    상기 잔액확인결과, 송금액보다 클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를 통해 계좌이체를 지정된 수순에 따라 실행하는 계좌이체실행단계(S1407a);
    상기 스마트폰이 최종적으로 송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제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S1408a),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를 인력받아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와 인증처리하는(S1408b) 송금확인완료단계(S1408);
    상기 송금확인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스마트폰이 결제정보를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의 DB에 저장하는 결제정보DB저장단계(S1409);를 거쳐 거래처에 송금이 완료되었다는 송금완료안내단계(S1410);로 이루어지되,
    다른 송금방법으로서,‘올아이티페이’의 화면이 나타나게 되면, 거래코저하는 거래방법을 선택(송금, 결제 등)하는 단계(S1403)에서 타인의 계좌번호로 직접 송금할 수 있도록 계좌번호송금선택단계(S1414);
    상기 계좌번호를 선택할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 은행을 선택하고(S1415a), 계좌번호를 입력하며(S1415b), 송금액을 입력하게 되는(S1405c) 송금내역입력단계(S1415);를 거친 후, 결제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S1408a),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처리하는(S1408b) 송금확인완료단계(S1408); 그리고, 상기 송금확인이 이루어진 후에 결제정보를 상기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의 DB에 저장하는 결제정보DB저장단계(S1409);를 거쳐 송금이 완료되었다는 송금완료안내단계(S1410);로 이루어지면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를 클릭하는 전화번호클릭단계(S1405)를 지나, 전화번호를 클릭한 후에 추가되는 샵((#) 버턴을 누를 경우에 지정 거래통장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샵(#) 버턴 클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또는/ 및 지정맥 정보의 인증은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는 지문인식으로서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로 형성되며, 그 하측부에는 지정맥인식으로서 빈 손가락촬영홈(2410)을 형성하여 손가락(f)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되, 인증장치부공간에 손가락(f)을 향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 및,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지문스캔모듈 대신에 광학식 인식모듈을 사용하고, 상기 광학식 인식모듈은 이미지센서(2310a)와 적외선발신부(2320a)로 형성되어 지문의 방향으로 적외선이 조사되면서,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의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통합모듈(U1)은 지문스캔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문스캔모듈(U2)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RS 232 시리얼통신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정맥모듈(U3)은 적외선 LED로 손가락을 투과 후 카메라 이미지센서에서 지정맥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지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RS 485 시리얼통신으로 출력하되, 상기 변환모듈(U4)에서 지정맥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RS 485 시리얼통신을 입력받아 상기 지문스캔모듈(U2)과 같은 RS 232 시리얼통신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 중 어느 하나를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지문스캔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를 상기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170117687A 2017-09-14 2017-09-14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5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87A KR101852155B1 (ko) 2017-09-14 2017-09-14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87A KR101852155B1 (ko) 2017-09-14 2017-09-14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155B1 true KR101852155B1 (ko) 2018-04-26

Family

ID=6208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87A KR101852155B1 (ko) 2017-09-14 2017-09-14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207A (ko) * 2018-12-17 2020-06-2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KR102367416B1 (ko) * 2021-03-03 2022-02-28 (주)올잇코인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96B1 (ko) 2016-04-15 2017-04-04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96B1 (ko) 2016-04-15 2017-04-04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207A (ko) * 2018-12-17 2020-06-2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KR102178074B1 (ko) * 2018-12-17 2020-11-13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KR102367416B1 (ko) * 2021-03-03 2022-02-28 (주)올잇코인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033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KR101667388B1 (ko) 지정맥과 지문을 동시에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갖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20130036017A1 (en) Financial card for online fund transfer and method therefor
US201701694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transaction
US20140052632A1 (en) Financial card for online fund transfer and method therefor
KR101837369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단말기의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717754B1 (ko) 지정맥 인증을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KR101814167B1 (ko) 모바일에서 얼굴과 지문을 동시에 스케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안전잠금기능을 구비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03397B1 (ko) 얼굴과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852155B1 (ko) 전화번호와 연동되는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960801B1 (ko) 생체인증정보 등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등록장치와 이에 의한 생체정보 등록방법
KR101886736B1 (ko) 가상화폐를 적립한 코인카드가 지문에 의하여 결제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시스템
KR20190041382A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단말기의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73286B1 (ko) 지문 알고리즘과 연계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의 통합모듈에 의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988400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은행 통장 개설 방법
KR101830057B1 (ko) 이체 사실확인 및 전화번호와 매칭된 이체계좌에 의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178074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KR101875200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통합단말기의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837368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CN110800010A (zh) 具有多重安全锁定功能的有线或无线集成生物认证终端、以及使用该终端的广告方法
KR101792006B1 (ko) 생체인증을 통한 다중안전 잠금기능을 갖는 유무선 통합 단말기
KR101846290B1 (ko) 분리형 단말기를 연계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792025B1 (ko) 홍채와 지문 또는/및 지정맥을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A2951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fraud
KR101874319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