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913B1 -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913B1
KR101813913B1 KR1020170030160A KR20170030160A KR101813913B1 KR 101813913 B1 KR101813913 B1 KR 101813913B1 KR 1020170030160 A KR1020170030160 A KR 1020170030160A KR 20170030160 A KR20170030160 A KR 20170030160A KR 101813913 B1 KR101813913 B1 KR 10181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wage pipe
sewer
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주) 경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경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3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4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48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ig or mole in the pipe or cond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H2S, sulf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는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가스유입챔버 및 상기 가스유입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A SEWAGE CULVER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ULVERT IN REALTI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내부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국적으로 일일 평균 1700만㎥의 하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약 91%가 하수처리구역 내에서 배출되어 합류식 또는 분류식 하수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수관거는 오수와 우수를 모아 하수처리장 및 방류지역까지 운반하기 위한 배수관로로, 도시계획, 지형 등과 같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배수구역 및 처리구역을 결정하여 지하에 하수관망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관거는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가 시행되지 않는 경우, 하수관거가 노후되어 하수처리 시설의 기능이 저하되고,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토사 및 유기퇴적물에 의해 운반 기능이 약화되어 우수가 범람하거나 하수 누수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 및 도로 함몰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지속적으로 하수관거가 확장 정비되고 있으며, 각 지자체 별로 하수관거의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맨홀 및 오/우수받이가 매우 많아 운영관리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그 점검과 판단에 있어서도 각 맨홀을 기준으로 검출하여 전체적인 하수관거 내부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거나, 직접 인력이 하수관거의 내부로 투입되어 유해가스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하수관거 내부에서 유기 퇴적물의 황산염 환원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황화수소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하수관거의 부식을 유발하여 노후를 촉진시키며, 인근 하천의 수질악화 및 악취를 발생시켜 이에 대한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수관거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 및 하수관거 내부의 하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 및 대응이 즉각적으로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내부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는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가스유입챔버 및 상기 가스유입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가스유입챔버를 연통시키는 유입유로 및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가스유입챔버를 연통시키는 유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유입챔버는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가스유입챔버 내부로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유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는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가 수용되는 중공부 및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홈이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는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중공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러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는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에는 복수 개의 자석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자석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양 끝단에는 자석이 배치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자석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은 전술한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이동단계, 상기 가스유입챔버의 내부로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단계 및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본체가 등간격으로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고, 상기 가스유입단계 및 상기 가스측정단계는 상기 본체가 정지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유입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가스순환과정 및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가스유입챔버의 상기 유입유로 및 유출유로를 차폐하는 가스유입챔버차단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상기 하수이송관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위치 및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지리정보와 정합시키는 지리정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상기 지리정보 상에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를 컬러풍선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하수의 수위를 상기 하수이송관 구간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리정보처리단계는 상기 하수이송관에 인접한 가정 및 사업체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리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가스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유해가스 농도 및 하수의 수위 등과 같은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획득하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한 상황에 대한 대비 및 관리가 용이하여 하수이송관의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하수이송관의 내부로 진입하지 않으므로, 유해가스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이동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각 위치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농도 및 수위 등을 정보를 지도 상에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부식, 침수 및 오작동을 예방하고, 레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가스유입챔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레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본체의 브러쉬 및 레일의 자석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단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단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 따라 농도 및 수위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좌측/우측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가스유입챔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레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일 실시예의 본체의 브러쉬 및 레일의 자석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100), 가스유입챔버(200), 수위측정센서(미도시), 카메라(400), 구동부(500) 및 레일(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본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수이송관(C)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하수이송관(C)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 또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해가스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하수이송관(C)의 내부에서 유체의 수위가 상승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침수되거나, 유해가스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00)의 구성은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체 및 유해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체이송관(C)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다양한 형태 및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가스유입챔버(200)는 전술한 본체(100)에 구비되어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유입챔버(200)는 유입유로(220), 유출유로(230), 농도측정센서(210), 공기유동부(240) 및 에어펌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유로(220)는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로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성으로, 전술한 본체(100)에 형성되는 유입구로부터 가스유입챔버(200)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유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출유로(230)는 가스유입챔버(200) 내부의 공기를 하수이송관(C) 내부로 유출시키는 구성으로, 전술한 본체(100)에 형성되는 유출구로부터 가스유입챔버(200)를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유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는 본체(100)의 유입구를 통과하여 유입유로(220)를 따라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유출유로(230)를 따라 유동하며 본체(100)의 유출구를 통과하여 하수이송관(C)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유입유로(220) 및 유출유로(230)에는 각각 밸브(224, 234)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때, 농도측정센서(210)를 통하여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농도측정센서(210)는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황화수소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해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240)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를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유입된 하수이송관(C)의 공기를 다시 가스유입챔버(2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240)는 팬의 형태로 구성되어, 회전하며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동부(240) 전술한 유입유로(220) 및 유출유로(2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입유로(220)로부터 유출유로(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가스유입챔버(200)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다시 배출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동부(240)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전술한 밸브(224, 234)의 구성과 함께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동부(240)의 구성 역시 가스유입챔버(200) 내부의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에어펌프(250)는 전술한 공기유동부(240)와 마찬가지로,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가 가스유입챔버(200)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펌프(250)는 전술한 유입유로(220)에 연결되어,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가 유입유로(220)로 흡입되는 동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펌프(250)의 구성은 가스유입챔버(2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 및 배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가스유입챔버(20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개폐 및 흡기를 통하여 하수이송관(C) 내부 위치에 대한 보다 정확한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동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수위측정센서(미도시)는 하수이송관(C)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관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위측정센서(미도시)는 본체(100)의 하면에 구비되어, 하수이송관(C)의 하부를 향하여 본체(100) 및 하수의 수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수이송관(C) 내부의 높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높이 및 수위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되는 거리를 뺀 길이가 하수의 수위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수이송관(C) 내부에서 하수의 수위가 다소 높아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수위측정센서(미도시)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하수이송관(C) 내부의 하수 수위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40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는 하수이송관(C) 내부를 촬영하는 구성일 수 있다.
카메라(400)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하수이송관(C) 내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400)의 구성 역시 시각적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일반적으로 카메라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유해가스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어두운 환경에서의 촬영이 가능하며,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체에 대한 방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50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를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500)는 바퀴의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500)는 연결부(510)를 통하여 본체(1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510)는 본체(10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며, 양측에 바퀴의 형태로 형성되는 구동부(50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하는 레일(600)에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매달린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며, 구동부(500)의 구성은 하수이송관(C)의 내부에서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레일(600)은 하수이송관(C) 내부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유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레일(600)은 중공부(640) 및 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640)는 전술한 구동부(500)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중공부(640) 내부의 하면은 바퀴 형태로 형성되는 구동부(500)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홈(610)은 전술한 연결부(51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전술한 중공부(640) 내부의 하면이 일부 개방되어, 중공부(640)가 레일(60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레일(600)의 하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홈(610)을 통해 연결부(510)가 레일(600)의 내부로 삽입되고, 개방되지 않은 레일(600)의 하면에 연결부(510)와 연결된 구동부(500)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체(100)는 레일(600)의 하부에 매달린 형태로 배치되며, 레일(600)을 따라 하수이송관(C)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레일(600)은 하수이송관(C)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수이송관(C)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레일(600)은 전술한 홈(610)에 브러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620)는 레일(600)의 개방된 홈(610)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하수이송관(C) 내부로부터 이물질이 레일(600) 내부의 중공부(6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러쉬(620)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홈(610)에 삽입되는 연결부(510)에 의하여 휘어져, 본체(100)가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레일(600)의 구성 역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수이송관(C)의 내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유도하도록 마련된다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레일(600)은 하수이송관(C)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레일(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자석(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630)은 레일(600)의 중공부(640) 내부의 하면에 홈(610)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이때 본체(100)에는 자석(630)의 자기장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는 홀센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홀센서(130)가 감지하는 자석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는 거리 및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63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510)를 기준으로 양측의 레일(600)에 자석(630)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자석(630)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레일(600)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에 각각 자석(6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6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630)이 1m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면서 홀센서(130)가 복수개의 자석(630)을 감지하여 본체의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레일(600)의 끝단부까지 이동한 경우, 타측에 구비되는 자석(630)을 홀센서(130)가 감지하여 이동을 정지하고,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이동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레일(600)을 이탈하는 등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를 통하여, 하수이송관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 및 하수의 수위 등과 같은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하수이송관의 내부로 진입하지 않으므로, 유해가스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부식, 침수 및 오작동을 예방하고, 레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단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단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에 따라 농도 및 수위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이동단계(S100), 가스유입단계(S200), 가스측정단계(S300), 수위측정단계(S400), 정보전송단계(S500), 지리정보처리단계(S600), 디스플레이단계(S700) 및 경보발생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계(S10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본체(100)가 레일(600)을 따라 하수이송관(C)의 내부를 이동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500)가 레일(600)의 중공부(640)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본체(100)가 레일(600)에 매달린 상태로 하수이송관(C)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계(S100)는 본체(100)가 등간격으로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홀센서(130) 및 자석(630)의 구성을 통하여 본체(100)의 이동거리를 파악하며 본체(1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가스유입단계(S200)는 전술한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로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밸브(224)를 오픈하고, 공기유동부(240) 및 에어펌프(250)를 구동하여,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가 유입유로(220)를 통해 가스유입챔버(20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스측정단계(S300)는 전술한 가스유입단계(S200)에서 가스유입챔버(200) 내부로 유입된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가스유입단계(S200)에서 오픈된 밸브(224)를 폐쇄하고,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에서 농도측정센서(210)가 가스유입챔버(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 중의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유입단계(S2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가스순환과정 및 기설정된 시간 후 가스유입챔버(200)의 유입유로(220) 및 유출유로(230)를 차폐하는 가스유입챔버차단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순환과정은 가스유입챔버(200)에 연결된 유입유로(220) 및 유출유료(220)를 모두 개방하고, 공기유동부(240) 및 에어펌프(250) 등을 가동하여 가스유입챔버(2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 즉 하수이송관(C) 내부의 공기를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가스유입챔버차단과정은 가스유입챔버(200)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가스유입챔버(200) 내부로 유입시킨 이후에 유입유로(220) 및 유출유로(230)를 모두 차폐하여, 가스유입챔버(200)의 내부에는 현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위치한 장소의 하수이송관(C) 내부 공기만 수용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이전에 농도측정센서(210)가 이전에 측정했던 공기와 관계없이 현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위치한 장소에서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가스유입단계(S200) 및 가스측정단계(S300)는 본체(100)가 정지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본체(100)가 정지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하수이송관 내부의 유해가스 분포를 보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에게 전체 하수이송관 내부의 유해가스에 대한 정보를 위치별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유해가스 발생 원인의 파악에 도움이 되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의 이동단계(S100)는 본체(100)가 등간격으로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레일(600)에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자석(630)을 홀센서(130)로 감지하며 본체(10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본체(100)의 이동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10m마다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므로, 레일(600)에 1m 간격으로 배치된 자석(630)이 10개 감지되는 경우 본체(100)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위측정단계(S400)는 하수이송관(C)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하수이송관(C) 내부의 상부에 매달린 형태로 구비되어 이동하므로, 본체(100)의 하면으로부터 하수이송관(C)의 하부를 향하여 본체(100) 및 유체의 수면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수위측정단계(S400)는 이동단계(S100)에서 본체(100)가 이동하는 동안 지속이고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체 수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얻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는 정보전송단계(S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전송단계(S50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구비되어 이동하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하수이송관(C)의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가스측정단계(S300)에서 측정된 유해가스의 농도 및 수위측정단계(S400)에서 측정된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체 수위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측정한 정보 및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본체(100) 내부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구비되는 하수이송관(C)에는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중계기가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는 하수이송관(C)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되며, 복수개의 중계기와 통신하며 각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취합하는 통합중계기가 별도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며 획득하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 및 방식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지리정보처리단계(S600)는 전술한 정보전송단계(S500)에서 전송된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 및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위치 및 이동에 관한 정보를 지리정보와 정합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도 등과 같은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수이송관이 구비되어 있는 정보를 추가하고, 그 중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배치되어 이동하는 구간 및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를 모두 정합시켜 지리정보 상에서 하수이송관(C)의 배치 및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취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리정보처리단계(S600)는 하수이송관(C)에 인접한 가정 및 사업체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유해가스 및 유체의 수위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구간에 인접한 가정 및 사업체에 대하여 미리 경보를 하거나, 하수이송관(C) 내부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파악하는 등 하수이송관(C) 내부의 상태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정합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단계(S7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계(S70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전술한 정보전송단계(S500)를 통하여 전송한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를 지리정보 상에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단계(S700)는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 및 하수이송관(C)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단계(S700)의 제1 실시예는 하수이송관(C) 내부 유해가스의 농도를 컬러풍선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가스측정단계(S300)에서 측정된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정보전송단계(S500)를 통하여 전달받고,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각각 다른 색의 풍선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해가스의 농도가 1ppm 미만인 경우 연두색 풍선을 디스플레이하고, 유해가스의 농도가 1ppm이상 3ppm미만인 경우 노랑색 풍선을 디스플레이하며, 유해가스의 농도가 3ppm이상 10ppm미만인 경우 주황색 풍선을 디스플레이며, 유해가스의 농도가 10ppm이상인 경우 빨간색 풍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컬러풍선은 지리정보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단계(S700)의 제2 실시예는 하수이송관(C)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를 하수이송관(C) 구간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수위측정단계(S400)에서 측정된 하수이송관(C) 내부의 유체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정보전송단계(S500)를 통하여 전달받고, 유체의 수위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하수이송관(C)의 구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하수이송관(C) 내부의 높이에 대한 비율로 판단하여 수위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의 수위가 20%미만인 구간은 연두색 라인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유체의 수위가 20%이상 40%미만인 구간은 파란색 라인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유체의 수위가 40%이상 60%미만인 구간은 남색 라인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유체의 수위가 60%이상 80%미만인 구간은 보라색 라인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유체의 수위가 80%이상인 구간은 빨간색 라인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체의 수위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므로, 하수이송관(C)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간의 색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제공되는 지도 정보 서비스에 하수이송관(C) 내부 유해가스의 농도를 컬러풍선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유체의 수위를 구간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하여 맵 상에 관로 내부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단계(S700)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다양한 방식 및 다양한 컬러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경보발생단계(S800)는 전술한 가스측정단계(S300) 및 수위측정단계(S400)에서 측정된 유해가스의 농도 및 유체의 수위가 기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러한 경보발생단계(S8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단계(S7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색을 통하여 경보를 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송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을 통하여, 하수이송관(C) 내부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획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한 상황에 대한 대비 및 관리가 용이하여 하수이송관(C)의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30 : 홀센서
200 : 가스유입챔버
210 : 농도측정센서
220 : 유입유로
224 : 밸브
230 : 유출유로
234 : 밸브
240 : 공기유동부
250 : 에어펌프
400 : 카메라
500 : 구동부
510 : 연결부
600 : 레일
610 : 홈
620 : 브러쉬
630 : 자석
640 : 중공부
C : 하수이송관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가스유입챔버 및 상기 가스유입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가스유입챔버를 연통시키는 유입유로,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가스유입챔버를 연통시키는 유출유로 및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유입챔버는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가스유입챔버 내부로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공기유동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가 이동하는 이동단계;
    상기 가스유입챔버의 내부로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단계; 및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본체가 등간격으로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고,
    상기 가스유입단계 및 상기 가스측정단계는 상기 본체가 정지한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가스유입단계는
    선택적으로 밸브를 오픈하고, 상기 공기유동부 및 에어펌프를 구동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공기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가스순환과정 및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가스유입챔버의 상기 유입유로 및 유출유로를 차폐하는 가스유입챔버차단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측정단계는
    상기 가스유입단계에서 오픈된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가스유입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 중의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상기 하수이송관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의 위치 및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지리정보와 정합시키는 지리정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이송관 내부의 정보를 상기 지리정보 상에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를 컬러풍선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하수이송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를 상기 하수이송관 구간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처리단계는,
    상기 하수이송관에 인접한 가정 및 사업체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리정보를 이용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KR1020170030160A 2017-03-09 2017-03-09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KR10181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60A KR101813913B1 (ko) 2017-03-09 2017-03-09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60A KR101813913B1 (ko) 2017-03-09 2017-03-09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913B1 true KR101813913B1 (ko) 2018-01-30

Family

ID=6107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160A KR101813913B1 (ko) 2017-03-09 2017-03-09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9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326B1 (ko) 2020-06-05 2020-12-01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모니터링 장치
KR20210111372A (ko) 2020-03-02 2021-09-13 동영산업개발(주) 지하공동구의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KR102311973B1 (ko) 2021-01-12 2021-10-13 (주) 에코베이스 원격지 드라이빙 조절을 통한 선택적 가스 농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22565B1 (ko)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KR102322573B1 (ko)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561B1 (ko) * 1997-10-31 2000-04-01 차상근 닥트의 오염측정용 로봇
JP2009166986A (ja) * 2008-01-18 2009-07-30 Nippon Steel Corp 自動走行クレーンとその走行位置検出装置
KR101187998B1 (ko) * 2012-01-19 2012-10-08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관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75117B1 (ko) * 2013-02-21 2013-06-17 (주) 경화엔지니어링 유체 이송관의 관로 탐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561B1 (ko) * 1997-10-31 2000-04-01 차상근 닥트의 오염측정용 로봇
JP2009166986A (ja) * 2008-01-18 2009-07-30 Nippon Steel Corp 自動走行クレーンとその走行位置検出装置
KR101187998B1 (ko) * 2012-01-19 2012-10-08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관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75117B1 (ko) * 2013-02-21 2013-06-17 (주) 경화엔지니어링 유체 이송관의 관로 탐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372A (ko) 2020-03-02 2021-09-13 동영산업개발(주) 지하공동구의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KR102445782B1 (ko) 2020-03-02 2022-09-22 동영산업개발(주) 지하공동구의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KR102185326B1 (ko) 2020-06-05 2020-12-01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모니터링 장치
KR102322565B1 (ko)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KR102322573B1 (ko)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KR102311973B1 (ko) 2021-01-12 2021-10-13 (주) 에코베이스 원격지 드라이빙 조절을 통한 선택적 가스 농도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913B1 (ko) 하수이송관 관로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관로 모니터링 방법
US397723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concentration profiles of liquid or gaseous substances
CN108426174B (zh) 一种地下管道的检测方法
KR101059129B1 (ko) 지하수 지표유출 유속 유량 측정 장치 및 그 모니터링 장치
CN105065917A (zh) 城市排水管网在线检测方法
KR101756584B1 (ko)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Kim et al. SewerSnort: A drifting sensor for in-situ sewer gas monitoring
KR20080029503A (ko) 도시통합운영센터와 유무선 통신망 기반 하수도 시설물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94789B1 (ko) 관정에 포집된 유류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이용하여 유류저장시설의 누유를 검출하는 누유검출장치
CA2134100A1 (en) Monitoring device for a rubbish dump and process for locating leaks
KR20000016089A (ko) 파이프라인의 네트워크의 액체 흐름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TW585958B (en) Method of tracing drains
KR100353391B1 (ko) 하수관거의 모니터링/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48199B1 (ko) 건물화분 lid 시설 맞춤형 샘플링박스
KR100801684B1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JP2014035321A (ja) 光ファイバ応用液位計測装置
CN209893131U (zh) 管网检测结构
EP0242363B1 (en) Method for leak detection in a pipeline system
KR100577847B1 (ko)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CN209182317U (zh) 重力排水管网中定位排放点的测量装置及系统
KR100937976B1 (ko) 지하수위 관측장치
CN210604009U (zh) 一种微扰动定深地下水采集及水位测量装置
CN109283308B (zh) 重力排水管网中定位排放点的测量装置、系统及定位方法
US20020092362A1 (en) Flow-metering and sampling catch basin insert
RU2605684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течи подводного нефте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