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584B1 -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584B1
KR101756584B1 KR1020160035969A KR20160035969A KR101756584B1 KR 101756584 B1 KR101756584 B1 KR 101756584B1 KR 1020160035969 A KR1020160035969 A KR 1020160035969A KR 20160035969 A KR20160035969 A KR 20160035969A KR 101756584 B1 KR101756584 B1 KR 101756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housing
pipe
sensing bar
leve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전인재
오대승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102016003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wag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 상업, 공업 지역에서 유출되는 각각의 하수관거에서 측정된 하수량의 변화추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장래 하수처리장의 용량 설계와 차집관거의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협잡물과 이물질에 의한 자동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획득하고, 평소 우수토실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차집관거로 유도배출하면서 하수량을 측정에만 선택적으로 하수를 유입시켜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Device For Automatic And Manual Combination}
본 발명은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거, 상업, 공업 지역에서 유출되는 각각의 하수관거에서 측정된 하수량의 변화추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장래 하수처리장의 용량 설계와 차집관거의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거의 유량측정을 위한 유역 말단부에서의 하수량 측정은 직접적으로는 Infiltration/Inflow (침입수/유입수) 산정에 있다.
I/I 산정 기술은 US EPA에서 제안하는 기본식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식들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기저유량 대비 강우시와 비강우시의 유량 변화차를 이용하여 구하게 된다. 이때, 유의해야 할 사항은 해당 배수유역을 대표하는 하수관거 말단에서의 유량측정은 어디까지나 대상 유역의 "겉보기 I/I" 분석에 국한될 수 있는 자료가 생산되게 되는 점이 있다.
또한 말단에서 측정된 하수량의 변화추이는 장기적으로는 축적된 자료를 토대로 해당 유역특성분석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강우강도별 특성에 따른 하수증가유량 및 발생특성 분석(시간대별, 요일별, 계절별 변화특성)이라든지 유달시간에 대한 재평가 등 많은 설계자료들을 검증할 수 있는 결과로 활용되고 있다.
이렇게 축적된 데이터는 지역특성(주거, 상업, 공업 등)에 따른 하수전환량이 장래 하수처리장의 용량설계와 차집관거의 설계 등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수관거에서의 유량변화특성 자료획득은 무엇보다 정확한 대표지점의 선정과 유량계 설치 및 유지관리가 필요한데, 무엇보다 어려운 점이 유량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유지(청소)관리하는데 있다.
최근들어 많이 사용되는 현장 설치 유량계의 대부분이 부정확한 자료를 생산하게 되는데 이는 센서부(probe)에 협잡물이 붙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측정 데이터는 별도의 Filtering을 통해 보정을 해 주어야만 사용이 가능한데 이 과정에서도 데이터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선행등록 기술로 하수량측정 전송장치(대한민국 실용등록 제0264928호)가 있다.
이러한 하수량측정 전송장치는 플로트식 수위계로 이 역시 플로트식 수위계에 협잡물이 붙으면 측정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02649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평균 하수량을 자동 측정할 수 있으며, 자동 측정되는 해당 유역의 평균하수량이 급격한 변화가 생길 경우, 작업자가 해당 유역의 하수량을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협잡물과 이물질에 의한 자동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하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과 동일 레벨로 설치되되, 평소 우수토실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차집관거로 유도배출하고, 하수량을 측정시 선택적으로 하수를 유입시켜 하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및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우수토실과 연결관을 통해 상호 간 연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우수토실의 바닥면과 동일 레벨로 결합되고, 유입되는 하수의 평균 유속을 빠르게 유도하여 이물질 및 협잡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중앙영역이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유량을 자동 측정할 수 있도록 벽면에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지면으로 노출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대를 통해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 일단이 부분 노출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레벨을 식별하여 하우징의 유량을 수동 측정하는 수위감지바;와, 상기 연결관 결합되어 우수토실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단속하는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수구에 설치되는 2방향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관은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연동되어 수위감지바가 상승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3방향 솔레노이브밸브는 차집관거와 연결되는 분기관이 연결되어 하수량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는 분기관을 통해 차집관거로 유도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수위감지바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내장되는 무게추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동일 레벨 상에 결합되는 부력체로 구성되되, 상기 수위감지바의 상단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수위감지바의 상승에 따른 유량을 수동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지주대에는 솔라셀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어반에는 충전지와, 초당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와, 측정된 유량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측정된 평균유량을 산출하고 각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측정된 평균 하수량을 송출하거나 명령어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과,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를 직접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연결관과, 함몰부 및 배수구는 동일 레벨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가이드관은 수위감지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평소 마개를 통해 밀폐되고, 수동 측정시 마개를 제거하고 수위감지바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에 따르면, 협잡물과 이물질에 의한 자동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소 우수토실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차집관거로 유도배출하고, 하수량을 측정시 선택적으로 하수를 유입시켜 하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를 보호하고, 이에 따라 보다 신뢰성 있는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거, 상업, 공업 지역에서 유출되는 각각의 하수관거에서 측정된 하수량의 변화추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장래 하수처리장의 용량 설계와 차집관거의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는 평균 하수량을 자동 측정할 수 있으며, 자동 측정되는 해당 유역의 평균하수량이 급격한 변화가 생길 경우, 작업자가 해당 유역의 하수량을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협잡물과 이물질에 의한 자동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는 하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과 동일 레벨로 설치되되, 평소 우수토실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차집관거로 유도배출하고, 하수량을 측정시 선택적으로 하수를 유입시켜 하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우징(10)과, 제어반(50)과, 하우징(10) 내부 수위를 자동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S)와, 하우징(10)의 내부 수위를 수동 측정하는 수위감지바(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우수토실(200)과 연결관(300)을 통해 상호 간 연설되어 하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00)은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3)를 매개로 차집관거(400)와 연결되는 분기관(31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평소 우수토실(200)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연결관(300)과 분기관(310)을 통해 차집관거(400)로 직접 배출되는 구성이다.
즉, 평소 하수량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수가 하우징(10)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차집관거(40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의 배수구(11)에는 2방향 솔레노이드밸브(V1)가 설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량을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배수구(11)는 배수관(320)과 연결되고, 배수관(320)은 차집관거(40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우수토실(200)의 바닥면과 동일 레벨을 갖는 바닥플레이트(1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바닥플레이트(12)는 유입되는 하수의 평균 유속을 빠르게 유도하여 이물질 및 협잡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중앙영역이 함몰된 함몰부(121)가 형성되며, 이러한 함몰부(121)는 연결관(300) 및 배수구(11)와 동일 레벨로 형성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S)는 2방향 솔레노이드밸브(V1)에 의해 배수구(11)가 폐쇄되면 하우징(10)의 내부 수위가 상승하는 바, 이를 자동 측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벽면에 고정된다.
이 때 하우징(10)의 내부 수위는 바닥플레이트(12)의 상부면부터 측정되는데, 초당 내부 수위 상승율을 계산하여 하수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센서(S)는 플로트센서, 3,4,5극센서, 오뚜기센서, 워터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센서는 실시예로 오뚜기센서로 표시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반(50)은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지면으로 노출되는 지주대(40)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대(40)를 통해 2,3방향 솔레노드이드밸브(V1,V3) 및 수위감지센서(S)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지주대(40)에는 솔라셀(41)이 더 결합되고, 상기 제어반(50)에는 솔라셀(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지(51)가 내장되어 전력을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50)에는 초당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52)와, 측정된 유량을 저장하는 메모리(53)와, 측정된 평균 하수량을 산출하고 2방향 및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1,V3)를 제어하는 제어부(54)와, 측정된 평균 하수량을 송출하거나 명령어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55)과,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V1,V3)를 직접 제어하는 컨트롤러(56)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반(50)은 중앙통제실로부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유역의 하수량을 3 ~ 5회에 걸쳐 측정하여 평균 하수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하수량측정값은 중앙통제실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중앙통제실에서는 자동 측정되는 해당 유역의 평균하수량이 급격한 변화가 생길 경우, 작업자는 해당 유역의 하수량을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은 가이드관(20)이 종설되는데, 이러한 상기 가이드관(20)은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 일단이 부분 노출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관(20)은 수위감지바(3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연동되어 수위감지바(30)가 상승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수위감지바(30)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타단에 내장되는 무게추(32)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과 동일 레벨 상에 결합되는 부력체(33)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수위감지바(30)의 부력체(33) 부력은 무게추(32)의 무게 보다 큰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관(20)은 바닥플레이트(12)의 함몰부(121)와 수직 선상에 배치시켜 상기 수위감지바(30)가 바닥플레이트(12)의 레벨에서부터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수위감지바(30)의 상단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수위감지바(30)의 상승에 따른 유량을 수동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측정된 값을 통해 협잡물과 이물질에 의한 자동 측정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수동으로 하수량을 측정할 때 컨트롤러(56)를 통해 각 솔레노이드밸브(V1,V3)를 작업자가 직접 단속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해당 유역에 설치된 하수량 측정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파악하게 되고, 필요 시 하수량 측정장치를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20)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위감지바(30)가 삽입된 상태에서 평소 마개(22)를 통해 밀폐되고, 수동 측정시 마개(22)를 제거하고 수위감지바(30)의 상승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외에 작업자가 여분의 수위감지바(30)를 개별 소지하여 하수량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의 작동도이다.
평소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3)는 도 4와 같이, 하우징(10)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차단하고, 분기관(310)은 개방시켜 우수토실(200)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분기관(310)을 경유하여 차집관거(400)로 직접 유도배출시킨다.
아울러 중앙통제실에서 하수량의 측정 명령어를 송신하면, 해당 유역의 송수신모듈(55)은 이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4)는 도 5와 같이,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3)를 제어하여 분기관(310)을 차단시키고, 연결관(300)을 개방시켜 우수토실(200)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도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54)는 하우징(10) 내의 배수구(11)에 설치된 2방향 솔레노이드밸브(V1)를 차단시켜 하우징(10)의 내부로 하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바닥플레이트에 밀착된 수위감지센서가 하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4)는 타이머(52)를 가동시킨다.
상기 제어부(54)는 하우징(10)의 내부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초당 유입량을 계산하여 측정된 하수량을 메모리(53)에 저장시킨다.
상술된 과정을 3 ~ 5회에 걸쳐 반복한 하수량 측정값이 메모리(53)에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54)는 평균 하수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하수량은 송수신모듈(55)을 통해 중앙통제실로 송신한다.
여기서 하수량 측정이 끝나면 상기 제어부(54)는 2방향 솔레노이드()를 개방시켜 하우징(10)에 저장된 하수를 배수관(320)을 통해 차집관거(400)로 배출시키고,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3)를 제어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하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분기관(310)으로 하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앙통제실에서 자동 측정되는 해당 유역의 평균 하수량이 급격한 변화가 생길 경우, 작업자는 해당 유역의 하수량을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
수동 하수량 측정은 먼저 자동 측정되는 해당 유역의 평균하수량이 급격한 변화가 생길 경우에 행한다. 물론 선택적으로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동 하수량 측정은 제어반(50)에 구비된 컨트롤러(56)를 통해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3)를 제어하여 하수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2방향 솔레노이드밸브(V1)를 차단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하수의 수위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도 6과 같이, 가이드관(20)에 결합된 마개를 제거하고, 하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되는 수위감지바(30)의 눈금을 식별하여 현장에서 측정된 하수량과 자동으로 측정된 하수량을 비교 판단한다.
이 때 오차가 클 경우, 해당 유역에 설치된 하수량 측정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파악하여 필요 시 하수량 측정장치의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하수량 측정장치가 정상일 경우 하수량 측정값을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는 실시예로 설명된 솔레노이드밸브 이외에, 선택적으로 공식주입식 패커 또는 볼스크류에 의한 수문으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질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수질도 같이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하우징 11: 배수구 12: 바닥플레이트
121: 함몰부
20: 가이드관 21: 통공 22: 마개
30: 수위감지바 31: 몸체 311: 눈금
32: 무게추 33: 부력체
40: 지주대 41: 솔라셀
50: 제어반 51: 충전지 52: 타이머
53: 메모리 54: 제어부
55: 송수신모듈 56: 컨트롤러
S: 수위감지센서 V1: 2방향 솔레노이드밸브
V3: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
200: 우수토실
300: 연결관 310: 분기관 320: 배수관
400: 차집관거

Claims (6)

  1. 우수토실(200)과 연결관(300)을 통해 상호 간 연설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우수토실(200)의 바닥면과 동일 레벨로 결합되고, 유입되는 하수의 평균 유속을 빠르게 유도하여 이물질 및 협잡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중앙영역이 함몰된 함몰부(121)가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유량을 자동 측정할 수 있도록 벽면에 고정되는 수위감지센서(S);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지면으로 노출되는 지주대(40);
    상기 지주대(40)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대(40)를 통해 상기 수위감지센서(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반(5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지면으로 일단이 부분 노출되는 가이드관(20);
    상기 가이드관(20)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레벨을 식별하여 하우징(10)의 유량을 수동 측정하는 수위감지바(30);
    상기 연결관(300)과 결합되어 우수토실(200)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단속하는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3);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S)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수구(11)에 설치되는 2방향 솔레노이드밸브(V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관(20)은 하우징(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연동되어 수위감지바(30)가 상승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3방향 솔레노이드밸브(V3)는 차집관거(400)와 연결되는 분기관(310)이 연결되어 하수량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 우수토실(200)로 유입된 하수는 분기관(310)을 통해 차집관거(400)로 유도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바(30)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타단에 내장되는 무게추(32)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과 동일 레벨 상에 결합되는 부력체(33)로 구성되되,
    상기 수위감지바(30)의 상단에는 눈금(311)이 형성되어 수위감지바(30)의 상승에 따른 유량을 수동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40)에는 솔라셀(41)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50)에는 충전지(51)와, 초당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52)와, 측정된 유량을 저장하는 메모리(53)와, 측정된 평균 하수량을 산출하고 각 솔레노이드밸브(V1,V3)를 제어하는 제어부(54)와, 측정된 평균 하수량을 송출하거나 명령어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55)과,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V1,V3)를 직접 제어하는 컨트롤러(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00)과, 함몰부(121) 및 배수구(11)는 동일 레벨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20)은 수위감지바(30)가 삽입된 상태에서 평소 마개(22)를 통해 밀폐되고, 수동 측정시 마개(22)를 제거하고 수위감지바(3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KR1020160035969A 2016-03-25 2016-03-25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KR101756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69A KR101756584B1 (ko) 2016-03-25 2016-03-25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69A KR101756584B1 (ko) 2016-03-25 2016-03-25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584B1 true KR101756584B1 (ko) 2017-07-26

Family

ID=5942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69A KR101756584B1 (ko) 2016-03-25 2016-03-25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58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773B1 (ko) * 2017-11-01 2018-11-21 김현숙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 측정장치
CN109682943A (zh) * 2019-01-31 2019-04-26 隆义轩 一种能实现手自一体测算的水污染指数检测装置
WO2020105964A1 (ko) * 2018-11-22 2020-05-28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20200069877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하수관 모니터링장치
KR20210041753A (ko) * 2019-10-08 2021-04-16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20210058273A (ko) * 2019-11-14 2021-05-24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102419037B1 (ko)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KR102563148B1 (ko) * 2022-10-11 2023-08-02 주식회사 랩큐 인공지능을 이용한 하수 수량 예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93Y1 (ko) 2004-08-19 2004-11-26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수위계
KR101390111B1 (ko)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KR101441657B1 (ko) 2014-06-17 2014-11-04 (주)종성테크 다중경로 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KR101553770B1 (ko) 2014-04-18 2015-09-16 전상훈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93Y1 (ko) 2004-08-19 2004-11-26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수위계
KR101390111B1 (ko)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KR101553770B1 (ko) 2014-04-18 2015-09-16 전상훈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KR101441657B1 (ko) 2014-06-17 2014-11-04 (주)종성테크 다중경로 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773B1 (ko) * 2017-11-01 2018-11-21 김현숙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 측정장치
WO2020105964A1 (ko) * 2018-11-22 2020-05-28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20200069877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하수관 모니터링장치
CN109682943A (zh) * 2019-01-31 2019-04-26 隆义轩 一种能实现手自一体测算的水污染指数检测装置
CN109682943B (zh) * 2019-01-31 2024-03-26 隆义轩 一种能实现手自一体测算的水污染指数检测装置
KR20210041753A (ko) * 2019-10-08 2021-04-16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102388770B1 (ko) * 2019-10-08 2022-04-20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20210058273A (ko) * 2019-11-14 2021-05-24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102408952B1 (ko) * 2019-11-14 2022-06-14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102419037B1 (ko)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KR102563148B1 (ko) * 2022-10-11 2023-08-02 주식회사 랩큐 인공지능을 이용한 하수 수량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584B1 (ko) 자동 수동 겸용 하수량 측정장치
KR101350414B1 (ko)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누설감지 장치
CN103453966B (zh) 一种带有红外测距液位测量仪的厕所非水冲洗装置
KR101920773B1 (ko)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 측정장치
KR20170038481A (ko) 센서를 이용한 강수량 측정장치
KR101555029B1 (ko) 방사형집수정 수평집수관의 순환식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14577528A (zh) 一种环境保护工程用水质检测取样装置
WO2007103418A2 (en) Early detection and advanced warning 'waste is backing up'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12360A (ko) 오접감지 및 수질/유량측정이 가능한 오수용 맨홀
JP2009108537A (ja) 雨水貯留設備
KR100744630B1 (ko) 하수관거내 염소 이온농도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제어방법및 그 시스템과, 이를 위한 염소 이온측정기
KR100792400B1 (ko) 반도체 압력센서를 이용한 연약지반 침하 계측장치
KR101183613B1 (ko) 강우량 측정기
JP2007126939A (ja) 雨水貯留設備
CN105258761B (zh) 一种气泡式水位计以及一种水体内含沙量检测方法
CN107055660A (zh) 用于处理流动液体的单元
KR100509294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맨홀 역류방지용 수위측정 계측장치
CN103113012B (zh) 一种用于污泥浓缩池出水水质检测的取样方法
US20020092362A1 (en) Flow-metering and sampling catch basin insert
CN112857485A (zh) 一种带水质监测功能的电磁流量计
Panasiuk et al. The feasibility of using flap gates as constriction flow meters for estimating sanitary sewer overflows (SSO)
CN220709379U (zh) 一种水文监测蒸发站
CN218002590U (zh) 一种实时流动浓度采样流通池
CN214784384U (zh) 一体化泵站综合控制系统
CN216846446U (zh) 一种水位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