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868B1 -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868B1
KR101813868B1 KR1020150179435A KR20150179435A KR101813868B1 KR 101813868 B1 KR101813868 B1 KR 101813868B1 KR 1020150179435 A KR1020150179435 A KR 1020150179435A KR 20150179435 A KR20150179435 A KR 20150179435A KR 101813868 B1 KR101813868 B1 KR 10181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et
body fluid
light sourc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277A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종로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로의료기 filed Critical (주)종로의료기
Priority to KR102015017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868B1/ko
Priority to CN201680073432.2A priority patent/CN108366786A/zh
Priority to PCT/KR2016/013462 priority patent/WO2017104993A1/ko
Publication of KR2017007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12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8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per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12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 A61B2010/0025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based on analysis of crystalisation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74Vaginal or cervical secre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8Interstitial fluid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테스터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액을 이용하여 언제든 짧은 시간 내에 직접 테스트를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는 제1면에 사용자의 체액이 도포되는 시트를 가지는 시트부; 상기 시트에 도포된 상기 체액의 확대를 위한 확대렌즈군을 구비하고, 상기 확대렌즈군의 일측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 상기 확대렌즈군을 통해 확대된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에 밀착되는 가이드가 타측에 구비되는 접경부; 상기 접경부에 밀착되어 상기 접경부를 통해 확대된 상기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며, 조명수단을 가지는 검사단말; 및 상기 시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경부와 마주대하는 방향에서 상기 시트부의 제2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 광을 상기 제2면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가지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The test device for Body fluid analysis using light emitted from the devcie and transmitted light }
본 발명은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테스터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액을 이용하여 언제든 짧은 시간 내에 직접 테스트를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상태, 신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그러나, 전문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검진을 받기 위해서는 바쁜 일과시간을 쪼개어 시간을 내야 하며, 번잡스러운 수속을 진행하는 등의 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된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지간한 불편함은 감수하며 생활하고, 견디기 힘들정도의 고통 또는 불편함이 발생해야만 전문의료 기관을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신체상황을 빈번하게 확인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신체 상태를 체크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실제로 상용화 되어 이용되는 기술은 극히 드문 실정이다.
오히려, 과거로부터 사용되어온 간단한 테스터기의 사용은 꾸준하며, 젊은 세대들에 있어서는 편리한 사용법과 적게 소요되는 비용, 전문의료기관 이용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터기는 사람들의 신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들 예를들어, 타액, 소변, 땀 등을 이용하여, 특정 상황에서 배출되는 호르몬과 같은 생화학물질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으로, 비교적 정확도가 높고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주로 사용되는 테스트 수단으로 임신진단, 당뇨진단, 혈당체크와 같은 테스트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결혼 연령의 증가,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인해 불임 및 난임 부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임신진단 테스트기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임신진단 테스트기는 임신여부를 판별할 수 있을 뿐 불임 및 난임으로 고생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이 조차도 여성의 임신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여성의 임신 가능성 여부, 남성의 수정 능력 등은 의료기관의 진료에 의해서만 확인되는 한계가 있다.
미국 공개 특허 US 2008/0255472 A1 (2008. 10. 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테스터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액을 이용하여 언제든 짧은 시간 내에 직접 테스트를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성 및 남성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여성은 자신은 배란기를 확인하여 임신 가능성이 높은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남성은 자신의 정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신 가능성을 높이도록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는 제1면에 사용자의 체액이 도포되는 시트를 가지는 시트부; 상기 시트에 도포된 상기 체액의 확대를 위한 확대렌즈군을 구비하고, 상기 확대렌즈군의 일측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 상기 확대렌즈군을 통해 확대된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에 밀착되는 가이드가 타측에 구비되는 접경부; 상기 접경부에 밀착되어 상기 접경부를 통해 확대된 상기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며, 조명수단을 가지는 검사단말; 및 상기 시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경부와 마주대하는 방향에서 상기 시트부의 제2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 광을 상기 제2면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가지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의 전달수단은 상기 조명수단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수집하는 광유입부; 상기 광유입부를 통해 수집된 광을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2면으로 유도하는 광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유도관은 상기 광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광을 상기 제2면으로 반사하여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유입부 또는 상기 광유도부는 광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유도부와 상기 시트부의 제2면 사이에 개재되는 광투과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은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이 특정색을 나타내도록 광의 색을 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부는 상기 제1면의 측면과 상기 제2면의 측면에 각각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는 상기 시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부의 제1 및 제2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상기 시트부가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는 상기 시트부의 삽입을 위한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는 광투과성 합성수지, 천연고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되, 특정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테스터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액을 이용하여 언제든 짧은 시간 내에 직접 테스트를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는 여성 및 남성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여성은 자신의 배란기를 확인하여 임신 가능성이 높은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남성은 자신의 정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신 가능성을 높이고 진단 필요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의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를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시트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사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이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패턴 분석을 위한 체액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실제 체액을 이용한 테스트 영상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테스트 영상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구획패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체액이 정액 또는 질분비물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의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이스를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는 제1면(25)에 사용자의 체액이 도포되는 시트(27)를 가지는 시트부(20), 시트(27)에 도포된 체액의 확대를 위한 확대렌즈군(35)을 구비하고, 확대렌즈군(35)의 일측이 시트의 제1면(25)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확대렌즈군(35)을 통해 확대된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51)에 밀착되는 가이드(34)가 타측에 구부되는 접경부(30), 접경부(30)에 밀착되어 접경부(30)를 통해 확대된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며, 조명수단(52)을 가지는 검사단말(50) 및 시트부(20)를 사이에 두고 접경부(30)와 마주대하는 방향에서 시트부(20)의 제2면(2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조명수단(52)으로부터의 광을 제2면(21)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가지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광원부(10)는 검사단말(50)의 조명수단(52)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시트부(20)에 전달하여 시트부(20)에 도포된 체액의 영상이 확인 또는 촬영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광원부(10)는 광 전달수단(12, 13, 14, 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전달수단(12, 13, 14, 15)는 광유입관(12)과 광유입부(13)로 구성되는 광 유입부, 광유도관(15)과 반사경(14 :14a, 14b)로 구성되는 광 유도부로 구분될 수 있다.
광유입부(13)는 광 유입관(12)의 일측 종단을 의미하며, 검사단말(50)의 조명수단(52)에 밀착하여 조명수단(5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집하여 광이 광 유입관(12) 내부로 입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광 유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 유입관(12)의 종단을 확장하는 것과 같은 형태 변형이 가능하며, 접촉 및 밀착을 위해 종단을 유입관(12)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광 유입관(12)은 검사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타원 또는 다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광유입부(13)의 내부는 광을 반사하는 물질이 도포되거나, 광반사에 유리한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 유입관(12)의 타측 종단에는 광 유도부가 형성된다. 광 유도부는 광원부(10)의 바디(11) 일부와 광 유입관(12)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광 유입관(12)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방향을 시트부(20) 즉, 검사단말(50) 방향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광 유도부는 광유입관(12)과 바디(11) 내부의 빈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광유도관(15) 및, 광 유입관(12)의 종단 및 바디(11) 내부에 구성되는 반사경(14 : 14a, 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광 유입관(12)의 타측 종단에는 제1반사경(14a)이 설치된다. 이 제1반사경(14a)은 광 유입관(12)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반향을 바디(11) 내부로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광 유입관(12)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각도를 제2반사경(14b) 방향으로 변경하게 된다. 그리고, 제2반사경(14b)는 바디(11) 내부의 종단에 설치되며, 제1반사경(14b)에 의해 반사된 광을 재반사하여 시트부(20) 방향으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반사경은 제1반사경(14a)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시트부(20)의 전면에 광을 고루 분사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반사경의 수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사경이 한쌍으로 구성된 예만을 게시하였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반사경(14b)과 시트부(20) 사이의 바디(11) 내부 공간에는 제2면(21)과 나란하게 광투과성 필름(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 광투과성 필름은 조명수단(5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을 변경하기 위해 특정색으로 착색되거나, 특정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필터수단일 수 있다. 또한, 필름은 시트, 플레이트, 렌즈와 같은 다양한 형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필름'은 이러한 형태와 재질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원부(10)는 시트부(20)와 분리된 형태로 게시되어 있으나, 광원부(10)와 시트부(20)는 일체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광유입부(12) 및 광유도부(15)는 광섬유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섬유의 종단이 시트부(20)를 향하게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반사경은 생략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트부(20)는 재물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트부(20)에 구비되는 시트(27)의 제1면(25)에 사용자의 체액이 도포된다. 이 시트부(20)는 체액이 도포되는 시트(27)와 시트(27)를 고정하고 외부광을 차단하며 접경부(30) 및 광원부(10)에 시트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시트(27)는 원형 판상 유리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시트(27)의 외주연을 감싸는 파이프 형태로 베이스(23)가 형성된다. 베이스(23)의 외주연에는 안착부(22, 26)가 형성된다. 이 안착부(22,26)는 시트(27)의 제1면(25)의 측면과 제2면(2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1면(25)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26)에는 접경부(30)가 결합되고, 제2면(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22)에는 광원부(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면(25)에 형성되는 베이스(23)는 제1면(25)보다 돌출되게 시트가드(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시트가드(24)는 체액이 시트(27)에 도포되는 경우 흘러 넘치거나, 접경부(30)의 내벽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체액의 도포양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시트(27)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며, 체액을 도포하여 관찰하기 위한 재물대의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시트(27)에 체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키거나, 액체 상태의 체액을 관찰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덮개가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덮개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시트(27)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어 광원부(10)에 의해 제2면(21)으로 전달되는 광을 제1면(25)으로 투과시켜 시트(27)에 도포된 체액에 대해 배경광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트(27)는 외부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광이 시트(27)의 제1면(25)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아크릴,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소다라임 유리와 같은 유리재질의 투명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시트(27)는 착색되거나, 특정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27)와 베이스(23)는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베이스(23)를 통해 외부광이 입사되어 산란광을 형성함으로써 체액의 관찰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23)의 외부연을 착색하여 빛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접경부(30)는 시트부(20)와 검사단말(50)을 연결하여, 검사단말(50)이 시트부(20)에 도포된 체액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접경부(30)는 대물부(31)가 시트(27)의 제1면(25)과 마주하도록 시트부920)에 결합된다. 이 접경부(30)도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시트부(20)의 영상을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확대렌즈군(35)이 구성된다. 특히, 접경부(30)의 재물바디(3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활대렌즈군(35)의 위치를 변경하여 배율 및 초점이 조절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다른 배율의 검사단말(50)이 결합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유관에 의해 체액의 영상을 확인하는 경우 초점 및 배율이 조절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접경부(30)의 타단에는 가이드(34)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34)는 확대렌즈군(35)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정확한 배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가이드(34)는 외부광에 의한 빛샘을 방지하여 정확한 체액 영상을 검사단말(50) 또는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시트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사시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와 접경부(1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시트부(120)가 광원부(110)와 접경부(130)의 사이에 마련된 슬릿(117)을 통해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시트부(120)를 삽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 것 외에는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슬릿(117)은 광원부(110)와 접경부(130)의 사이에 형성되고, 시트부(120)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슬릿(117)이 형성된 바디부(111)에는 슬릿(117)을 통해 끼워진 시트부(120)를 고정 및 지지하고, 시트부(120)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가이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레일가이드(118)는 시트부(120)에 광이 전달되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부(130)의 삽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슬릿(117)이 바디(111)의 일측에 하나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하고 정확한 위치에 시트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타면에 하나의 슬릿(1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부(120)가 한쌍의 슬릿(117)을 통해 바디(111)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시트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릿(117)을 통해 삽입됨으로써 검사장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부9120)는 베이스(123)와 시트(127)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123)가 착색되어 베이스(123)를 통해 외부광이 검사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빛샘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트(12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액이 오목한 부분에 담겨지게 할 수 있으나, 시트부(12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이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1, 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단말(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검사단말(50)에 검사장치(1, 10)를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1, 100)는 사용자가 접경부(30, 130)의 가이드(34, 134) 부분에 검사단말(50)을 접촉시키고, 검사단말(50)을 통해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거나 검사단말(50)을 이용하여 체액의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검사단말(50)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거나 촬영 기능 및 촬영된 영상을 출력, 전달 또는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이면 어떠한 종류의 단말이라도 이용이 가능하다. 도 6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형태의 단말이 예시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검사단말950)과 검사장치(1, 100)의 결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141)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는 클립형태의 결합수단(141)이 도시되어 있다.
결합수단(141)은 검사장치(1, 100)와 검사단말(50)을 결합시키며, 특히, 접경부(30, 130)가 검사단말(50)에 구비되는 촬영수단(51)에 일치되도록 검사장치(1, 100)와 검사단말(5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클립형태, 밴드형태, 흡착형태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단말(50)과 검사장치(1, 100)를 결합사킬 수 있다. 일례로, 클립형태의 결합수단(141)은 복수의 절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절곡부에 의해 구부러진 클립이 검사장치(1,100)와 검사단말(50)을 가압하여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형태의 결합수단(141)은 기계적 강도 및 탄성력이 우수한 금속, 합성수지, 목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7은 패턴 분석을 위한 체액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실제 체액을 이용한 테스트 영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9는 테스트 영상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구획패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체액 특히, 타액(또는 침)의 경우 여러가지 증상에 대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가임기 여성의 타액은 특별한 징후를 뚜렷이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여성의 타액에 포함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정확한 배란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임으로 고생하는 부부가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임기의 여성의 경우 배란일이 가까워 오면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량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타액의 염분 농도가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로인해, 타액을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경우 비가임기, 과도기, 가임기에 따라 각각 다른 타액 결정 구조를 나타내게 된다.
일례로, 비가임기 즉,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는 여성의 타액을 건조하여 촬영하는 경우 도 7의 (a)에서와 같이 뚜렷한 결정 구조를 찾을 수 없는 형태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실제 촬영한 이미지가 도 8의 (a)에 나타나 있다. 도 7의 (a)와 도 8의 (a)에서와 같이 비가임기에는 특별한 결정 구조를 찾을 수 없으며, 일부 타액 세포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과도기 즉, 비가임기에서 배란이 이루어지는 가임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의 여성 타액은 도 7의 (b)와 같은 형태로 약간의 결정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결정 형태는 전해질, 점액, 효소 등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장방향 형상의 타액 세포(salivary cells)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가임기 즉, 배란이 이루어지는 시기가 되면, 도 7의 (c)에서와 같이 결정질이 일방향으로 뻗는 형태 즉, 양치식물의 잎 모양(fern patterns)이 명확하게 나타나게 된다. 도 8의 (b)는 실제 가임기 여성의 타액을 촬영한 영상이다. 이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도 8의 (a)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상태 판별 시스템은 이러한 타액의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가임기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분석정보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즉, 검사단말(50)이 촬영된 테스트 영상을 이미징 처리하여 결정선을 명확히하고, 결정선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지, 아니면 (c)와 같이 양치식물의 잎 모양의 직선형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게 되며, 특히 직선형 패턴의 길이 밀도를 확인하게 된다. 이를 통해 비가임기, 과도기 및 가임기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분석정보로 제공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및 비가임기, 과도기, 가임기의 판별은 패턴의 밀도, 형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미지 처리의 경우 영상을 흑백으로 재처리하고, 흑백 처리의 명암을 판별하여 선형 판단 및 이를 통해 길이와 밀도의 판단이 가능한 것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이미지 처리 및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 9와 같이 구획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해당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폐선의 내부 영역)에 얼마나 많은 직선 또는 타원형 선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분석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획패턴은 검사장치(1, 100)의 확대렌즈군(35, 135) 또는 베이스(20, 120)의 시트부(20, 120)에 인쇄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검사단말(50)에 의해 분석영상의 일부분을 구획패턴으로 구분하여 이미징 처리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0은 체액이 정액 또는 질분비물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분석정보의 작성은 남성의 정액에 대해서도 수행이 가능하다. 남성의 정액을 본 발명의 상태 감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판별하는 경우, 정자의 수, 정자의 활동도, 정자의 기형 여부와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정자의 상태를 호전시킨 후 임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액의 분석에 있어서도 구획패턴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a)와 (b)의 중앙에 형성된 격자형태의 패턴 내에 위치하는 정자의 수, 활동도, 형태를 판별함으로써 용이하게 정자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촬영된 영상의 전반에 분포되는 정자를 검사단말(50) 또는 의료기관시스템(미도시)이 모두 분석하지 않고, 구획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안에 있는 정자를 대상으로 샘플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빠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사단말(50)의 패턴처리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좀더 세밀하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패턴은 도 9 및 도 10에는 격자형태로 구성된 예가 되어 있으나, 타원,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면 중앙뿐 아니라 임의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를 확인하여 밀도가 높은 곳에 구획패턴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검사단말(50)에서 정자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타액 분석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우선 검사단말(50)이 시트부(20, 120)에 도포된 정액을 촬영하여 테스트 영상을 확보한다. 그리고 검사단말(50)은 테스트 영상에서 일정 영역내에 확인되는 정자의 수, 특정 정자의 이동거리, 이동거리의 평균, 회전여부, 회전속도, 회전반경을 산출한다. 이때, 검사단말(50)은 테스트 영상을 여러장 촬영하여 사용하거나, 동영상 형태로 촬영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속의 특정 정자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선택된 정자의 정자 특성을 판단함으로써 정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샘플링 정자를 복수로 선택함으로서 정자 특성 분성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사단말(50)은 테스트 영상 중 일부 정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자의 영상을 선명한 패턴 또는 흑백영상으로 이미지 처리한 후 미리 저장된 이미지,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되는 형태를 가지는지 비교하여 정자의 기형 여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체(동그란 부분) 하나당 미부(꼬리 형태)의 갯수, 미부의 구부러짐 여부, 선체의 기형상을 판별하여 테스트 영상 속의 정자가 정상적인 형태를 가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정자의 선택 및 샘플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패턴을 적용하고, 테스트 영상 속 정자들 중 구획패턴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정자를 대상으로 정자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샘플링 정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분석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분석에 따른 검사단말(50)의 부하부담을 경감시켜 빠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c)에서와 같이 질분비물을 관찰하여 세균성 질증, 질염과 같은 병증의 유무 및 진찰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분비물을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관찰하는 경우 정상적인 경우 질점막세포 만이 관찰되지만, 도 10의 (c)에서와 같이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 (c)에서 검은 점으로 보이는 것과 같은 물질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의 경우 질 내부에서 항균물질의 분비가 감소함으로써 질내 산도가 증가하고 혐기성 세균이 과증식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과증식된 혐기성 세균들이 질점막세포의 표면에 흡착되어 질점막 세포가 검은 점들로 뒤덮인 모습을 보이게 되며, 검사장치에 의해 이러한 증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는 타액, 질분비물, 남성의 정액과 같은 신체 분비물을 확대 촬영하고 이를 영상분석 및 유관 분석함으로써 질병의 유무, 질병명, 배란기와 같은 다양한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110 : 광원부
20, 120 : 시트부
30, 130 : 접경부
50 : 검사단말
51 : 촬영수단
52 : 조명수단

Claims (11)

  1. 제1면에 사용자의 체액이 도포되는 시트를 가지는 시트부;
    상기 시트에 도포된 상기 체액의 확대를 위한 확대렌즈군을 구비하고, 상기 확대렌즈군의 일측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 상기 확대렌즈군을 통해 확대된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에 밀착되는 가이드가 타측에 구비되는 접경부;
    상기 접경부에 밀착되어 상기 접경부를 통해 확대된 상기 체액의 영상을 촬영하며, 조명수단을 가지는 검사단말; 및
    상기 시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경부와 마주대하는 방향에서 상기 시트부의 제2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 광을 상기 제2면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가지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부는
    광투과성 합성수지, 천연고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고정하며 상기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외주연은 외부광을 차단하도록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전달수단은
    상기 조명수단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수집하는 광유입부;
    상기 광유입부를 통해 수집된 광을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2면으로 유도하는 광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는 상기 광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광을 상기 제2면으로 반사하여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입부 또는 상기 광유도부는 광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유도부와 상기 시트부의 제2면 사이에 개재되는 광투과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이 특정색을 나타내도록 광의 색을 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제1면의 측면과 상기 제2면의 측면에 각각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는 상기 시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부의 제1 및 제2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상기 시트부가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경부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는 상기 시트부의 삽입을 위한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되, 특정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KR1020150179435A 2015-12-15 2015-12-15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KR10181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35A KR101813868B1 (ko) 2015-12-15 2015-12-15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CN201680073432.2A CN108366786A (zh) 2015-12-15 2016-11-22 利用终端出射光及透射光的体液分析用检查设备
PCT/KR2016/013462 WO2017104993A1 (ko) 2015-12-15 2016-11-22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35A KR101813868B1 (ko) 2015-12-15 2015-12-15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277A KR20170071277A (ko) 2017-06-23
KR101813868B1 true KR101813868B1 (ko) 2018-01-02

Family

ID=5905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435A KR101813868B1 (ko) 2015-12-15 2015-12-15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13868B1 (ko)
CN (1) CN108366786A (ko)
WO (1) WO2017104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7416A1 (en) * 2017-09-29 2020-08-05 Nanovare SA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sis of male infertility
CN109211615B (zh) * 2018-08-31 2021-03-30 赛司医疗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体液样本的微型采集装置
KR102333043B1 (ko) * 2019-09-02 2021-12-01 (주)인트인 체액 테스트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107B1 (ko) * 2014-11-14 2015-07-01 (주)종로의료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배란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56289Y (zh) * 1996-06-25 1997-06-18 陈建新 女性排卵期检测器
CN2374144Y (zh) * 1999-04-09 2000-04-19 罗焕城 改良结构的排卵测定器
KR100853655B1 (ko) * 2006-12-15 2008-08-25 한국전기연구원 피부 질환의 광학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광원 시스템 및 장치의 이용방법
KR20130130443A (ko) * 2012-05-22 2013-12-02 성기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액 분석 시스템
KR20140132260A (ko) * 2013-05-07 2014-11-17 김태현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9658217B2 (en) * 2014-02-17 2017-05-23 Ixensor Co., Ltd Measuring phys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with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107B1 (ko) * 2014-11-14 2015-07-01 (주)종로의료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배란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6786A (zh) 2018-08-03
WO2017104993A1 (ko) 2017-06-22
KR20170071277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866B1 (ko) 자연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KR101891180B1 (ko) 체액 상태 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태 감별 방법
KR101813867B1 (ko) 조명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KR101920272B1 (ko) 조명이 개선된 체액 검사장치
KR101813868B1 (ko)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US20150223682A1 (en) Afferent pupil tester
KR101920273B1 (ko) 체액 검사장치용 시료부 및 이를 구비하는 체액 검사장치
JP6821824B2 (ja) 携帯用体液検査装置
KR20170061943A (ko) 타액배란측정장치
JP7100197B2 (ja) 体液分析用の検査装置
KR20170133833A (ko)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CN208705565U (zh) 一种用于流行病分析的显微成像系统
JP7432328B2 (ja) 医療システム
KR20200046997A (ko) 스마트 펜라이트 및 이를 이용한 동공 반사 분석 시스템
JP2004271779A (ja) 光学顕微観察用対物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