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383B1 -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383B1
KR101813383B1 KR1020160076326A KR20160076326A KR101813383B1 KR 101813383 B1 KR101813383 B1 KR 101813383B1 KR 1020160076326 A KR1020160076326 A KR 1020160076326A KR 20160076326 A KR20160076326 A KR 20160076326A KR 101813383 B1 KR101813383 B1 KR 101813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housing
cutting
delete delet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환
Original Assignee
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환 filed Critical 우성환
Priority to KR102016007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abov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커팅이송유닛,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이 적용됨으로써 커팅이송유닛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농산물의 분쇄 및 착즙이 대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DEVICE FOR PULVERIZATION AND EXTR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
본 발명은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팅이송유닛,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이 적용됨으로써 커팅이송유닛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농산물의 분쇄 및 착즙이 대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분쇄 장치는 회전비가 서로 다른 한 쌍의 분쇄롤러가 구비되고 이들 분쇄롤러의 사이로 투입되는 농산물(예컨대, 쌀,보리 등의 곡류 또는 무, 고추 등)이 분쇄롤러 사이의 마찰에 의해 분쇄되도록 구성되고 있었다.
이러한 농산물 분쇄 장치는 분쇄횟수에 따라 입자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분쇄롤러를 통과한 농산물을 수거하여 다시 분쇄롤러의 사이로 투입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 농산물이 원하는 크기로 분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산물 분쇄 장치는 분쇄된 농산물을 수거하여 재차 투입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 지며 또한 농산물이 원하는 입자크기로 분쇄되기 전 까지는 자리를 비울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무, 쪽파, 대파, 미나리, 배, 고추 등과 같은 농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김치의 양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서도 상기와 같은 농산물 분쇄 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건강을 위하여 당근, 양파, 샐러리 등의 농산물을 착즙하여 착즙된 엑기스를 레토르트 파우치 등의 포장을 통하여 유통 및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농산물의 착즙을 위하여, 특히 야채류의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농산물의 경우에는 즙을 내어 마시기 위하여 분쇄와 함께 착즙 기능을 통하여 농산물에 대한 분쇄 및 착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가 요구된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농산물 분쇄 장치는 단순히 농산물에 대한 분쇄를 위한 것으로, 착즙의 기능은 매우 미소한 것으로서 농산물에 대한 착즙을 위해서는 별도의 착즙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농산물의 분쇄 및 착즙이 대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09761호 2000.02.15.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팅이송유닛,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이 적용됨으로써 커팅이송유닛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커팅이송유닛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농산물의 분쇄 및 착즙이 대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는 농산물이 투입되어 1차 및 2차적으로 커팅처리된 후에 분쇄처리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장치에 있어서, 하부 일측으로 받침판이 돌출 형성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구비된 투입호퍼로 농산물이 공급되며, 상기 투입호퍼 하측에 커팅이송스크류가 단축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팅이송스크류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투입호퍼로 공급된 농산물을 1차적으로 커팅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커팅이송유닛; 및 상기 커팅이송유닛과 연통 연결되어 상기 커팅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농산물이 유입되어 2차적으로 커팅처리된 후 분쇄되도록, 상기 커팅이송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커팅이송유닛과 연통 연결되는 구동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하우징의 상부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하단에 연결되는 커터축이 구비되고, 상기 커터축의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커터가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터축 하단에 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쇄커터의 하측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쇄링이 분쇄링 결착구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분쇄링 결착구의 하부에 배출호퍼가 결합고정되는 커팅분쇄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분쇄커터는 상기 커터축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커터축 하단에 연결되는 분쇄커터 결착구에 의해 상기 분쇄커터와 함께 상기 커터축 하단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에 체결부재로 상기 분쇄커터와 함께 체결 연결되도록 상기 분쇄커터의 체결공와 대응되어 중앙부분에 체결공이 다수 개로 형성되고, 저면 둘레의 일정 폭에 대하여 헬리컬분쇄날이 형성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보조분쇄날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호퍼는 상기 분쇄링 결착구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도록 둘레를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하측에 상광하협의 형상의 호퍼 타입으로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결합공 내측 상면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산과 골의 형상을 가지고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하우징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중앙하우징 및 상기 중앙하우징의 하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과 중앙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상기 중앙하우징의 연결부분에 상부설치편이 개재되며, 상기 중앙하우징과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연결부분에는 하부설치편이 개재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상부설치편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외면을 회전가능토록 감싸는 상부베어링이 상기 상부설치편 상에 상부고정브래킷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설치편 중앙에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커터축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커터축의 외면을 회전가능토록 감싸는 하부베어링이 상기 하부설치편 상에 하부고정브래킷에 의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하우징의 하부하우징은 일측이 상기 커팅이송유닛과 연통 연결되는 한편, 타측에는 세척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세척구는 착탈캡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축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되, 스크류 타입의 상부 및 하부에 외향 연장되는 보조커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쇄커터는 상기 커터축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커터축 하단에 연결되는 분쇄커터 결착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에 체결부재로 체결 연결되도록 중앙에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와 삽입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체결공이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숫분쇄날이 래칫타입으로 형성되는 원판커터 및 상기 원판커터의 상면에 외측으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향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분쇄링은 상기 분쇄링 결착구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의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 저면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분쇄커터의 원판커터 외측면 둘레를 따라 래칫타입으로 형성되는 숫분쇄날와 대응되어 내면에 암분쇄날이 래칫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팅이송스크류는 상기 투입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산물에 대하여 1차적으로 커팅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축을 감싸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는 일 측에서 봤을 때 육각형이 되도록 감김 방향으로 일정길이마다 각이 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크류 축은 이송방향 단부로 갈수록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이송방향 끝단 일정길이에 대하여 이송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커팅이송스크류는 상기 투입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산물에 대하여 1차적으로 커팅하면서 일 방향으로 압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축을 감싸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축의 이송방향 끝단은 일정길이에 대하여 외향 지름이 점차 커지는 확관 경사부와 상기 확관 경사부로부터 다시 지름이 점자 작아지는 협관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는 투입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산물에 대하여 1차적으로 커팅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 측에서 봤을 때 육각형이 되도록 감김 방향으로 일정길이마다 각이 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팅이송유닛,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이 적용됨으로써 커팅이송유닛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커팅이송유닛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및 분쇄링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농산물의 분쇄 및 착즙이 대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정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측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구동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커터축 하부에 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링과 분쇄링 결착구 및 배출호퍼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와 분쇄링의 작동관계를 저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분쇄링, 분쇄링 결착구, 배출호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요부인 커팅이송유닛의 커팅이송스크류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요부인 커팅이송유닛의 커팅이송스크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정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측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구동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커터축 하부에 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링과 분쇄링 결착구 및 배출호퍼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와 분쇄링의 작동관계를 저면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커팅분쇄유닛의 요부인 분쇄커터, 보조분쇄커터, 분쇄링, 분쇄링 결착구, 배출호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요부인 커팅이송유닛의 커팅이송스크류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요부인 커팅이송유닛의 커팅이송스크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설치대(100), 커팅이송유닛(300) 및 커팅분쇄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대(100)는 하부 일측으로 받침판(110)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설치대(100) 및 받침판(110)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이송이 용이하도록 캐스터(1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캐스터(130)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설치장소의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발(1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팅이송유닛(300)은 상기 설치대(10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구비된 투입호퍼(310)로 농산물이 공급되며, 상기 투입호퍼(310) 하측에 커팅이송스크류(350)가 단축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팅이송스크류(350)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330)에 의해 상기 투입호퍼(310)로 공급된 농산물을 1차적으로 커팅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팅분쇄유닛(400)은 상기 커팅이송유닛(300)과 연통 연결되어 상기 커팅이송스크류(350)에 의해 이송되는 농산물이 유입되어 2차적으로 커팅처리한 후 분쇄시키도록, 상기 커팅이송유닛(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팅분쇄유닛(400)은 메인하우징(410)의 내부에 상기 커팅이송유닛(300)과 연통 연결되는 구동하우징(44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4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팅분쇄유닛(400)은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46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461)과 상기 구동축(461) 하단에 연결되는 커터축(47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터축(470)의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커터(471)가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터(471)는 상기 커터축(470)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되, 스크류 타입의 상부 및 하부에 외향 연장되는 보조커터(472)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커팅분쇄유닛(400)은 특히,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분쇄커터(500)와 보조분쇄커터(5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쇄커터(500)의 하측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쇄링(700)이 분쇄링 결착구(800)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440)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커팅분쇄유닛(400)은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의 하부에 배출호퍼(900)가 결합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특히 상기 보조분쇄커터(500')는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는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의해 상기 분쇄커터(500)와 함께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분쇄커터(500')는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체결부재(550)로 상기 분쇄커터(500)와 함께 체결 연결되도록 상기 분쇄커터(500)의 체결공(512)와 대응되어 중앙부분에 체결공(501')이 다수 개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보조분쇄커터(500')는 저면 둘레의 일정 폭에 대하여 헬리컬분쇄날(510')이 형성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보조분쇄날(53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호퍼(900)는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도록 둘레를 따라 결합공(911)이 형성되는 플랜지부(910)와, 상기 플랜지부(910) 하측에 상광하협의 형상의 호퍼 타입으로 형성되는 배출부(91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910)의 상기 결합공(911) 내측 상면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산과 골의 형상을 가지고 요철부(9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요철부(913)를 가지는 배출호퍼(900) 및 헬리컬분쇄날(510')을 가지는 보조분쇄커터(50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분쇄커터(500)를 통해 분쇄처리된 농산물에 대하여 재차 분쇄처리함과 동시에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특히 상기 커팅이송유닛(300)과 커팅분쇄유닛(400)의 구동모터(460), 커터축(470), 분쇄커터(500), 보조분쇄커터(500') 등의 구성은 상기 메인하우징(410)의 외측 일면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미부호)에 의해 구동 및 회전 등이 제어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상기 구동하우징(440)은 상기 메인하우징(4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구동모터(460)가 구비되는 상부하우징(441)과, 상기 상부하우징(441)의 하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중앙하우징(442) 및 상기 중앙하우징(442)의 하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하부하우징(4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441)과 중앙하우징(442)의 내측 중앙에 상기 구동모터(460)와 연결되는 구동축(461)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441)과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상기 중앙하우징(442)의 연결부분에 상부설치편(451)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앙하우징(442)과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상기 하부하우징(443)의 연결부분에는 하부설치편(452)이 개재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설치편(451) 중앙에 상기 구동축(461)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461)의 외면을 회전가능토록 감싸는 상부베어링(455)이 상기 상부설치편(451) 상에 상부고정브래킷(453)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설치편(452) 중앙에 상기 구동축(461)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커터축(470)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커터축(470)의 외면을 회전가능토록 감싸는 하부베어링(456)이 상기 하부설치편(452) 상에 하부고정브래킷(454)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하우징(440)의 하부하우징(443)은 일측이 상기 커팅이송유닛(300)과 연통 연결되는 한편, 타측에는 세척구(444)가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세척구(444)는 착탈캡(44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쇄커터(500)는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는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의해 연결되며, 원판커터(510) 및 가이드 바(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원판커터(510)는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체결부재(550)로 체결 연결되도록 중앙에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600)와 삽입 연결되는 연결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51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체결공(512)이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숫분쇄날(514)이 래칫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520)는 상기 원판커터(510)의 상면에 외측으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향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원판커터(510)는 상기 가이드 바(520) 일측에 상기 가이드 바(520)의 길이와 대응되어 외측단으로부터 내향 안내홈(5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쇄링(700)은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분쇄커터(500)의 원판커터(510)와 대응되어 내면에 암분쇄날(714)이 래칫타입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분쇄날(714)은 저면에서 봤을 때, 상기 분쇄커터(500)의 원판커터(510)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숫분쇄날(514)과 상호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커터(471)와 보조커터(471)에 의해 2차 커팅처리된 농산물이 상기 가이드 바(520)에 안내된 후에, 상기 숫분쇄날(514)과 상기 암분쇄날(714)의 사이 간극과 래칫타입으로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통하여 분쇄되면서 하향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되면서 하향 안내되는 농산물은 이후, 상기 보조분쇄커터(500')의 헬리컬분쇄날(510')과 배출호퍼(900)의 요철부(913) 사이를 거쳐 추가적으로 분쇄처리됨과 동시에 착즙이 이루어지며, 그리고나서 상기 배출호퍼(900)의 배출부(917)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는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편(810)과, 상기 밀착편(810)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결착편(8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편(810)은 중앙에 상기 분쇄링(700)과 대응되는 안착공(8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착편(820)은 중앙에 상기 분쇄커터(500)의 외면과 상기 분쇄링(700)의 내면 사이를 통하여 분쇄되어 낙하하는 농산물을 하향 배출시키되 상기 안착공(811) 상에 상기 분쇄링(7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81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배출공(82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배출공(821)을 통해 배출되는 분쇄처리된 농산물은 전술한 보조분쇄커터(500')의 헬리컬분쇄날(510')과 배출호퍼(900)의 요철부(913) 사이를 거쳐 상기 배출호퍼(900)의 배출부(917)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호퍼(900)의 하측의 받침판(110) 상에는 수거통(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상기 수거통(미도시) 상에 상기 배출호퍼(900)를 통해 배출되는 분쇄 및 착즙 처리가 완료된 농산물을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수거통(미도시) 상부에는 착즙 처리되고 남은 찌꺼기만을 걸러낼 수 있도록 걸름망(미도시)을 더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는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고정봉(420)이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20) 하단에는 선택적으로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고정레버(430)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는 상기 밀착편(810)과 상기 결착편(820)이 고정부재(830)에 의해 밀착고정되고, 상기 밀착편(810)과 결착편(82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착공(840)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착공(840)을 통하여 상기 고정봉(420)이 삽입된 후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가 상기 고정레버(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가 상기 분쇄링(700)이 안착 고정된 채로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분쇄링 결착구(800)에서, 특히 상기 결착공(840)은 상기 고정레버(430)와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삽입부(841)와, 상기 삽입부(841) 일측에 연통되어 상기 고정봉(420)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결착부(842)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결착편(820)은 저면 양측에 파지봉(825)이 더 연결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파지봉(82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파지봉(825)을 파지하여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에 대한 고정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쇄링 결착구(800)는 상기 파지봉(825)을 잡고 상기 결착공(840)의 삽입부(841)를 통하여 상기 고정레버(430)와 고정봉(42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결착편(820)을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결착부(842)에 상기 고정봉(420)이 걸림고정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레버(430)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하우징(440)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에 대한 상기 구동하우징(440)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상기 커팅이송스크류(350)는 상기 투입호퍼(3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산물에 대하여 1차적으로 커팅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축(351)을 감싸는 스크류(352)를 포함하되, 특히 상기 스크류(352)는 일 측에서 봤을 때 육각형이 되도록 감김 방향으로 일정길이마다 각이 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스크류 축(351)은 이송방향 단부로 갈수록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이송방향 끝단 일정길이에 대하여 이송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커팅이송스크류(350)는 상기 투입호퍼(3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산물에 대하여 1차적으로 커팅하면서 일 방향으로 압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축(351)을 감싸는 스크류(352)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축(351)의 이송방향 끝단은 일정길이에 대하여 외향 지름이 점차 커지는 확관 경사부(351a)와 상기 확관 경사부(351a)로부터 다시 지름이 점자 작아지는 협관 경사부(351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스크류(352)는 투입호퍼(3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산물에 대하여 1차적으로 커팅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 측에서 봤을 때 육각형이 되도록 감김 방향으로 일정길이마다 각이 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의하면, 커팅이송유닛(300), 분쇄커터(500), 보조분쇄커터(500') 및 분쇄링(700)이 적용됨으로써 커팅이송유닛(300)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500), 보조분쇄커터(500') 및 분쇄링(700)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커팅이송유닛(300)을 통해 농산물이 커팅이송된 후에 분쇄커터(500), 보조분쇄커터(500') 및 분쇄링(700)의 구성을 통해 분쇄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농산물의 분쇄 및 착즙이 대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설치대 110: 받침판
130: 캐스터 140: 고정발
300: 커팅이송유닛 310: 투입호퍼
330: 구동부 350: 커팅이송스크류
351: 스크류축 351a: 확관 경사부
351b: 협관 경사부 352: 스크류
400: 커팅분쇄유닛 410: 메인하우징
420: 고정봉 430: 고정레버
440: 구동하우징 441: 상부하우징
442: 중앙하우징 443: 하부하우징
444: 세척구 445: 착탈캡
451: 상부설치편 452: 하부설치편
453: 상부고정브래킷 454: 하부고정브래킷
455: 상부베어링 456: 하부베어링
460: 구동모터 461: 구동축
470: 커터축 471: 커터
472: 보조커터
500: 분쇄커터
510: 원판커터 511: 연결공
512: 체결공 513: 안내홈
514: 숫분쇄날 520: 가이드 바
550: 체결부재
500': 보조분쇄커터
501': 체결공 510': 헬리컬분쇄날
530': 보조분쇄날
600: 분쇄커터 결착구
700: 분쇄링 714: 암분쇄날
800: 분쇄링 결착구
810: 밀착편 811: 안착공
820: 결착편 821: 배출공
825: 파지봉 830: 고정부재
840: 결착공 841: 삽입부
842: 결착부
900: 배출호퍼
910: 플랜지부
911: 결합공
913: 요철부
917: 배출부

Claims (18)

  1. 농산물이 투입되어 1차 및 2차적으로 커팅처리된 후에 분쇄처리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장치에 있어서,
    하부 일측으로 받침판(110)이 돌출 형성되는 설치대(100);
    상기 설치대(10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구비된 투입호퍼(310)로 농산물이 공급되며, 상기 투입호퍼(310) 하측에 커팅이송스크류(350)가 단축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팅이송스크류(350)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330)에 의해 상기 투입호퍼(310)로 공급된 농산물을 1차적으로 커팅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커팅이송유닛(300); 및
    상기 커팅이송유닛(300)과 연통 연결되어 상기 커팅이송스크류(350)에 의해 이송되는 농산물이 유입되어 2차적으로 커팅처리된 후 분쇄되도록, 상기 커팅이송유닛(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메인하우징(410)의 내부에 상기 커팅이송유닛(300)과 연통 연결되는 구동하우징(44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46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46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461)과 상기 구동축(461) 하단에 연결되는 커터축(470)이 구비되고, 상기 커터축(470)의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커터(471)가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분쇄커터(500)와 보조분쇄커터(5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쇄커터(500)의 하측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쇄링(700)이 분쇄링 결착구(800)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440)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의 하부에 배출호퍼(900)가 결합고정되는 커팅분쇄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호퍼(900)는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도록 둘레를 따라 결합공(911)이 형성되는 플랜지부(910)와,
    상기 플랜지부(910) 하측에 상광하협의 형상의 호퍼 타입으로 형성되는 배출부(917)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플랜지부(910)의 상기 결합공(911) 내측 상면에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산과 골의 형상을 가지고 요철부(913)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하우징(440)은 상기 메인하우징(4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구동모터(460)가 구비되는 상부하우징(441)과,
    상기 상부하우징(441)의 하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중앙하우징(442) 및
    상기 중앙하우징(442)의 하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하부하우징(44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441)과 중앙하우징(442)의 내측 중앙에 상기 구동모터(460)와 연결되는 구동축(461)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441)과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상기 중앙하우징(442)의 연결부분에 상부설치편(451)이 개재되며,
    상기 중앙하우징(442)과 플랜지 타입으로 연결되는 상기 하부하우징(443)의 연결부분에는 하부설치편(452)이 개재되고,
    상기 상부설치편(451) 중앙에 상기 구동축(461)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461)의 외면을 회전가능토록 감싸는 상부베어링(455)이 상기 상부설치편(451) 상에 상부고정브래킷(453)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설치편(452) 중앙에 상기 구동축(461)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커터축(470)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커터축(470)의 외면을 회전가능토록 감싸는 하부베어링(456)이 상기 하부설치편(452) 상에 하부고정브래킷(454)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분쇄링(700)은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분쇄커터(500)의 원판커터(510) 외측면 둘레를 따라 래칫타입으로 형성되는 숫분쇄날(514)와 대응되어 내면에 암분쇄날(714)이 래칫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는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편(810)과, 상기 밀착편(810)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결착편(820)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편(810)은 중앙에 상기 분쇄링(700)과 대응되는 안착공(8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착편(820)은 중앙에 상기 분쇄커터(500)의 외면과 상기 분쇄링(700)의 내면 사이를 통하여 분쇄되어 낙하하는 농산물을 하향 배출시키되 상기 안착공(811) 상에 상기 분쇄링(7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81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배출공(8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부 외측의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는 상기 구동하우징(440)의 하단 둘레를 따라 고정봉(420)이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20) 하단에는 선택적으로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고정레버(430)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는 상기 밀착편(810)과 상기 결착편(820)이 고정부재(830)에 의해 밀착고정되고, 상기 밀착편(810)과 결착편(82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착공(840)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착공(840)을 통하여 상기 고정봉(420)이 삽입된 후 상기 분쇄링 결착구(800)가 상기 고정레버(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하우징(410)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분쇄커터(500)는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는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체결부재(550)로 체결 연결되도록 중앙에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600)와 삽입 연결되는 연결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51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체결공(512)이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숫분쇄날(514)이 래칫타입으로 형성되는 원판커터(510) 및
    상기 원판커터(510)의 상면에 외측으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향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되는 가이드 바(520)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커터(510)는 상기 가이드 바(520) 일측에 상기 가이드 바(520)의 길이와 대응되어 외측단으로부터 내향 안내홈(513)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분쇄커터(500')는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연결되는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의해 상기 분쇄커터(500)와 함께 상기 커터축(470) 하단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기 분쇄커터 결착구(600)에 체결부재(550)로 상기 분쇄커터(500)와 함께 체결 연결되도록 상기 분쇄커터(500)의 체결공(512)와 대응되어 중앙부분에 체결공(501')이 다수 개로 형성되고,
    저면 둘레의 일정 폭에 대하여 헬리컬분쇄날(510')이 형성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보조분쇄날(53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076326A 2016-06-20 2016-06-20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813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26A KR101813383B1 (ko) 2016-06-20 2016-06-20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26A KR101813383B1 (ko) 2016-06-20 2016-06-20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383B1 true KR101813383B1 (ko) 2017-12-28

Family

ID=6093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326A KR101813383B1 (ko) 2016-06-20 2016-06-20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076A (zh) * 2018-10-22 2019-02-22 安吉丰美水栀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栀子果的粉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75B1 (ko) 2011-10-28 2012-11-19 김영기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KR101586464B1 (ko) * 2015-09-30 2016-01-19 우성환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75B1 (ko) 2011-10-28 2012-11-19 김영기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KR101586464B1 (ko) * 2015-09-30 2016-01-19 우성환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076A (zh) * 2018-10-22 2019-02-22 安吉丰美水栀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栀子果的粉碎装置
CN109365076B (zh) * 2018-10-22 2024-04-26 秀山县华顺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水栀子果的粉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465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58646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586467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81338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US9392908B2 (en) Herb grinder
CN103878806B (zh) 木塑复合材料型材切割机
KR200483171Y1 (ko)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압착 유형 주스 추출기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KR101813383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814928B1 (ko) 착즙 효율을 높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US4027824A (en) Nut grinding mill
KR101170618B1 (ko) 과일분쇄장치
KR101565243B1 (ko) 농산물 분쇄장치
WO2019061759A1 (zh) 一种餐厨垃圾粉碎研磨装置
HU214070B (en) Crusher for grinding and cutting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wastes
US1750764A (en) Separator
KR101565244B1 (ko) 농산물 분쇄장치
CN107803255B (zh) 一种脱水蔬菜加工用切菜装置
KR101716429B1 (ko) 관리가 용이하고 위생성이 개선된 고추 분쇄장치
KR101837528B1 (ko) 과일용 생즙 분쇄기
CN216063599U (zh) 一种干米粉生产用粉头粉碎机
CN210935178U (zh) 一种糙米粉碎机
CN209715310U (zh) 一种生鲜果蔬粉碎机
KR20120002370U (ko) 다용도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