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672B1 -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672B1
KR101812672B1 KR1020150108541A KR20150108541A KR101812672B1 KR 101812672 B1 KR101812672 B1 KR 101812672B1 KR 1020150108541 A KR1020150108541 A KR 1020150108541A KR 20150108541 A KR20150108541 A KR 20150108541A KR 101812672 B1 KR101812672 B1 KR 10181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area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722A (ko
Inventor
권홍주
민경진
박정호
이혜원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주) 씨제이오쇼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제이오쇼핑 filed Critical (주) 씨제이오쇼핑
Priority to KR102015010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6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06K9/004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중인 단말 화면 정보를 객체정보서버에 송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 및 단말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객체정보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잡지, 전단지, 책자, 서적, 카탈로그 등의 상품/서비스 정보가 인쇄된 지면 자체에서 상품/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서버에 요구할 수 있게 되어, 지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Mobile Media Control System, Server, Method and Application By Using Magazine}
본 발명은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중인 단말 화면 정보를 객체정보서버에 송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 및 단말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객체정보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잡지, 전단지, 책자, 서적, 카탈로그 등의 상품/서비스 정보가 인쇄된 지면 자체에서 상품/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서버에 요구할 수 있게 되어, 지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이 등장하여 물건을 구입하는 방법이 매우 간편해졌으나 잡지, 전단지, 책자, 서적, 카탈로그 등 상품/서비스 정보가 인쇄된 지면과 인터넷의 연계를 통한 상품/서비스 제공은 그 활용이 미비한 편이다.
특히 지면은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한정적으로 개시되어 있을 수 밖에 없는 특성상, 지면을 읽고 있는 사람이 지면에 개시된 상품을 구매하고 싶거나 더욱 알아보고 싶어도 일일이 해당 제품의 사이트를 인터넷에서 찾은 후 그 모델명과 같은 제품을 다시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면에 QR코드를 인쇄하여 휴대 단말과 연계하여 상품을 검색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QR코드에 링크된 사이트로 이동을 시켜줄 뿐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서비스의 특정 정보만을 직관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더하여 QR코드는 지면으로부터 인터넷의 해당 사이트를 연결시킨 후, 그 이후 일련의 과정은 모두 인터넷에서 진행이 되므로 진정한 의미의 지면과 인터넷의 연계를 이뤄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현재까지도 40~50대 이상의 세대는 여전히 지면에 인쇄된 상품/서비스 제공 매체를 이용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있으나, QR코드를 활용하여 인터넷 내에서 상품에 대한 세부 정보를 검색하여 구매하는 활용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지면과 인터넷의 진정한 연계를 이루는 기술을 개발하여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잡지, 전단지, 책자, 서적, 카탈로그 등의 상품/서비스 정보가 인쇄된 지면 자체에서 상품/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단말에 요구할 수 있게 하여, 지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선택 받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지면으로부터 상품/서비스의 검색 및 구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단말이 촬영하는 피사체를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단말에 입력 없어도 지면 자체를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여 인터넷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품에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문제집의 문제 풀이 서비스 제공, 생활지에 개시된 뉴스의 동영상 제공 등과 같이 각종 서비스 영역에 적용되므로, 지면을 활용하는 모든 수단을 인터넷과 연계하여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은 촬영중인 단말 화면 정보를 객체정보서버에 송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객체정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를 감지하고, 상기 식별 이미지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피사체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소정의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을 상기 피사체의 말단으로 특정하고, 상기 말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상기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입력 영역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더하여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상기 입력 영역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별명의 객체정보서버는 단말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 화면 정보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련된 객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객체정보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동영상 정보, 상품평 정보, 유사 상품 또는 유사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를 감지하는 피사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이미지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피사체 감지부는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기 설정한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선의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을 상기 피사체의 말단으로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말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입력 영역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입력 영역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객체정보는 객체에 대한 상세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나눈 목록 및 상기 목록에 해당하는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선택된 목록에 대한 상세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코드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미지 또는 형상을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은 객체정보서버가 지면 인식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가 단말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단말 정보 화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피사체 감지부가 상기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이미지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사체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소정의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을 상기 피사체의 말단으로 특정하고, 상기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말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상기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입력 영역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입력 영역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구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잡지, 전단지, 책자, 서적, 카탈로그 등의 상품/서비스 정보가 인쇄된 지면 자체에서 상품/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단말에 요구할 수 있게 하여, 지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선택 받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지면으로부터 상품/서비스의 검색 및 구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단말이 촬영하는 피사체를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단말에 입력 없어도 지면 자체를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여 인터넷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품에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문제집의 문제 풀이 서비스 제공, 생활지에 개시된 뉴스의 동영상 제공 등과 같이 각종 서비스 영역에 적용되므로, 지면을 활용하는 모든 수단을 인터넷과 연계하여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정보서버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의 말단의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여 선택 영역이 선택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 영역이 선택되었을 경우,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 구매 외에 수학풀이 서비스에 사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피사체의 말단을 특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은 단말(100) 및 객체정보서버(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중인 단말 화면 정보를 객체정보서버(200)에 송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100) 및 단말(100)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객체정보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100)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고, 객체정보서버(200)에 단말 화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쇼핑관리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말 화면 정보란,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이 촬영중인 화면 자체를 의미하며 단말(100)은 객체정보서버(200)에 후술할 피사체(20) 인식을 통한 제어를 위해 실시간으로 단말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촬영한 단일 프레임만을 객체정보서버(200)에 송신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종래에 단말(10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단말(100) 자체에 버튼, 터치, 목소리 등의 입력 명령을 취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피사체(20) 인식을 통해 제어하는 방식은 단말(100)이 지면(10)을 촬영할 때 피사체(20)가 지면(10)의 특정 영역을 가리킴으로써 입력 명령을 취하게 되는 방식으로, 지면(10)과 단말(100)의 연동을 통해 객체정보서버(200)를 제어하게 되어 지면(10)과 인터넷의 직관적인 연동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객체정보서버(200)는 단말(100)에서 송신하는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단말(100)이 요구하는 객체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단말(100)을 사용하여 지면(10)에 인쇄된 상품/서비스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면, 단말(100)은 촬영중인 단말 화면 정보를 객체정보서버(200)에 송신하여, 객체정보서버(200) 내에서 지면(10)에 인쇄된 상품/서비스를 특정하게 된다.
객체정보서버(200)가 상품/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야 하는데, 식별정보란 단말 화면 정보에서 특정 상품/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식별숫자, 바코드, QR코드, 네임, 로고, 라벨 등의 특정 코드를 식별정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지면(10)에 인쇄된 상품/서비스 자체의 이미지 또는 형상이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더하여 모든 색에 일일이 고유 번호를 붙여 모든 색을 번호로 구분하는 방식을 통하여, 특정 색깔의 코드만 식별정보로 인식함으로써 상품/서비스를 특정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식별정보는 상술한 피사체(20) 인식을 통한 제어를 하기 위해 식별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객체정보서버(200)는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20)를 감지할 수 있다.
식별 이미지란, 사용자가 상품/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해 지면(10)을 촬영하여 객체정보서버(200)에 송신하는 지면(10) 자체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미지로 객체정보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 이미지와 다른 피사체(20)를 감지하고 후술할 선택 영역을 선택 받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식별 이미지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이미지는 도 3과 같이 지면(10)에 인쇄된 이미지 일치하며, 이 이미지는 객체정보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식별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는 도 3과 같이 “추가 사진”, “가격”, “동영상”, “구매”등의 객체정보를 선택 받을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다. 선택 영역이란, 특정된 상품/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식별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추가 정보 요청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 영역으로, 이는 지면(10)에도 동일한 영역에 인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객체정보서버(200)는 상기 피사체(20)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242)으로 인식할 수 있는데, 단말(100)이 전송하는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펜 등의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와 다른 피사체(20)로 지면(10)을 가리킬 때, 객체정보서버(200)는 식별 이미지의 특정 부분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선택된 것으로 인식된 선택 영역에 맞는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방식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위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상세한 구성은 추후 객체관리서버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객체정보란, 상품/서비스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며, 이때 매칭 객체정보란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된 상품/서비스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정보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동영상 정보, 상품평 정보, 유사 상품 또는 유사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된 상품이 A침대인 경우 A침대의 여러 이미지, A침대의 광고 동영상, A침대의 사이즈, A침대의 가격, A침대와 유사한 침대, A침대의 상품평 등 A침대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객체정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특정된 서비스가 B수학문제인 경우 B의 해설, B의 답, B의 유사문제, B의 심층문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정보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정보서버(20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100)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통신부(210), 단말 화면 정보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련된 객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20) 및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객체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서비스에 관련된 모든 정보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미지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의 동영상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상품평 정보, 상품/서비스의 유사 상품/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지면(10)에 한정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여러 가지 객체정보를 요구 받아 지면(10)과 인터넷의 효율적인 연계를 이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객체정보서버(200)는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20)를 감지하는 피사체 감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이미지란, 사용자가 상품/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해 지면(10)을 촬영하여 객체정보서버(200)에 송신하는 지면(10) 자체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미지로 객체정보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 이미지와 다른 피사체(20)를 감지하고 후술할 선택 영역을 선택 받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식별 이미지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이미지는 도 3과 같이 지면(10)에 인쇄된 이미지 일치하며, 이 이미지는 객체정보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식별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는 도 3과 같이 “추가 사진”, “가격”, “동영상”, “구매”등의 객체정보를 선택 받을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다. 선택 영역이란, 특정된 상품/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식별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추가 정보 요청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 영역으로, 이는 지면(10)에도 동일한 영역에 인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는 피사체(20)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242)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단말(100)이 전송하는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펜 등의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와 다른 피사체(20)로 지면(10)을 선택할 때, 객체정보서버(200)는 식별 이미지의 특정 부분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그 선택된 요청에 부합하는 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방식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피사체 감지부(240)가 피사체(20)의 가장자리를 기 설정한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선의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도 6을 참조할 때, 한 점을 기준으로 이어진 두 선이 일직선에 가까울수록 변하는 각도가 작은 것으로 정의한다)을 상기 피사체(20)의 말단(241)으로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230)가 말단(241)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242)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역(242)으로 인식하게 될 면적은 지면(10)의 크기 및 선택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지면(10)의 선택 영역을 피사체(20)로 가리키면, 단말(100)은 지면(10)과 피사체(20)가 포함된 단말 화면 정보를 객체정보서버(200)에 송신하고, 객체정보서버(200)는 이를 수신하여 피사체 감지부(240)가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와 다른 피사체(20)를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 피사체 감지부(240)는 도 6과 같이 피사체(20)의 가장자리를 기 설정한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피사체(20)의 형상을 분석한다. 이때 피사체(20)를 연결한 점 중 어떤 점을 기준으로 입력 영역(242)을 설정할 것인지 기준이 필요한데, 보통 손가락이나 펜을 사용하여 선택을 하므로 피사체(20)에서 가장 뾰족한 부분을 그 기준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사체(20)의 가장자리를 기 설정한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선의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도 6을 참조할 때, 한 점을 기준으로 이어진 두 선이 일직선에 가까울수록 변하는 각도가 작은 것으로 정의한다)을 상기 피사체(20)의 말단(241)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말단(241)의 특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는 입력 영역(242) 내에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품/서비스의 식별정보가 특정된 경우 단말 화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는 동일하며, 또한 지면(10)에 인쇄된 선택 영역과 식별 이미지에 기 설정된 선택 영역의 위치는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 펜 등의 피사체(20)로 지면(10)에 인쇄된 선택 영역을 가리키면,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한 피사체 감지부(240)가 피사체(20)의 말단(241)을 분석하여 입력 영역(242)을 할당하고, 도 3, 도 4의 단말(100)에서 보이는 화면처럼 점선으로 표시된 입력 영역(242) 내에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구매 잡지에 개시된 상품 중 어느 하나를 단말(100)로 촬영할 경우 객체정보서버(200)의 통신부(210)는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도 3 실시예의 식별정보는 코드 669491)로부터 상품을 특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면(10)의 “구매”라는 선택 영역을 가리키면, 피사체 감지부(240)는 손가락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말단(241)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면적의 입력 영역(242)을 할당하며, 그 영역 내에 “구매”라는 선택 영역이 있으므로 제어부(230)는 “구매”에 대한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이 경우 도 4와 같이 상품의 “구매”를 위한 상세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위 실시예에서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로 사용된 코드는 하나의 예시일뿐, 상품의 이미지 또는 형상 자체 등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여러 식별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 역시 본 발명이 적용된 수학 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집으로 여러 문제 중 어느 하나를 단말(100)로 촬영할 경우 객체정보서버(200)의 통신부(210)는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도 5 실시예의 식별정보는 코드 851797)로부터 상품을 특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면(10)의 “유사문제”라는 선택 영역을 가리키면, 피사체 감지부(240)는 손가락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말단(241)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면적의 입력 영역(242)을 할당하고, 그 영역 내에 “유사문제”라는 선택 영역이 있으므로 제어부(230)는 특정된 문제와 “유사 문제”에 대한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위 실시예에서 사용된 코드 역시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로 하나의 예시일뿐, 서비스의 이미지 또는 형상 자체 등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여러 식별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선택 영역을 보다 정교하게 선택 받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230)는 입력 영역(242)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입력 영역(242)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역(242)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존재하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가까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30)는 입력 영역(242)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록 입력 영역(242) 내에 선택 영역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가까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객체정보는 객체에 대한 상세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나눈 목록 및 목록에 해당하는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30)는 목록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목록에 대한 상세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사용자가 지면(10)을 촬영하여 객체정보서버(200)가 단말(100)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230)는 단말 화면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로부터 상품/서비스를 특정하여 객체에 대한 상세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나눈 목록을 단말(100)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목록이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등에 나타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단말(100)의 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추가적인 객체정보를 객체정보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230)는 단말 화면 정보에서 코드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드는 숫자, 상품명, 바코드, QR코드, 로고, 라벨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230)는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에서 위 코드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한 코드와 대응되는 상품/서비스를 특정하여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위 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든 색에 일일이 고유 번호를 붙여 모든 색을 번호로 구분하는 방식을 통하여, 제어부(230)는 특정 색깔의 코드만 식별정보로 인식함으로써 상품/서비스를 특정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30)는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품/서비스의 이미지 또는 형상을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서비스가 지면(10)에 인쇄된 이미지 자체로부터 상품/서비스를 특정할 수 있으며, 상품/서비스가 지면(10)에 인쇄된 형상만으로 상품/서비스를 특정하게 하여 데이터베이스(220)의 용량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은 단말(100) 및 객체정보서버(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객체정보서버(200)가 지면(10) 인식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210)가 단말(100)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0); 제어부(230)가 단말(100) 정보 화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하는 단계(S320); 및 통신부(210)가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단말 화면 정보란,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이 촬영중인 화면 자체를 의미하며 단말(100)은 객체정보서버(200)에 후술할 피사체(20) 인식을 통한 제어를 위해 실시간으로 단말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촬영한 단일 프레임 만을 객체정보서버(200)에 송신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부(210)가 단말(100)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0) 역시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0) 이후, 피사체 감지부(240)가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20)를 감지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이미지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피사체(20)를 감지하는 단계(S340) 이후, 제어부(230)가 피사체(20)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242)으로 인식하는 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사체(20)를 감지하는 단계(S340)는 피사체(20)의 가장자리를 소정의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을 상기 피사체(20)의 말단(241)으로 특정하고, 상기 입력 영역(242)으로 인식하는 단계(S350)는, 제어부(230)가 말단(241)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242)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가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단계(S330) 역시 단말(100)에서 객체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는데,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단계(S330)는 입력 영역(242) 내에 상기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입력 영역(242)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입력 영역(242)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단계(S330)는, 입력 영역(242)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소개된 모든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단계는 앞서 소개된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면
20: 피사체
100: 단말
200: 객체정보서버
210: 통신부
220: 데이터베이스
230: 제어부
240: 피사체 감지부
241: 말단
242: 입력 영역

Claims (26)

  1. 촬영중인 단말 화면 정보를 객체정보서버에 송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객체정보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를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며,

    상기 식별 이미지는,
    상기 단말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 요청 또는 구매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고,

    상기 객체정보서버가 상기 입력 영역을 인식함에는,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소정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을 상기 피사체의 말단으로 특정하고, 상기 말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상기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상기 입력 영역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8. 단말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 화면 정보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련된 객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어부; 및
    수신한 상기 단말 화면 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를 감지하는 피사체 감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피사체 감지부는,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소정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선의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을 상기 피사체의 말단으로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말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며,

    상기 식별 이미지는,
    상기 단말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 요청 또는 구매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정보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정보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정보서버.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역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정보서버.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는,
    객체에 대한 상세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나눈 목록 및 상기 목록에 해당하는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선택된 목록에 대한 상세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정보서버.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코드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정보서버.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미지 또는 형상을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정보서버.
  19. 객체정보서버가 지면 인식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가 단말로부터 단말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통신부가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피사체 감지부가 상기 수신한 단말 화면 정보와 식별정보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화면 정보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사체가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피사체 감지부가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소정 간격의 점으로 연결하여, 각 점을 연결한 각도가 가장 크게 변하는 일 점을 상기 피사체의 말단으로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가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말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을 입력 영역으로 인식하며,
    상기 식별 이미지는 상기 단말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객체정보 요청 또는 구매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선택 영역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상기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역 내에 복수의 선택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각 선택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가장 큰 면적의 선택 영역과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객체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역과 가장 근접한 선택 영역에 대응되는 매칭 객체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방법.
  26. 제 19항, 제23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KR1020150108541A 2015-07-31 2015-07-31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81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541A KR101812672B1 (ko) 2015-07-31 2015-07-31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541A KR101812672B1 (ko) 2015-07-31 2015-07-31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22A KR20170014722A (ko) 2017-02-08
KR101812672B1 true KR101812672B1 (ko) 2017-12-27

Family

ID=5815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541A KR101812672B1 (ko) 2015-07-31 2015-07-31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99B1 (ko) * 2017-09-06 2019-01-17 오성호 고객 관리 방법 및 고객 관리 시스템
WO2019160194A1 (ko)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170A (ja) * 1999-05-21 2000-11-30 Atr Media Integration & Communications Res Lab 手振り認識装置
JP2011227875A (ja) * 2010-03-31 2011-11-10 Ns Solutions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170A (ja) * 1999-05-21 2000-11-30 Atr Media Integration & Communications Res Lab 手振り認識装置
JP2011227875A (ja) * 2010-03-31 2011-11-10 Ns Solutions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22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3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CN103369049B (zh) 移动终端和服务器交互方法及其系统
US20170075885A1 (en)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2001218B1 (ko) 객체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20130179436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searching methods thereof
US201402549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EP3188034A1 (en) Display terminal-based data processing method
KR100880202B1 (ko)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를 위한 시각 안내 모델 기반포인트-앤-클릭 인터페이스
CN102368269A (zh) 建立关联关系的方法及装置
KR20120014480A (ko)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134392B1 (ko)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주문 방법 및 장치
US10084936B2 (en) Display system includ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KR101812672B1 (ko) 지면을 이용한 모바일 매체 제어 시스템, 서버,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EP20285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media objects to a cellular telephone user
JP2014521134A (ja) 追加を希望する名刺が連絡先リストに存在しているか否かを判断する方法
JP647667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20269396A1 (en) Dynamic targeting of preferred objects in video stream of smartphone camera
US9817849B2 (en) Image recognition method for offline and online synchronous operation
JP6321204B2 (ja) 商品検索装置及び商品検索方法
KR101681625B1 (ko) 검색 대상 인식 기반 데이터 검색 방법, 이를 수행하는 데이터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990992B1 (ko) 연관 관계를 이용하여 코드 기반의 가격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995299B2 (en) Restoring full online documents from scanned paper fragments
US9268464B1 (en) Link determination and usage using image recognition
KR102103238B1 (ko) 연관 관계를 이용하여 코드 기반의 가격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209907A (zh) 利用个人信息的订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