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67B1 -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67B1
KR101812567B1 KR1020160041454A KR20160041454A KR101812567B1 KR 101812567 B1 KR101812567 B1 KR 101812567B1 KR 1020160041454 A KR1020160041454 A KR 1020160041454A KR 20160041454 A KR20160041454 A KR 20160041454A KR 101812567 B1 KR101812567 B1 KR 10181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drug
hole
body memb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150A (ko
Inventor
신중원
이수철
박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6004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PG의 위치를 화면으로 확인하면서 약물을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몸체부재(10)와; 몸체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서로 분리된 약물배출홀(21), 내시경삽입홀(22), 와이어삽입홀(23)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카테터(20)와;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몸체부재(10)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일측에 조향핸들(43)이 돌출되는 지지부재(40)와; 일단이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테터(20)의 약물배출홀(21)에 체결되고, 타단은 지지부재(40)의 내측에 고정되는 약물공급관(50)과; 일단이 카테터(20)의 와이어삽입홀(23)을 관통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부재(40)의 조향핸들(43)에 연결되는 와이어(60)와; 일단이 카테터(20)의 내시경삽입홀(22)을 관통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몸체부재(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내시경(70)과; 지지부재(4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단이 몸체부재(10) 또는 지지부재(40)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측면에 약물용기(9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돌기(82)가 형성되는 가압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NASAL ENDOSCOPY DRUG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SPG(나비입천장신경절)의 위치를 화면으로 확인하면서 약물을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두통 및 안면 통증과 관련된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비입천장신경절(이하 'SPG'라 한다)에 마취제를 도포하는 방법이다.
SPG는 두개강 외부에 있는 가장 큰 군의 뉴런으로 너비가 약 1cm이고 높이가 약 2cm인 날개입천장오목에 놓여 있다. 날개입천장오목은 앞쪽으로 상악동의 뒤쪽 벽에 의해, 뒤쪽으로 날개돌기의 안쪽판에 의해, 안쪽으로 입천장뼈의 수직판에 의해, 그리고 위쪽으로 나비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옆쪽으로 날개입천장오목은 관자아래우묵과 통하게 된다.
오목 내의 SPG는 코의 중비갑개의 뒤쪽에 위치하고, 옆쪽 비점막의 수 밀리미터(1 mm 내지 5 mm) 깊이에 놓여있다. SPG는 복합 신경 중추(complex neural center) 및 다수의 연결을 가진다. SPG는 날개입천장신경을 통해 날개입천장오목에서의 삼차신경의 상악 가지로부터 매달려 있고, 시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악 가지에 안쪽으로 놓여 있다. SPG는 뒤쪽으로 익돌관 신경에 연결되어 있고 자체는 날가지를 가지고 위쪽 뒤쪽 옆쪽 코 및 인두 신경을 형성한다. 꼬리쪽으로 큰입천장신경 및 작은입천장신경과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SPG를 마취제로 도포하기 위해 마취제로 적시어진 면으로 팁을 갖는 도포기를 환자의 비공 내로 삽입하여 환자의 SPG에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SPG는 중비갑개의 뒤쪽에서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도포기로는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27998호에서는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된 제1 말단 및 환자의 비도 내로 진입하도록 형상화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주입기와,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주입기를 슬라이딩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통로를 포함하는 도입기를 포함하는 의약 전달장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의약 전달장치는 도입기가 환자의 비공과 처음 맞물려질 때, 주입기의 말단을 SPG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10-1527998호의 약물 전달장치는 주입기의 끝단의 위치가 SPG의 안쪽 및/또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임으로 판단한 후에 약물을 주입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SPG에 약물이 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없어 다량의 약물을 분무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입기의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주입기의 제1 말단에 위치하는 약물을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약물 주입시에 주입기의 위치가 흔들리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SPG의 위치를 화면으로 확인하면서 약물을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약물을 SPG로 주입하기 전에 정교하게 카테터를 비도로 삽입하고 카테터의 끝단이 휘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몸체부재(10)와; 몸체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서로 분리된 약물배출홀(21), 내시경삽입홀(22), 와이어삽입홀(23)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카테터(20)와;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몸체부재(10)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일측에 조향핸들(43)이 돌출되는 지지부재(40)와; 일단이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테터(20)의 약물배출홀(21)에 체결되고, 타단은 지지부재(40)의 내측에 고정되는 약물공급관(50)과; 일단이 카테터(20)의 와이어삽입홀(23)을 관통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부재(40)의 조향핸들(43)에 연결되는 와이어(60)와; 일단이 카테터(20)의 내시경삽입홀(22)을 관통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몸체부재(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내시경(70)과; 지지부재(4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단이 몸체부재(10) 또는 지지부재(40)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측면에 약물용기(9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돌기(82)가 형성되는 가압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몸체부재(10)는 전단에 카테터지지공(11)이 형성되고, 후단에 내시경삽입공(12)이 형성되고, 내시경(70)은 몸체부재(10)의 후단에 형성된 내시경삽입공(1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몸체부재(10)는 하부에 가압부재(80)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고정공(14)이 형성되고, 제2 고정공(14)의 상부에 회전돌기(15)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카테터(20)는 후단부가 몸체부재(10)의 카테터지지공(11)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와이어삽입홀(23)은 카테터(20)의 상단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카테터(20)의 외부를 감싸면서 전단이 코에 걸리는 지지캡(3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지지캡(30)은 전단의 지름이 비도보다 작고 후단이 비도보다 큰 원뿔형상으로 전부방향의 중앙에 카테터삽입홀(3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지지부재(40)는 일측에 조향핸들(43)이 돌출되는 제1 관통홀(4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약물공급관(50)의 타단이 노출되는 제2 관통홀(4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지지부재(40)는 제2 관통홀(42)의 내측에 약물용기의 전단을 지지하는 가이드(45)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조향핸들(43)은 원형상으로 중심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조향핸들(43)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스토퍼(46)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재(80)의 가압돌기(82)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가압돌기는 전단부에 약물용기의 약물을 직접 주입할 수 있도록 밀폐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는 약물이 주입되는 카테터의 끝단에 내시경이 함께 형성되어 SPG의 위치를 화면으로 확인하면서 정확하게 정량의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약물을 SPG로 주입하기 전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카테터의 끝단이 SPG에 인접하게 휘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어 불필요한 약물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손으로 카테터의 끝단이 SPG를 향하도록 조절하고 약물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약물 주입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가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재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약물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과정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의 준비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는 몸체부재(10)와, 카테터(20), 지지캡(30), 지지부재(40), 약물공급관(50), 와이어(60), 내시경(70), 가압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재(1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카테터지지공(11)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내시경삽입공(12)이 형성된다. 몸체부재(10)의 하부에는 지지부재(40)가 고정되는 제1 고정공(13)과 가압부재(80)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고정공(14)이 형성된다. 제2 고정공(14)의 상단에는 회전돌기(15)가 형성된다.
카테터(20)는 중공의 관으로 끝단이 환자의 비도로 삽입되어 SPG 부위로 삽입된다. 이러한 카테터(20)는 중공의 관으로 몸체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며 후단부가 몸체부재(10)의 카테터지지공(11)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되며, 내부에는 서로 분리된 약물배출홀(21), 내시경삽입홀(22), 와이어삽입홀(23)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20)의 전단부의 와이어삽입홀(23) 내면에 후술하는 와이어(60)가 고정되고, 내시경삽입홀(22)의 내면에 후술하는 내시경(70)이 각각 고정되고, 카테터(20)의 후단부에 약물배출홀(21)에는 약물공급관(50)이 연결된다. 카테터(20)는 인체의 비도를 통해서 SPG에 도달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비도에 삽입하였을 때에 상처를 주지 아니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와이어삽입홀(23)은 카테터(20)의 상단에 위치하고, 내시경은 내시경(70)의 단부는 카테터(20)의 전면에 노출되게 고정되며, 카테터(2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내시경(70)의 화각이 확대되도록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각(angle of view)은 카메라로 포착할 수 있는 장면의 시야를 의미하며, 화각이 넓을수록 보다 넓은 장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카테터(20)는 내시경(70)으로 비도 내부를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전단부가 비도를 통해 삽입된 이후에 SPG 주위에서 와이어가 당겨지면 카테터(20)의 전단부가 SPG 방향인 상부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카테터(20)의 전단부에 형성된 약물배출홀(21)도 SPG를 향하기 때문에 약물이 정확하게 SPG로 도달할 수 있도록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지지캡(30)은 전단의 지름이 비도보다 작고 후단이 비도보다 큰 원뿔형상으로 전부방향의 중앙에 카테터삽입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카테터(20)의 외부를 감싸면서 위치한다. 이러한 지지캡(30)은 카테터(20)를 따라 이동되며 전단이 비도에 삽입되면서 코에 걸리게 되면 카테터(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비도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부재(4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몸체부재(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일측에는 후술하는 조향핸들(43)이 돌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는 일측에 조향핸들(43)의 일부가 돌출되는 제1 관통홀(4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약물공급관(50)의 타단이 노출되는 제2 관통홀(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관통홀(41)의 내측에는 조향핸들(43)을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지지돌기(44)가 형성되고, 제2 관통홀(42)의 내측에는 약물공급관(50)의 타단과 약물용기(90)의 전단을 지지하는 가이드(45)가 형성된다. 이때, 약물공급관(50)이 2개인 경우에는 제2 관통홀(42)과, 가이드(45)가 상하방향으로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몸체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와이어(60)의 타단이 결합되고 회전되면서 와이어(60)를 당겨 카테터(20)를 상부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조향핸들(43)이 구비된다. 이러한 조향핸들(43)은 기어형상으로 지지부재(40)의 지지돌기(44)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조향핸들(43)의 일부가 지지부재(40)의 제1 관통홀(41)을 통해서 전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조향핸들(43)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내측에 스토퍼(46)가 형성되어 조향핸들(43)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부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등으로 조향핸들(43)을 조작하여 회전시키면 와이어(60)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60)가 당겨지면 카테터(20)의 전단부가 상부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스토퍼(46)가 조향핸들의 홈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힘을 가하지 않으면 와이어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반대로, 조향핸들(43)을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와이어(60)에 가해지는 장력이 없어지게 되어 카테터(20)의 전단부가 수평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약물공급관(50)은 일단이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테터(20)의 약물배출홀(21)에 체결되고, 타단은 지지부재(40)의 제2 관통홀(42)의 내측에 고정된다. 약물공급관(50)의 타단은 약물이 주입되는 약물용기(90)의 전단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약물공급관(50)의 타단에 연결되는 약물용기로부터 약물이 주입되면 카테터(20)의 약물배출홀(21)에서 분무되도록 공급하게 된다. 이때, 약물공급관(50)이 제1 약물공급관과 제2 약물공급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분기관을 통해서 약물배출홀(2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60)는 일단이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테터(20)의 와이어삽입홀(23)을 통과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부재(40)의 조향핸들(43)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향핸들(43)이 회전시키면 와이어(60)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가 고정된 카테터(20)의 끝단이 SPG가 위치하는 상부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내시경(70)은 일단이 카테터(20)의 내시경삽입홀(22)을 관통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몸체부재(10)의 후단에 형성된 내시경삽입공(1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다.
이러한 내시경(70)을 통해서 외부의 단말기(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확인하면서 비도의 내부를 확인하면서 정확한 위치로 카테터(20)를 삽입하고, 지지캡(30)과 지지캡(30)에 연결된 카테터(20)의 끝단이 SPG를 향하도록 조향핸들(43)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재(80)는 지지부재(40)의 제2 관통홀(42)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단이 몸체부재(10)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80)는 상단에 몸체부재(10)의 회전돌기(15)에 체결되는 회전홈(81)이 형성되고, 제2 관통홀(42)에 대응되는 측면에 약물용기(9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돌기(82)가 형성된다. 이때, 가압돌기는 전단부에 약물용기의 약물을 직접 주입할 수 있도록 밀폐링(83)이 형성되고 또한, 가압부재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약물공급관(50)이 2개로서 제2 관통홀(42)이 지지부재(4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 가압돌기(82)도 상하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재(80)는 지지부재의 제2 관통홀(42)에 약물용기(90)가 놓이게 되면 가압돌기가 약물용기의 후방에 밀착하게 되고 가압부재가 지지부재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압돌기가 약물용기의 약물을 가압하게 되면서 약물용기의 약물은 약물공급관(50)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약물용기(90)는 SPG에 분사되는 약물이 저장된다. 이러한 약물용기의 전단부는 지지부재(40)의 제2 관통홀(42)을 통해서 약물공급관(50)의 타단에 체결되고, 약물용기의 후단부는 가압부재(80)의 가압돌기(82)가 체결된다. 이때, 약물용기(90)의 전단부는 지지부재(40)의 가이드(45)에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약물용기(90)는 가압부재(80)의 가압돌기(82)에 형성된 패킹에 의해서 약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압돌기만으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약물용기(90)는 지지부재(40)를 잡아당기게 되면 가압돌기(82)에 의해서 약물용기 내의 약물에 압력이 가해져 약물이 카테터(20)에 형성된 약물배출홀(21)로 공급되어 분무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와 가압부재(80) 사이에 약물용기(90)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약물용기(90)가 지지부재와 가압부재에 의해서 고정되어 한손으로 지지부재만(40)을 파지하여 전체 약물 주입장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카테터(20)를 환자의 코에 삽입하면 카테터(20)의 외부에 위치하는 지지캡(30)이 환자의 코에 걸리게 되어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의 전단부가 지지되게 된다.
계속해서 카테터에 설치된 내시경(70)으로 촬영된 비도의 영상을 모니터로 확인하면서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를 계속해서 코로 삽입한다. 이때, 지지캡(30)이 코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한손으로 지지부재(4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카테터(20)를 삽입하면 안정한 상태로 카테터(20)를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을 통해서 카테터(20)가 SPG 부분에 도달된 것이 확인되면 지지부재(4)를 파지하는 손의 손가락으로 조향핸들(43)을 회전시켜 와이어(60)를 당기면 카테터(20)의 전단부가 SPG가 위치하는 상부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조향핸들이 움직일 때마다 스토퍼(46)가 조향핸들의 홈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의 끝단이 SPG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가압부재(40)를 잡아당기게 되면 가압돌기(82)에 의해서 약물용기 내의 약물에 압력이 가해져 약물이 카테터(20)에 형성된 약물배출홀(21)로 공급되어 분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는 지지부재를 한손으로 파지하면서도 손가락으로 조향핸들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지지부재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으로 가압부재를 잡아당겨 약물용기 내의 약물을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10 : 몸체부재 11 : 카테터지지공
12 : 내시경삽입공 20 : 카테터
21 : 약물배출홀 22 : 광섬유삽입홀
23 : 와이어삽입홀 30 : 지지캡
31 : 카테터삽입홀 40 : 지지부재
43 : 조향핸들 44 : 지지돌기
45 : 가이드 46 : 스토퍼
50 : 약물공급관 60 : 와이어
70 : 내시경 81 : 회전홈
82 : 가압돌기 83 : 밀폐링
90 : 약물용기

Claims (13)

  1.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몸체부재(10)와;
    몸체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서로 분리된 약물배출홀(21), 내시경삽입홀(22), 와이어삽입홀(23)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카테터(20)와;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몸체부재(10)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일측에 조향핸들(43)이 돌출되는 지지부재(40)와;
    일단이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테터(20)의 약물배출홀(21)에 체결되고, 타단은 지지부재(40)의 내측에 고정되는 약물공급관(50)과;
    일단이 카테터(20)의 와이어삽입홀(23)을 관통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부재(40)의 조향핸들(43)에 연결되는 와이어(60)와;
    일단이 카테터(20)의 내시경삽입홀(22)을 관통하여 카테터(20)의 전단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몸체부재(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내시경(70)과;
    지지부재(4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단이 몸체부재(10) 또는 지지부재(40)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측면에 약물용기(9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돌기(82)가 형성되는 가압부재(80);를 포함하고,
    카테터(20)의 외부를 감싸면서 전단이 코에 걸리는 지지캡(30);를 더 포함하고,
    지지캡(30)은 카테터(2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재(10)는 전단에 카테터지지공(11)이 형성되고, 후단에 내시경삽입공(12)이 형성되고, 내시경(70)은 몸체부재(10)의 후단에 형성된 내시경삽입공(1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재(10)는 하부에 가압부재(80)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고정공(14)이 형성되고, 제2 고정공(14)의 상부에 회전돌기(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테터(20)는 후단부가 몸체부재(10)의 카테터지지공(11)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이어삽입홀(23)은 카테터(2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캡(30)은 전단의 지름이 비도보다 작고 후단이 비도보다 큰 원뿔형상으로 전부방향의 중앙에 카테터삽입홀(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재(40)는 일측에 조향핸들(43)이 돌출되는 제1 관통홀(4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약물공급관(50)의 타단이 노출되는 제2 관통홀(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지지부재(40)는 제2 관통홀(42)의 내측에 약물용기(90)의 전단을 지지하는 가이드(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조향핸들(43)은 원형상으로 중심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조향핸들(43)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스토퍼(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부재(80)의 가압돌기(82)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돌기는 전단부에 약물용기의 약물을 직접 주입할 수 있도록 밀폐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KR1020160041454A 2016-04-05 2016-04-05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KR10181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54A KR101812567B1 (ko) 2016-04-05 2016-04-05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54A KR101812567B1 (ko) 2016-04-05 2016-04-05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50A KR20170114150A (ko) 2017-10-13
KR101812567B1 true KR101812567B1 (ko) 2017-12-29

Family

ID=6013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54A KR101812567B1 (ko) 2016-04-05 2016-04-05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141A (ko) 2022-07-28 2024-02-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비염치료용 냉각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7071A1 (en) * 2017-10-31 2019-05-09 Clexio Biosciences Ltd. Nasal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166A (ja) 2000-07-18 2002-01-29 Olympus Optical Co Ltd 鼻腔用処置具
KR101527998B1 (ko) 2008-08-01 2015-06-12 티안 시아 통증 완화 방법 및 의약 전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166A (ja) 2000-07-18 2002-01-29 Olympus Optical Co Ltd 鼻腔用処置具
KR101527998B1 (ko) 2008-08-01 2015-06-12 티안 시아 통증 완화 방법 및 의약 전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141A (ko) 2022-07-28 2024-02-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비염치료용 냉각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50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898B2 (en) Applicator for oropharyngeal anesthetic
US5031613A (en) Nebulizing catheter
US5797390A (en) Nasal inhaler having a directed spray pattern
US79717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asal passage rinse
KR101812567B1 (ko) 비도용 약물 주입장치
US20220032022A1 (en) Nasal drug delivery system
EP4371594A1 (en) Spray drug administration apparatus and spray drug administration system comprising said apparatus
MXPA04004193A (es) Aparato y metodo para suministrar medicamentos al sistema respiratorio.
FR2533442A1 (fr) Dispositif enterique pour administrer des fluides a un patient ou pour les aspirer
KR101771894B1 (ko) 내부 질환용 약물 주입기
US20100065062A1 (en) Temporary pharyngeal airway
KR20180058031A (ko) 비도 약물 주입을 위한 내시경
CN216169251U (zh) 喷雾给药装置和包括该装置的喷雾给药系统
US20200030000A1 (en) Apparatus for puncturing maxillary sinus
JP2010240188A (ja) 薬液噴霧装置
RU179824U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оро-эпифаренгеальный волновод-распылитель
US9808592B2 (en) Nebulizing catheter for bronchial therapy
KR101592341B1 (ko) 밴딩 가능한 니들이 구비된 약품주입기
CN220989392U (zh) 一种呼吸道探管式给药器
CN209075828U (zh) 一种基于3d打印的鼻窦定向给药器
KR20200098188A (ko) 다기능 상기도 분무 장치
JP4832071B2 (ja) 麻酔装置
CN115253043B (zh) 一种用于喉部治疗的药剂喷射装置
US125965A (en) Improvement in apparatus for atomizing, inhaling, and injecting liquids and gases
KR200482070Y1 (ko) 필터를 갖는 비강내 약물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