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495B1 -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Google Patents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2495B1 KR101812495B1 KR1020160046677A KR20160046677A KR101812495B1 KR 101812495 B1 KR101812495 B1 KR 101812495B1 KR 1020160046677 A KR1020160046677 A KR 1020160046677A KR 20160046677 A KR20160046677 A KR 20160046677A KR 101812495 B1 KR101812495 B1 KR 101812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wall
- vertical plate
- outer plate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7/00—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 F23B7/002—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gas flow arrangements
- F23B7/005—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gas flow arrangements with downdraught through fuel bed and g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step-type g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3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combustion cha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공급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고온의 화염에 대한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에 관한 것으로, 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제1 수직판(1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수평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수직판(2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반관형몸체(30)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반관형몸체(40)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는 후단수직판(50)과,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와 후단수직판(50)의 외면에 설치되는 화염토출관(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공급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고온의 화염에 대한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를 연소시키는 기존의 보일러용 버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의 투입을 위한 투입호퍼(1), 상기 연료를 이동시켜 연소를 수행하는 연소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화격자(2), 상기 연료가 연소된 후 발생하는 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 상기 구동 화격자(2)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소가스 배출구(4) 및 상기 연소가스를 2차 연소하는 2차 연소실(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일러용 버너의 형태는 상기 구동 화격자의 형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눠질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푸셔 타입(Pusher type)과 무빙 그레이트 타입(Moving grat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푸셔 타입의 화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화격자(6)와 가동화격자(7)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동화격자(7)가 상기 고정화격자(6)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여 폐기물을 이동시킨다.
또한, 푸셔 타입의 화격자는 각 화격자들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화격자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내화재를 사용하므로 금속재질의 화격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화격자들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격자 사이에 틈새가 거의 형성되어있지 않으므로, 하부에서 연소공기의 유입이 거의 없다.
아울러, 무빙 그레이트 타입의 화격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타입의 화격자와 마찬가지로 고정화격자(9)와 가동화격자(10)로 이루어지는 반면, 각 화격자 가 일체형인 푸셔 타입의 화격자와는 달리 무빙 그레이트 타입의 화격자는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운동의 특성에 맞게 화격자가 좌, 우, 상, 하 운동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빙 그레이트 타입의 화격자의 재질로는 내화재가 아닌 금속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각각 분리된 화격자 사이로 하부로부터 연소공기 유입이 원활하여 연소효율이 높은 반면, 연소공기 주입 때문에 다량의 분진이 연소가스에 유입되어진다.
한편, 보일러 또는 열풍기에는 경유, 등유, 가솔린 등의 유류나 가스를 주요 연료로 하는 버너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버너의 연소 연료로서 가스 또는 석유,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므로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연 자원을 절약하고 친환경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추세에 역행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목재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목재 펠릿(Wood Pellets)은 나무를 파쇄, 건조, 소성, 냉각의 과정을 통해 생산된 고발열량의 신 재생연료로서, 유럽을 중심으로 가정 및 산업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무빙 그레이트 타입의 화격자가 사용되는 버너는 화격자를 둘러싸는 연소실로 이루어지는 내통으로 공기의 공급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고온의 화염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고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공급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고온의 화염에 대한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1 외부판이 부착되며, 상기 제1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는 제1 수직판과; 상기 제1 수직판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2 외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제2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는 제2 수직판과;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면 일측에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선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고,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3 외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제3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3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외부판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단에 부착되는 제1 반관형몸체와; 상기 제1 반관형몸체에 대칭되게 상기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면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면에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후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며,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4 외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제4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4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외부판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단에 부착되는 제2 반관형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5 외부판이 부착되며, 상기 제5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5 공기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반관형몸체의 후단 하면과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후단 사이를 끼워지며, 상기 제5 외부판의 상단이 상기 제4 외부판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기 제5 외부판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후단에 부착되며, 상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절단되어 관통되게 반원통공이 형성되는 후단수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관형몸체는, 상기 반원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반관형몸체의 후단의 폐쇄된 부위의 하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절단되어 관통되게 형성되는 대응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반원통공과 대응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화 단열재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상기 제4 외부판과 상기 제5 외부판의 외면에 선단이 부착되는 금속재의 외부관이 부착되는 화염토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화염토출관의 외면을 둘러싸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부착되고, 공기주입관과 공기배출관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입관을 통해 외기가 주입된 후에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냉각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반원통공과 대응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관형으로 형성되고, 금속재 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외부에 물주입관과 물배출관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주입관과 물배출관을 통해 중공된 금속재 관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화염토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상기 제1 반관형몸체는, 그 상면 중앙 부위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료투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상기 제1 공기주입공과 제2 공기주입공은,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무빙 그레이트부에 대응되는 하부측 부위를 제외하고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1 외부판이 부착되며, 상기 제1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는 제1 수직판과; 상기 제1 수직판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2 외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제2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는 제2 수직판과;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면 일측에 양측 하단이 밀착되면서 선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고,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3 외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제3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3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외부판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단에 부착되는 제1 반관형몸체와; 상기 제1 반관형몸체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면 타측에 양측 하단이 밀착되고 선단과 후단이 개방되는 반관형으로 형성되며,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4 외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제4 외부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4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외부판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의 상단에 부착되고, 물이 수용되도록 개방된 후단에 내부가 중공된 반원형의 금속재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대응통공을 갖는 후단물수용판이 부착되는 제2 반관형몸체와;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후단물수용판과 상기 제1 수직판 및 제2 수직판의 후단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대응통공에 대응하여 상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반원통공이 형성되는 후단수직판과; 상기 반원통공과 대응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관형으로 형성되고, 물이 순환되도록 내부가 상기 후단물수용판과 후단수직판의 내측과 상호 연통되게 구비되며, 금속재 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외부에 물주입관과 물배출관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주입관과 물배출관을 통해 중공된 금속재 관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화염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의 공급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고온의 화염에 대한 손상이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보장되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의 버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의 버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제1 수직판(1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수평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수직판(2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반관형몸체(30)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반관형몸체(40)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는 후단수직판(50)과,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와 후단수직판(50)의 외면에 설치되는 화염토출관(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판(10)은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1 외부판(11)이 부착되며 상기 제1 외부판(1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공기주입공(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외부판(11)의 내측에 일정한 두께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캐스터블 내화 단열재로 제작되어 내측에 연료가 연소될 수 있는 본 내통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외부판(11)은 금속재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수직판(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와 제2 반관형몸체(4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공기주입공(12)은 상기 제1 외부판(11)과 상기 제1 수직판(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수직판(1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수직판(20)은 상기 제1 수직판(10)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2 외부판(21)이 부착되고 상기 제2 외부판(2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공기주입공(2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외부판(21)의 내측에 일정한 두께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캐스터블 내화 단열재로 제작되어 내측에 연료가 연소될 수 있는 본 내통의 타측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외부판(21)은 금속재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수직판(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와 제2 반관형몸체(4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공기주입공(22)은 상기 제2 외부판(21)과 상기 제2 수직판(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수직판(2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는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일측에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선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고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3 외부판(31)이 부착되고 상기 제3 외부판(3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3 공기주입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외부판(3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일측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부 일측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외부판(31)은 금속재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공기주입공(32)은 상기 제3 외부판(31)과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는 그 상면 중앙 부위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료투입구(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료투입구(33)는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의 외측 상부에서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의 내부로 목재 펠릿과 같은 연료가 투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는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에 대칭되게 상기 수직판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에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후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며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4 외부판(41)이 부착되고 상기 제4 외부판(4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4 공기주입공(42)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외부판(4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타측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부 타측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외부판(41)은 금속재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공기주입공(42)은 상기 제4 외부판(41)과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는 그 후단의 폐쇄된 부위의 하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절단되어 관통되게 형성되는 대응통공(43)을 더 포함한다. 상기 대응통공(43)은 상기 화염토출관(6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의 내측에서 외부로 화염이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단수직판(50)은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5 외부판(51)이 부착되며 상기 제5 외부판(5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5 공기주입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의 후단 하면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 사이를 끼워지며 상기 제5 외부판(51)의 상단이 상기 제4 외부판(41)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기 제5 외부판(5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에 부착되며 상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절단되어 관통되게 반원통공(5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후단수직판(50)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 사이를 폐쇄시키면서 상기 화염토출관(60)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외부판(51)은 금속재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후단수직판(5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 및 제2 반관형몸체(4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공기주입공(52)은 상기 제5 외부판(51)과 상기 후단수직판(5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단수직판(5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원통공(53)은 상기 대응통공(43)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화염토출관(6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단수직판(50)의 내측에서 외부로 화염이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염토출관(60)은 상기 반원통공(53)과 대응통공(43)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화 단열재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상기 제4 외부판(41)과 상기 제5 외부판(51)의 외면에 선단이 부착되는 금속재의 외부관(61)이 부착되는 것으로, 목재 펠릿이 연소되어 생성되는 화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관(61)은 상기 화염토출관(6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와 후단수직판(50)에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통은 버너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버너는 본 내통을 둘러싸는 버너본체(100)를 가지고, 상기 버너본체(100)는 본 내통을 둘러싸서 공기탱크를 형성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버너본체(100)에는 상기 연료투입구(33)에 대응하여 연료투입관(101)이 설치되며 외부와 연통되게 다수의 공기주입관(10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주입관(102)에는 각각 브로워(200)가 설치되어 상기 브로워(20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버너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공기주입공(12), 제2 공기주입공(22), 제3 공기주입공(32), 제4 공기주입공(42) 및 제5 공기주입공(52)을 통해 본 내통의 내부로 주입되어 목재 펠릿 연료의 연소에 이용된다.
상기 버너는 본 내통의 내측 선단으로 무빙 그레이트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무빙 그레이트부(300)는 경사지게 계단식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화격자(301)와, 상기 화격자(301)를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302)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30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화격자(301)가 수평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그 상면에서 연소되는 목재 펠릿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공기주입공(12)과 제2 공기주입공(22)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기 무빙 그레이트부(300)에 대응되는 하부측 부위를 제외하고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내측 선단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무빙 그레이트부(300)의 양측면으로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화염토출관(60)의 외면을 둘러싸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부착되고 공기주입관(61a)과 공기배출관(62a)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기냉각케이싱(60a)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냉각케이싱(60a)은 상기 공기주입관(61a)에 브로워(B)를 연결하고 상기 브로워(B)의 작동으로 상기 공기주입관(61a)을 통해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상기 화염토출관(60)의 외면으로 외기가 순환된 후에 상기 공기배출관(6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화염토출관(60)을 공기로 냉각시켜 그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반원통공(53)과 대응통공(43)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관형으로 형성되고 금속재 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외부에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화염토출관(60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화염토출관(60b)은 상기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을 통해 중공된 금속재 관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어 자체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화염토출관(60b)은 냉각수의 순환을 위해 상기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이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관로에 물펌프(63b)와 저수조(64b) 및 냉각기(65b)가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64b)에 저장된 물을 상기 냉각기(65b)가 냉각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물펌프(63b)를 통해 물을 상기 화염토출관(60)의 내부로 순환시켜 상기 화염토출관(60)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화염토출관(60)이 냉각됨으로써, 화염에 의한 손상이나 훼손이 저하되어 그 수명이 현저히 연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제1 수직판(1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수평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수직판(2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반관형몸체(30)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반관형몸체(40)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는 후단수직판(50)과,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와 후단수직판(50)의 외면에 설치되는 화염토출관(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판(10), 제2 수직판(20) 및 제1 반관형몸체(30)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는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직판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타측에 양측 하단이 밀착되고 선단과 후단이 개방되는 반관형으로 형성되며,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4 외부판(41)이 부착되고, 상기 제4 외부판(4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4 공기주입공(42)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외부판(4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단에 부착되고, 물이 수용되도록 개방된 후단에 내부가 중공된 반원형의 금속재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대응통공(43)을 갖는 후단물수용판(44)이 부착된다.
상기 후단수직판(50)은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후단물수용판(44)과 상기 제1 수직판(10) 및 제2 수직판(20)의 후단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대응통공(43)에 대응하여 상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반원통공(53)이 형성된다.
상기 화염토출관(60b)은 상기 반원통공(53)과 대응통공(43)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관형으로 형성되고, 물이 순환되도록 내부가 상기 후단물수용판(44)과 후단수직판(50)의 내측과 상호 연통되게 구비되며, 금속재 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외부에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화염토출관(60b)은 상기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을 통해 중공된 금속재 관과 상기 후단물수용판(44) 및 후단수직판(50)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화염토출관(60b)과 후단물수용판(44) 및 후단수직판(50)은 냉각수의 순환을 위해 상기 화염토출관(60b)에 상기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이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관로에 물펌프(63b)와 저수조(64b) 및 냉각기(65b)가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64b)에 저장된 물을 상기 냉각기(65b)가 냉각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물펌프(63b)를 통해 물을 상기 화염토출관(60b)과 후단물수용판(44) 및 후단수직판(50)의 내부로 순환시켜 이들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화염토출관(60b)과 후단물수용판(44) 및 후단수직판(50)이 물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화염에 의한 손상이나 훼손이 저하되어 그 수명이 현저히 연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제1 수직판
11 : 제1 외부판 12 : 제1 공기주입공
20 : 제2 수직판
21 : 제2 외부판 22 : 제2 공기주입공
30 : 제1 반관형몸체
31 : 제3 외부판 32 : 제3 공기주입공
33 : 연료투입구
40 : 제2 반관형몸체
41 : 제4 외부판 42 : 제4 공기주입공
43 : 대응통공
50 : 후단수직판
51 : 제5 외부판 52 : 제5 공기주입공
53 : 반원통공
60 : 화염토출관
61 : 외부관
100 : 버너본체
101 : 연료투입관 102 : 공기주입관
200 : 브로워
300 : 무빙 그레이트부
301 : 화격자 302 : 구동부
11 : 제1 외부판 12 : 제1 공기주입공
20 : 제2 수직판
21 : 제2 외부판 22 : 제2 공기주입공
30 : 제1 반관형몸체
31 : 제3 외부판 32 : 제3 공기주입공
33 : 연료투입구
40 : 제2 반관형몸체
41 : 제4 외부판 42 : 제4 공기주입공
43 : 대응통공
50 : 후단수직판
51 : 제5 외부판 52 : 제5 공기주입공
53 : 반원통공
60 : 화염토출관
61 : 외부관
100 : 버너본체
101 : 연료투입관 102 : 공기주입관
200 : 브로워
300 : 무빙 그레이트부
301 : 화격자 302 : 구동부
Claims (8)
-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1 외부판(11)이 부착되며, 상기 제1 외부판(1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공기주입공(12)이 형성되는 제1 수직판(10)과;
상기 제1 수직판(10)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2 외부판(21)이 부착되고, 상기 제2 외부판(2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공기주입공(22)이 형성되는 제2 수직판(2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일측에 양측 하단이 밀착되면서 선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고,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3 외부판(31)이 부착되고, 상기 제3 외부판(3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3 공기주입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외부판(3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제1 반관형몸체(30)와;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의 단부에 밀착되게 상기 수직판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에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후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며,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4 외부판(41)이 부착되고, 상기 제4 외부판(4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4 공기주입공(42)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외부판(4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제2 반관형몸체(40)과;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5 외부판(51)이 부착되며, 상기 제5 외부판(5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5 공기주입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의 후단 하면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 사이를 끼워지며, 상기 제5 외부판(51)의 상단이 상기 제4 외부판(41)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기 제5 외부판(5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후단에 부착되며, 상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절단되어 관통되게 반원통공(53)이 형성되는 후단수직판(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는,
상기 반원통공(53)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반관형몸체(40)의 후단의 폐쇄된 부위의 하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절단되어 관통되게 형성되는 대응통공(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반원통공(53)과 대응통공(43)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화 단열재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상기 제4 외부판(41)과 상기 제5 외부판(51)의 외면에 선단이 부착되는 금속재의 외부관(61)이 부착되는 화염토출관(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화염토출관(60)의 외면을 둘러싸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부착되고, 공기주입관(61a)과 공기배출관(62a)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입관(61a)을 통해 외기가 주입된 후에 상기 공기배출관(6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냉각케이싱(60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은,
상기 반원통공(53)과 대응통공(43)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관형으로 형성되고, 금속재 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외부에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을 통해 중공된 금속재 관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화염토출관(60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는,
그 상면 중앙 부위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료투입구(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주입공(12)과 제2 공기주입공(22)은,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무빙 그레이트부에 대응되는 하부측 부위를 제외하고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1 외부판(11)이 부착되며, 상기 제1 외부판(1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1 공기주입공(12)이 형성되는 제1 수직판(10)과;
상기 제1 수직판(10)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내화 단열재의 수직 판형으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2 외부판(21)이 부착되고, 상기 제2 외부판(2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2 공기주입공(22)이 형성되는 제2 수직판(20)과;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일측에 양측 하단이 밀착되면서 선단이 폐쇄된 반관형으로 형성되고,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며,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3 외부판(31)이 부착되고, 상기 제3 외부판(3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3 공기주입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외부판(3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제1 반관형몸체(30)와;
상기 제1 반관형몸체(30)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직판과 제2 수직판(20)의 상면 타측에 양측 하단이 밀착되고 선단과 후단이 개방되는 반관형으로 형성되며,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금속재의 제4 외부판(41)이 부착되고, 상기 제4 외부판(4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제4 공기주입공(42)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외부판(41)의 양측단이 상기 제1 수직판(10)과 제2 수직판(20)의 상단에 부착되고, 물이 수용되도록 개방된 후단에 내부가 중공된 반원형의 금속재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대응통공(43)을 갖는 후단물수용판(44)이 부착되는 제2 반관형몸체(40)와;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후단물수용판(44)과 상기 제1 수직판(10) 및 제2 수직판(20)의 후단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대응통공(43)에 대응하여 상면 중앙에 반원형으로 관통되게 반원통공(53)이 형성되는 후단수직판(50)과;
상기 반원통공(53)과 대응통공(43)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과 연통되게 내부가 중공된 금속재 관형으로 형성되고, 물이 순환되도록 내부가 상기 후단물수용판(44)과 후단수직판(50)의 내측과 상호 연통되게 구비되며, 금속재 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외부에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물주입관(61b)과 물배출관(62b)을 통해 중공된 금속재 관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화염토출관(6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6677A KR101812495B1 (ko) | 2016-04-18 | 2016-04-18 |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6677A KR101812495B1 (ko) | 2016-04-18 | 2016-04-18 |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044A KR20170119044A (ko) | 2017-10-26 |
KR101812495B1 true KR101812495B1 (ko) | 2017-12-27 |
Family
ID=6030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6677A KR101812495B1 (ko) | 2016-04-18 | 2016-04-18 |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2495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986B1 (ko) * | 2008-06-27 | 2008-12-19 | 김홍진 | 소각열 회수식 연소장치 |
KR101278377B1 (ko) * | 2012-04-09 | 2013-06-25 | 석옥득 | 목재 펠릿용 버너 |
KR101392205B1 (ko) * | 2013-04-22 | 2014-05-08 | 주식회사 지구촌지브이 | 자동고체연료 버너 |
KR101428735B1 (ko) * | 2012-11-15 | 2014-08-1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단계적 연소가 가능한 고체 연료 보일러용 공기 공급장치, 공급방법, 그 공기 공급장치를 갖는 보일러 |
KR101479632B1 (ko) * | 2014-06-05 | 2015-01-07 | 석옥득 | 목재 펠릿 버너 |
-
2016
- 2016-04-18 KR KR1020160046677A patent/KR1018124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986B1 (ko) * | 2008-06-27 | 2008-12-19 | 김홍진 | 소각열 회수식 연소장치 |
KR101278377B1 (ko) * | 2012-04-09 | 2013-06-25 | 석옥득 | 목재 펠릿용 버너 |
KR101428735B1 (ko) * | 2012-11-15 | 2014-08-1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단계적 연소가 가능한 고체 연료 보일러용 공기 공급장치, 공급방법, 그 공기 공급장치를 갖는 보일러 |
KR101392205B1 (ko) * | 2013-04-22 | 2014-05-08 | 주식회사 지구촌지브이 | 자동고체연료 버너 |
KR101479632B1 (ko) * | 2014-06-05 | 2015-01-07 | 석옥득 | 목재 펠릿 버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044A (ko) | 2017-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34303B1 (en) | Pellet boiler with high energy recovery | |
US4463687A (en) | Powered downdraft gasifier | |
KR200448540Y1 (ko) | 펠릿 난로 | |
KR101812495B1 (ko) |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
KR20130130991A (ko) |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 | |
KR20140118362A (ko) | 난방 펠릿난로 | |
KR101313533B1 (ko) | 하입식 우드 펠렛 보일러 연소장치 | |
KR20230149525A (ko) | 스토커 소각 및 연소용 공랭 화격자 | |
KR101422461B1 (ko) |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 |
KR200462646Y1 (ko) | 펠릿 보일러 | |
KR101224484B1 (ko) |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연소실 | |
KR101609640B1 (ko) | 펠릿 버너 | |
KR101812494B1 (ko) |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 | |
KR100742275B1 (ko) | 보일러 장치 | |
KR101695534B1 (ko) | 연탄난로 | |
KR101582300B1 (ko) | 연소기 | |
US851030A (en) | Magazine-boiler. | |
KR101272062B1 (ko) | 펠릿 온풍기 | |
KR100828106B1 (ko) | 고체연료 연소식 보일러 | |
KR101500134B1 (ko) | 클링커 방지용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한 펠릿 버너 | |
KR102215339B1 (ko) |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 |
KR102215337B1 (ko) | 스팀 보일러용 연소로 | |
KR20110092427A (ko) | 목재 펠릿보일러용 버너 | |
KR101212652B1 (ko) | 펠릿 보일러 | |
KR101667310B1 (ko) | 펠렛 연관 보일러용 노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