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99B1 -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99B1
KR101811599B1 KR1020150147174A KR20150147174A KR101811599B1 KR 101811599 B1 KR101811599 B1 KR 101811599B1 KR 1020150147174 A KR1020150147174 A KR 1020150147174A KR 20150147174 A KR20150147174 A KR 20150147174A KR 101811599 B1 KR101811599 B1 KR 10181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obic
reaction unit
unit
valve
hydrophobic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937A (ko
Inventor
송성섭
안희영
홍정민
김현성
장흥수
Original Assignee
(주)동성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화인텍 filed Critical (주)동성화인텍
Priority to KR102015014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5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3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using agents to prevent the granules sticking together;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08Processes carried out under supercritical con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는, 친수성 에어로겔이 함유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가 내부로 공급되는 소수화 반응부와, 내부에 저장된 소수화제를 기화시킨 후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로 공급하여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며, 상기 소수화 반응부 내에 무반응 물질을 발생시키는 기체 공급부와, 내부에 저장된 질소 기체를 상기 소수화 반응부로 공급하여, 상기 소수화 반응부에서 발생된 상기 무반응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질소 공급부 및,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를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설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무반응 물질이 제거된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표면을 초임계 건조시키는 열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HYDROPHOBIC CONVERSION PROCESSING REACTOR FOR POROUS ORGANIC/INORGANIC COMPOSITE}
본 발명은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수성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를 소수성으로 개질하고, 최종적인 열처리를 통해 에어로겔의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겔은 기공율이 90% 이상이고, 비표면적이 수백 내지 1500m2/g 정도인 투명한 극저밀도의 첨단소재이다.
이러한 다공성 에어로겔은, 극저유전체, 촉매, 전극소재, 방음재 등의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실리카 에어로겔은 높은 투광성과 낮은 열전도 특성을 갖기 때문에 투명 단열재로의 높은 잠재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 자동차, 항공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초단열재이다.
이와 같이, 에어로겔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첨단 소재 에어로겔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에어로겔의 상용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
특히, 에어로겔은 수분을 흡수하면 겔 구조 특성 및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에어로겔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에어로겔이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영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친수성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를 소수성으로 개질 함과 아울러, 건조 과정을 통해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부피를 팽창시켜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30131호(2009년 03월 2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영구적인 소수성을 갖는 고투광성 입상형 에어로겔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입상형 에어로겔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친수성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를 소수성으로 개질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최종적인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부피 팽창을 통해 기공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어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라인을 이용해 소수화 물질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정화 처리부를 이용해 무반응 물질을 연속적으로 정화 처리 함으로써, 소수화 공정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무반응 물질이 소수화 반응기 내에 다량으로 잔류하지 않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수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는, 친수성 에어로겔이 함유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가 내부로 공급되는 소수화 반응부와, 내부에 저장된 소수화제를 기화시킨 후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로 공급하여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며, 상기 소수화 반응부 내에 무반응 물질을 발생시키는 기체 공급부와, 내부에 저장된 질소 기체를 상기 소수화 반응부로 공급하여, 상기 소수화 반응부에서 발생된 상기 무반응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질소 공급부 및,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를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설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무반응 물질이 제거된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표면을 초임계 건조시키는 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수화 반응부에는 정화 처리부가 더 연결되며, 상기 정화 처리부는 상기 소수화 반응부로부터 상기 무반응 물질이 전달되며, 내부에 저장된 물과 상기 무반응 물질을 반응시켜 정화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기체 공급부의 연결라인 상에는 개폐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제1밸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의 연결라인 상에는 개폐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제2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진공 펌프와 연결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개폐 상태가 조절되며,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제1밸브의 연결라인 상에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1압력 게이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화 처리부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정화 반응조와, 배출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투입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연결되는 투입관 및, 투입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배출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에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2압력 게이지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제2압력 게이지의 연결라인 상에는 상기 소수화 반응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질소 기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 농도 측정기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처리부는 300~400℃의 온도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로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온 2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는 글라스울(glasswool), 크리오젤(cryogel), 세라믹울(ceramicwool), 멜라민폼(melamine foam)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수성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를 소수성으로 개질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최종적인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부피 팽창을 통해 기공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어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라인을 이용해 소수화 물질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정화 처리부를 이용해 무반응 물질을 연속적으로 정화 처리 함으로써, 소수화 공정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무반응 물질이 소수화 반응기 내에 다량으로 잔류하지 않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서 300℃, 600℃로 각각 열처리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기공 부피를 보여주기 위한 비교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서 멜라민폼을 이용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열전도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비교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서 300℃, 600℃로 각각 열처리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기공 부피를 보여주기 위한 비교표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서 멜라민폼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의 열전도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비교표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는 소수화 반응부(100)와, 기체 공급부(200)와, 질소 공급부(300)와, 열처리부(400) 및, 정화 처리부(500)가 더 연결된다.
먼저, 상기 소수화 반응부(100)는 내부에 제1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110)의 내부에는 친수성 에어로겔(hydrophilicity aerogel)이 함유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10)가 공급된다.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10)는, 도 2에서처럼 글라스 울(glass wool), 크리오 젤(cryo gel), 세라믹 울(ceramic wool), 멜라민 폼(melamine foa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소수화 반응부(100)에는, 내부에 제1수용공간(110)이 형성된 수조가 구비되며, 상기 수조는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공간(110) 내에는 후술 될 기체 공급부(200)로부터 소수화제와, 후술 될 질소 공급부(300)로부터 질소 기체가 공급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에서 발생된 부방응 물질을 후술 될 정화 처리부(500)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홀이 형성된다.
아울러, 소수화 반응부(100)의 유입홀은 수술 될 기체 공급부(200)의 유출홀과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라인(L)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기체 공급부(200)는, 내부에 제2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210)의 내부에는 소수화 반응을 위한 소수화제(20)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소수화제(20)는 기체 형태로 기화되어 소수화 반응부(100)로 전달되는 것으로, 물(Water)과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 공급부(200)는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체 공급부(200)에는 외부로부터 소수화제(20)가 공급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체 공급부(200)에는 내부에서 기화시킨 기체(증기)를 전술한 소수화 반응부(100)로 전달하기 위한 유출홀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기체 공급부(200)에는 소수화제(20)를 기화시켜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기화장치(초음파 발생기 등, 미도시)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기체 공급부(200)의 유출홀과 전술한 소수화 반응부(100)의 유입홀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라인(L)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기체 공급부(200)는, 소수화제(20)를 기화시킨 후, 기화된 기체를 소수화 반응부(100)의 제1수용공간(110)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기체화된 소수화제(20)는 소수화 반응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10)의 표면을 소수성(hydrophobicity, 疎水性)으로 개질하며, 설정시간 동안 방치시키는 과정을 통해 소수화 반응부(100) 내에 부반응 물질(30)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부반응 물질(30)은 후술 될 질소 공급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질소 기체(40)에 의해 후술 될 정화 처리부(500)의 유입홀을 통해 제4수용공간(511)으로 투입된다.
질소 공급부(300)는, 내부에 질소(nitrogen) 기체가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된 질소 기체(40)를 소수화 반응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질소 공급부(300)는 내부에 제3수용공간(310)이 형성되며, 상기 질소 공급부(300)는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질소 공급부(300)의 유출홀은 전술한 소수화 반응부(100)의 유입홀과 연결라인(L)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질소 공급부(300)의 연결라인(L)은 소수화 반응부(100)의 하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질소 공급부(300)는, 제1수용공간(110)으로 질소 기체(40)를 주입하여, 소수화 반응부(100)의 내부에서 발생된 무반응 물질(30)을 연결라인(L)을 따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질소 공급부(300)는 후술 될 제1밸브(701)에 의해 질소 기체(40) 배출 여부와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열처리부(400)는, 소수화 반응부(100)의 내부를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설정 온도로 가열하여, 무반응 물질(30)이 제거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10)의 표면을 초임계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열처리부(400)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일정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미도시)와, 상기 발열체를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팅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열처리부(400)는, 도 3과 도 4에서처럼 300~400℃의 온도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로 소수화 방응부(100)의 제1수용공간(110)을 가열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부(400)는 상온 20℃에서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처럼 300℃와 650℃로 열처리된 에어로겔의 기공 부피 비교표를 보면, 650℃로 열처리된 에어로겔의 기공 부피가 300℃로 열처리된 에어로겔의 기공 부피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처럼 상온 20℃ 조건에서 열처리 이전과 300℃로 열처리된 에어로겔의 열전도 변화 비교표를 보면, 300℃로 연처리 후 단열 특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화 처리부(500)는, 내부에 제4수용공간(511)이 형성되며, 상기 제4수용공간(511)의 내부에는 정화 처리를 위한 물이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 처리부(500)는 도 1에서처럼 정화 반응조(510)와, 투입관(520) 및, 배출관(5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화 반응조(510)은, 내부에 제4수용공간(511)이 형성되며, 상기 제4수용공간(511)의 내부에는 무반응 물질(30)을 정화시키기 위한 일정량의 물(50)이 수용된다.
투입관(520)은, 배출단이 정화 반응조(5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반대되는 투입단이 정화 반응조(5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소수화 반응부(100)의 유출홀과 연결라인(L)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투입관(520)과 배출관(530)은, 정화 반응조(510)의 상부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출관(530)은, 투입단이 정화 반응조(5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반대되는 배출단이 정화 반응조(5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530)은 정화 반응조(510)의 바닥에 모인 부반응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관(530)의 배출단은 연결라인(L)에 의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소수화 반응부(100)와 기체 공급부(200)의 연결라인(L) 상에는 개폐 상태(OPEN/CLOSE 또는 개폐 단면적)를 조절하기 위한 제1밸브(7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701)는, 소수화 반응부(100)와 기체 공급부(200)의 연결라인(L) 상에 설치되어, 질소 공급부(300)의 질소 기체(40) 주입 상태 및 주입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소수화 반응부(100)와 정화 처리부(500)의 연결라인(L) 상에는 개폐 상태(OPEN/CLOSE 또는 개폐 단면적)를 조절하기 위한 제2밸브(70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702)는, 소수화 반응부(100)와 정화 처리부(500)의 연결라인(L) 상에 설치되어, 무반응 물질(30)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밸브(701)와 제2밸브(702)는, 도 1에서처럼 펌핑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600)와 연결라인(L)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600)는, 흡입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밸브(701)와 제2밸브(702)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더불어, 소수화 반응부(100)의 유입홀과 제1밸브(701)의 연결라인(L) 상에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1압력 게이지(8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력 게이지(801)는, 소수화 반응부(100)의 유입홀과 제1밸브(701)의 연결라인(L)을 따라 이동하는 질소 기체(40)의 압력을 외부로 표시하여, 연결라인(L)의 내부 압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소수화 반응부(100)의 내부에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2압력 게이지(802)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압력 게이지(802)은, 일단에 구비된 감지단이 소수화 반응부(100)를 관통하여 제1수용공간(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압력 게이지(802)는, 제1수용공간(110)의 내부 압력을 외부로 표시하여, 연결라인(L)의 내부 압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압력 게이지(801)와 제2압력 게이지(802)에는 압력값을 외부로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소수화 반응부(100)와 제2압력 게이지(802)의 연결라인(L) 상에는, 소수화 반응기(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질소 기체(40)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 농도 측정기(900)가 더 연결된다.
상기 농도 측정기(900)는, 제1수용공간(110)의 질소 기체(40)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제1수용공간(110)의 질소 기체(40) 농도를 설정 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기체 공급부(200)와 질소 공급부(300)와 열처리부(400)와 제1밸브(701)와 제2밸브(702) 및 진공 펀프(600)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농도 측정기(900)로부터 측정된 농도값 정보가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고, 제1압력 게이지(801)와 제2압력 게이지(802)로부터 측정된 압력값 정보가 전달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친수성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10)를 소수성으로 개질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최종적인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10)의 부피 팽창을 통해 기공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어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라인(L)을 이용해 소수화 물질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정화 처리부(500)를 이용해 무반응 물질(30)을 연속적으로 정화 처리 함으로써, 소수화 공정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무반응 물질(30)이 소수화 반응기(100) 내에 다량으로 잔류하지 않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 20: 소수화제
30: 무반응 물질 40: 질소 기체
50: 물 100: 소수화 반응부
110: 제1수용공간 200: 기체 공급부
210: 제2수용공간 300: 질소 공급부
310: 제3수용공간 400: 열처리부
500: 정화 처리부 510: 정화 반응조
511: 제4수용공간 520: 투입관
530: 배출관 600: 진공 펌프
701: 제1밸브 702: 제2밸브
801: 제1압력 게이지 802: 제2압력 게이지
900: 농도 측정기 L: 연결라인

Claims (11)

  1. 친수성 에어로겔이 함유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가 내부로 공급되는 소수화 반응부와, 내부에 저장된 소수화제를 기화시킨 후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며, 상기 소수화 반응부 내에 무반응 물질을 발생시키는 기체 공급부와, 내부에 저장된 질소 기체를 상기 소수화 반응부로 공급하여, 상기 소수화 반응부에서 발생된 상기 무반응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질소 공급부 및,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를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설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무반응 물질이 제거된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표면을 초임계 건조시키는 열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수화 반응부에는 정화 처리부가 더 연결되고, 상기 정화 처리부는 상기 소수화 반응부로부터 상기 무반응 물질이 전달되며, 내부에 저장된 물과 상기 무반응 물질을 반응시켜 정화처리 하며,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기체 공급부의 연결라인 상에는, 개폐 상태를 조절하고,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기체 공급부의 연결라인 상에 연결되어 상기 질소 공급부의 질소 기체 주입 상태 및 주입량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의 연결라인 상에는 개폐 상태를 조절하고,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기체 공급부의 연결라인 상에 연결되어 상기 무반응 물질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와 연결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흡입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소수화제는,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표면을 소수성(hydrophobicity, 疎水性)으로 개질하고, 설정시간 동안 방치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소수화 반응부 내에 상기 무반응 물질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진공 펌프와 연결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개폐 상태가 조절되며,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제1밸브의 연결라인 상에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1압력 게이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 처리부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정화 반응조와,
    배출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투입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연결되는 투입관 및,
    투입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배출단이 상기 정화 반응조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수화 반응부의 내부에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2압력 게이지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수화 반응부와 상기 제2압력 게이지의 연결라인 상에는,
    상기 소수화 반응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질소 기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 농도 측정기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부는,
    300~400℃의 온도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부는,
    상온 2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는,
    글라스울(glasswool), 크리오젤(cryogel), 세라믹울(ceramicwool), 멜라민폼(melamine foa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KR1020150147174A 2015-10-22 2015-10-22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KR10181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74A KR101811599B1 (ko) 2015-10-22 2015-10-22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74A KR101811599B1 (ko) 2015-10-22 2015-10-22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37A KR20170046937A (ko) 2017-05-04
KR101811599B1 true KR101811599B1 (ko) 2017-12-22

Family

ID=5874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174A KR101811599B1 (ko) 2015-10-22 2015-10-22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5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390B1 (ko) * 1996-11-26 2006-03-31 캐보트 코포레이션 유기적으로 변형된 에어로겔, 종래의 용매 교환이 없는 수성겔의 표면 변형 및 연이은 건조 과정에 의한 상기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에어로겔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390B1 (ko) * 1996-11-26 2006-03-31 캐보트 코포레이션 유기적으로 변형된 에어로겔, 종래의 용매 교환이 없는 수성겔의 표면 변형 및 연이은 건조 과정에 의한 상기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에어로겔의 사용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업화학, 2011, 제22권, 제2호, pp. 209~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37A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yal et al.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QSOA zeolites and water for adsorption chillers
Teo et al. Experimental study of isotherms and kinetics for adsorption of water on Aluminium Fumarate
Wagh et al. Comparison of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ilica aerogels
Vasiliev et al. Adsorbed natural gas storage and transportation vessels
Aristov et al. Selective water sorbents for multiple applications. 11. CaCl2 confined to expanded vermiculite
US8518335B2 (en) System for preparing silica aerogel powder
Sanz-Moral et al. Gradual hydrophobic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dry silica aerogels by reaction with silane precursors dissolved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ultan et al. Adsorption of Difluoromethane (HFC-32) onto phenol resin based adsorbent: Theory and experiments
CN103534010A (zh) 分离甲烷和二氧化碳的膜及其制法
WO2006130113A1 (en) A method of producing a material for adsorption of fluids
KR101811599B1 (ko) 다공성 유무기 복합체의 소수화 처리장치
EP2952475B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team and gaseous hydrogen peroxide
Guo et al. Facile synthesis of highly flexible polymethylsilsesquioxane aerogel monoliths with low density,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superhydrophobicity
CN101839877A (zh) 一种复合式制冷的低温闪点测试系统
Fu et al. Positional Isomers of Covalent Organic Frameworks for Indoor Humidity Regulation
CN204057961U (zh) 一种高纯度臭氧提取石英装置
Padamurthy et al. Sustainable and open sorption system for low‐temperature heat storage applications
RU230006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сушки газопроводов
CN205797233U (zh) 一种垂直温度梯度可调型烟雾箱
CN101526173B (zh) 氨蒸发缓冲一体化设备
Vasiliev et al. A new method of methane storage and transportation
KR101372841B1 (ko) 동시기화를 이용한 복합체 합성 장치, 복합체 합성 방법, 복합체 합성 장치용 기화기 및 복합체
Chun et al. Mesoporous silica synthesis in sub-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N111765918B (zh) 一种超宽温度下的水分测试标定装置及方法
Hsu et al. To improve the thermal properties of mineral wool by adding aerog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