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345B1 -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345B1
KR101811345B1 KR1020160044556A KR20160044556A KR101811345B1 KR 101811345 B1 KR101811345 B1 KR 101811345B1 KR 1020160044556 A KR1020160044556 A KR 1020160044556A KR 20160044556 A KR20160044556 A KR 20160044556A KR 101811345 B1 KR101811345 B1 KR 10181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oil
sens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681A (ko
Inventor
이승진
신민용
허태준
장용헌
류승현
어중걸
정원석
정사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해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해양
Priority to KR102016004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3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해 선박을 비롯한 각종 해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헬리데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예방 및 진화작업을 수행함과 더불어 유류유출 등 각종 상황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처리배출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FIRE 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OFFSHORE HELIDECK}
본 발명은 소화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해 선박을 비롯한 각종 해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헬리데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예방 및 진화작업을 수행함과 더불어 유류유출 등 각종 상황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처리배출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항해가 이루어지는 대형 원양선박을 비롯하여 드릴쉽이나 FPSO 등과 같은 해상 설치 구조물(Offshore plant)은 도선사, 승조원 등 인원 이송을 위해서 헬리콥터 이착륙 용도의 헬리데크(Helideck)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헬리콥터의 이착륙 시에는 특히 풍랑의 영향을 많이 받고, 돌풍이나 기상악화에 따른 충돌 및 이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있어, 이착륙시에는 헬리데크 주변으로 항시 소화장비 및 인력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사고발생시 누출된 연료로 인해 단시간에 폭발이나 큰 화재로 이어지게 되므로 신속한 초기 진화만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사고 발생시 폭발의 위험성으로 진화인원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해상 상황에 따라 강풍과 높은 파고가 발생하는 경우 진화 인원도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이에 스프링쿨러와 같은 무인 진화장비를 갖추기도 하나 정형화된 분사로 인해 다양한 화재 상황에 맞추어진 적절한 초기진화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이러한 직접적인 원인에 따른 화재가 아니더라도 태양의 고도가 높은 저위도 지방에서는 기본적인 선체나 구조물 표면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며, 헬리콥터에 사용되는 항공유의 인화점인 45~65℃를 넘을 정도로 데크부 온도가 높아지므로 불안정한 이착륙시 헬리콥터에서 유출되는 오일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기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킬 필요도 있다.
또한,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특성상 앞서 언급한 진화작업 및 데크부 청소나 냉각을 위해 분사된 물은 그대로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오염의 원인이 됨에 따라 유분을 분리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분리장치는 물과 기름성분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전도도센서를 사용하여 물과 기름성분을 분리배출하는 원리가 적용되나 특성상 소화작업시 사용된 유화제 및 소화액으로 인한 거품 등이 물에 혼입됨에 따라 전도도센서의 정확도가 낮아져 일부 오일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센서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5022호(2015.04.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헬리데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예방 및 진화작업을 수행함과 더불어 유류유출 등 각종 상황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처리배출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해상용 헬리데크를 위한 소화방재 시스템으로서, 헬리콥터의 이착륙면을 구성하되 상기 이착륙면을 가로지르며 하측으로 배수로와 연결되는 함몰부가 다수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이착륙면의 높이에 맞추어지도록 상기 함몰부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덮는 커버체와, 상기 이착륙면에 매입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구비하는 데크부; 상기 데크부의 테두리 측에 복수로 설치되되 소화펌프로부터 가압된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분사각 및 분사방향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분사방향을 촬영하여 적외선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는 소화부; 한쪽에 상기 배수로와 연결되는 유입관과 다른 쪽으로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는 제1배출관을 구비하되, 중간 부분에 상측 격벽이 함몰되되 하부가 연통되도록 내부를 한쪽의 제1공간 및 다른 쪽의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의 기름성분을 상기 격리부 외측으로 배출하며 전자식 제2밸브가 구비된 제2배출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의 거품을 제거하는 타공판과,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어 기름층을 감지하는 유분감지부를 구비하는 처리탱크; 상기 온도감지부의 감지결과 및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분석에 따라 상기 소화펌프 및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유분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분감지부는 외측면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완충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되 상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설정된 비중의 중량부가 형성되는 부력체와, 상기 몸체 상부의 한쪽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방향 및 거리를 산출하는 제1분석부와, 상기 노즐부를 통해 물 분사시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분사위치를 산출하는 제2분석부와, 상기 제1분석부 및 제2분석부의 산출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화부는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감지부의 측정결과를 반영하여 풍상 측에 위치한 노즐부의 분사각도를 늘리고 풍하 측에 위치한 노즐부의 분사각도를 줄이도록 각 구동부의 동작신호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해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헬리데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예방 및 진화작업과 더불어 데크의 냉각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화재를 비롯한 유류유출시 발생하는 유출수를 처리배출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화재 발화지점 상에 강한 분사력을 통하여 초기진압하여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의 방향에 따른 적절한 무인 진화를 통해 시설 관리 편의성이 증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탱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분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부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해상용, 즉 선박을 비롯한 다양한 해상 시설물에 설치된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으로서 주요구성으로 헬리데크로 불리는 데크부(110)를 비롯하여 소화부(120)와 처리탱크(130)와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이러한 해상용 헬리데크의 경우 육지와 떨어져 고립되는 특성상 물자 및 인원의 긴급이송을 위한 헬리콥터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구조물로 비교적 강한 바람 및 파도에 노출되는 특성이 있으며 오염물 발생시 바로 바다로 유입되어 회수할 수 없게 되므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데크부(110)는 종래의 헬리데크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상면이 평평한 8각형 모양의 헬리콥터의 이착륙면(111)이 구성되며, 해상 시설물의 최상측이나 측면에 H 빔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되고 선박의 경우 선종에 따라 화물창이나 선미 측 갑판에 설치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데크부(110)의 재료는 각종 금속으로 이루어져, 해상구조물로서 강한 바람으로 인한 흔들림 등이 발생함에 따라 표면에 물기가 잔존할 경우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미끄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위치적인 특성상 상시 파도에 노출되어 원활한 배수를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크부(110)에는 상기 이착륙면(111)을 가로지르며 일정간격으로 함몰부(113)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113)의 하측으로 배수로가 형성되어, 이착륙면(111) 상의 물은 상기 함몰부(113)를 통해 모여 배수로(112)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함몰부(113)로 이동인원의 발이 빠지거나 착륙하는 헬리콥터의 스키드를 비롯한 각종 장비 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함몰부(113)는 커버체(114)로 덮이며, 상기 커버체(114) 상면이 상기 이착륙면(111)의 높이에 맞추어지도록 하여 통행 및 헬리콥터 이착륙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되 상기 함몰부(113)에 형성된 지지체를 통해 물이 원활히 빠져나갈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덮게 된다.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부(1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여름이나 저위도 등 태양의 고도가 높은 경우 데크부 표면 온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며, 이는 탑승자가 넘어짐에 따른 화상의 위험성을 비롯하여 헬리콥터에 사용되는 연료의 경우 인화점이 비교적 낮아 자칫 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적정한 온도 이하를 유지하도록 냉각을 시키게 된다. 즉 화재발생시 소화용도로 활용되는 소화부(120)를 평상시 데크부(110)를 냉각시키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상기 이착륙면(111)에는 데크부(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15)가 다수 매립설치된다.
상기 소화부(120)는 말 그대로 화재발생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용도를 비롯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데크부(110)의 냉각을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물을 사용하여 소화하게 되며, 화재와 함께 헬리콥터의 연료유 등 비교적 많은 양의 유류 유출이 함께 이루어질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물을 사용한 화재진화의 효율이 저하되므로 선택적으로 폼이나 소화용 가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부(120)는 노즐부(124)와, 구동부(125)와, 카메라부(126)를 구비하게 되며,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데크부(110)가 8각형 형상을 나타냄에 따라 상기 소화부(120)는 데크부(110)의 각 꼭짓점에 형성되어 이착륙면(111)을 향해 물 내지는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해상용 헬리데크가 해풍에 상시 노출됨에 따라 염분으로 인한 작동부(125)의 고착 내지는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평상시 상시 소화부(120)를 분리시키고 필요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데크부(110)의 외곽을 따라 기둥(116)을 설치하고 상기 소화부(120)를 상기 기둥(116)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노즐부(124)는 화재진화용으로 사용되는 일명 만능노즐로서 조작에 따라 직선분사와,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넓은 범위로의 분무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물이나 소화액이나 소화가스 등 소화제가 수용된 탱크로부터 소화제를 흡입 가압하는 소화펌프(122)와 소화호스(12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125)는 상기 기둥(116)과 노즐부(1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124)의 상하 및 좌우 각도조절을 통한 분사방향의 조절과, 앞서 언급한 분사각을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 구동특성에 따라 구비되는 전동모터 및 기어부를 구비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구동부(125)를 중립으로 놓고 수동으로 노즐부(124)의 방향 및 분사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26)는 적외선카메라로서 상기 노즐부(124) 외측에 고정되어 물의 분사방향을 촬영하여 적외선 영상을 취득하게 되며, 상기 노즐부(124)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125)를 통해 제어되는 노즐부(124)의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추적 촬영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부(120)는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감지부(127)를 더 포함하게 된다. 이는 상기 데크부(110)가 외부 기상상태에 노출됨에 따라 화재발생시 바람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효율적인 진화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탱크(130)는 상기 배수로(112)를 통해 수집된 오염수를 처리하여 오염물질인 유분과 물을 분리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탱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처리탱크(130)는 상기 데크부(110) 하측에 위치하며 한쪽에 상기 배수로(112)와 연결되는 유입관(133)과 다른 쪽으로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는 제1밸브(135)를 구비한 제1배출관(1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처리탱크(130)의 중간 부분에 상측 격벽이 함몰되되 하부가 연통되도록 내부를 한쪽의 제1공간(131) 및 다른 쪽의 제2공간(132)으로 구분하는 격리부(137)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관(133)이 형성되는 부분이 제1공간(131), 상기 제1배출관(134)이 형성되는 부분이 제2공간(132)으로 상기 제1공간(131) 및 제2공간(132)은 하측으로 연결된다.
이는 물과의 비중차이로 인해 기름성분(기름층)을 분리하기 위한 형상으로 상기 유입관(133)을 통해 제1공간(131)으로 유입된 오염수 중 기름성분은 상측의 격리부(137)를 통해 막혀 제1공간(131)에 머무르고 물만 하측을 통해 제2공간(1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격리부(137)에는 상기 제1공간(131)의 기름성분을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측부분에 전자식 제2밸브(139)가 구비된 제2배출관(138)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공간(131)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133)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의 거품을 제거하는 타공판(136)이 형성된다. 단순히 기름성분이 혼입된 물의 경우에는 비중차이로 인한 기름성분의 분리가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크부(110) 상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화에 따른 오염수 유입시 폼을 비롯한 유화제나 각종 소화제로 인한 거품이 함께 유입되므로 거품으로 혼입된 기포로 인해 유분의 분리에 어려움이 생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입관(133) 측으로 타공판(136)을 설치함으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타공판(136)을 통과하며 거품 및 기포가 상당부분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일정량의 기름층을 감지하여 상기 제2밸브(139)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131)에 설치되어 기름층을 감지하는 유분감지부(140)가 설치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도도센서를 통해 기름성분을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전도도센서의 경우 혼입된 거품으로 인해 기름성분감지의 정확도가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유분감지부(140)는 비중을 이용하여 기름층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거품 및 기포가 많은 상황에서도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분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유분감지부(140)는 몸체(141)와, 부력체(144)와, 발광부(145) 및 수광부(146)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몸체(141)는 외측면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완충부(143)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구조물로서, 상기 관통공(142)을 통해 오염수가 원활히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와 내부가 동일한 수위(유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관통공(142)을 통해 거품이나 기포가 몸체(14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된다.
상기 부력체(144)는 상기 몸체(141)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설정된 비중의 중량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량부 상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부의 비중은 기본적으로 물보다 낮아 물에 뜨도록 하되 기름성분기름) 보다는 같거나 다소 높게 설정되어 적어도 물과 기름층 표면 내지는 물과 기름층 사이의 계면에 사이에 상기 중량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은 온도, 압력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물의 비중은 1이고, 해수의 경우 물보다 약간 큰 1.03으로 알려졌다. 물에 뜨는 기름성분의 경우 물보다 가벼우며 항공유로 사용되는 오일의 경우 약 0.705 정도의 비중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부력체(144)는 0.7 내지 0.9 수준의 비중을 갖도록 대응물질을 충진하여 비중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143)는 상기 부력체(144)의 하측 이동범위를 제한함과 더불어 상기 부력체(144)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중으로 인한 충돌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첨부된 도면에서는 스프링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스펀지를 비롯하여 부력체(144)가 하중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몸체(141)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41) 상측 한쪽에는 적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145)와, 상기 발광부(145)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발광부(145)에서 방출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14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부력체(144)가 설정된 높이 이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수광부(146)에서 원활히 수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부력체(144)가 설정된 높이 이상일 경우 상기 중량부가 발광부(145)와 수광부(146) 사이에서 빛을 차단함에 따라 수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수광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밸브(139)를 개방함으로 상층에 형성된 기름층이 제2배출관(138)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된 기름층은 별도의 폐유탱크에 수집되어 증발, 소각이나 별도의 처리시설로 보내져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처리탱크(130)의 구조를 통해 제1공간(131)에서 대부분의 기름성분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유입되는 오염수의 양이 많거나 선박의 요동 등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기름성분이 제2공간(132)으로 이동하여 물과 함께 배출될 위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제2공간(132)의 기름성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전자식 제3밸브(139')가 구비된 제3배출관(138')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배출관(138')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3밸부(139')의 제어를 위해 기름층을 감지할 수 있는 기름성분 감지부(140')가 제2공간(132)에도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제어부(150)는 제어반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인 구성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기본적으로 상기 온도감지부(115)와, 소화펌프(122)와, 구동부(125)와, 카메라 부(126)와, 바람 감지부(127)와, 전자식 밸브인 제1밸브(135), 제2밸브(139), 제3밸브(139')와, 발광부(145) 및 수광부(146)를 제어하되, 상기 온도감지부(115)의 감지결과 및 상기 카메라부(126)의 영상분석에 따라 상기 소화펌프(122) 및 구동부(125)를 제어하고, 상기 유분감지부(140), 즉 수광부(146)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2밸브(139)를 개폐 제어하게 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부(110)가 태양열을 축적함으로 항공유의 인화점보다 높아질 경우 상기 소화펌프(122) 및 구동부(125)를 제어하여 데크부(110)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상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데크부의 온도가 50℃ 정도가 되었을 때 냉각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60℃가 높아질 경우 별도로 구비된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킴으로 경각심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부(126)는 수집되는 열화상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진화시 적용되어 화재원점에 대한 올바른 방향으로의 소화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제1분석부(151)와, 제2분석부(152)와, 피드백부(153)를 비롯하여 통신부(154)를 구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상기 제1분석부(151)는 화재상황에서 상기 카메라부(12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방향 및 거리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적외선 영상에서 온도에 따른 색상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강렬한 B급화재 상황에서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는 가장 온도가 높은 화재원점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126)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비롯하여 상기 구동부(125)를 통해 확인되는 카메라부(126)의 방향 및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분석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거리를 비롯한 정확한 방향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원점에 대한 소화제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부(125)의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분석부(152)는 상기 노즐부(124)를 통해 물을 비롯한 소화제 분사시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분사위치를 산출하는 구성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 및 수평각, 수직각의 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외풍이나 분사압력으로 인해 분사되는 소화제가 정확히 화재원점을 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상기 제2분석부(152)는 소화제의 분사 중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점의 위치와 소화제가 분사되는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피드백부(153)는 상기 제1분석부(151) 및 제2분석부(152)의 산출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구동부(125)의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분석부(152)를 통한 분석결과 분사되는 소화제가 화재원점에 정확히 분사될 경우 별도의 동작신호를 생성하지 않게 되나 화재원점 위치와 분사위치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위치의 좁히도록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정확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드백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부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활한 진화 및 냉각을 위해 상기 소화부(120)는 데크부(110)의 외측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데크부(110)가 8각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서리마다 총 8개의 소화부(1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데크부(110)와 소화부(120)가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진화작업이 외부의 바람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며, 특히 해상에 설치되는 특성상 이러한 영향이 클수 밖에 없어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을 고려한 전략적인 진화작업이 요구된다.
즉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124)는 분사각의 제어가 가능하며, 직선분사는 고압분사가 이루어지나 분사범위가 좁고 B급 화재의 경우 고압분사로 인해 기름이 튀며 자칫 화재를 번질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마찬가지로 안개분무 방식의 경우 넓은 범위의 분사로 인한 냉각 효과 등이 장점이나 압력이 약해 맞바람 등에 취약한 단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감지부(127)의 측정결과를 반영하여 풍상 측에 위치한 노즐부의 분사각도를 늘리고 저압분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풍하 측에 위치한 노즐부의 분사각도를 줄여 고압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각 구동부의 동작신호를 제어하여 바람의 영향에 최적화된 진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데크부(110)의 냉각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6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바람이 불어옴에 따라 좌측에 위치한 노즐부의 분사각도가 넓은 저압분사가 우측에 위치한 노즐부는 분사각도가 좁은 고압분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어부(150)에 구비되는 통신부(154)를 통해 관제실에 설치된 관제서버(200)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화재진화나 데크부(110) 냉각과 같은 동작상황을 비롯하여 상기 처리탱크(130)를 통한 오염수 처리상황, 데크부(110)의 가열상황 등을 원격으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데크부 111: 이착륙면
112: 배수로 113: 함몰부
114: 커버체 115: 온도감지부
116: 기둥 120: 소화부
122: 소화펌프 123: 소화호스
124: 노즐부 125: 구동부
126: 카메라부 127: 바람감지부
130: 처리탱크 131: 제1공간
132: 제2공간 133: 유입관
134: 제1배출관 135: 제1밸브
136: 타공판 137: 격리부
138: 제2배출관 139: 제2밸브
140: 유분감지부 141: 몸체
142: 관통공 143: 완충부
144: 부력체 145: 발광부
146: 수광부 150: 제어부
151: 제1분석부 152: 제2분석부
153: 피드백부 154: 통신부
200: 관제서버

Claims (4)

  1. 해상용 헬리데크를 위한 소화방재 시스템으로서,
    헬리콥터의 이착륙면(111)을 구성하되 상기 이착륙면(111)을 가로지르며 하측으로 배수로(112)와 연결되는 함몰부(113)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이착륙면(111)의 높이에 맞추어지도록 상기 함몰부(113)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덮는 커버체(114)와, 상기 이착륙면(111)에 다수 매입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15)를 구비하는 데크부(110);
    상기 데크부(110)의 테두리 측에 복수로 설치되되 소화펌프(122)로부터 가압된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노즐부(124)와, 상기 노즐부(124)의 분사각 및 분사방향을 조절하는 구동부(125)와, 분사방향을 촬영하여 적외선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126)와,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감지부(127)를 구비하는 소화부(120);
    한쪽에 상기 배수로(112)와 연결되는 유입관(133)과 다른 쪽으로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는 제1배출관(134)을 구비하되, 중간 부분에 상측 격벽이 함몰되되 하부가 연통되도록 내부를 한쪽의 제1공간(131) 및 다른 쪽의 제2공간(132)으로 구분하는 격리부(137)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31)의 기름성분을 상기 격리부(137) 외측으로 배출하며 전자식 제2밸브(139)가 구비된 제2배출관(138)과, 상기 유입관(133)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의 거품을 제거하는 타공판(136)과, 상기 제1공간(131)에 설치되어 기름층을 감지하는 유분감지부(140)를 구비하는 처리탱크(130);
    상기 온도감지부(115)의 감지결과 데크부의 온도가 50℃가 되었을 때 소화펌프(122) 및 구동부(125)를 제어하여 냉각작업을 수행하고, 60℃가 높아질 경우 별도로 구비된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며, 상기 카메라부(126)의 영상분석에 따라 상기 소화펌프(122) 및 구동부(125)를 제어하되, 상기 유분감지부(140)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2밸브(139)를 제어하되, 상기 카메라부(12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방향 및 거리를 산출하는 제1분석부(151)와, 상기 노즐부(124)를 통해 물 분사시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점에 대한 분사위치를 산출하는 제2분석부(152)와, 상기 제1분석부(151) 및 제2분석부(152)의 산출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구동부(125)의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부(153)를 구비하고, 상기 바람감지부(127)의 측정결과를 반영하여 풍상 측에 위치한 노즐부의 분사각도를 늘리고 풍하 측에 위치한 노즐부의 분사각도를 줄이도록 각 구동부(125)의 동작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1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감지부(140)는,
    외측면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완충부(143)가 형성된 통형상의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 내부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되 상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설정된 비중의 중량부가 형성되는 부력체(144)와, 상기 몸체(141) 상부의 한쪽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145)와, 상기 발광부(145)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1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44556A 2016-04-12 2016-04-12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KR10181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56A KR101811345B1 (ko) 2016-04-12 2016-04-12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56A KR101811345B1 (ko) 2016-04-12 2016-04-12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81A KR20170116681A (ko) 2017-10-20
KR101811345B1 true KR101811345B1 (ko) 2017-12-26

Family

ID=6029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56A KR101811345B1 (ko) 2016-04-12 2016-04-12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3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829B1 (ko) * 1997-10-10 2000-01-15 김원돈 해상 유출기름 수거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540384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829B1 (ko) * 1997-10-10 2000-01-15 김원돈 해상 유출기름 수거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540384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81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76290A (zh) 一种无人船航行状态监控及安全评估控制系统
US8754787B2 (en) Marine security system
CA2489074C (en) Method and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US8616144B2 (en)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ducing damage by birds to an airplane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CN102387961A (zh) 冲泻系统
KR101918103B1 (ko) 누출가스 중화장치 및 그 중화방법
CN114814100B (zh) 一种保护系统、燃料准备舱及船舶
KR101811345B1 (ko) 해상용 헬리데크의 소화방재 시스템
GB2262444A (en) Extinguishing and controlling fires
KR100317553B1 (ko) 밀폐또는개방공간에서의화재진화방법및장치
CN202211948U (zh) 直升飞机升降平台自动灭火装置
KR102337825B1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KR101540384B1 (ko)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KR101325702B1 (ko) 워터 분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처리 시스템
KR20160053317A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101722431B1 (ko) 워터 미스트 시스템
KR101690925B1 (ko) 헬리데크 탈출장치
CN103979074A (zh) 一种船舶管路阻水装置
RU89485U1 (ru) Вертолетная установка тушения пожара
KR101276127B1 (ko) 해양구조물 용 기름 제거 장치
RU2742903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и внутренних морских вод
US201102596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tinguishing fires on or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wind energy installation
KR20180034886A (ko) 톱사이드에 구비된 비상탈출장치
WO2010128846A1 (en) Ship with anti-boarding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fluid dispensing nozzles and a method for protecting at least a part of the ship from an illegal ent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