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094B1 -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094B1
KR101811094B1 KR1020140052864A KR20140052864A KR101811094B1 KR 101811094 B1 KR101811094 B1 KR 101811094B1 KR 1020140052864 A KR1020140052864 A KR 1020140052864A KR 20140052864 A KR20140052864 A KR 20140052864A KR 101811094 B1 KR101811094 B1 KR 10181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blade
camera
braking bla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452A (ko
Inventor
정도안
Original Assignee
정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안 filed Critical 정도안
Priority to KR102014005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09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며, 카메라가 고정되는 카메라 수송부;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발사부; 및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카메라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카메라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는 촬영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촬영 시스템{SHOOTING SYSTEM}
본 발명은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점샷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시스템에 관련된다.
각종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양한 특수 촬영 기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총알이나 화살, 로켓 등이 진행하는 시점에서 바라보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카메라가 빠른 속도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속도에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총알 등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이동되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물의 재생속도를 증가 시키는 등의 이른바 편집 또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으로 총알 등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영상을 완성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거나 컴퓨터 그래픽을 가미할 경우, 실제 총알 등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영상과의 차이가 커서 현실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7546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카메라를 고속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카메라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은,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며, 카메라가 고정되는 카메라 수송부;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발사부; 및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사부는 공압에 의하여 돌출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수송부는 상기 헤드부와 접촉되어 이동력을 제공받는 헤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며, 카메라가 고정되는 카메라 수송부;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향하는 이동력을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공하는 발사부; 및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동부는,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 제동 날개 및 제2 제동 날개; 및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과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를 이동시키는 제동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수송부는,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며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제2 제동 날개와 마찰되어 제동력을 인가받는 제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제1 제동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와 상기 제동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면 중에서 상기 제1 제동 날개 또는 상기 제2 제동 날개가 접촉되는 면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에서 타단 까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카메라가 안정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의 발사부 및 카메라 수송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의 제동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부의 타측 방향 또는 상기 레일부의 타측에서 상기 레일부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카메라가 고정되는 카메라 수송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부의 타측을 향하는 이동력을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공하되, 상기 카메라 수송부가 발사된 이후에는 상기 카메라 수송부와 분리되는 발사부; 및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동부는,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 제동 날개 및 제2 제동 날개; 및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과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를 이동시키는 제동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수송부는,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된 후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제2 제동 날개와 마찰되어 제동력을 인가받는 제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수송부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레일부의 타측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 측에서 접촉되기 시작하여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타단 측으로 이동될수록 증가되는 마찰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타단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면 중에서 상기 제1 제동 날개 또는 상기 제2 제동 날개가 접촉되는 면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에서 타단 까지의 길이보다 작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1000)의 발사부(200) 및 카메라 수송부(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1000)의 제동부(3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1000)은, 크게 레일부(R), 발사부(200), 카메라 수송부(100) 및 제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 수송부(100)는 카메라(C)를 거치하여 총알 또는 화살의 이동속도에 준하도록 고속으로 카메라(C)를 수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레일부(R)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퀴(140)가 베이스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에 카메라(C)를 고정할수 있도록 카메라 거치대(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카메라 거치대(120)는,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는 고정판(121) 및 고정판(121)에 고정되는 거치봉(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치봉(122)은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카메라(C)의 고정 높이 또는 각도 등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에는 제1 지지대(132)가 고정되고, 제1 지지대(132)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133)의 일단에 헤드 접촉부(131)가 구비되어 발사부(200)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대(131), 제2 지지대(133) 및 헤드 접촉부(131)를 포함하여 이동력 인가부(130)라 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사부(200)는 헤드부(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부(221)는 공압이나 유압 등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21)는 피스톤(220)의 일단에 연결되며, 피스톤(220)의 타측은 실린더(210)에 삽입되어 제1 연결부(23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돌출되는 운동의 원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230)의 타단에는 제1 밸브(240)를 통해 탱크(250)가 연결될 수 있는데, 탱크(250)에 고압의 유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제1 제어라인(241)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1 밸브(240)가 개방되면 고압의 유체가 제1 연결부(230)를 통해 실린더(210)로 공급됨으로써 피스톤(220) 및 헤드부(221)가 고속으로 전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221)가 헤드 접촉부(131)를 밀어냄으로써 카메라 수송부(100)가 고속으로 전진운동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헤드부(221)가 헤드 접촉부(131)를 밀어낸 후에는 발사부(200)와 카메라 수송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동부(300)는 레일부(R)를 따라 이동되는 카메라 수송부(100)를 제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발사부(200)에 의하여 이동력을 제공받은 카메라 수송부(100)는 고속으로 전진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방법으로 카메라 수송부(100)를 제동할 경우 레일로부터 카메라 수송부(100)가 탈선하거나, 카메라(C)에 강한 충격이 전달됨으로써 카메라(C)가 촬영하는 영상이 크게 흔들리거나 카메라(C) 자체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스템(1000)에 구비되는 제동부(300)는 카메라(C)의 손상 및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카메라 수송부(100)를 제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동 날개로 이루어지는 제동 날개부(31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동 날개가 서로 근접되도록 이동되어 카메라 수송부(100)를 제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일부(R)의 타단에 구비되는 레일 고정부(320)에 제1 고정축(321) 및 제2 고정축(322)이 형성되고, 제1 제동 날개(311)의 일단이 제1 고정축(3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제동 날개(312)의 일단이 제2 고정축(3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동 날개(311)의 타단 및 제2 제동 날개(312)의 타단에는 제1 제동 날개(311)와 제2 제동 날개(312)가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제동력 발생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동력 발생부(330)에는 제1 제동 날개(311)에 결합되는 제1 링커(331)와 제2 제동 날개(312)에 결합되는 제2 링커(332)가 구비되고, 제2 제어라인(335)을 통하여 제동개시신호가 인가되면 제1 제동 날개(311)와 제2 제동 날개(312)가 근접되도록 제1 링커(331) 및 제2 링커(332)가 외력을 인가받는다. 즉, 제동력 발생부(330)는 제1 제동 날개(311)의 일단과 제2 제동 날개(312)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제1 제동 날개(311) 및 제2 제동 날개(312)를 이동시켜 제1 제동 날개(311) 및 제2 제동 날개(312)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동에 의하여 제1 제동 날개(311)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312) 사이의 각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동 날개(311)의 타단 및 제2 제동 날개(312)의 타단 사이의 거리는 제동력 발생부(330)가 제동력을 발생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1 제동 날개(311)의 일단 및 제2 제동 날개(312)의 일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한편, 카메라 수송부(100)에는 제동 플레이트(150)가 구비되어 제1 제동 날개(311)와 제2 제동 날개(312) 사이에 제동 플레이트(150)가 삽입됨으로써 마찰에 의한 제동력이 카메라 수송부(100)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10) 하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 제동 플레이트(150)가 구비된 상태에서, 카메라 수송부(100)가 제동부(300)에 접근되면 제어부(400)가 제동력 발생부(330)에 제동 개시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동력 발생부(330)가 제동 개시신호를 인가받으면 제1 제동 날개(311)와 제2 제동 날개(31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동 플레이트(150)가 제1 제동 날개(311) 및 제2 제동 날개(312) 사이에 끼워지면서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마찰력에 의하여 고속으로 이동하던 카메라 수송부(100)가 흔들림이나 충격이 최소화되면서도 신속하게 제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카메라(C) 및 카메라 수송부(100)의 무게 및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제1 제동 날개(311) 및 제2 제동 날개(312)의 길이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1000 : 촬영 시스템 R : 레일부
C : 카메라 100 : 카메라 수송부
110 : 베이스부 120 : 카메라 거치대
121 : 고정판 122 : 거치봉
130 : 이동력 인가부 131 : 헤드 접촉부
132 : 제1 지지대 133 : 제2 지지대
140 : 바퀴 150 : 제동 플레이트
200 : 발사부 210 : 실린더
220 : 피스톤 221 : 헤드부
230 : 제1 연결부 240 : 제1 밸브
250 : 탱크 241 : 제1 제어라인
300 : 제동부 310 : 제동 날개부
311 : 제1 제동 날개 312 : 제2 제동 날개
320 : 레일 고정부 321 : 제1 고정축
322 : 제2 고정축 330 : 제동력 발생부
331 : 제1 링커 332 : 제2 링커
335 : 제2 제어라인 400 : 제어부

Claims (3)

  1.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부의 타측 방향 또는 상기 레일부의 타측에서 상기 레일부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며, 카메라가 고정되는 카메라 수송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부의 타측을 향하는 이동력을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공하되, 상기 카메라 수송부가 발사된 이후에는 상기 카메라 수송부와 분리되는 발사부; 및
    상기 카메라 수송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동부는,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 제동 날개 및 제2 제동 날개; 및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과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키는 제동력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타단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타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동력 발생부가 제동력을 발생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카메라 수송부는,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된 후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제2 제동 날개와 마찰되어 제동력을 인가받는 제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수송부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레일부의 타측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 측에서 접촉되기 시작하여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타단 측으로 이동될수록 증가되는 마찰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제동 날개 및 상기 제2 제동 날개의 타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면 중에서 상기 제1 제동 날개 또는 상기 제2 제동 날개가 접촉되는 면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 제동 날개의 일단에서 타단 까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시스템.
KR1020140052864A 2014-04-30 2014-04-30 촬영 시스템 KR10181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64A KR101811094B1 (ko) 2014-04-30 2014-04-30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64A KR101811094B1 (ko) 2014-04-30 2014-04-30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452A KR20150125452A (ko) 2015-11-09
KR101811094B1 true KR101811094B1 (ko) 2017-12-20

Family

ID=5460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64A KR101811094B1 (ko) 2014-04-30 2014-04-30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202A (ja) * 2000-10-24 2002-05-08 Heiwa Corp 遊技機の発射装置
US20060027134A1 (en) * 2004-07-02 2006-02-09 Ziptrek Ecotours, Inc.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KR200429332Y1 (ko)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JP2011251793A (ja) * 2010-06-01 2011-12-15 Hitachi Ltd 非常止め装置を備えた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202A (ja) * 2000-10-24 2002-05-08 Heiwa Corp 遊技機の発射装置
US20060027134A1 (en) * 2004-07-02 2006-02-09 Ziptrek Ecotours, Inc.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KR200429332Y1 (ko)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JP2011251793A (ja) * 2010-06-01 2011-12-15 Hitachi Ltd 非常止め装置を備えた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452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1876B2 (ja) 自動車の走行支援カメラ用クリーニング装置
US86955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projectile toward a target
JP5729622B2 (ja) ブラーレス画像撮像システム
EP1685360A1 (en) Method of launching a catapult, catapult, and locking device
ES2640793T3 (es) Proyectil que incluye el sistema de propulsión y un motor de lanzamiento en los lados opuestos a la carga útil y su método
CN111226102A (zh) 一种弹丸的发射装置及系统、射击机器人
CN109703772B (zh) 一种后置式动力布局的无人机火箭脱落机构
KR101811094B1 (ko) 촬영 시스템
CN102736389A (zh) 一种电影防盗拍装置和一种电影防盗拍方法
US20190193857A1 (en) Magazine and method for launching countermeasures
CN107856877A (zh) 小型无人机的发射、回收系统
US20200096153A1 (en) Magnetic soft stops for gimbals
KR102050829B1 (ko) 수중 이동체 발사장치의 피스톤 구조체
US20210316860A1 (en) Payload launch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launching a payload
US5050523A (en) Pivoted vehicle launch for submarine
JP2008224114A (ja) 飛しょう体の誘導装置
CN109959298B (zh) 电磁线圈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220109B1 (ko) 유도탄의 횡방향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탄 발사시스템
KR101833625B1 (ko) 외력에 의한 날개의 흔들림 방지장치
JP2019078423A (ja) 胴体滑走装置とその方法
KR101522202B1 (ko) 화염 편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탄의 발사 시스템
KR102052430B1 (ko) 무장장착대
US20190078560A1 (en) Quantum Laser-Driven Engine
CN207759066U (zh) 小型无人机的发射、回收系统
KR20180045748A (ko) 워터 램 방식의 어뢰 발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