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058B1 -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058B1
KR101811058B1 KR1020100072779A KR20100072779A KR101811058B1 KR 101811058 B1 KR101811058 B1 KR 101811058B1 KR 1020100072779 A KR1020100072779 A KR 1020100072779A KR 20100072779 A KR20100072779 A KR 20100072779A KR 101811058 B1 KR101811058 B1 KR 10181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ain display
frame
auxiliary displa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153A (ko
Inventor
박경재
황학모
박진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0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딩 가능한 메인 표시부; 및 네로우 화면 구현시 상기 메인 표시부에 의해 덮혀지며, 와이드 화면 구현시 상기 메인 표시부에 의해 노출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는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기지국, 기지국 제어국 및 교환국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음성데이터 등을 주고 받는 기기를 뜻한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면서 단순히 전화 통화나 문자 전송을 위한 장치에서 각종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로 변화하였다.
고속화된 통신망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공중파 방송 및 영화 등을 시청하거나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세지 등을 교환하는 일이 가능해 진지 오래다. 멀티미디어 정보를 재생하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기능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현재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성이라는 목적하에 대단히 제한된 크기의 표시부를 가지며, 작은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선호하는 일반적인 경향으로 인해 표시부의 물리적 크기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듀얼 표시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된 적은 있으나, 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단차지도록 구성된 듀얼 표시부로 인해 동일 평면상에서 하나의 화면을 구성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크기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표시화면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딩 가능한 메인 표시부; 및 네로우 화면 구현시 상기 메인 표시부에 의해 덮혀지며, 와이드 화면 구현시 상기 메인 표시부에 의해 노출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보조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표시부는, 상기 네로우 화면을 구성하는 메인 표시면과, 상기 메인 표시면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내부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홈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표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종단부 양측에 설치되는 리브들을 가지며;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기 메인 표시부의 슬라이딩 시 노출되어 상기 메인 표시면과 함께 단차를 갖는 와이드 화면을 구성하는 보조 표시면과, 상기 보조 표시면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메인 표시부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 제거를 위해 상기 메인 표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리브들을 수용하는 리브 안착홈들을 가진다.
상기 메인 표시부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표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종단부 배면에 형성되는 돌기 체결홈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종단부 배면에서 상기 돌기 체결홈 근처에 설치되는 제1 자석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표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돌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와;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표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자석과 결합되는 제2 자석을 더 구비한다.
이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보조 표시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을 위해 자신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 표시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핀과; 상기 네로우 화면 구현시 상기 보조 표시부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의 일부 가장자리를 덮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를 상기 보조 표시부의 위에 중첩 및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날개부는 와이드 화면 구현시 상기 보조 표시부의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회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딩 가능한 메인 표시부와, 네로우 화면 구현시 메인 표시부에 의해 덮혀지며 와이드 화면 구현시 메인 표시부에 의해 노출되어 메인 표시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보조 표시부를 구비하여, 작은 크기로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경우에 따라 동일 평면상에서 표시화면을 확장하여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감상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전후의 사시도.
도 2는 슬라이딩 된 이후에 메인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부재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힌지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힌지부의 동작 및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전후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도 2는 슬라이딩 된 이후에 메인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부재들을 보여준다. 도 3은 힌지부를 보여주고, 도 4 및 도 5는 힌지부의 동작 및 기능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물리적인 위치 변경에 의해 네로우(narrow) 화면과 와이드(wide) 화면의 구현이 가능한 메인 표시부(10)와 보조 표시부(20)를 구비한다. 보조 표시부(20)는 네로우 화면 구현시 메인 표시부(10)의 아래에 위치하며, 와이드 화면 구현시 메인 표시부(1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메인 표시부(10)는 메인 표시면(11), 제1 프레임(12), 가이드 홈(13), 다수의 리브들(ribs,14), 돌기 체결홈(15) 및 제1 자석(16)을 포함한다.
메인 표시면(11)은 슬라이딩 되기 전의 상태에서 노출되어 네로우 화면을 구성한다. 제1 프레임(12)은 메인 표시면(11)을 지지한다. 가이드 홈(13)은 제1 프레임(12)의 양측 내부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리브들(14)은 수평 방향(D1)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보조 표시부(20)와 마주보는 제1 프레임(12)의 종단부 양측에 설치된다. 돌기 체결홈(15)은 수평 방향(D1)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보조 표시부(20)와 마주보는 제1 프레임(12)의 종단부 배면에 형성된다. 제1 자석(16)은 상기 제1 프레임(12)의 종단부 배면에서 돌기 체결홈(15)의 근처에 설치된다.
보조 표시부(20)는 보조 표시면(21), 제2 프레임(22), 가이드 레일(23), 리브 안착홈들(24), 걸림 돌기(25) 및 제2 자석(26)을 포함한다.
보조 표시면(21)은 메인 표시부(10)의 슬라이딩 시 노출되어, 메인 표시면(11)과 함께 와이드 화면을 구성한다. 제2 프레임(22)은 보조 표시면(21)을 지지한다. 가이드 레일(23)은 제2 프레임(22)의 양측 외부에서 메인 표시부(10)의 가이드 홈(13)에 끼워져 메인 표시부(10)의 슬라이딩을 유도한다. 리브 안착홈들(24)은 제2 프레임(22)에 형성되어, 메인 표시부(10)가 수평 방향(D1)으로 슬라이딩 완료된 이후에 수직 방향(D2)으로 이동될 때 메인 표시부(10)의 리브들(14)을 수용한다. 걸림 돌기(25)는 제2 프레임(22)에 형성되어, 메인 표시부(10)가 수평 방향(D1)으로 슬라이딩 완료된 이후에 수직 방향(D2)으로 이동될 때 메인 표시부(10)의 돌기 체결홈(15)에 끼워진다. 제2 자석(26)은 제2 프레임(22)에 형성되어, 메인 표시부(10)가 수평 방향(D1)으로 슬라이딩 완료된 이후에 수직 방향(D2)으로 이동될 때 메인 표시부(10)의 제1 자석(16)에 결합된다.
리브들(14)과 리브 안착홈들(24)은 수평 방향(D1)으로의 슬라이딩 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직 방향(D2)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부(10)와 보조 표시부(20) 간 결합력을 공고히 한다. 돌기 체결홈(15)과 걸림 돌기(25), 제1 및 제2 자석(16,26)은 수직 방향(D2)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부(10)와 보조 표시부(20) 간 결합력을 추가적으로 공고히 한다. 메인 표시부(10)의 수직 이동에 의해 메인 표시면(11)과 보조 표시면(21) 간의 단차는 극복되며, 아울러 메인 표시면(11)과 보조 표시면(21) 사이의 간격(BZ)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힌지부(30)를 더 구비한다.
힌지부(30)는 보조 표시부(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힌지부(30)는 회동을 위해 도 3과 같이 자신의 내부를 관통하여 보조 표시부(20)의 내측에 고정되는 핀(31)과 날개부(32)를 포함한다. 날개부(32)는 네로우 화면 구현시 보조 표시부(20)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메인 표시부(10)의 일부 가장자리를 덮으며, 이 상태에서 메인 표시부(10)를 보조 표시부(20)의 위에 중첩 및 고정시킨다.
힌지부(30)는 와이드 화면 구현시 도 4와 같이 회동되어 날개부(32)를 보조 표시부(20)의 배면 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도 5와 같이 표시면들(11,2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면(SF1) 상에서 돌출 구조물을 없앤다. 그 결과, 사용자는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보다 나은 환경에서 표시면들(11,21)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2)는 와이드 화면 구현시 테이블 등과 같은 제2 수평면(SF2) 상에서 보조 표시부(20)의 배면을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할 수다.
도 1 내지 도 6의 참조하에, 상술한 구조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6의 (A)와 같이 네로우 화면 구현시에는 보조 표시부(20)를 덮으면서 메인 표시부(10)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인 표시면(11) 만을 통해 콘텐츠를 감상한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보조 표시면(21)의 동작을 중지시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네로우 화면 구현시에는 힌지부(30)를 통해 메인 표시부(10)와 보조 표시부(20)가 상하로 중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 휴대성이 뛰어나다.
다양한 콘텐츠 감상을 위해 와이드 화면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도 1, 도 2 및 도 6의 (B)와 같이 메인 표시부(10)를 수평 방향(D1)을 따라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딩과 동시에 제어부는, 보조 표시면(21)의 동작을 활성화시키고, 콘텐츠 구현을 위한 표시 신호를 분배하여 메인 표시면(11)과 보조 표시면(21)에 공급한다. 메인 표시면(11), 보조 표시면(21) 및 제어부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을 따라 슬라이딩 되던 메인 표시부(10)가 가이드 레일(23)의 단부에 이르게 되면, 보조 표시면(21)이 완전히 노출되어 메인 표시면(11)과 단차를 이루면서 와이드 화면을 구성한다.
단차 제거를 위해, 사용자는 도 1, 도 2 및 도 6의 (C)와 같이 메인 표시부(10)를 수직 방향(D2)을 따라 이동시킨다. 수직 방향(D2)으로 이동되던 메인 표시부(10)는 리브들(14)과 리브 안착홈들(24), 돌기 체결홈(15)과 걸림 돌기(25), 제1 및 제2 자석(16,26)에 의해, 보조 표시부(20)에 공고히 결합된다. 그 결과, 메인 표시면(11)과 보조 표시면(21) 간의 단차는 극복되어 동일 평면상에서 와이드 화면이 구현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6의 (D)와 같이 힌지부(30)를 회동시켜 날개부(32)를 보조 표시부(20)의 배면 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표시면들(11,21)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면상에서 돌출 구조물을 없앤다. 그 결과, 사용자는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보다 나은 환경에서 표시면들(11,21)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2)는 테이블 등과 같은 수평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놓여 졌을 때 보조 표시부(20)의 배면을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딩 가능한 메인 표시부와, 네로우 화면 구현시 메인 표시부에 의해 덮혀지며 와이드 화면 구현시 메인 표시부에 의해 노출되어 메인 표시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보조 표시부를 구비하여, 작은 크기로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경우에 따라 동일 평면상에서 표시화면을 확장하여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감상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메인 표시부 11 : 메인 표시면
12 : 제1 프레임 13 : 가이드 홈
14 : 리브들 15 : 돌기 체결홈
16,26 : 자석 20 : 보조 표시부
21 : 보조 표시면 22 : 제2 프레임
23 : 가이드 레일 24 : 리브 안착홈
25 : 걸림 돌기 30 : 힌지부
31 : 핀 32 : 날개부

Claims (6)

  1. 슬라이딩 가능한 메인 표시부;
    네로우 화면 구현시 상기 메인 표시부에 의해 덮혀지며, 와이드 화면 구현시 상기 메인 표시부에 의해 노출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보조 표시부;및
    상기 보조 표시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표시부는, 상기 네로우 화면을 구성하는 메인 표시면과, 상기 메인 표시면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내부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홈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표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종단부 양측에 설치되는 리브들을 가지며;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기 메인 표시부의 슬라이딩 시 노출되어 상기 메인 표시면과 함께 단차를 갖는 와이드 화면을 구성하는 보조 표시면과, 상기 보조 표시면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메인 표시부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 제거를 위해 상기 메인 표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리브들을 수용하는 리브 안착홈들을 가지는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부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표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종단부 배면에 형성되는 돌기 체결홈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종단부 배면에서 상기 돌기 체결홈 근처에 설치되는 제1 자석을 더 구비하는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표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돌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와;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표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자석과 결합되는 제2 자석을 더 구비하는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을 위해 자신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 표시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핀과;
    상기 네로우 화면 구현시 상기 보조 표시부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의 일부 가장자리를 덮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표시부를 상기 보조 표시부의 위에 중첩 및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와이드 화면 구현시 상기 보조 표시부의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회동되는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00072779A 2010-07-28 2010-07-28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81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779A KR101811058B1 (ko) 2010-07-28 2010-07-28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779A KR101811058B1 (ko) 2010-07-28 2010-07-28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53A KR20120011153A (ko) 2012-02-07
KR101811058B1 true KR101811058B1 (ko) 2017-12-21

Family

ID=4583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779A KR101811058B1 (ko) 2010-07-28 2010-07-28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750B1 (ko) * 2013-08-05 2014-12-23 주식회사 맥스포 듀얼 모니터 장치
KR101686740B1 (ko) * 2015-06-02 2016-12-16 고영상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08B1 (ko) 2005-12-29 2006-12-01 주식회사 팬택 절첩식 카메라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08B1 (ko) 2005-12-29 2006-12-01 주식회사 팬택 절첩식 카메라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53A (ko) 201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808B1 (ko) 회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8086290B2 (en) Mobile phone with a sliding cradle for providing visual and acoustic convenience
US8874179B2 (en) Mobile terminal
KR20070087744A (ko) 복수의 액정을 갖는 이동단말기
US20090036181A1 (en)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US20110001715A1 (en) Mobile terminal
KR20090041540A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KR20100057639A (ko) 휴대 통신 단말기
KR20070039247A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938071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US9350409B2 (en)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in
KR20170036447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90921A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811058B1 (ko) 듀얼 표시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29262B1 (ko) 이동 단말기
US838026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with sliding display and method thereof
KR101062621B1 (ko) 이중 회전축을 갖는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KR100800713B1 (ko) 휴대용 단말기
US8072741B2 (en) Mobile device shutter door
KR100641210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130113155A (ko) 단말기
KR100662443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38047A (ko) 플립 및 슬라이딩 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단말기
JP5731582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50909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