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851B1 - 다중 도래걸이구 - Google Patents

다중 도래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851B1
KR101809851B1 KR1020160130763A KR20160130763A KR101809851B1 KR 101809851 B1 KR101809851 B1 KR 101809851B1 KR 1020160130763 A KR1020160130763 A KR 1020160130763A KR 20160130763 A KR20160130763 A KR 20160130763A KR 101809851 B1 KR101809851 B1 KR 10180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late
hook
receiving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김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욱 filed Critical 김진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도래걸이구(1)에 관한 것으로, 낚시바늘(20)을 원줄(10)에 연결하도록 상기 원줄(10)에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래걸이(3); 및 상기 도래걸이(3)의 외면에 일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낚시바늘(20) 측에 타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도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래걸이(3)는 상기 복수의 도래(5)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원줄(1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도래걸이를 통해 도래와 도래에 연결되는 루어 등의 상호 간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어 시 복수의 루어 등을 동일한 레벨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두족류 등 대상어에 대한 조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중 도래걸이구{Multiple Fishing Tackle Holder}
본 발명은 다중 도래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줄 말단에서 낚시바늘 또는 루어 등을 원줄에 연결하되, 한 번에 여러 개의 도래를 지지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개의 낚시바늘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중 도래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오징어, 낚지, 쭈꾸미 등과 같은 두족류나 어류 중 갈치 등을 낚시로 잡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낚시채비가 개발된 바 있으며, 그 한 예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두족류 낚시채비(등록실용신안 제20-0456208호)를 들 수 있다.
이 낚시채비(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작은 문어 모양의 지그(103), 에기형 루어(105) 그리고 이들을 낚시줄(110)에 고정하기 위한 각종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바, 루어(105)를 연결하기 위해 중간 중간에 구슬(111)이 쌍으로 끼워져 있고, 구슬(111)들 사이에 도래(113)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도래(113)에 연결된 클립(115)을 통해 루어(105) 등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낚시채비(101)는 하나의 루어(105)를 연결할 때마다 한 쌍의 구슬(111), 하나의 도래(113), 그리고 하나의 클립(115)을 매번 낚시줄(110)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손이 많이 가 채비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그(103)를 없애고, 낚시줄(110) 끝에 도래(113)와 클립(115)을 달아 하나의 클립(115)에 복수개의 루어(105)를 매달 수도 있지만, 이는 봉돌(109)을 추가로 달아야 하는 관계로 전체적 챔질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는 한편, 하나의 클립에 연결한 복수 개의 루어가 서로 간격 없이 오밀조밀하게 모여 있으므로, 복수개의 루어를 연결한 만큼 두족류 등 대상어에 대한 유인, 포획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낚시채비 구조가 여전히 복잡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채비 준비나 취급에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줄(110)에 복수의 루어(105)를 달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클립(115)에 2 개 이상의 루어(105)를 매달 수밖에 없으므로, 낚시채비(101)가 캐스팅되어 해저면에 놓인 때 루어(105)들 간의 간격이 거의 확보되지 않아, 루어(105)의 수를 늘린만큼 두족류 등 낚시 대상물에 대한 유인, 포획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5620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두족류 낚시채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문어나 낙지 등 두족류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채비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하고, 따라서 낚시채비의 준비나 취급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줄 말단에 복수의 도래를 연결하되, 이들 도래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루어 또는 낚시바늘 들이 대상어 유인 시 상호간에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동일 레벨에 루어 등을 집중시키면서도 루어 또는 낚시바늘 등이 대상어 유인 시 상호 간에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대상어에 대한 조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동일 레벨에 루어 등을 집중시키되, 조어 시 루어 등이 배치되는 레벨을 임의로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대상어에 대한 조과를 배가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도래걸이에 끼워지는 도래의 형상을 변형하여 받이판과 덮개판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도래걸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낚시바늘을 원줄에 연결하도록 상기 원줄에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래걸이; 및 상기 도래걸이의 외면에 일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낚시바늘 측에 타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도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래걸이는 상기 복수의 도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원줄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다중 도래걸이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래걸이는, 상기 도래의 일단에 자전 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링을 삽입하도록 받이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받이판; 상기 삽입홈 상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링을 끼워 걸도록 되어 있는 걸게; 상기 받이면을 덮도록 상기 받이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을 마감함으로써 상기 걸게로부터 상기 연결링의 이탈을 저지하는 덮개판; 및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받이판 위에 상기 덮개판이 결합될 때, 서로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걸게의 끝면에 축선을 따라 오목하게 가공된 암형 홈; 및 상기 암형 홈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판의 덮개면에 돌출되어,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이 결합될 때, 상기 암형 홈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수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받이면 상에 상기 걸게와 나란하게 돌출되되, 축선을 따라 암형 홈이 오목하게 가공된 암형 돌기; 및 상기 암형 홈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판의 덮개면에 돌출되어, 상기 받이판 위에 상기 덮개판이 덮일 때, 상기 암형 홈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수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바늘을 원줄에 연결하도록 상기 원줄에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래걸이; 및 상기 도래걸이의 외면에 일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낚시바늘 측에 타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도래; 및 상기 도래걸이에 관통하여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원줄과 연결되는 편도래가 자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에 낚시바늘이 연결되는 도래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도래걸이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래핀은 봉체 외주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압착되어, 상기 도래걸이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된 때, 상기 도래걸이를 상기 봉체 상의 임의의 높이에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멈춤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래핀은 상기 낚시바늘과 연결되는 타단이 상기 도래걸이를 관통하여 절곡된 때, 상기 도래걸이를 지지하는 걸림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래핀은 타단에 상기 낚시바늘과 연결되는 편도래가 자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래핀은 봉체의 일단에 묶인 유인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래걸이는, 상기 도래의 일단에 자전 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링을 삽입하도록 받이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받이판; 상기 삽입홈 상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링을 끼워 걸도록 되어 있는 걸게; 상기 받이면을 덮도록 상기 받이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을 마감함으로써 상기 걸게로부터 상기 연결링의 이탈을 저지하는 덮개판; 및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받이판 위에 상기 덮개판이 결합될 때, 서로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은 상호 결합된 상태의 외관이 원통형, 사각통형, 또는 육각통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취하되, 직경 또는 한 변의 길이가 높이보다 길어 납작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받이면 상에 오목하게 가공된 암형 홈; 및 상기 암형 홈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판의 덮개면에 돌출되어,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이 결합될 때, 상기 암형 홈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수형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게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면 상에 오목하게 가공되어,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이 결합될 때, 상기 걸게가 끼워지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판은 축광안료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래는 상기 도래걸이의 외면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의 도래팔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중 도래걸이구에 따르면, 도래걸이에 복수의 도래를 연결하고, 각각의 도래를 통해 루어나 낚시바늘 들을 다중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루어 등을 원하는 레벨에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낚시채비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하고, 낚시채비의 준비나 취급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래걸이에 연결되는 도래 상호 간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래를 통해 연결되는 루어 또는 낚시바늘 들이 조어 시 서로 겹치지 않고 대상어를 유인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동일 레벨에 루어 등을 집중시키면서도 루어 등이 겹치지 않도록 하여,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대상어에 대한 조과는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래핀을 통해 도래걸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조어 상황에 맞추어 도래걸이의 레벨을 쉽고,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대상어에 대한 조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래걸이의 외관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도래걸이구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래걸이의 걸게에 걸려 고정되는 도래의 도래팔을 ㄱ자 모양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받이판에 덮개판을 덮어 조립하기 전에, 도래가 자중에 의해 처져 걸게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받이판과 덮개판의 조립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도래걸이의 조립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두족류 낚시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래걸이구가 채용된 낚시채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다중 도래걸이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래걸이와 도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의 도래걸이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래걸이구가 채용된 낚시채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래걸이와 도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래를 은선으로 도시한 도 6의 정면도.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도래핀이 적용된 도 6의 다중 도래걸이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래걸이구가 채용된 낚시채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래걸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래걸이를 다른 실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도 10의 도래걸이가 사각형으로 변경된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도래걸이가 적용된 도래걸이구를 채용한 낚시채비의 평면도.
도 15는 도 10의 도래걸이가 육각형으로 변경된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도래걸이가 적용된 도래걸이구를 채용한 낚시채비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래걸이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래걸이구(1)는 하나의 원줄(10)에 복수의 도래(5)를 다중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기(eggy)류의 루어가 낚시바늘(20)로 사용되는 낚시채비에 적용되어 원줄(10) 하나에 복수의 루어 타입 낚시바늘(20)을 동시에 연결하는 바, 크게 도래걸이(3)와 복수의 도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도래걸이(3)는 복수의 낚시바늘(20)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도래(5)를 하나로 묶어 원줄(10)에 연결해 주는 연결부재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형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래걸이(3)는 원통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도래(5)를 결합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것처럼, 4 개의 도래(5)를 90도 간격으로 결합한다.
이때, 도래걸이(3)는 원줄(10)에 대해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도래(5)를 통해 원줄(10)에 연결되는 바, 복수의 도래(5)를 자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받이판(11), 걸게(13), 덮개판(15) 및 결합수단(17)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이판(11)은 도래걸이(3)의 기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 즉, 받이면(21)에 복수의 도래(5) 연결링(23)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25)이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十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받이판(11)은 연결링(23)을 걸 수 있도록 삽입홈(25)의 말단 부분에 걸게(27)가 돌출되는 바, 상기 걸게(13)는 도 4와 같이 연결링(23)을 끼운 상태로 덮개판(15)을 덮은 때 덮개판(15)의 덮개면(29)과 접촉하도록 연장됨으로써 연결링(23)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덮개판(15)은 받이면(21)을 덮도록 받이판(11) 위에 결합되어 도래걸이(3)의 외형을 완성하는 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받이면(21) 위에 덮인 때 삽입홈(25)을 마감함으로써, 연결링(23)이 걸게(13)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끝으로, 상기 결합수단(17)은 받이판(11)과 덮개판(15)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요철형의 기본적인 스냅식 착탈수단은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착탈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수단(17)은 도 4와 같이 받이판(11)과 덮개판(15)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바, 받이판(11) 위에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서로 스냅식으로 끼워맞춤됨으로써 간단히 받이판(11)과 덮개판(15)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결합수단(1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암형 홈(31)과 수형 돌기(33)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암형 홈(31)은 받이면(21)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도래(5) 연결링(23)에 대한 구속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걸게(13)의 끝면에 축선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형 돌기(33)는 암형 홈(31)에 끼워지도록 덮개판(15)의 덮개면(29) 상에서 암형 홈(31)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는 바, 받이판(11) 위로 덮개판(15)이 덮일 때, 암형 홈(31)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래걸이(3)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게(27), 덮개판(15), 그리고 결합수단(37)의 형태를 일부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덮개판(15)은 받이판(11)의 삽입홈(25)과 호응하도록 동일한 형태로 된 삽입홈(35)이 덮개면(29)에 가공되어, 받이판(11)과 덮개판(15)이 결합된 때, 도래(5) 연결링(23)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의 통로를 만든다. 따라서, 걸게(27)는 삽입홈(35)의 깊이만큼 위로 더 길어져 끝면이 삽입홈(35)의 천장면에 닿도록 함으로써, 연결링(23)을 빠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결합수단(37)도 그 위치를 받이판(11)과 덮개판(15)의 중심으로 변경하는 바, 요철부가 공히 삽입홈(25,35) 내에 위치하므로 돌출된 형태를 취한다.
즉, 결합수단(37)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암형 돌기(41)와 수형 돌기(43)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암형 돌기(41)는 암형 홈(45)이 축선을 따라 오목하게 가공되어, 수형 돌기(43)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암형 돌기(41)는 받이면(21) 상에 덮개판(15)을 향하도록 돌출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받이면(21) 중심에 형성될 때는 하나면 충분하지만, 하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형 돌기(43)는 수형 돌기(33)와 마찬가지로 위치가 변경된 암형 돌기(41)에 대응하여 덮개판(15)의 덮개면(29) 상에 돌출되는 바, 받이판(11)과 덮개판(15)이 포개질 때, 암형 홈(45)에 스냅식으로 삽입됨으로써, 받이판(11)과 덮개판(15)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도래걸이(3)는 외부 몸체를 이루는 받이판(11)과 덮개판(15)이 20%중량부의 투명 합성수지에 비중이 4.1이고 입도가 19~25 ㎛ 정도인 인광성황화아연(ZnSiCu)으로 하는 축광안료를 10%중량부를 혼합하여 1시간 이상 빛을 받았을 때 10시간 이상 발광 조건을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축광안료에 의해 물색이 흐리거나 어두운 수중에서도 빛을 발하게 되어 대상어의 유인 및 집어 성능을 효과적으로 배가시킬 수 있다. 즉, 축광안료가 포함된 도래걸이(3)는 낮 동안 몸체에 빛을 담아 두었다가 밤 동안 발광을 함으로써 추가로 동력을 공급하지 않고도 주기적인 발광을 통해 대상어에 대한 유인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때, 축광안료의 비율이 10%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받이판(11)과 덮개판(15)의 발광 휘도가 너무 낮아 유인 효과가 크게 저하되고, 반대로 20%중량부를 넘으면, 발광 휘도가 너무 높아 마찬가지로 유인 효과를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 이 도래걸이구(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래걸이(3)와 복수의 도래(5) 그리고 도래핀(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래걸이(3)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받이판(11)과 덮개판(15)의 중심 부분에 핀구멍(51)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도래걸이(3)와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도래핀(19)은 도래걸이(3)의 위치를 원줄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원줄(10)과 도래걸이(3)를 연결하도록 원줄(10) 말단에 연결되는 가는 봉체(53)와 이 봉체(53) 양단에 각각 형성된 편도래(5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래핀(19)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봉체(53)가 핀구멍(51)을 통해 도래걸이(3)를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단의 편도래(55)에 원줄(10)이 연결되고, 하단의 편도래(55)에는 낚시바늘이 연결되는데, 편도래(55)는 일종의 도래로서 당연히 연결링(23)이 몸통에 대해 자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울러, 도래핀(19)은 대상어에 대한 유인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봉체(55) 상단에 다수 가닥의 유인사(61)를 묶어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인사(61)는 대상어가 관심을 갖는 예컨대 물고기나 오징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봉체(55) 상단만이 아닌 곳, 예를들어 일측에 고리를 형성하여 받이판(11)의 걸게(13)에 걸어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따라서, 도래핀(19)은 조어 시 유인사(61)가 물살에 따라 너울거림으로써 대상어를 보다 강력하게 유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래핀(19)은 위와 같은 형태 외에도 형태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데,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봉체(53) 하단의 편도래(55)를 생략하여 봉 형태로 남겨둘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봉체(53)는 도 9와 같이 그 하단이 걸림구(57)를 형성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체(53)는 걸림구(57)를 통해 낚시바늘(20)을 연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래걸이(3)를 걸리게 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봉체(53)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 상단도 걸림구(57)와 동일한 형태로 절곡하여 고리를 만들 수 있으며, 이 고리를 통해 원줄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래핀(19)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구(57)를 통해 봉체(53) 하단에 도래걸이(3)를 걸리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봉체(53) 중단에 한 쌍의 멈춤볼(59)을 구비함으로써, 도래걸이(3)를 봉체(53) 중간의 원하는 높이에 위치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멈춤볼(59)은 봉체(53)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되, 정지된 상태에서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봉체(53)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탄성의 고무로 제작되며, 따라서 도래걸이(3)의 상하면 즉, 받이판(11)의 저면과 덮개판(15)의 상면에 각각 밀착된 때, 도래걸이(3)를 봉체(53) 상의 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복수의 도래(5)는 낚시채비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도래와 같은 형태로서,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이 중앙에 오고 그 양단에 연결링(23)이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각의 도래(5)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의 연결링(23)이 도래걸이(3)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링(23)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걸게(13,27)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 타단의 연결링(23)은 도 2와 같이 루어(20)에 연결되거나, 도 6과 같이 클립(30)에 연결되며, 도 3에 도시된 경우에 상단에 위치하는 도래(5)는 타단의 연결링(23)에 원줄(10)이 연결된다. 이때, 당연히 각각의 도래(5)는 도래걸이(3)에 대해 또는 루어(20)나 클립(3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들이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다. 이들 중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다중 도래걸이구(1)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다중 도래걸이구(1)와 마찬가지로 도래걸이(3)와 복수의 도래(5) 그리고 도래핀(1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위 실시예의 도래(5) 및 도래핀(19)과 동일한 도래(5)와 도래핀(19)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래(5)의 자유단에는 루어 등을 연결할 수 있는 클립(30)이 끼워진다.
또한, 도래걸이(3)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판(11), 걸게(13), 덮개판(15), 및 결합수단(17)으로 이루어지는 바, 위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받이판(11)과 걸게(1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결합수단(17)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홈(71)과 수형 돌기(73)로 이루어지나, 암형 홈(71)은 받이판(11)의 받이면(21) 상에 오목하게 가공되는데, 홈의 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 받이면(21)의 테두리를 따라 함입된다. 또한, 수형 돌기(73)는 이 암형 홈(71)에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덮개판(15)의 덮개면(29)에 돌출되는 바, 암형 홈(7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형 돌기(73)는 받이판(11)과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암형 홈(71)에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아울러, 덮개판(15)은 덮개면(29) 상에 오목하게 가공된 삽입홈(75)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삽입홈(75)은 걸게(13)의 외형과 대응하는 홈 형태를 가지며,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받이판(11)과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걸게(13)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의 받이판(11)과 덮개판(15)은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때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는데, 특히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암형 홈(71)과 수형 돌기(73)가 부채꼴 형태를 이룬다. 이와 달리,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받이판(11)과 덮개판(15)은 상호 결합된 때 정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사각통형의 외형을 가지는 바, 도시된 것처럼 암형 홈(81)과 수형 돌기(83)가 정사각형의 형태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받이판(11)과 덮개판(15)도 상호 결합된 때 정육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육각통형의 외형을 가지므로, 암형 홈(91)과 수형 돌기(93)가 다이아몬드 형태를 이룬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받이판(11)과 덮개판(15)도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받이판(11) 및 덮개판(15)과 동일하게 축광안료를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축광 및 발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다중 도래걸이구(1)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1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걸게(13)를 통해 도래걸이(3)의 외면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의 도래팔(22)이 ㄱ자 형태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도래(5)는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조금만 처져도 몸통 전체가 최하단 위치하므로, 연결링(23)이 걸게(13)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래걸이구(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래걸이구(1)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10) 말단에 동시에 복수 개의 도래(5)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각의 도래(5)가 도래걸이(3)의 원주면에 예컨대 90도의 각도 간격을 두고 끼워져 있으므로, 그 중 상단에 위치하는 도래(5)에 원줄(10)이 연결되고, 나머지 3 개의 도래(5)에 루어(20)가 연결되는 바, 도래걸이(3)가 도 2와 같이 해저면 놓인 때, 각각의 루어(20)들은 상호 충분한 간격을 두고 최대한 넓게 벌어져 두족류 등 대상어를 유인한다. 이때, 도래걸이(3)는 도래(5)를 통해 원줄(10)에 연결되므로, 원줄(10)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의 루어(20)도 도래(5)를 통해 도래걸이(3)에 연결되므로, 도래걸이(3)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래핀(19)이 원줄에 매달린 때, 도래걸이(3)가 해저면과 나란하게 즉, 수평하게 위치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4 개의 도래(5)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도래걸이(3)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도래걸이(3) 자체가 원줄(10)에 연결되므로, 각각의 도래(5) 말단에는 모두 예컨대, 클립(30)이 연결된다. 따라서, 클립(30)을 통해 연결되는 지그 또는 낚시바늘이나 루어의 간격을 충분히 벌려 대상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래걸이(3)는 핀구멍(51)을 통해 도래핀(19)의 봉체(53)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봉체(53) 상에 어떤 지지구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봉체(53) 하단의 걸림구(57)에 걸려 지지되며, 반대로 봉체(53) 상에 한 쌍의 멈춤볼(59)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멈춤볼(59) 사이에서 멈춤볼(59)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멈춤볼(59)은 고탄력을 가지므로, 잡아 누른 상태로 봉체(53)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도래걸이(3)도 멈춤볼(59)을 따라 봉체(53) 상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래걸이(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래핀(19)이 수면과 나란하게 되도록 즉,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도래(5)가 원줄(10)에 연결되며, 도래핀(19)의 편도래(5)에 클립(30)이나 루어(2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도래걸이(3)가 사각통 형태일 때는 도래걸이(3)의 4 변에 각각 하나 씩 4 개의 도래(5)가 연결되고,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도래걸이(3)가 육각통 형태일 때는 도래걸이(3)의 6 변에 각각 하나 씩 6 개의 도래(5)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도 2 내지 도 16 및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래(5)의 도래팔(22)이 축선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된 경우에는 걸게(13)에 연결링(23)을 끼운 상태에서 받이판(11)에 덮개판(15)을 결합하기 전에는 도 1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도래(5)가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처지면서 연결링(23)이 걸게(13)로부터 이탈되어 받이판(11)과 덮개판(15)의 조립이 쉽지 않으나, 도 17의 (A)와 같이 안 쪽 도래팔(22)이 절곡되어 있는 경우, 도래(5)는 연결링(23)을 걸게(13)에 건 상태에서 받이판(11)에 아직 덮개판(15)을 덮기 전이라도, 연결링(23)과 걸게(13)의 결합이 유지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받이판(11)에 덮개판(15)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1 : 도래걸이구 3 : 도래걸이
5 : 도래 10 : 원줄
11 : 받이판 13 : 걸게
15 : 덮개판 17, 37 : 결합수단
19 : 도래핀 20 : 낚시바늘, 루어
22 : 도래팔 23 : 연결링
25, 35 : 삽입홈 27 : 걸게
30 : 클립  31, 45, 71, 81, 91 : 암형 홈
33, 43, 73, 83, 93 : 수형 돌기 41 : 암형 돌기
51 : 핀구멍 53 : 봉체
55 : 편도래 57 : 걸림구
59 : 멈춤볼

Claims (14)

  1. 낚시바늘(20)을 원줄(10)에 연결하도록 상기 원줄(10)에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래걸이(3); 및
    상기 도래걸이(3)의 외면에 일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낚시바늘(20) 측에 타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도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래걸이(3)는 상기 복수의 도래(5)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원줄(1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래걸이(3)는,
    상기 도래(5)의 일단에 자전 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링(23)을 삽입하도록 받이면(21)에 삽입홈(25)이 형성된 받이판(11);
    상기 삽입홈(25) 상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링(23)을 끼워 걸도록 되어 있는 걸게(13);
    상기 받이면(21)을 덮도록 상기 받이판(11) 위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25)을 마감함으로써 상기 걸게(13)로부터 상기 연결링(23)의 이탈을 저지하는 덮개판(15); 및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받이판(11) 위에 상기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서로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7)은,
    상기 걸게(13)의 끝면에 축선을 따라 오목하게 가공된 암형 홈(31); 및
    상기 암형 홈(31)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판(15)의 덮개면(29)에 돌출되어,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상기 암형 홈(31)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수형 돌기(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7)은,
    상기 받이면(21) 상에 상기 걸게(13)와 나란하게 돌출되되, 축선을 따라 암형 홈(45)이 오목하게 가공된 암형 돌기(41); 및
    상기 암형 홈(45)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판(15)의 덮개면(29)에 돌출되어, 상기 받이판(11) 위에 상기 덮개판(15)이 덮일 때, 상기 암형 홈(45)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수형돌기(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5. 낚시바늘(20)을 원줄(10)에 연결하도록 상기 원줄(10)에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래걸이(3); 및
    상기 도래걸이(3)의 외면에 일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낚시바늘(20) 측에 타단이 각각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도래(5); 및
    상기 도래걸이(3)에 관통하여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원줄(10)과 연결되는 편도래(55)가 자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에 낚시바늘(20)이 연결되는 도래핀(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래핀(19)은 봉체(53) 외주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압착되어, 상기 도래걸이(3)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된 때, 상기 도래걸이(3)를 상기 봉체(53) 상의 임의의 높이에 위치 고정시키는 한 쌍의 멈춤볼(5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래핀(19)은 상기 낚시바늘(20)과 연결되는 타단이 상기 도래걸이(3)를 관통하여 절곡된 때, 상기 도래걸이(3)를 지지하는 걸림구(57)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래핀(19)은 타단에 상기 낚시바늘(20)과 연결되는 편도래(55)가 자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래핀(19)은 봉체(55)의 일단 또는 받이판(11)의 걸게(13)에 고정한 유인사(6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래걸이(3)는,
    상기 도래(5)의 일단에 자전 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링(23)을 삽입하도록 받이면(21)에 삽입홈(25)이 형성된 받이판(11);
    상기 삽입홈(25) 상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링(23)을 끼워 걸도록 되어 있는 걸게(13);
    상기 받이면(21)을 덮도록 상기 받이판(11) 위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25)을 마감함으로써 상기 걸게(13)로부터 상기 연결링(23)의 이탈을 저지하는 덮개판(15); 및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받이판(11) 위에 상기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서로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수단(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은 상호 결합된 상태의 외관이 원통형, 사각통형, 또는 육각통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취하되, 직경 또는 한 변의 길이가 높이보다 길어 납작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7)은,
    상기 받이면(21) 상에 오목하게 가공된 암형 홈(71); 및
    상기 암형 홈(71)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판(15)의 덮개면(29)에 돌출되어,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상기 암형 홈(71)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수형 돌기(73);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게(13)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면(29) 상에 오목하게 가공되어,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이 결합될 때, 상기 걸게(13)가 끼워지는 삽입홈(7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13. 청구항 1, 3, 4, 5, 10, 11 또는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11)과 상기 덮개판(15)은 축광안료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14. 청구항 1, 3 내지 5 또는 7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래(5)는 상기 도래걸이(3)의 외면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의 도래팔(22)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래걸이구.
KR1020160130763A 2016-08-31 2016-10-10 다중 도래걸이구 KR101809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13 2016-08-31
KR20160111813 2016-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851B1 true KR101809851B1 (ko) 2017-12-15

Family

ID=6095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763A KR101809851B1 (ko) 2016-08-31 2016-10-10 다중 도래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8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1A (ko) * 2018-06-25 2020-01-03 김진욱 낚시용 무게추
KR20200002792U (ko) * 2019-09-23 2020-12-28 이진우 도래 조립체
KR20210034399A (ko) * 2019-09-20 2021-03-30 김진욱 도래가 조밀하게 배치된 낚시채비
KR20210002210U (ko) 2020-03-26 2021-10-07 김영섭 가변형 두족류 낚시
KR20210002846U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은성사 루어 회수기
KR102450561B1 (ko) * 2022-02-23 2022-10-06 이중남 문어낚시용 어구의 바늘고정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799Y1 (ko) * 2003-01-28 2003-04-16 하종호 핀도래 봉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799Y1 (ko) * 2003-01-28 2003-04-16 하종호 핀도래 봉돌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1A (ko) * 2018-06-25 2020-01-03 김진욱 낚시용 무게추
KR102219259B1 (ko) * 2018-06-25 2021-02-24 김진욱 낚시용 무게추
KR20210034399A (ko) * 2019-09-20 2021-03-30 김진욱 도래가 조밀하게 배치된 낚시채비
KR102344601B1 (ko) * 2019-09-20 2021-12-28 김진욱 도래가 조밀하게 배치된 낚시채비
KR20200002792U (ko) * 2019-09-23 2020-12-28 이진우 도래 조립체
KR200493863Y1 (ko) * 2019-09-23 2021-06-16 이진우 도래 조립체
KR20210002210U (ko) 2020-03-26 2021-10-07 김영섭 가변형 두족류 낚시
KR20210002846U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은성사 루어 회수기
KR200495976Y1 (ko) * 2020-06-12 2022-10-04 주식회사은성사 루어 회수기
KR102450561B1 (ko) * 2022-02-23 2022-10-06 이중남 문어낚시용 어구의 바늘고정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851B1 (ko) 다중 도래걸이구
KR101809400B1 (ko) 다중 도래걸이구
US8925241B1 (en) Weedless fish lure
US3947989A (en) Fishing equipment
US4747228A (en) Fishing lure
US7841126B2 (en) Modular sinker
KR101679993B1 (ko) 다용도 봉돌을 구비한 낚시채비
KR200487916Y1 (ko) 다중 도래뭉치
US20160338330A1 (en) Fishing Lure
AU2015278255B2 (en) Fishing lure system
WO2005089401A2 (en)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KR101838849B1 (ko) 두족류 낚시용 지그
US9992986B2 (en) Fishing light float
US5117574A (en) Fish lure apparatus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US9814223B2 (en) Interchangeable fishing lure system
KR101384116B1 (ko) 연승수하식 어패류 양식장치용 양식부
US2636304A (en) Translucent cover for colored fishing lures
JP3116330U (ja) 釣り用の小物物品の吊支装置
KR20220001715U (ko) 다수개의 핀도래를 십자형으로 형성한 봉돌
KR20190011937A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US20080301996A1 (en) Fishing lure and bait illumination attachment
JP3226086U (ja) 釣用天秤
KR20230154574A (ko) 낚시용 추
JP2018050485A (ja) ソフトルアー装着用ジグヘッド、釣り用ルア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