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644B1 -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 Google Patents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644B1
KR101809644B1 KR1020170135577A KR20170135577A KR101809644B1 KR 101809644 B1 KR101809644 B1 KR 101809644B1 KR 1020170135577 A KR1020170135577 A KR 1020170135577A KR 20170135577 A KR20170135577 A KR 20170135577A KR 101809644 B1 KR101809644 B1 KR 101809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unit
signal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희
Original Assignee
(주) 케이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투이 filed Critical (주) 케이투이
Priority to KR102017013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G06T5/0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위한 사용자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된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4K based master switcher apparatus possible SDR and HDR processing}
본 발명은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 후, 프로세싱 처리된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정보를 출력 표시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광고의 음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음량 기준 및 운용 방법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규정에 의거한 방송 신호인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를 보급하고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의 크기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는 2000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ITU에서 오디오 신호 크기 측정에 대한 표준인 ITU-R BS. 1770-1을 2006년에 발표하였고, Gating 방식이 추가된 ITU-R BS. 1770-2이 2011년도에 발표되었다.
발표된 표준에서는 오디오 신호 크기 측정에 대한 방법과 True Peak 측정 방법만을 제시되었다.
ITU-R에서 표준화된 오디오 신호 크기 측정 방법은 LKFS(loudness, K weighted, relative to nominal full scale)를 통해 측정한다.
따라서, 방송 신호에 LKFS를 포함하게 되는데, 현재 모니터링 장치들의 경우에는 한 개의 화면에 각종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수많은 모니터링 정보들을 편리하게 보여줄 수 없는 한계점이 발생하며, 사용자가 모니터링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결국, LKFS 신호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시 신호가 원활하게 처리되는지, 문제 발생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LKFS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4K 신호처리를 한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Video, Audio에 대한 정보 표현과 Loudness 정보처리에 대한 Multi-Format으로 Display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존재하지 않아 UHD 4K 신호를 처리하는 Video, Audio Multi-Format Loudness신호의 정보를 멀티 화면을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있는 방송용 UHD HDR(High Dynamic Range) 포맷을 처리하기 위하여 방송용 UHD HDR 컨버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방송용 UHD HDR 컨버터는 사진이나 영상을 현실감이 있도록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뚜렷하게 보이도록 디지털 화상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HDR 표준은 헐리우드, 가전업체, 스트리밍 업체 주도로 PQ 기반 SMPTE ST2084 HDR과 BBC와 NHK주도로 개발된 하이브리드인 HLG(Hybrid Log Gamma) 방식, Sony 주도인 S-log3 HDR Gamma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HDR의 방송 시, 호환성이 없는 HDR 영상의 경우, 일반 SDR TV에서 시청할 경우, 색감이 심하게 변질되어 왜곡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방송사 입장에서는 시청자들이 모두 HDR TV를 준비할 때까지, HDR 영상과 더불어 SDR 영상을 추가적으로 제작해야 하고, 서비스 역시 동시에 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상황의 초래를 HLG가 해결해 줄 수 있기 때문에, HLG와 HDR10을 유럽 차세대 방송표준 HDR Gamma로 채택하였다.
그러므로 방송 신호 처리뿐 아니라, 방송신호 Source에 관계없이 시청을 할 수 있도록 SDR과 HDR의 신호 및 다른 HDR 간의 신호 간의 크로스 컨버팅을 수행하거나,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입력되는 두 신호에 대하여 오디오 분석뿐만 아니라, 비디오 분석을 수행하여 동시에 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마스터 스위처 기능에 필요한 HDR 신호에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여 HDR DSK 로 처리하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현재, 상기한 기능을 제공하는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전무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위한 사용자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853959호(2008.08.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복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사용자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획득하여 영상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각각 출력시키도록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한 화면에 두 영상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여 관리자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분석결과 정보에 두 개의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방송 신호의 영상 화면과 실제 분석 화면을 동시에 확인하는 장점과 다양한 분석 결과 정보를 활용함에 따른 신호가 원활히 처리되는지, 문제 발생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111)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신호입력부(110)와;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단자(121)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출력부(120)와;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버튼부(130)와;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처리부(140)와;
상기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되어 영상신호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는 스위처컨트롤러(100)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버팅 처리는 입력되는 SDR 또는 HDR 영상신호의 포맷을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다른 SDR 또는 HDR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DSK( Down Stream Kyer) 처리는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자막 처리로서, 출력 영상신호의 출력포맷에 맞게 자막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그램 처리란 영상신호출력부(120) 통해 출력되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프리뷰 처리란 영상신호 중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 다음에 방송될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내부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외부에 독립적 외장형 장치로 형성되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20)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230)에 출력 표시하는 HDR듀얼분석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결과정보는 제1,2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위한 사용자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SDR 신호 뿐만 아니라, HDR 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 처리를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획득하여 영상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각각 출력시키도록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한 화면에 두 영상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여 관리자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분석결과 정보에 두 개의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방송 신호의 영상 화면과 실제 분석 화면을 동시에 확인하는 장점과 다양한 분석 결과 정보를 활용함에 따른 신호가 원활히 처리되는지, 문제 발생시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후면에 구성되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와 신호출력단자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HDR듀얼분석부가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HDR듀얼분석부가 내장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HDR듀얼분석부(200)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영상신호분석부(220)의 블록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화면분할처리부(226)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영상 웨이브폼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색 좌표계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신호 상세 정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화면분할처리부에 의해 분할된 레이아웃 영역 내의 세부 레이아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화면 분할 처리시 어느 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출력 표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화면 분할 처리시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각각의 분할된 레이아웃 내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 출력 표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컨버팅 전/후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각각의 분할된 레이아웃 내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 출력 표시한 예시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HDR듀얼분석부(200)의 포함 여부에 따라 제1,2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며, HDR듀얼분석부(2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제1 실시예이고, HDR듀얼분석부(200)를 포함하는 경우가 제2 실시예이며, 특히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 HDR듀얼분석부(200)는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내부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내장형으로 형성되거나,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외부에 독립적 외장형 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111)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신호입력부(110)와;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단자(121)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출력부(120)와;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버튼부(130)와;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처리부(140)와;
상기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되어 영상신호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는 스위처컨트롤러(100)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버팅 처리는 입력되는 SDR 또는 HDR 영상신호의 포맷을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다른 SDR 또는 HDR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DSK( Down Stream Kyer) 처리는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자막 처리로서, 출력 영상신호의 출력포맷에 맞게 자막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그램 처리란 영상신호출력부(120) 통해 출력되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프리뷰 처리란 영상신호 중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 다음에 방송될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버튼부(130)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컨버팅하여 출력시킬 출력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나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제3 선택버튼부, 바이패스를 선택하는 제4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DSK( 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선택하는 제5 선택버튼부,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를 선택하는 제6 선택버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6 선택버튼부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140)는,
자동 모드시,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입력 영상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고,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상이한 경우에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설정된 출력포맷으로 컨버팅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자동모드수행부(141)와,
바이패스 모드시, 입력된 영상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 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바이패스수행부(142)와,
수동 모드시,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제2선택버튼부에 의해 설정된 출력포맥으로의 컨버팅이나 제4선택버튼부에 의한 바이패스를 수행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수동모드수행부(143)와,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DSK 처리(자막을 출력포맷에 맞게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하는 프로세싱수행부(144)와,
제6 선택버튼부의 선택에 따라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온에어수행부(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HDR듀얼분석부(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내부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외부에 독립적 외장형 장치로 형성되고,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20)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230)에 출력 표시하는 HDR듀얼분석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결과정보는 제1,2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내부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HDR듀얼분석부(200)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신호획득부(210)와;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분석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외부에 독립적 외장형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HDR듀얼분석부(200)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신호획득부(210)와;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부(230)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분석부(220)와;
영상신호분석부(220)에 의해 분석 처리된 제1,2 영상신호의 분석결과정보가 표시되는 복수의 레이아웃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상기 제1,2 영상신호로부터 각각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는 영상이미지추출부(221)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웨이브폼분석부(222)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색좌표분석부(223)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상세신호분석부(224)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와;
디스플레이부(150,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한 후, 제1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1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분할처리부(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분할처리부(226)는,
디스플레이부(150,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는 화면분할모듈(2261)과,
분할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할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가 해당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화면출력모듈(2262)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모듈(2262)에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되도록 결정될 정보는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른 DSK(Down Stream Kyer)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는 로고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스위처컨트롤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111)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신호입력부(110)와;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단자(121)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출력부(120)와;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버튼부(130)와;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처리부(140)와;
상기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되어 영상신호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일측(후면)에는 영상신호입력부(110)와 영상신호출력부(120)가 구성되고, 상기 영상신호입력부(110)와 영상신호출력부(120)는 각각 복수의 신호입력단자(111)와 복수의 출력단자(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영상신호입력부(110)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111)를 통해 16개 채널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 신호는 헤더와 패킷으로 이루어지고, 헤더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가 들어 있고, 패킷에는 AV정보와 자막(caption)정보가 들어 있을 수 있고, PSI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의 일부가 들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V정보는 TV를 통해 방영될 오디오/비디오 방송(프로그램)이고, 상기 PSI 정보는 각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로서 PID(Packet Identification Description)가 대표적이다.
상기 PID는 TS데이터 패킷의 소속정보를 갖으며, 하나의 TS데이터에는 여러 개의 방송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ID는 소속 TS데이터의 패킷에 방송프로그램이 몇 개 있는지, 각 방송프로그램에 비디오, 오디오, 자막이 있는지, 있다면 몇 개 있는지, 보조데이터는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즉, 영상신호입력부(110)는 복수의 신호입력단자(111)를 통해 방송 신호인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20)는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복수의 출력단자(121)들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0)나 외부(예:방송 송출장치)로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처리부(140)는 영상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사용자의 제어버튼부(130)의 특정 제어버튼의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처리 /프로그램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컨버팅 처리는 입력되는 SDR 또는 HDR 영상신호의 포맷을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다른 SDR 또는 HDR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버튼부(130)의 선택버튼을 통해 HDR 컨버팅을 선택하게 되면 입력되는 SDR 영상 신호를 HDR 영상 신호로 컨버팅 처리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SK(Down Stream Kyer) 처리는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자막 처리로서, 출력 영상신호의 출력포맷에 맞게 자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SDR 영상신호이고 출력 영상신호의 출력 포맷이 HDR일 경우에 SDR 영상신호에 특화된 자막신호를 HDR 영상신호에 맞게 자막처리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처리란 영상신호출력부(120) 통해 출력되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프리뷰 처리란 영상신호 중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 다음에 방송될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점은 입력되는 SDR 또는 HDR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원하는 영상신호로 컨버팅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세부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제어버튼부(130)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컨버팅하여 출력시킬 출력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제3 선택버튼부, 바이패스를 선택하는 제4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DSK( 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선택하는 제5 선택버튼부,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를 선택하는 제6 선택버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선택버튼부는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자동 모드, 바이패스 모드, 수동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동 모드를 선택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 모두를 설정된 출력포맷으로 컨버팅 처리하게 되고, 바이패스 모드를 선택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 모두를 무조건 바이패스 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게 되며, 수동 모드를 선택하면 다른 선택버튼들의 조합에 따라 특정 입력 영상신호를 바이패스 시키거나 설정된 포맷으로 컨버팅 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선택버튼부는 입력 영상신호를 컨버팅 할 출력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본 발명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SDR BT.709, SDR BT.2020, HDR HLG BT.2020, HDR PQ BT.2020, HDR BT.2020 등일 수 있으며, 컨버팅 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HDR HLG BT.2020, HDR PQ BT.2020, SDR BT.2020, SDR BT.709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신호인 SDR BT.709를 HDR HLG BT.2020으로 컨버팅 하는 경우 제2선택버튼을 통해 출력 포맷을 HDR HLG BT.2020으로 설정하면 되고, 입력 영상신호인 SDR BT.709를 HDR PQ BT.2020으로 컨버팅 하는 경우 제2선택버튼을 통해 출력 포맷을 HDR PQ BT.2020으로 설정하면 되며, 입력 영상신호인SDR BT.2020을 HDR HLG BT.2020으로 컨버팅 하는 경우 제2선택버튼을 통해 출력 포맷을 HDR HLG BT.2020으로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3선택버튼부는 수동 모드시 신호처리할 입력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버튼이며, 제4선택버튼부는 수동 모드시 제3선택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를 바이패스 처리하도록 하는 버튼이고, 제5선택버튼부는 수동 모드시 제3선택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DSK( 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하도록 하는 버튼이고, 제6버튼부는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처리나 프로그램 처리를 하도록 하는 버튼인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처리부(140)는,
자동 모드시,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입력 영상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고,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상이한 경우에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설정된 출력포맷으로 컨버팅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자동모드수행부(141)와,
바이패스 모드시, 입력된 영상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 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바이패스수행부(142)와,
수동 모드시, 제3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제2선택버튼에 의해 설정된 출력포맥으로의 컨버팅이나 제4선택버튼에 의한 바이패스를 수행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수동모드수행부(143)와,
수동 모드시, 제3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DSK 처리(자막을 출력포맷에 맞게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하는 프로세싱수행부(144)와,
제6 선택버튼부의 선택에 따라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온에어수행부(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어버튼부(130)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상기 처리부(140)는 입력영상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처리부(140)를 구성하는 구성수단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선택버튼부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설정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제2선택버튼부에 의해 설정된 출력포맷으로 무조건 컨버팅하여 출력하는 것이고, 제1선택버튼부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가 설정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무조건 바이패스 시켜 출력하는 것이고, 제1선택버튼부에 의해 수동 모드가 설정되면, 다른 선택버튼들의 선택 조합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것이다.
먼저, 자동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버튼부(130)의 제1선택버튼부를 통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고, 제2선택버튼부를 통해 출력포맷이 설정되면, 상기 자동모드수행부(141)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입력 영상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고,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상이한 경우에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설정된 출력포맷으로 컨버팅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선택버튼부에 의해 출력 포맷을 HDR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가 HDR 이라면, 설정 출력 포맷과 동일하므로 해당 입력 영상신호인 HDR을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자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입력된 영상신호가 SDR 이라면, 입력된 영상 신호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상이하므로 입력된 SDR 영상신호를 HDR 영상신호로 컨버팅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709 SDR이라는 영상신호가 컨버팅 수행에 따라 HLG10 이라는 영상신호로 컨버팅되어 출력된다.
다음으로, 수동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수동 모드란 입력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1,2번 SDR 영상신호는 HDR로 컨버팅하고, 3번 영상신호는 바이패스를 원하는 경우, 제1선택버튼부를 통해 수동 모드를 설정하고, 제3선택버튼부를 통해 1,2번 입력 영상신호를 선택한 후, 제2선택버튼부를 통해 출력포맷을 HDR로 설정하며, 제3선택버튼부를 통해 3번 입력 영상신호를 선택한 후, 제4선택버튼부를 통해 바이패스를 선택하게 되면, 수동모드수행부(143)는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1,2번 SDR 영상신호는 HDR로 컨버팅 하고, 3번 영상신호는 바이패스 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프로세싱수행부(144)는 수동 모드시,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DSK 처리(자막을 출력포맷에 맞게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가 SDR이고, 제2선택버튼부에 의해 설정된 출력 포맷이 HDR 이면, 상기 프로세싱수행부(144)는 출력 포맷인 HDR 영상신호에 맞게 자막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DSK(Down Stream Kyer)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는 로고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막 처리시, 영상 신호에 포함될 로고의 경우에도 동일한 프로세싱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SDR 신호에 대하여 HDR 신호로 컨버팅을 수행할 경우에, SDR 신호의 로고도 HDR 신호의 로고로 컨버팅을 수행해야 로고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고란,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송사의 로고나 기타 회사들의 로고 등을 의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에어수행부(145)는 제6선택버튼부의 선택에 따라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 처리란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 중 영상신호출력부(120) 통해 출력되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프리뷰 처리란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 중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 다음에 방송될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6선택버튼부를 통해 프로그램처리를 선택하게 되면, 영상신호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고, 제6선택버튼부를 통해 프리뷰처리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어 관리자는 현재 방송되는 영상과 다음에 방송 될 영상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리뷰처리시 선택 영상은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4번 입력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제6선택 버튼부에 의해 프리뷰 처리를 선택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선택된 4번 영상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현재 방송되는 영상신호와 다음에 방송될 영상신호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되어 영상신호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구성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내장형으로 일체화 되어 형성되거나 스위처컨트롤러(100)에 외장형으로 독립화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HDR듀얼분석부(200)가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HDR듀얼분석부(200)가 내장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내부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HDR듀얼분석부(200)를 더 포함하거나,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외부에 독립적 외장형 장치로 형성되는 HDR듀얼분석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HDR듀얼분석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인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2 영상신호 각각에 대해 분석한 후, 분석결과정보인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230)에 제공하여 관리자가 현재 스위처컨트롤러(100)에 의해 신호처리된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석결과정보는 도 4와 같이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대해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HDR듀얼분석부(200) 자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고, 도 5와 같이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대해 내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스위처컨트롤러(100)에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다.
HDR듀얼분석부(200)가 내장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내부에 대해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20)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 표시하는 HDR듀얼분석부(200)가 제1 실시예의 상기 처리부(140)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HDR듀얼분석부(200)가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외부에 독립적 외장형 장치로 형성되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20)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 표시하는는 HDR듀얼분석부(2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스위처컨트롤러(100)의 구성요소와 기능 설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HDR듀얼분석부(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HDR듀얼분석부(200)는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2 영상신호의 획득은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영상신호출력부(120)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대해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분석결과정보는 HDR듀얼분석부(200) 자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되고, 이때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상기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되어 영상신호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만이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R듀얼분석부(200)가 내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HDR듀얼분석부(200)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신호획득부(210)와;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분석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상기 제1,2 영상신호로부터 각각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는 영상이미지추출부(221)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웨이브폼분석부(222)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색좌표분석부(223)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상세신호분석부(224)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와;
디스플레이부(15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한 후, 제1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1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분할처리부(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대해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HDR듀얼분석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신호획득부(210)와;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부(230)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분석부(220)와;
영상신호분석부(220)에 의해 분석 처리된 제1,2 영상신호의 분석결과정보가 표시되는 복수의 레이아웃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상기 제1,2 영상신호로부터 각각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는 영상이미지추출부(221)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웨이브폼분석부(222)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색좌표분석부(223)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상세신호분석부(224)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와;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한 후, 제1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1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분할처리부(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HDR듀얼분석부(200)에 내장형으로 일체화 되어 형성되거나 HDR듀얼분석부(200)에 외장형으로 독립화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영상신호획득부(210)는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인 제1,2 영상신호(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 혹은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신호)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제1,2 영상신호의 획득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영상신호출력부(120)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관리자가 분석하기를 원하는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를 영상신호획득부(210)에서 획득하게 되는데, 상기 영상 신호는 UHD SDR 혹은 UHD HDR 신호이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영상신호획득부(210)를 통해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대해 내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에 의해 분석 처리된 제1,2 영상신호의 분석결과정보를 설정된 레이아웃에 각각 출력 표시하게 되고, 상기 HDR듀얼분석부(200)가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대해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에 의해 분석 처리된 제1,2 영상신호의 분석결과정보를 설정된 레이아웃에 각각 출력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의 영상신호분석부(220)의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제1,2 영상신호로부터 각각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는 영상이미지추출부(221)와;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웨이브폼분석부(222)와;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색좌표분석부(223)와;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상세신호분석부(224)와;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와;
디스플레이부(150,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한 후, 제1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1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분할처리부(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이미지추출부(221)는 획득된 제1 영상신호 및 제2 영상신호로부터 각각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웨이브폼분석부(222)는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1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영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영상 웨이브폼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파형 정보로서, X축은 화면, Y축은 밝기를 나타낸 정보이다.
밝기는 영상의 아주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영상의 웨이브폼을 제공하게 되면, 현재 영상의 명암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도 9의 상측 화면은 실제 영상이며, 하측 화면은 상기 실제영상에 대한 영상 웨이브폼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영상 화면의 왼쪽은 어둡고, 오른쪽은 밝기 때문에, 도 10의 하측 화면과 같은 형태의 영상 웨이브폼이 생성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밝은 부분은 Y축의 길이가 높게 나타나며, 어두운 부분은 Y축의 길이가 낮게 나타난다.
즉, 왼쪽의 Y축의 길이는 오른쪽의 Y축의 길이보다 훨씬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제1 영상신호인 HLG10의 웨이브폼(340A)은 하기의 영상 이미지(310A)에 따라 표현이 되고 있지만, 제2 영상 신호인 HLG10의 웨이브폼(340B)은 표현되지 않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40A는 제1 영상신호인 709SDR의 웨이브폼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고, 340B는 제2 영상 신호 HLG10(제1 영상신호인 709SDR을 HDR로 컨버팅한 영상)의 웨이브폼을 표한하고 있는 것이다.
도 15의 좌측 영상은 컨버팅 전의 영상이고, 우측 영상은 컨버팅 후의 영상이며 이때, 컨버팅 전의 제1 영상 신호와 컨버팅 후의 제2 영상 신호의 웨이브폼(340A,340B)을 비교할 수 있는데, 동일한 웨이브폼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컨버팅 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관리자가 원하는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영상 웨이브폼을 비교하게 되면 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색좌표분석부(223)는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1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색 좌표 정보들을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게 된다.
색의 오차는 색의 미묘한 차이를 말하며, 색차(色差)라고 한다.
색 차이를 표기하는 이유는 색을 보다 더 정확하게 규정하고, 색 차이를 통하여 색채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며, 색과 색의 차이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 색 좌표이다.
상기 색 좌표는 CIE 1931 색좌표 Diagram(Diagram of the CIE 1931 Color space)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색상의 표현은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1931년에 제정한 CIE 1931(x, y, z) 색 Diagram을 사용하여 표현하게 되는데, CIE 1931 색좌표 Diagram의 특징은 밝기를 기준으로 표현을 해 주었기 때문에, 색의 밝기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녹색을 가장 큰 영역으로 만들고, 영향을 가장 작게 보여주는 청색을 가장 작은 영역으로 만들게 된다.
이러한 색상의 밝기에 따른 혼합비는 3:6:1(R:G:B)을 가지며, 녹색 부분이 가장 밝기 때문에 가장 넓게 표현되어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 좌표계에서 SDR(BT.709) -> DCI P3 -> HDR(BT.2020) 순으로 색 좌표의 영역이 넓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HDR(BT.2020)으로 갈수록 화질의 선명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영상 신호의 색 좌표 정보를 분석하여 화면에 출력하게 되는데,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상신호(HLG10-BYPASS)와 제2 영상신호(HLG10)의 색 좌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관리자는 색 좌표 정보를 통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의 문제점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도 14와 같이, 제1 영상신호(HLG10-BYPASS)의 색 좌표(330A)는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우측의 제2 영상신호(HLG10)의 색 좌표(330B)는 표현되지 않았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를 통해 현재 방송에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30A는 제1 영상신호인 709SDR(도 15의 310A)의 색 좌표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고, 330B는 제2 영상 신호 HLG10(제1 영상신호인 709SDR을 HDR로 컨버팅한 영상)의 색 좌표를 표한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관리자가 원하는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색 좌표를 비교하게 되면 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세신호분석부(224)는 입력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1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신호 상세 정보를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영상 신호의 헤더와 패킷을 분석하여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을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 중 상세 신호 정보 영역에 bitrate : 12Ga , frame lock : locked , format : 2160p59.94 , VPID : CEEAA001 , HDR mode : auto , CRC error : --- 등과 같은 신호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assistance 영역에 color : normal , image status : live 등과 같은 상세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신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이유는 만약에 신호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신호의 스펙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순간에 신호 상세 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버팅 전의 영상 신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현하고, 예를 들어, 스위처컨트롤러(100)에 의해 컨버팅한 후, 영상 신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현하게 되면, 관리자는 signal information 영역을 확인하여 제대로 컨버팅이 수행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는 입력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채널별 오디오 스트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된 제1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오디오 상태 정보를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 신호에는 최대 64개의 오디오 채널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스트림당 4개의 그룹(G1 ~ G4)이 존재하고, 그룹당 4개의 오디오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도 13의 경우에는 4개의 스트림(stream 1 ~ stream 4)이 존재하므로 총 64개의 오디오 채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는 각각의 채널별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디오 상태 정보의 표시는 채널별 오디오 스트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레벨 미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A는 제1 영상신호인 709SDR(도 15의 310A)의 채널별 오디오 상태정보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고, 360B는 제2 영상 신호 HLG10(제1 영상신호인 709SDR을 HDR로 컨버팅한 영상)의 채널별 오디오 상태정보를 표한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컨버팅 전의 제 1 영상 신호와 컨버팅 후의 제 2 영상 신호의 각각의 채널별 오디오 상태 정보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컨버팅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관리자가 원하는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각각의 채널별 오디오 상태 정보를 비교하게 되면 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화면분할처리부(226)는 디스플레이부(150,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 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 1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면분할처리부(226)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는 화면분할모듈(2261)과,
분할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할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가 해당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화면출력모듈(22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면출력모듈(2262)에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되도록 결정될 정보는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화면분할모듈(2261)은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 영역을 2개의 제1 레이아웃 영역과 제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게 되며, 분할된 제1 레이아웃 영역과 제 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2의 좌측 영역은 제 1 레이아웃 영역을 나타낸 것이며, 우측 영역은 제 2 레이아웃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화면분할모듈(2261)은 제1 레이아웃 영역을 제1 영상 신호의 영상 이미지 영역(310A), 신호 상세 정보 영역(320A), 색좌표 분석 정보 영역(330A), 영상 웨이브폼 분석 정보 영역(340A),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 영역(360A)이라는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레이아웃 영역을 제2 영상 신호의 영상 이미지 영역(310B), 신호 상세 정보 영역(320B), 색좌표 분석 정보 영역(330B), 영상 웨이브폼 분석 정보 영역(340B),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 영역(360B)이라는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상기 화면분할모듈(2261)은 제1 영상 신호 포맷 종류 영역(350A)과 제2 영상 신호 포맷 종류 영역(350B)도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면출력모듈(262)은 분할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할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가 해당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 표시되도록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이미지 영역(310A)에는 제1 영상신호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신호 상세 정보 영역(320A)에는 제1 영상신호의 신호 상세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색 좌표 분석 정보 영역(330A)에 제1 영상신호의 색 좌표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영상 웨이브폼 분석 정보 영역(340A)에 제1 영상신호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 영역(360A)에는 제1 영상신호의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출력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2 영상 신호의 영상 이미지 영역(310B)에 제2 영상신호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신호 상세 정보 영역(320B)에는 제2 영상신호의 신호 상세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색 좌표 분석 정보 영역(330B)에는 제2 영상신호의 색 좌표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영상 웨이브폼 분석 정보 영역(340B)에는 제2 영상신호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출력 표시하며,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 영역(360B)에는 제2 영상신호의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출력 표시하게 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신호분석부(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버팅분석부(22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팅분석부(227)는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의 컨버팅 상태를 나타내는 컨버팅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으로 제공한다.
상기 컨버팅 상태정보란 입력된 영상신호가 컨버팅이 되었는지와 되었다면 어떤 포맷에서 어떤 포맷으로 컨버팅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신호가 SDR 포맷에서 HDR 포맷으로 컨버팅 된 영상이라면 컨버팅 상태정보는 "SDR → HDR" 일 수 있고, 제2 영상신호가 컨버팅 되지 않은 HDR 포맷이면 " HDR "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면분할모듈(2261)은 제1,2 영상 신호의 컨버팅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제1,2 영상 신호 컨버팅 상태정보 영역(350A,350B)을 제1,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출력모듈(2262)은 상기 제1,2 영상 신호 컨버팅 상태정보 영역(350A,350B)에 제1,2 영상신호의 컨버팅 상태정보를 각각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스위처컨트롤러(100)에 의해 복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 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위한 사용자의 선택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SDR 신호 뿐만 아니라, HDR 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 처리를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HDR듀얼분석부(200)에 의해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중 2개의 영상신호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결과 정보인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 컨버팅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영상신호를 비교하여 신호가 원활히 처리되는지, 영상신호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스위처컨트롤러
200 : HDR듀얼분석부

Claims (13)

  1.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입력단자(111)를 통해 UHD SDR(Standard Dynamic Range)영상신호나 UHD HDR(High Dynamic Range)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신호입력부(110)와;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단자(121)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출력부(120)와;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각종 신호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버튼부(130)와;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컨버팅 처리, 바이패스 처리, DSK(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처리부(140)와;
    상기 처리부(140)에 의해 신호처리되어 영상신호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는 스위처컨트롤러(100)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버팅 처리는 입력되는 SDR 또는 HDR 영상신호의 포맷을 제어버튼부(130)의 선택에 따라 다른 SDR 또는 HDR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DSK( Down Stream Kyer) 처리는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자막 처리로서, 출력 영상신호의 출력포맷에 맞게 자막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그램 처리란 영상신호출력부(120) 통해 출력되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프리뷰 처리란 영상신호 중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영상신호 다음에 방송될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버튼부(130)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컨버팅하여 출력시킬 출력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나 신호처리 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제3 선택버튼부, 바이패스를 선택하는 제4 선택버튼부,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한 DSK( Down Stream Kyer)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선택하는 제5 선택버튼부, 영상신호에 대한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를 선택하는 제6 선택버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140)는,
    자동 모드시,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입력 영상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고,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과 설정된 출력 포맷이 상이한 경우에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설정된 출력포맷으로 컨버팅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자동모드수행부(141)와,
    바이패스 모드시, 입력된 영상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 시켜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바이패스수행부(142)와,
    수동 모드시,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제2선택버튼부에 의해 설정된 출력포맥으로의 컨버팅이나 제4선택버튼부에 의한 바이패스를 수행하여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수동모드수행부(143)와,
    제3선택 버튼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상신호에 대해 DSK 처리(자막을 출력포맷에 맞게 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를 하는 프로세싱수행부(144)와,
    제6 선택버튼부의 선택에 따라 프리뷰 처리나 프로그램 처리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온에어수행부(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140)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의 내부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20)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 표시하는 HDR듀얼분석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결과정보는 제1,2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영상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스위처컨트롤러(100)에 내장형으로 일체화 되어 형성되거나 스위처컨트롤러(100)에 외장형으로 독립화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HDR듀얼분석부(200)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신호획득부(210)와;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분석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의 외부에 독립적 외장형 장치로 형성되는 HDR듀얼분석부(20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HDR듀얼분석부(200)는,
    상기 스위처컨트롤러(1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중 2개의 제1,2 영상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신호획득부(210)와;
    획득된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분석결과정보가 디스플레이부(230)의 설정된 레이아웃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분석부(220)와;
    영상신호분석부(220)에 의해 분석 처리된 제1,2 영상신호의 분석결과정보가 표시되는 복수의 레이아웃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상기 제1,2 영상신호로부터 각각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는 영상이미지추출부(221)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웨이브폼분석부(222)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색좌표분석부(223)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상세신호분석부(224)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와;
    디스플레이부(15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한 후, 제1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1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분할처리부(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상기 제1,2 영상신호로부터 각각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는 영상이미지추출부(221)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영상 웨이브폼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웨이브폼분석부(222)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색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색좌표분석부(223)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각각의 신호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상세신호분석부(224)와;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에 대한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스트림분석부(225)와;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한 후, 제1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1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레이아웃 영역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는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분할처리부(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분할처리부(226)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는 화면분할모듈(2261)과,
    분할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할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가 해당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화면출력모듈(2262)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모듈(2262)에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되도록 결정될 정보는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분할처리부(226)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영역을 2개의 제1,2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2 레이아웃 영역 각각을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영역으로 분할하는 화면분할모듈(2261)과,
    분할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할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가 해당 세부 레이아웃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화면출력모듈(2262)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모듈(2262)에서 복수의 세부 레이아웃 각 영역마다 출력 표시되도록 결정될 정보는 영상 이미지 정보, 영상 웨이브폼 정보, 색 좌표 정보, 신호 상세 정보, 오디오 전 채널에 대한 오디오 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분석부(220)는 상기 제1,2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제1,2 영상신호의 컨버팅 상태를 나타내는 컨버팅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화면분할처리부(226)로 제공하는 컨버팅분석부(227)을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분석결과정보는 컨버팅 상태정보를 더 포함하고, 화면분할처리부(226)는 분할된 세부 레이아웃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컨버팅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HDR듀얼분석부(200)에 내장형으로 일체화 되어 형성되거나 HDR듀얼분석부(200)에 외장형으로 독립화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SK( Down Stream Kyer)처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처리는 로고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비디오 마스터 스위처 장치.
KR1020170135577A 2017-10-19 2017-10-19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KR101809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77A KR101809644B1 (ko) 2017-10-19 2017-10-19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77A KR101809644B1 (ko) 2017-10-19 2017-10-19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644B1 true KR101809644B1 (ko) 2018-01-18

Family

ID=6102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577A KR101809644B1 (ko) 2017-10-19 2017-10-19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207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CN110418079A (zh) * 2018-04-30 2019-11-05 圆刚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讯号转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6113A1 (en) 2010-08-17 2013-06-20 Streamworks International, S.A. Video signal processing
KR101519000B1 (ko) 2014-04-23 2015-05-19 오픈스택 주식회사 모듈레이터 내장형 인코더 방송장비 및 자동전환 설정 방법
KR101655739B1 (ko) 2016-08-09 2016-09-08 (주) 케이투이 듀얼 화면을 사용한 12g/3g/hd-sdi 신호 처리를 위한 이동형 반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6113A1 (en) 2010-08-17 2013-06-20 Streamworks International, S.A. Video signal processing
KR101519000B1 (ko) 2014-04-23 2015-05-19 오픈스택 주식회사 모듈레이터 내장형 인코더 방송장비 및 자동전환 설정 방법
KR101655739B1 (ko) 2016-08-09 2016-09-08 (주) 케이투이 듀얼 화면을 사용한 12g/3g/hd-sdi 신호 처리를 위한 이동형 반랙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207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90109206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142019B1 (ko) * 2018-03-16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157545B1 (ko) * 2018-03-16 2020-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0923018B2 (en) 2018-03-16 2021-02-16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of enhancing image signa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81041B2 (en) 2018-03-16 2021-08-03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669941B2 (en) 2018-03-16 2023-06-06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418079A (zh) * 2018-04-30 2019-11-05 圆刚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讯号转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2024B1 (en) Multi-format on-screen monitor
CN111263208B (zh) 一种画面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6518744B1 (en) General purpose oscilloscope having digital television signal display capability
US7808554B2 (en) Automatic and interactive configuration and control of a video system
US673489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video quality
US8325238B2 (en) Test pattern signal generator and generation method, color measurement system and display device
EP3477933B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camera system, video system and server
KR101809644B1 (ko) Sdr 및 hdr 신호 처리가 가능한 4k 기반 마스터 스위처 장치
US8139079B2 (en) Color gamut component analysis apparatus, method of analyzing color gamut component, and color gamut component analysis program
KR19980078491A (ko) 복합 영상 기기의 주변시스템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9978B1 (ko) Uhd 4k 멀티 뷰어장치
US2016006592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lor gamut determination method
US7463295B2 (en) Characteristic correction apparatus for gamma correcting an image based on the image type
KR101809639B1 (ko) Sdr과 hdr 듀얼 분석장치
US7932940B2 (en) Apparatus for edge enhancement and peaking signal generation based on a target hue
US11238577B2 (en) Video dynamic range analysis
KR19990071261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언어 변환방법 및 그 장치
CN1998227A (zh) 用于指示视频中运动的检测度的设备和方法
US20060215749A1 (en) Waveform display device
JPH11112949A (ja) データ多重送信器、データ多重受信器、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データ多重送受信システム
KR101736912B1 (ko) Uhd 4k 라우드니스 신호를 포함한 방송신호 처리를 위한 마스터 스위처 장치
KR100445424B1 (ko) 칼라변환계수 생성 칩셋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에이치디티브이시스템의 화질개선 장치
CN109348245B (zh) 一种4k全景超融合多通道监测方法及装置
KR100930560B1 (ko)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의 채널 번호 및 로고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0531311B1 (ko) 멀티 패스를 갖는 osd의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