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049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049B1
KR101809049B1 KR1020130101089A KR20130101089A KR101809049B1 KR 101809049 B1 KR101809049 B1 KR 101809049B1 KR 1020130101089 A KR1020130101089 A KR 1020130101089A KR 20130101089 A KR20130101089 A KR 20130101089A KR 101809049 B1 KR101809049 B1 KR 10180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background screen
display unit
user comman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828A (ko
Inventor
시에 린
양 시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31,32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033160A1/en
Priority to EP14829116.4A priority patent/EP3005058A4/en
Priority to PCT/KR2014/006707 priority patent/WO2015012595A1/en
Publication of KR2015003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더욱 인터랙티브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경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경 화면상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배경 화면과 상이한 비주얼 레이어(Visual layer)에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하위 비주얼 레이어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다음 단계의 비주얼 레이어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며, 최상위 비주얼 레이어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경 화면과 무관하게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즉,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이콘들을 배경 화면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조로운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이 모래 관련된 배경 화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모래 속으로 빨려들어 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물속으로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이 눈(snow)과 관련된 배경 화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눈길 위의 발자국을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발자국에 들어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동일한 비주얼 레이어(visual layer)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 화면은 동적(Dynamic) 배경 화면이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에서 움직이는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속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배경 화면에 상이하게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모래와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모래 속으로 빨려들어 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물속으로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눈길 위의 발자국을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발자국에 들어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삭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배경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동일한 비주얼 레이어(visual layer)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 화면은 동적(Dynamic) 배경 화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에서 움직이는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속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배경 화면에 상이하게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더욱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도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1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과 배경화면이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스마트 TV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배경 화면 및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배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하나의 비주얼 레이어(visual layer)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동적(Dynamic)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적 배경 화면이라 함은, 배경 화면 내의 엘리먼트가 움직이는 배경 화면이다. 동적 배경 화면으로는 물고기가 움직이는 배경 화면, 눈이 오는 배경 화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선택, 제거,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는 터치 스크린,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마우스,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모션 인식부, 음성 인식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2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입력부(120)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탭(tap)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모래와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입력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이 배경 화면상의 모래 속으로 빨려들어 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입력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이 물속으로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입력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눈길 위의 발자국을 생성하고,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발자국에 들어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탭(tap)을 유지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선택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삭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입력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이 물속으로 점점 사라져 아이콘이 삭제되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를 통해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상의 배경 화면을 플릭(flick)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위치에 존재하는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된 지점의 눈이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 뿌려지는 듯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동적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동적 배경 화면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결이 움직이는 호수와 관련된 동적 배경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물결의 움직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가 동적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동적 배경 화면에서 움직이는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이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물고기가 움직이는 동적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물고기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겹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이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배경 화면에 상이하게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속성은 아이콘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의 로딩 여부, 이용 빈도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래와 관련된 배경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30)는 아이콘의 이용 빈도에 따라 다른 깊이로 아이콘을 모래 속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자주 이용하지 않는 아이콘을 모래 속에 깊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는 더욱 인터랙티브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센서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40), 입력부(250), 오디오 출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통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GPS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이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방송 수신 기능을 갖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방송 수신 모듈이 필요하다. 이동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GPS 모듈이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특히, 제어부(270)는 이동 통신 모듈이나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상태 등을 감지한다. 특히, 센서부(220)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흔들리는지 여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려 졌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각종 정보 입력 화면이나 정보 표시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배경 화면, 및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배경 화면은 정적 배경 화면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엘리먼트들이 움직이는 동적 배경 화면일 수 있다. 특히, 배경 화면이 동적 배경 화면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동적 배경 화면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용자 조작 내용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40)는 제어부(27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도 4와 같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240)에는 베이스 모듈(410), 디바이스 관리 모듈(420), 통신 모듈(430), 프리젠테이션 모듈(440), 웹 브라우저 모듈(450), 서비스 모듈(46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410)이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410)은 스토리지 모듈(411), 위치 기반 모듈(412), 보안 모듈(413), 네트워크 모듈(4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위치 기반 모듈(412)이란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4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4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420)은 외부 입력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모듈이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420)은 센싱 모듈(421), 디바이스 정보관리 모듈(422), 원격 제어 모듈(4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421)은 센서부(220) 내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421)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관리 모듈(422)은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며, 원격 제어 모듈(423)은 전화기나 TV, 프린터, 카메라, 에어컨 등과 같은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통신 모듈(430)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430)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4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440)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44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 그래픽 모듈(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 그래픽 모듈(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442-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442-2),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442-3),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44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450)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450)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서비스 모듈(460)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모듈(460)은 지도나 현재 위치, 랜드 마크, 경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모듈, 게임 모듈, 광고 어플리케이션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 내의 메인 CPU(272)는 저장부 인터페이스(276)를 통해서 저장부(2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각종 모듈들을 RAM(271-2)에 복사하고, 복사된 모듈의 동작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소프트웨어 구조 역시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입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선택, 제거,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250)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230)에 내장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30)의 표면을 터치하면, 터치를 감지하여 제어부(270)로 통지한다. 제어부(270)는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어떠한 아이콘을 선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25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마우스,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모션 입력부, 음성 입력부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60)는 오디오 처리부(275)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제어부(270)는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각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27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부(270)는 시스템 메모리(271), 메인 CPU(272), 이미지 처리부(27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4), 오디오 처리부(275), 저장부 인터페이스(276),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7-1 ~ 277-n) 및 시스템 버스(278)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271), 메인 CPU(272), 이미지 처리부(27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4), 오디오 처리부(275), 저장부 인터페이스(276),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7-1 ~ 277-n)들은 시스템 버스(278)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7-1 ~ 277-n)는 센서부(22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제어부(270) 내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도 3에서는 센서부(220)가 제1 인터페이스(277-1)로만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서부(2200)가 다양한 유형의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센서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7-1 ~ 277-n)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바디 부분에 마련된 버튼이나, 외부 입력 포트 1 내지 n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271)는 ROM(271-1) 및 RAM(271-2)을 포함한다. ROM(271-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72)는 ROM(271-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된 O/S를 RAM(271-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72)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71-2)에 복사하고, RAM(271-2)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272)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외부 객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가공하여 행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메인 CPU(272)는 디스플레이부(230)에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입력부(250)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CPU(272)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 인터페이스(276)는 저장부(240)와 연결되어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이미지 처리부(273)는 디코더, 렌더러, 스케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프레임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부(22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미지 처리부(273)는 처리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2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이미지 처리부(273)는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동일한 비주얼 레이어에 위치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273)는 Canvas와 surfaceview를 이용하거나, OpenGL ES와 NDK를 이용하거나, RenderScript를 이용하여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동일한 비주얼 레이어에 위치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 밖에, 오디오 처리부(275)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오디오 출력부(260)와 같은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오디오 처리부(275)는 각종 알람 음 데이터를 저장부(240)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알람음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알람 음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60)로 제공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 밖에, 기본 정보, 행동 정보, 건강 관리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도 음성 신호로 생성되어 오디오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4)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령, 메인 CPU(272)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4)를 통해서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CPU(272)는 이미지 처리부(273)를 제어하여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부(270)의 다양한 동작은 저장부(2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어부(270)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전부 도시한 것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제어부(270)는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하나의 비주얼 레이어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하나의 비주얼 레이어를 통해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배경 화면 내에 포함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511 내지 519)이 배경 화면(510)의 물에 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520)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521 내지 529)이 사막 배경 화면(520)의 모래 속에 묻혀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530)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531 내지 539)이 배경 화면(530)의 눈에 묻혀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은 배경 화면 속에 포함된 엘리먼트(element)들이 움직이는 동적 배경 화면(dynamic wallpaper) 일 수 있다. 배경 화면이 동적 배경 화면인 경우, 제어부(270)는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들의 움직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움직이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가 물결이 흔들리는 동적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흔들리는 물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흔들리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모래가 흩날리는 동적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모래에 쌓였다가 드러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눈 내리는 동적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눈에 쌓였다가 드러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에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6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611 내지 619) 중 제3 아이콘(613)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상의 제3 아이콘(613)을 탭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3 아이콘(613)이 물속으로 들어가거나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제3 아이콘(613)이 물속으로 들어가거나 사라지기 전 제3 아이콘(613)에 대응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7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711 내지 719) 중 제3 아이콘(713)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상의 제3 아이콘(713)을 탭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3 아이콘(713)이 모래 속으로 들어가거나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제3 아이콘(713)이 모래 속으로 들어가거나 사라지기 전 제3 아이콘(713)에 대응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8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811 내지 819) 중 제3 아이콘(813)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상의 제3 아이콘(813)을 탭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아이콘(813)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눈길 위의 발자국을 생성하며, 제3 아이콘(813)이 발자국에 들어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선택된 아이콘이 눈길을 걷는 듯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제3 아이콘(813)이 제3 아이콘(813)에 대응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선택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삭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910)에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911 내지 919)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3 아이콘(913)을 삭제하라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제3 아이콘(913)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탭을 유지하는 동작)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7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3 아이콘(913)이 점점 물속으로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제3 아이콘(913)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삭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910)에서 아이콘 삭제 명령에 따른 비주얼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서는 다른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에서는 아이콘 삭제 명령에 따라 삭제 명령이 입력된 아이콘이 모래 속으로 점점 사라지다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아이콘 삭제 명령에 따라 삭제 명령이 입력된 아이콘이 눈 속으로 점점 사라지다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위치에 존재하는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10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제2 아이콘(1012)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서 제3 아이콘(1013)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 플릭(flick)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 영역(예를 들어, 제2 아이콘(1012) 및 제3 아이콘(1013) 사이의 영역)의 눈이 치워져 제2 아이콘(1012) 및 제3 아이콘(1013)에 뿌려지는 것과 같은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1010)에서 아이콘 삭제 명령에 따른 비주얼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서는 다른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페이지 이동 명령이 입력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아이콘이 물결에 흔들리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막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페이지 이동 명령에 따라 페이지 이동 명령이 입력된 영역의 모래가 주위의 아이콘으로 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흔드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센서부(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흔들리는 사용자 명령을 감지하고,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1110) 및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1111 내지 1119)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흔드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센서부(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흔들리는 사용자 명령을 감지하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 전체 및 제1 아이콘 내지 제 9 아이콘(1111-1 내지 1119-1)이 물결에 흔들리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11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흔드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비주얼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서는 다른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흔드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배경 화면의 모래 흩어지면서 아이콘으로 뿌려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흔드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눈이 내려 아이콘이 눈으로 덮이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흔드는 강도 및 횟수에 따라 상이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흔드는 강도가 강하고, 횟수가 많을수록 눈이 많이 내리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가 바람을 부는 명령(blow)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센서부(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바람을 감지하고,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배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1210) 및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1211 내지 1219)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센서부(220)에 의해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명령을 감지하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에 존재하는 모래가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1211 내지 1219)에 뿌려져 일부 아이콘은 사라지고, 일부 아이콘은 모래에 덮이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270)는 다시 도 12 a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12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사용자의 입김을 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비주얼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서는 다른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사용자 입김을 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배경 화면에 물결이 생겨 아이콘이 물결에 따라 흔들리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사용자 입김을 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배경 화면에 존재하는 눈이 뿌려져 일부 아이콘은 사라지고, 일부 아이콘은 눈에 덮이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배경 화면 및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가 복수의 아이콘 중 두 개의 아이콘을 충돌시키기 위한 핀치(pinch)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두 개의 아이콘이 서로 충돌하면서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에 영향을 주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1310) 및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1311 내지 1319)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3 아이콘(1313) 및 제7 아이콘(1317)을 충돌시키기 위한 핀치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이콘(1313,1317)이 충돌하는 지점에 물방울이 생기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13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핀치 명령에 따른 비주얼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서는 다른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에서는 핀치 명령에 따라 핀치 명령이 입력된 영역에 모래가 뿌려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핀치 명령에 따라 핀치 명령이 입력된 영역에 눈이 뿌려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배경 화면 및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울이거나 흔드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영향을 주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1810) 및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1411 내지 1419)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왼쪽으로 기울이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센서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의 왼쪽 영역에 복수의 모래 바람(1421, 1422, 1423)이 불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모래가 덮이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14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울이거나 흔드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비주얼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서는 다른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울이거나 흔드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물이 쏟아지거나 흔들리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울이거나 흔드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눈이 흩날리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잠금 모드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사용자 비주얼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막과 관련된 잠금 모드 해제 화면(1510)에서 특정 영역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된 영역에 존재하는 모래가 치워지면서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4개의 아이콘(1511,1512,1513,1514)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막과 관련된 잠금 모드 화면에서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주얼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서는 다른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해 사용자 터치를 안내하는 특정 물줄기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에서는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해 사용자 터치를 안내하는 발자국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면서 잠금 모드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랙 화면(1600)을 디스플레이한다. 대기 모드 동안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외부의 홈 버튼이 선택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리가 낀 잠금 모드 해제 화면(1610)을 디스플레이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서리가 녹아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명한 잠금 모드 해제 화면(162)을 디스플레이하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동적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동적 배경 화면에서 움직이는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이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1721,1722)가 움직이는 동적 배경 화면(1710)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270)는 물고기(1721,1722)가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1711 내지 1719)의 디스플레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아이콘 내지 제9 아이콘(1711 내지 1719)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이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배경 화면에 상이하게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의 속성으로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 여부, 아이콘의 이용 빈도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1810) 및 복수의 아이콘(1811 내지 1819)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복수의 아이콘(1811 내지 1819) 중 통신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4 아이콘(1814)의 이용 빈도수가 낮은 경우, 제어부(270)는 이용 빈도수가 낮은 제4 아이콘(1814)을 다른 아이콘들보다 눈 속에 깊게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인터랙티브하고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적인 사용자 환경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UI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S1910). 이때, 배경 화면은 정적 배경 화면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엘리먼트가 움직이는 동적 배경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배경 화면과 동일한 비주얼 레이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20). 이때,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으로는 아이콘의 선택, 삭제, 이동을 위한 사용자 명령 또는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19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비경 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한다(S19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 화면의 종류 또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도 5a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주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UI 제공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더욱 인터랙티브하고 엔터테인먼트적인 사용자 환경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배경 화면으로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 모래와 관련된 사막 배경 화면, 눈과 관련된 배경 화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배경 화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230: 디스플레이부 120, 250: 입력부
130, 270: 제어부 210: 통신부
220: 센서부 240: 저장부
260: 오디오 출력부

Claims (22)

  1.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된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상에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이 모래와 관련된 배경 화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모래 속으로 빨려들어 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이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물속으로 들어가거나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이 눈(snow)과 관련된 배경 화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눈길 위의 발자국을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발자국에 들어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동일한 비주얼 레이어(visual layer)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화면은 동적(Dynamic) 배경 화면이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에서 움직이는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속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배경 화면에 상이하게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2.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배경 화면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연동하여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배경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는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된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배경 화면의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상에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모래와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모래 속으로 빨려들어 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물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물속으로 들어가거나 사라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눈(snow)과 관련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눈길 위의 발자국을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발자국에 들어가는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과 연동하여 상기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아이콘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삭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배경 화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동일한 비주얼 레이어(visual layer)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화면은 동적(Dynamic) 배경 화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배경 화면에서 움직이는 엘리먼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속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배경 화면에 상이하게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01089A 2013-07-26 2013-08-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10180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1,325 US20150033160A1 (en) 2013-07-26 2014-07-15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EP14829116.4A EP3005058A4 (en) 2013-07-26 2014-07-23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PCT/KR2014/006707 WO2015012595A1 (en) 2013-07-26 2014-07-23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321521.2 2013-07-26
CN201310321521.2A CN103399688B (zh) 2013-07-26 2013-07-26 一种动态壁纸和桌面图标的交互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828A KR20150034828A (ko) 2015-04-06
KR101809049B1 true KR101809049B1 (ko) 2017-12-15

Family

ID=4956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089A KR101809049B1 (ko) 2013-07-26 2013-08-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33160A1 (ko)
EP (1) EP3005058A4 (ko)
KR (1) KR101809049B1 (ko)
CN (1) CN103399688B (ko)
WO (1) WO2015012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5233S1 (en) * 2013-03-14 2015-07-2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1874S1 (en) * 2013-06-09 2015-10-2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292S1 (en) * 2013-09-03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5560S1 (en) * 2013-09-03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3744600A (zh) * 2014-01-17 2014-04-23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3d动态壁纸与桌面图标之间交互的方法及系统
CN103809970B (zh) * 2014-01-26 2016-11-23 广州恒业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桌面3d动态主题的方法及系统
CN103902045A (zh) * 2014-04-09 2014-07-02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通过非接触式姿势操作壁纸的方法及装置
CN104077048A (zh) * 2014-06-12 2014-10-0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USD761316S1 (en) * 2014-06-30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5389073A (zh) * 2014-09-05 2016-03-0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桌面图标显示系统及方法
KR20170108119A (ko) * 2015-01-30 2017-09-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 및 단말 배경 화면 제어 방법
CN104750393B (zh) * 2015-04-22 2018-05-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壁纸设置方法及装置
CN104834373A (zh) * 2015-04-29 2015-08-1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壁纸元素的显示方法
CN104834444A (zh) * 2015-04-29 2015-08-1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6325649B (zh) * 2015-06-19 2020-02-07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3d动态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CN106325835B (zh) * 2015-06-19 2020-04-28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应用于触摸终端的3d应用图标交互方法及触摸终端
CN106325650B (zh) * 2015-06-19 2019-12-10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基于人机交互的3d动态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20170000196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의 속성 기반의 상태 변화 효과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117245A (zh) * 2015-08-04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卸载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CN106598315B (zh) * 2015-10-16 2020-09-25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触控显示设备及其背景图置换方法
US9921719B2 (en) * 2015-11-02 2018-03-2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wallpaper replacing method thereof
CN105381611A (zh) * 2015-11-19 2016-03-0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2d游戏场景分层实现立体表现的方法及装置
USD801382S1 (en) * 2015-12-24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icon
USD802012S1 (en) * 2015-12-24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icon
USD801383S1 (en) * 2015-12-24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icon
USD801390S1 (en) * 2015-12-24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icon
CN105892648B (zh) * 2016-03-24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图标的显示方法及用户终端
CN106055335B (zh) * 2016-06-07 2020-04-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动态壁纸的实现方法及系统
CN106249918B (zh) * 2016-08-18 2021-02-02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图像显示方法、装置及应用其的终端设备
KR20180095409A (ko) * 2017-02-17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WO2019061278A1 (zh) * 2017-09-29 2019-04-04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主题生成方法
CN108037859A (zh) * 2017-11-17 2018-05-15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壁纸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509027A (zh) * 2018-02-11 2018-09-07 合肥市科技馆 一种基于图像互动的自然科普装置
CN108228058A (zh) * 2018-03-19 2018-06-2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粘贴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2587048B1 (ko) * 2018-05-15 202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769395B (zh) * 2018-05-16 2021-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壁纸切换方法及移动终端
CN109271073B (zh) * 2018-08-31 2022-04-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桌面动态图标实现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308207A (zh) * 2018-09-28 2019-02-05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壁纸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231908A (zh) * 2018-10-30 2019-09-13 蔚来汽车有限公司 界面控制方法和装置、终端、控制器及介质
CN109697003B (zh) * 2018-12-11 2021-09-10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桌面背景展示方法及移动终端
CN110069182A (zh) * 2019-04-28 2019-07-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壁纸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38450B (zh) * 2020-03-31 2022-08-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主题背景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20013965A (ko) * 2020-07-28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WO2022027190A1 (zh) * 2020-08-03 2022-02-10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交互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2148410A (zh) * 2020-09-29 2020-12-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3282365B (zh) * 2021-07-23 2021-11-09 深圳掌酷软件有限公司 锁屏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747228B (zh) * 2021-09-17 2023-09-15 四川启睿克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智能旋转电视动态屏保的方法
CN113986377A (zh) * 2021-10-26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壁纸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918022A (zh) * 2021-10-29 2022-01-1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播放内容输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5416A (en) * 1994-09-30 1998-02-03 Baker; Michelle User definable pictorial interface for a access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file system
TWI254558B (en) 2005-01-18 2006-05-01 Asustek Comp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transition effect function
US7761801B2 (en) * 2005-04-26 2010-07-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NZ574850A (en) * 2006-08-10 2011-02-25 Univ Loma Linda Med Advanced emergenc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US8564544B2 (en)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KR100800700B1 (ko) * 2007-01-10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US8933972B2 (en) * 2007-02-01 2015-01-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Luminance adjustment in a display unit
US9607408B2 (en) * 2007-06-08 2017-03-28 Apple Inc. Rendering semi-transparent user interface elements
CN101241689B (zh) * 2008-02-19 2010-04-07 倚天资讯股份有限公司 可产生屏幕画面转换视觉效果的电子装置及方法
KR100956826B1 (ko) * 2008-03-10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9294B1 (ko) * 2009-02-11 2011-10-05 주식회사 아이리버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방법
CA2767768A1 (en) * 2009-07-10 2011-01-13 Georeplica Inc. System of identifying and advertising organizations or other entities by overlaying image files on mapping applications
KR101588733B1 (ko) * 2009-07-21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20151415A1 (en) 2009-08-24 2012-06-14 Park Yong-Gook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motion and device adopting the method
KR20110024163A (ko) * 2009-09-01 2011-03-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단말
KR101638056B1 (ko) * 2009-09-07 2016-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AU2010320034B2 (en) * 2009-11-13 2015-02-12 Google Llc Live wallpaper
KR20110067540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케이티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64730B1 (ko) * 2010-02-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단말의 캐릭터 객체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11248769A (ja) * 2010-05-28 2011-1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874665B2 (en) * 2010-12-13 2014-10-28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isplay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devices
KR101740439B1 (ko) * 2010-12-23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453787B2 (en) * 2011-02-07 2013-06-04 The Pullman Company Apex internal mounting arrangement for a V-configuration torque rod
CN102221996A (zh) * 2011-05-20 2011-10-19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壁纸与桌面组件进行交互的实现方法
CN102508599A (zh) * 2011-10-11 2012-06-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桌面图标的显示方法及其通信终端
CN102520943A (zh) * 2011-12-06 2012-06-27 北京风灵创景科技有限公司 动态壁纸和桌面图标之间的交互方法及装置
US8756511B2 (en) * 2012-01-03 2014-06-17 Lg Electronics Inc. Gesture based unlocking of a mobile terminal
CN102646036A (zh) * 2012-02-22 2012-08-22 广东步步高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可显示外界紫外线强度变化的动态壁纸系统及对应的移动终端设备
CN102662576B (zh) * 2012-03-29 2015-04-29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触摸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KR20140100316A (ko) * 2013-02-06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TWI469815B (zh) * 2013-02-08 2015-01-21 Univ Nat Taiwan Normal Simulation of natural objects to explore the game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systems
KR102083595B1 (ko) * 2013-03-15 2020-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027153B2 (en) * 2013-03-15 2015-05-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Operating a computer with a touchscreen
JP6209375B2 (ja) * 2013-07-08 2017-10-04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3160A1 (en) 2015-01-29
KR20150034828A (ko) 2015-04-06
CN103399688B (zh) 2017-03-01
EP3005058A4 (en) 2017-03-08
CN103399688A (zh) 2013-11-20
WO2015012595A1 (en) 2015-01-29
EP3005058A1 (en)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0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10233195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41599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936723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8030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76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85680B1 (ko) 이머시브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데스크탑
US9843665B2 (en) Display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TW201437902A (zh) 電子裝置以及使用溫度與濕度控制螢幕顯示的方法
KR20160141838A (ko)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CN103577041A (zh) 控制显示器的方法和装置
WO2012166185A1 (en) Navigation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AU2014274515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2095A (ko)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JP2015537299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方法
US201403334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EP3504614B1 (en) Animating an image to indicate that the image is pannable
KR2014010238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69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