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994B1 - 가구부재, 파워 리클라인 및 리프트 기구 - Google Patents

가구부재, 파워 리클라인 및 리프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994B1
KR101808994B1 KR1020177007566A KR20177007566A KR101808994B1 KR 101808994 B1 KR101808994 B1 KR 101808994B1 KR 1020177007566 A KR1020177007566 A KR 1020177007566A KR 20177007566 A KR20177007566 A KR 20177007566A KR 101808994 B1 KR101808994 B1 KR 10180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hair
lift
axl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290A (ko
Inventor
레이 피. 라푸앙트
Original Assignee
레이-지-보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475,175 external-priority patent/US9241855B2/en
Application filed by 레이-지-보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레이-지-보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4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47C1/03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actuated by linkages, e.g. lazy-tongs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 A47C1/034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characterised by foot-rests actuated by lazy-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anti-shear when adjustin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5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tilting the whole seat backw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lower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가구부재는 프레임, 슬라이드 부재, 제1, 제2 바, 차축 및 제1, 제2 레그부재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체어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부재는 모터에 연결되며,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제1바는 슬라이드 부재 및 체어부에 연결된다. 제1바는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체어부를 이동시킨다. 차축은 베이스부에 장착된다. 레그부재는 차축에 부착되고,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포함한다. 제2바는 체어부에 연결되고, 차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바는, 이동에 반응하여 제1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리클라인 위치로 회전시키며, 이동에 반응하여 제2 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프트 위치로 회전시킨다.

Description

가구부재, 파워 리클라인 및 리프트 기구{FURNITURE MEMBER AND POWER RECLINE AND LIFT MECHANISM}
관련출원(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14년9월2일 출원되었으며, 2012년 9월12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No. 13/611,873의 일부 계속출원(continuation-in-part)인 미국출원 No. 14/475,175를 우선권으로 한다. 위 출원의 모든 개시내용은 참조로서 이 출원내용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가구부재, 파워 리클라인 및 리프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을 제시하지만, 선행기술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파워 리프트 체어(lift chair)는, 앉은 위치로부터 일어선 위치로의 적어도 50% 이상의 전이(Transition)를 착석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착석자의 앉은 위치로부터 리프트(lift)위치로의 모터-작동(moter-operated)에 의한 전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완전히 앉아 있는 위치에서 직접 일어서기 어려운 착석자를 위해 특히 이롭다.
알려진 파워 리프트 체어 디자인은 착석자의 중력중심(center of gravity)에 근접한 위치에서 착석자의 다리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체어의 완전한 리프트 위치에 있을 때에도 착석자가 일어서기 위해 다리의 더 큰 힘을 요하게 된다. 또한, 알려진 파워 리프트 체어 디자인은 제조비용이 고가인 복잡한 동작 기구를 구비하므로, 판매가격의 상승을 야기한다. 또한, 알려진 파워 리프트 체어 디자인은, 착석 및/또는 레그 레스트(leg rest) 위치에 대한 착석자의 선택을 극대화하는 복수의 체어 위치 또는 모션(motion) 범위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본 목차는 개시 내용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공하고, 그리고 개시 내용의 전체 범위 또는 개시 내용의 특징들 전부를 포괄적으로 개시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프레임 조립체, 모터, 슬라이드 부재, 제1 바, 차축, 제1, 제2 레그부재, 제2바를 포함하는 가구부재를 제공한다. 프레임 조립체는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체어부를 포함한다. 모터는 베이스부에 부착된다.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선택적 작동에 의해 제1, 제2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제1 바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체어부에 연결된다. 제1 바는 상기 모터의 작동에 반응하여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상기 체어부를 이동시킨다. 차축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제2 레그부재는 상기 차축의 제1, 제2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제1, 제2 레그부재는 각각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포함한다. 제2 바는 상기 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차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바는, 상기 체어부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1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클라인 위치로 회전시킨다. 제2 바는 상기 체어부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2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프트 위치로 회전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는 상기 리클라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통하여 연장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와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는, 상기 가구부재가 위치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와 상기 가구부재의 무게를 지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후방 다리는 상기 리프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통하여 연장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와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후방 다리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와 상기 가구부재의 무게를 지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U자형 부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가 관통하여 연장가능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바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연장(extended) 위치와 리트랙트(retracted)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레그 레스트 링키지(leg rest linkage)와 레그 레스트 부재를 가지는 레그 레스트 기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 레스트 기구는 레그 레스트 링키지와 구동하도록 맞물리는 레그 레스트 모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축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베어링 블록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제1, 제2 브라켓에 의해 각각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바는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못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길다란 슬롯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에 연결되는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길다란 슬롯보다 더 긴 이동 범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못(peg)이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범위의 일부분만큼만 상기 제2 바의 길다란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의 위치를 지나서, 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1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의 위치를 지나서, 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2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구부재는 체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구부재는 소파 또는 소파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체어부가 평상시 위치로부터 리프트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체어부의 시트백과 상기 체어부의 시트 바닥 사이의 각도는 미리 설정된 양만큼 증가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양은 대략 5도(degree)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개시는 베이스 부재, 체어 프레임, 기구, 제1, 제2 레그부재를 포함하는 가구부재를 개시한다. 베이스 부재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체어 프레임은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기구는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체어 프레임을 이동시킨다. 제1, 제2 레그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각각 가진다. 상기 전방 다리는 리클라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후방 다리는 리프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통해 연장한다. 상기 베이스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는 상기 평상시 위치에서의 가구부재의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전방 다리와 상기 후방 단부는 상기 리클라인 위치에서의 무게를 지지하며, 상기 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리프트 위치에서의 무게를 지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체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바를 포함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구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차축; 및 상기 체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차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바는, 상기 체어 프레임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1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클라인 위치로 회전시키며, 상기 체어 프레임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2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프트 위치로 회전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바는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못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길다란 슬롯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에 연결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길다란 슬롯보다 더 긴 이동 범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못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범위의 일부분만큼만 상기 제2 바의 길다란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지나서, 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제1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지나서, 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제2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축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베어링 블록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각각 제1, 제2 브라켓에 의해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며, 이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가 연장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연장 위치와 리트랙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레그 레스트 링키지와 레그 레스트 부재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에서, 상기 레그 레스트 기구는 상기 레그 레스트 링키지와 구동하도록 맞물리는 레그 레스트 모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U자형 부재이다.
가구부재는 체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구부재는 소파 또는 소파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체어 프레임이 평상시 위치로부터 리프트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체어 프레임의 시트백과 상기 체어 프레임의 시트 바닥 사이의 각도는 미리 설정된 양만큼 증가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양은 5도이다.
추가적인 적용가능 분야들이 여기에서 제공되는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요약에서의 설명 및 구체적인 예들은 단지 설명 목적들을 위해서 의도된 것이고 그리고 본원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의 도면들은 선택된 실시예들 및 가능한 구현예들 전부가 아닌 일부 구현예들을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들을 위한 것이고, 그리고 본원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지 않는다.
도1은 평상시(normal)의 착석 위치에서 도시된 파워 리프트 기구를 가지는 가구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최대 리프트 위치에서 도시된 도1의 가구부재의 사시도;
도 3은 확대된 상태의 파워 리프트 기구를 도시하는 도1의 가구부재의 베이스부의 좌측 사시도;
도 4는 조립된 파워 리프트 기구를 도시하는 도3의 좌측 사시도;
도 5는 도1의 가구부재의 체어부의 확대된 조립체의 우측 사시도;
도 6은 조립시의 도4 및 도5의 베이스부 및 체어부의 우측 후방사시도;
도 7은 전방 리프트 위치에서의 도1의 가구부재의 사시도;
도 8은 후방 틸트(tilt) 및 시트백이 회전된 위치에서의 도1의 가구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레그 레스트의 연장 위치에서의 도1의 가구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시트백이 회전되고 레그 레스트는 연장 위치에서의 도1의 가구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레그 레스트는 연장되고 또한, 전방 리프트 위치에서의 도9의 가구부재의 사시도;
도 12 는 도1의 가구부재의 상측 평면도;
도 13은 도12의 부분13에서 본 우측 단면도;
도 14는 도12의 부분14에서 본 후방 단면도;
도 15는 도2의 가구부재의 좌측면도;
도 16은 도12의 부분16에서 본 가구부재의 단면도;
도 17은 도2의 가구부재의 부분 좌측 사시도;
도 18은 후방 틸트 위치에서의 체어를 도시하는 도13의 가구부재의 우측면도;
도 19는 레그 레스트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의 체어를 도시하는 도13의 가구부재의 우측 단면도;
도 20은 시트백이 완전히 리클라인된 위치에서의 체어를 도시하는 도18의 우측 단면도;
도 21은 레그 레스트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의 체어를 도시하는 도20의 우측 단면도;
도 22는 평상시 위치에서의 우측 암레스트(arm rest)가 제거된 다른 가구부재의 우측면도;
도 23 은 평상시 위치에서의 도22의 가구부재의 기구 사시도;
도 24는 연장된 위치에서의 레그 레스트 기구를 가지는 평상시 위치에서의 가구부재의 우측면도;
도 25는 완전히 리클라인된 위치에서의 가구부재의 우측면도;
도 26은 완전히 리클라인된 위치에서의 기구의 사시도;
도 27은 완전한 리프트 위치에서의 가구부재의 우측면도;
도 28은 완전한 리프트 위치에서의 기구의 사시도; 및
도 29는 도22 내지 도28의 가구부재의 레그부재의 대안적인 구성의 사시도.
몇몇 도면을 통해,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이 기재된다.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완전히 설명할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리프트 체어(10)는 회전가능한 프레임 조립체(12)를 포함하고, 프레임 조립체(12)는 프레임 조립체(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시트백(seat back) 조립체(14)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12)에 연결되고 이에 대하여 연장가능하거나 리트랙트 가능한(retractable) 레그 레스트 부재(16)를 포함한다. 프레임 조립체(12)는 체어부(20) 내측에 위치하면서 이 체어부(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베이스부(18)를 포함한다. 명료함을 위해, 리프트 체어(10)는 종래 리프트 체어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시트 지지스프링, 패딩 또는 덮개를 도시하지 않는다. 리프트 체어(10)는 몇몇 실시예 따른 베이스부(18)가 포함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베이스 플랫폼(22)을 이용하여 바닥 또는 평평한 면에 지지된다. 체어부(20)는 리프트 체어(10)에 앉아 있는 착석자의 우측에 대응하는 제1 암 레스트부(24)와 착석자의 좌측에 대응하는 제2 암 레스트부(26)를 각각 포함한다. 리프트 체어(10)는 기구(28)을 사용하여 이동가능하게 되는 몇몇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기구(28)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다음 작동을 제어한다: 시트백 조립체(14)의 전방 및 후방 회전이동; 도9 및 도10에 도시되고 설명된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와 스토우(stowed)위치 사이에서의 레그 레스트 부재(16)의 연장/리트랙트; 및 복수의 착석자에게 착석 위치와 완전한 리프트 위치를 제공하도록 베이스부(18)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체어부(20)의 회전.
도1과 2를 참조하면, 도1의 평상시의 착석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리프트 체어(10)로의 전출입(exit or entrance)을 수용하는 최대 리프트 위치로의 상방/전방 회전을 따르는 리프트 체어(10)가 도시된다. 시트백을 완전히 세운(fully upright) 것으로서 정의되는 평상시 착석위치 및 레그 레스트가 스토우된 위치 (도1에 도시)로부터 리프트 위치(도2에 도시)로 리프트 체어(10)를 회전시키기 위해, 기구(28)의 리프트 기구부(30)는 착석자에 의해 작동되어, 리프트 회전방향 "A"로 체어부(20)를 회전시키는 프레임 회전축(32)에 대하여, 체어부(20)의 리프트 및 회전을 야기한다. 도시된 완전한(full) 리프트 위치에서, 시트백 조립체(14)는 완전히 세워진 위치로 위치하고, 레스트 부재(16)는 스토우 위치에 위치된다. 기구(28)는, 완전한 리프트 위치로의 체어부(20)의 회전시에는 작동하지 않는, 레그 레스트 기구부(34)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체어부(20)는 또한 착석자의 우수(右手)측에 위치하는 제1 내측 암 레스트 부재(36)와 착석자의 좌수(左手)측에 위치하는 제2 내측 암 레스트 부재(38)를 포함하고, 이들 부재(36,38)들은 제1 베이스 프레임 부재(40)와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2) 사이에 위치된다.
도1과 도3을 참조하면, 기구(28)의 리프트 기구부(30)의 요소들은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1 베이스 프레임 부재(40)는 베이스 플랫폼(22)의 베이스 플랫폼 제1 가장자리(44)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2) 는 베이스 플랫폼(22)의 베이스 플랫폼 제2 가장자리(46)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각각의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이고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랫폼(22)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베이스부(18)의 후방 벽을 형성하는 제3 베이스 프레임부재(48)는 베이스 플랫폼(22)의 베이스 플랫폼 제3 가장자리(50)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복수의 다리(51)는 복수의 다리 위치결정용 개구(52)의 각각에서 베이스 플랫폼(22)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리(51)는 베이스 플랫폼(22)의 네 코너의 접촉과 균등한 지지를 확실히 보장한다.
각각의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는 교차 코너(53)가 제공되는 데, 이 교차 코너에서 각각의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의 프레임 부재 전방 가장자리(54)는 베이스 플랫폼(22)과 교차한다.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 각각의 교차 코너(53)는 베이스 플랫폼(22)의 베이스 플랫폼 전방 가장자리(55)에 대하여 공간적으로(spatially) 후방측으로 위치된다. 몇몇 측면에 따르면, 제1 베이스 프레임 부재(40)는 베이스 플랫폼(22)의 상측면(58)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되는 제1 수용면(56)을 포함한다. 제1 수용면(56)은 제1 베이스 프레임 부재(40)의 프레임 부재 전방 가장자리(54)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제2 수용면(60)은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2)가 유사하게 제공되며, 상측면(58)에 대하여 평행하고 제1 수용면(56)에 대하여 동일평면상(co-planar)으로 배향된다. 일반적으로 U 자형을 가진 제1 수용 슬롯(62)은 제1 수용면(56)에 대하여 하방으로 형성된다. 제1 수용 슬롯(62)은 하방으로 제1 수용 슬롯(6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크기로 된 제1 U자형 저널(64)을 수용한다. 제1 U자형 저널(64)은 일체 성형 플라스틱 요소(unitary molded plastic component)로서 결합될 수 있는 제1 연결부재(66)와 일체적으로 포함된다. 제1 U자형 저널(64)이 제1 수용 슬롯(62)에 수용되면, 연결부재 패스너(68)는 제1 베이스 프레임 부재(40)의 외측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삽입되고, 제1 연결부재(66)의 나사산이 있는 개구에 수용되어 제1 연결부재(66)의 위치를 고정한다.
제1 연결부재(66)의 복사된 형태(duplicate) 또는 거울반사 이미지(mirror image)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재(72)의 제2 U자형 저널(70)은,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2)의 제2 수용면(60)에 형성된 U자형 제2 수용 슬롯에 유사하게 위치한다. 제2 연결부재(72)는 그 설치된 위치에 도시된다. 제1, 제2 연결부재(66, 72) 둘 다의 설치된 위치에서, 이 두 부재들의 상측 가장자리(74)는 제1 또는 제2 수용면(56, 60)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flush with)으로 위치하거나 이들보다 약간 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1 U자형 저널(64) 및 제2 U자형 저널(70) 둘 다의 상측 가장자리(74)는 U자형 저널(64, 70)에 의해 형성된 U 자형 슬롯으로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의 목적은 도6에서 잘 설명된다.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의 각각의 프레임 부재 전방 가장자리(54)는 베이스 플랫폼(22)의 상측면(58)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하여 예각(a)을 형성한다. 각도(α)의 목적은 도16을 참조하여 잘 설명된다. 교차 코너(53)는 각도(α)를 형성하도록, 베이스 플랫폼 전방 가장자리(55)에 대하여 후방으로 리세스(recessed)됨을 알 수 있다.
도1및 도3을 참조하면, 리프트 기구부(30)는 여러 실시예에 따라 (DC) 모터인 리프트 모터(76)를 포함한다. 장착 브라켓(78)은 제3 베이스 프레임부재(48)의 전방을 향하는 면(80)에 연결되고, 베이스 플랫폼(22)의 상측면(58)에도 연결된다. 장착 브라켓(78)은 도3에 하나만 명확히 도시된 동축 관통 개구(82)를 포함하며, 이는 조립체를 연결하는 조립 장착 핀(84)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한다. 장착 브라켓(78)은 리프트 모터(76)와 이 리프트 모터(76)에 직접 연결된 후방 하우징(86)을 포함하고, 기어 하우징(86)은 미도시의 내측 기어를 포함하며 웜 구동 조립체(88)의 내측 웜 기어(미도시)에 직접 연결되어 이를 구동한다. 본 발명을 개시를 통해, "웜(worm)구동" 장치 또는 기어는 이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다른 구동장치 또는 기어로 대체될 수 있도 있다.
리프트 모터(76)의 작동은 웜 기어 슬라이드(9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시키고, 웜 기어 슬라이드(90)는 슬라이드 리프트 방향 "B" 또는 반대로 슬라이드 복귀 방향 "C"의 각각으로 웜 구동 조립체(88)의 웜 기어의 작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웜 구동 조립체(88)의 조립체 단부(92)는 조립체 단부 브라켓(94)을 사용하는 베이스 플랫폼(22)의 상측면(58)에 연결된다. 웜 구동 조립체(88)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는 삼각형상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는 성형 플라스틱 요소일 수 있지만, 대안적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는 부재(96)는 제1 길다란 슬롯(100)을 포함하고, 제2 가이드 부재(98)는 제2 길다란 슬롯(102)을 포함하며, 이들은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의 상측벽 또는 가장자리(103, 103’)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길다란 슬롯(100, 102)은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 의 설치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배향된다.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의 각각은 또한 베이스부(18)의 전방 또는 전방면부를 향하여 배향된 저(低) 상승(low elevation) 단부(104)와, 제3 베이스부 프레임부재(48) 또는 베이스부(18)의 후측면 단부를 향하여 배향된 고(高) 상승 단부(106)를 포함한다. 따라서, 길다란 슬롯(100, 102)은 후방으로부터 전방 하측으로 연속적인 피치(pitch) 또는 상측면(58)에 대하여 각도를 가진다. 각각의 제1, 제2 가이드부재(96, 98)는 베이스 플랫폼(22)의 상측면(58)상에 놓이고 고정되는 평평한 지지면(108)을 포함한다.
리프트 기구부(30)는 또한 직사각형 중공(中孔)의 금속 리프트 바 또는 튜브(110)를 포함한다. 리프트 바(110)는 직선형 제1 튜브부(112)와 제1 튜브부(112)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배향된 제2 튜브부(114)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L자형 바를 포함한다. 리프트 바(110)는 웜 기어 슬라이드(90)에 연결되고, 따라서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슬라이딩 모션 시에 이동된다. 체어부(20)의 실질적인 부분의 무게와 착석자의 실질적인 부분의 조합된 무게는, 리브트 바(110)에 의해 웜 기어 슬라이드(90)와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로 분산되어 웜 구동 조립체(88)의 길이 내에서는 휨(bending)이 발상하지 않는다.
웜 기어 슬라이드(90)와 각각의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의 슬라이딩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두 개의 숄더 볼트가 제공된다. 제1 숄더 볼트(116)는 볼트 헤드(118), 볼트 슬리브(120), 및 볼트 헤드(118)의 반대편에 위치한 볼트 나사산이 있는 섕크(122)를 포함한다. 조립 시에, 볼트 나사산이 있는 섕크(122) 및 제1 숄더 볼트 (116)의 볼트 슬리브(120)는 제1 가이드 부재(96)의 길다란 슬롯(100)을 통해 배치된다. 리프트 바(110)의 튜브 연결 단부(124)는 제1 가이드 부재(96)의 제1 내측면(126)과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제1 슬라이드 면 (128)사이에 위치한다. 볼트 나사산이 있는 섕크(122)와 제1 숄더 볼트(116)의 볼트 슬리브(120)는 길다란 슬롯(100)을 통해 연장한 후, 이들은 튜브 연결 단부(124)에 형성된 튜브 관통 개구(130)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볼트 나사산이 있는 섕크(122)는 튜브 관통 개구(130)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제1 슬라이드 면(128)에 형성된 제1 나사산이 있는 보어(132)에 나사결합된다. 볼트 슬리브(120)의 다른 부분들은 길다란 슬롯(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튜브 관통 개구(13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제1 숄더 볼트(116)의 중심축에 대하여 리프트 바(100)의 회전뿐만 아니라,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슬라이딩 모션을 허용한다. 따라서, 제1 길다란 슬롯(100)의 벽과 제1 숄더 볼트(116)의 슬라이딩 접촉은,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임의의 슬라이딩 위치에서 웜 기어 슬라이드(90)에서 수용한 무게의 절반을 제1 가이드 부재(96)와 베이스 플랫폼(22)으로 분산한다.
리프트 바(110) 또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2 가이드 부재(98)에 연결된다. 오프셋 플랜지(134)는 브라켓 패스너(136)를 이용하여 튜브 연결 단부(124)에 맞물려 고정된다. 오프셋 플랜지(134)는 연결 브라켓(138)에 일체로 연결된다. 연결 브라켓(138)은 실질적으로 평평하여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슬라이드면(140)을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상에 놓인다. 가로지르는 플랜지(142)는 연결 브라켓(138)에 가로질러 배향되며 연결 브라켓(138)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슬라이드면(128)에 대하여 대향하면서 이에 평행한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제2슬라이드면 (144)에 접촉한다. 가로지르는 플랜지(142)의 가로지르는 플랜지 개구(146)는, 가로지르는 플랜지 (142)와 제2 가이드 부재(98)의 제2 내측면(150)사이에 배치되는 부싱(148)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부싱(148)은 리프트 바(110)의 폭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므로, 웜 구동 조립체(98)의 주위로 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를 이격시킨다. 부싱(148)의 부싱 보어(152)는 가로지르는 플랜지 개구(146)와 동축으로 정렬하고, 제2 숄더 볼트(154)는 길다란 슬롯(102), 부싱 보어(152), 가로지르는 플랜지 개구(146),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제2 슬라이드면(144)에 형성된 나사산이 있는 개구(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통해 제2 볼트(154)를 연장시켜 제1 숄더 볼트(116)에 조립된다. 따라서. 제2 숄더 볼트(154)는 웜 기어 슬라이드(90)를 통해 분산된 무게의 절반에 대해 제2 가이드 부재(98) 및 베이스 플랫폼(22)에 슬라이딩 지지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3 및 도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8)는 리프트 기구부(30)의 완성된 조립체를 따라서 도시된다. 도시된 조립된 상태에서, 웜 기어 슬라이드(90)는 리프트 체어(10)의 착석자에 대하여 기본적인 착석 위치를 제공하는 중립 또는 평상시 위치에 위치한다. 후속하는 리프트 모터(76)의 작동에 의해, 기어 하우징(86) 및 웜 구동 조립체(88), 웜 기어 슬라이드(90)는 슬라이드 리프트 방향 "B"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리프트 바(110)를 후방 및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도2에 도시된 리프트 체어의 완전한 리프트 위치를 설립한다. 리프트 바(110)를 통해 웜 기어 슬라이드(90)로 전달된 착석자의 무게는, 제1, 제2 숄더 볼트(116, 154)에 의해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의 각각에 분산된다.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평상시 위치에서, 제 1 및 제2 숄더 볼트(116, 154)는 리프트 모터(76)에 대하여 전방을 바라보는 길다란 슬롯(100,102)의 길이를 따라 대략 2/3 지점에 위치한다. 또한,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평상시 위치에서, 연결 브라켓(138)은 웜 기어 슬라이드(9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놓인다. 베이스부(18)의 완성된 조립체 위치에서, 제1, 제2 U 자형 저널(64, 70)은 제 위치에 고정되고, 따라서 베이스부(18)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될 체어부(20)를 수용할 준비가 된다.
도1과 도5를 참조하면, 체어부(2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체어 프레임 구조 튜브(160)는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의 각각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어, 미리 설정된 프레임 간격을 제공한다. 체어 프레임 전방 연결부재(162)는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의 전방 단부를 연결한다. 레그 레스트 기구부(34)는 체어 프레임 구조 튜브(160)와 체어 프레임 전방 연결부재(162)의 사이에서 지지되어 위치한다.
레그 레스트 기구부(34)는 몇몇 측면에 따르면 DC모터인 레그 레스트 구동 모터(164)를 포함한다. 레그 레스트 구동 모터(164)는 구동 로드 연결부재(170)를 사용하여 구동 로드(168)를 회전시키는 구동 연결부재(166)에 연결된다. 지지축(172)은 구동 로드(168)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에 형성된 개구(173, 173’)를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연장부는 도6을 참조하여 잘 설명된다. 제1, 제2 팬터그라프 링키지(pantograph linkage) 세트(174, 176)는 구동 로드(168)와 지지축(172)에 각각 연결된다. 레그 레스트 구동 모터(164)의 작동은 구동 로드(168)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로드 연결부재의(170)의 연장을 야기한다. 구동 로드(168)의 회전은 제1, 제2 팬터그라프 링키지 세트(174, 176) 각각을 연장하거나 리트랙트(retract)하도록 작동한다. 제 1 팬터그라프 링키지 세트(174)는 체어 프레임 전방 연결부재(162)에 형성된 제1 간극 개구(178)를 통해 연장한다. 마찬가지로, 제2 팬터그라프 링키지 세트(176)는 체어 프레임 전방 연결부재(162)의 제2 간극 개구(180)을 통해 연장한다. 각각의 제1, 제2 팬터그라프 링키지 세트(174, 176)는 레그 레스트 부재(16)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제2 팬터그라프 링키지(174, 176)의 연장 또는 리트랙트는 레그 레스트 부재(16)를 연장시기커나 리트랙트시킨다.
도5를 계속 참조하면, 체어부(20)는 튜브 조립체(18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제2 스윙 조립체(184, 186)상에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182)을 포함한다. 제1 후방 스윙 조립체(190)는 튜브 조립체(188)에 연결되고, 제1 백 브라켓 조립체(192)는 제1 후방 스윙 조립체(190)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제2 후방 스윙 조립체(194)는 튜브 조립체(188)에 연결되고, 제2 백 브라켓 조립체(196)는 제2 후방 스윙 조립체(194)에 연결된다. 제 1, 제2 백 브라켓 조립체(192, 196)는 시트백 조립체(14)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 제2 후방 스윙 조립체(190, 194)에 대한 튜브 조립체(188)의 회전은, 제1, 제2 스윙 조립체(184, 186)를 이동시키고, 이는 시트 프레임(18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
도 1 내지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지지축(172)의 통합된 연장부인 제1 축 연장부(198)와 제2 축 연장부(199) (도6에 점선으로 도시)가 각각의 제1, 제2 U자형 저널(64, 70)에 수용될 때까지(제1 U자형 저널(64)만 명확히 보일 수 있도록 도시됨), 프레임 조립체(12)는 하측 설치방향 "D"으로 체어부(20)를 적재(loading)함으로써 조립된 체어부(20)를 조립된 베이스부(18)에 조립한다. 제1, 제2 축 연장부(198, 199)의 직경보다 작은 간극을 제공하는 제1, 제2 U자형 저널(64, 70)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상측 가장자리(74)를 지나 제1, 제2 축 연장부(198, 199)를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제1, 제2 축 연장부(198, 199)는 마찰 스냅(frictional snap)을 형성하는 제1, 제2 U자형 저널(64, 70)내의 위치로 스냅되고, 그 후 상측 가장자리(74)는 축 연장부(198, 199)의 제거(removal)에 저항한다. U자형 저널(64, 70)의 재료는 저 마찰계수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며, 베이스부(18)에 대하여 체어부(20)의 회전에 최소한의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가령 폴리아미드(polyamid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재료 또는 유사한 폴리머(polymeric)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18)에 체어부(20)를 조립하기 위해, 체어부(20)는 베이스부(18) 내에 수용된 후에, 제1 축 연장부(198, 199)는 개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임의의 순서로) 각각의 제1, 제2 U자형 저널(64, 70)에 스냅된다. 리프트 바(110)의 제2 튜브부(114)는 튜브 조립체(188)에 고정된 U 자형 갈고리(200)에 위치된다. 절연 부싱(202)의 U 자형 갈고리 관통 개구는, 제2튜브부(114)에 형성된 제2 튜브 개구(206)를 통해 연장하는 튜브 장착 핀(204)을 수용하여, 제2 튜브부(114)는 U 자형 갈고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튜브 장착핀(204)은 표준 헤어(hair) 핀 클립(미도시)을 사용하여 삽입 후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인 구조부재들이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에 연결되도록 사용될지라도, 체어부(20)가 베이스부(18)에 수용될 때, 베이스부(18)의 제3 베이스 프레임부재(48)는 실질적으로 후방벽을 제공한다. 그런 다음, 리프트 기구부(30) 및/또는 레그 레스트 기구부(34) 둘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둘의 작동을 지향(directing)함에 있어서의 착석자에 의한 선택적 작동을 위해, 모터 컨트롤 포브(motor control fob, 208)가 기구(28)에 연결된다. 이 때, 레크 레스트 부재(16)는 레그 레스트 기구부(34)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자유롭게 연장한다.
도1 및 도7을 참조하면, 리프트 체어(10)는 도1에 도시된 평상시 위치로부터, 프레임 회전축(32)에 대하여 체어부(20)의 전방 회전을 야기하는 리프트 기구부(30)의 작동에 의해 도7에 도시된 전방 리프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제2 암 레스트(24, 26)는 암 레스트 외측 프레임(210)의 후방 단부에 제1 프레임 하측면(212) 및 암 레스트 외측 프레임(210)의 전방단부를 향하여 위치하는 제2 프레임 하측면(214)을 가지는 암 레스트 외측 프레임(21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 하측면(212)은 제2프레임 하측면(214)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배향된다. 체어부(20)가 리프트 회전방향 "A"로 회전함에 따라, 제2 프레임 하측면(214)은 베이스 플랫폼(22)과 평행하게 정렬하고, 제1 프레임 하측면(212)은 베이스 플랫폼 제3 가장자리(50)에 대하여 상승(raised)된다. 이 전방 리프트 위치에서, 시트백 조립체(14)는 세워진(upright)위치이고, 레그 레스트 부재(16)는 그 스토우 위치에 있게 된다.
도1,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리프트 체어(10)는 리프트 기구부(30)의 작동에 의해 후방 틸트(tilt)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체어부(20)는 프레임 회전축(32)에 대해 체어 하방 회전위치"E"에서 회전함에 따라, 제1 프레임 하측면(212)은 베이스 플랫폼(22)에 평행하게 정렬하고, 제2 프레임 하측면(214)은 베이스 플랫폼(22)에 대하여 상승된다. 리프트 기구부(20)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 조립체(14)는 시트백 리클라인 방향 "F"로 회전하고, 이것은 시트 프레임 연장방향 "G" 로 시트 프레임(182)의 전방 이동을 직접적으로 초래한다. 시트 프레임(182)의 전방 이동은 리프트 기구부(34)의 작동 시에 튜브 조립체(188)의 회전/이동에 의해 야기된다. 이 때, 레그 레스트 부재(16)는 여전히 스토우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레그 레스트 기구부(34)의 작동은, 도시된 리프트 체어 후방 틸트 및 시트백 조립체 후방 리클라인 위치에 도달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평상시 위치에서의 도1, 도3, 도 7 , 도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시트백 조립체(14)가 완전히 세워진 위치에 있는 도1에 도시된 리프트 체어의 평상시 위치로부터, 레그 레스트 부재(16)는 레그 레스트 기구부(34)의 작동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레그 레스트 구동 모터 (164)의 작동은 제1, 제2 팬터그라프 링키지 세트(174, 176) (명료성을 위해 제1 팬터그라프 링키지 세트(174)만 도시함)의 연동을 야기한다. 레그 레스트 부재(16)는 시트 프레임(182) 재 위치설치 없이 연장될 수 있다.
레그 레스트 부재(16)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의 도9와 도10을 참조하면, 리프트 기구부(30)의 추가적 작동은 시트백 조립체(14)를 완전히 세워진 위치로부터 시트백 리클라인 방향 "F"으로 시트백 리클라인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시트백 조립체(14)는 시트백 리클라인 위치"F"로 완전히 회전하고, 시트 프레임(182)은 전방으로 연장하며, 레그 레스트 부재(16)는 완전히 연장된다.
리프트 체어(10)가 전방 리프트 위치에 이미 위치한 도7과 도11을 참조하면, 레그 레스트 부재(16)는 레그 레스트 기구부(34)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 회전방향 "A"으로의 체어부(20)의 회전 이전이나 이후에 전방 리프트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리프트 위치에서, 암 레스트 외측 프레임(210)의 제2 프레임 하측면(214)은 베이스 플랫폼(2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직접 접촉하고, 제1 프레임 하측면(212)은 베이스 플랫폼(22)에 대하여 상강(elevated)된다. 이 위치로부터, 레그 레스트 부재가 스토우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체어부(20)가 도1에 도시된 평상시 위치로 복귀할 수 있거나, 또는 체어부(20)가 평상시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레그 레스트 부재(16)가 스토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리프트 체어 평상시 위치에서의 도1, 도3과 도12를 참조하면, 시트 프레임(182)상에 착석한 착석자는 실질적으로 웜 기어 슬라이드(90) 및 각각의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상에 그의 체중을 분산시킨다. 슬라이드 리프트 방향 "B" 또는 슬라이드 복귀방향 "C" 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리프트 기구부(30)의 작동 시에, 착석자의 무게는 리프트 바(110)을 경유한 무게 분배에 의해 웜 기어 슬라이드(90)상에 실질적으로 지지되어 유지된다.
시트백 조립체(14)가 완전히 세워진 위치에 있고 레그 레스트 부재(16)는 스토우 위치에 있게 되는 리프트 체어 평상시 위치에서의 도1, 도3, 도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체어부(20)의 체어 프레임 후방벽/연결부재(216)는 제3 베이스 프레임부재(48)의 아래 및 후방으로 연장한다. 체어 프레임 후방벽 연결부재(216)의 프레임 부재 하측 단부(218)는 실질적으로 제3 베이스 프레임부재(48)의 상측 단부(220)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이상에서 알수 있듯이, 평상시의 리프트 체어 착석 위치에서, 제1 숄더 볼트(116) (및 도시되지 않은 제2 숄더 볼트(154))는 길다란 슬롯(100)의 전후배향(rear-to-front orientation)에 대해 대략 길이의 2/3지점에 위치한다. 체어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연결되는 후방벽 부재(216); 제1, 제2 체어 프레임 부재(156, 158)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연결되는 전방벽 부재(162)를 포함하는 네 측면의 우드(wood) 구조를 형성한다. 베이스부(18)는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랫폼(22); 및 베이스부(18)의 후방을 향하는 벽을 형성하는 제3 베이스 프레임 부재(48)를 포함하는 네 측면의 우드 구조를 형성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리프트 체어(10)의 착석자의 무게의 제1 부분은 지지축(172)의 제1, 제2 축 연장부(198, 199)에 의해, 각각의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로 부분적으로 분배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착석자 무게의 제2 부분은 튜브 조립체(188) 및 리프트 바(110)를 거쳐, 리프트 기구부(30)의 요소 및 베이스 플랫폼(22)으로 분배된다. 도14에서 분명하듯이, 제1 베이스 프레임 부재(40)는 제1 내측 암 레스트 부재(36) 및 제1 암 레스트부(24)의 암 레스트 외측 프레임(210) 사이의 공동(cavity)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2)는 제2 내측 암 레스트 부재(38)와 제2 암 레스트부(26)의 (암 레스트 외측 프레임(210)과 유사한) 암 레스트 외측 프레임(211)사이의 공동에 위치한다.
도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리프트 체어(10)가 프레임 회전축(32)주위로 체어부(20)의 회전에 의해 최대 리프트 위치에 있을 때, 레그 레스트 부재(16)의 하측 단부(222)는 여전히 베이스 플랫폼(22)까지의 간극이 제공된다. 리프트 체어(10)에 대한 완전한 리프트 위치는, 레그 레스트 부재(16)가 완전한 스토우 위치에 있을 때에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도3, 도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각도(α)에서의 제1, 제2 베이스 프레임 부재(40, 42) 둘 다의 프레임 부재 전방 가장자리(54)의 배향과 전방 가장자리(54)에 대한 교차 코너(53)의 후방 설정은, 착석자의 다리에 대하여 추가적인 간극을 제공하여, 착석자의 다리로 하여금 착석자의 중력중심에 근접한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리프트 체어의 완전한 리프트 위치로 일어서도록 도와준다. 완전한 리프트 위치에서, 제2 숄더 볼트(154)는 길다란 슬롯(102)의 완전히 후방에 위치하여, 길다른 슬롯(102)의 슬롯 후방 단부벽(224)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숄더 볼트(116)(미도시)는 제1 길다란 슬롯(100)에 대하여 유사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리프트 바(110)는 U 자형 갈고리(200)에서 최대 연장 높이를 제공한다. 최대 연장 높이에서, 시트 프레임(182)의 전방 가장자리(228)에 형성된 수직면(226)은 바닥면(23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된다. 수직면(226)과 베이스 플랫폼 전방 가장자리(55)사이의 간격은 착석자의 다리에 대해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하여, 착석자의 다리를 수직면(226)의 후방에 위치시키고, 따라서, 종래의 리프트 체어보다 착석자의 중력 중심에 더 근접하게 한다. 이것은 착석자로 하여금 리프트 체어(10)러부터 일어나서 이탈할(stand and exit)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3, 도4 및 도 17을 참조하면, 명료성을 위해 리프트 체어(10)의 구조요소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레그 레스트 부재(16)의 작동에 대한 우수(右手)쪽의 요소를 도시하여, 리프트 기구부(30)의 요소는 왼쪽의 체어가 최대 리프트 위치에 있을 때 보이도록 한다. 레그 레스트 구동 모터(164)는 완전한 리프트 위치로의 리프트 체어의 회전시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 로드 연결부재(170)는, 제1 팬터그라프 링키지 세트(174)가 그러하듯이, 완전한 리트랙트 위치에 있게 된다. 웜 기어 슬라이드(90)가 리프트 체어(10)의 착석자에 대해 후방인 슬라이드 리프트 방향 "B"로 이동함에 따라, 리프트 바(110)뿐만 아니라 연결 브라켓(138)은 회전하여, U 자형 갈고리(200)에 연결된 제2 튜브부(114)는 튜브 조립체(188)에게 최대 리프트를 제공하게 된다. 웜 기어 슬라이드(90)가 슬라이드 리프트 방향 "B"로 이동함에 따라, 가령 도시된 제2 숄더 볼트(154)와 같은 숄더 볼트는, 가령 도시된 길다란 슬롯(102)과 같은 길다란 슬롯 내에서,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의 고 상승 단부(106)를 향하여 슬라이딩 한다. 숄더 볼트의 증가한 상승뿐만 아니라, 웜 기어 슬라이드(90)의 후방 이동은 최대 리프트 위치를 제공한다. 숄더 볼트(116, 154)가 각각의 제1, 제2 길다란 슬롯(100, 102)의 슬롯 후방벽(224)에 도달 할 때, 최대 리프트 위치에 도달한다. 착석자가 리프트 모터(76)의 작동을 조정(redirect)하여, 리프트 체어(10)를 도1에 도시된 평상시 위치 또는 여기서 설명된 다른 작동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복귀시킬 때까지, 리프트 체어(10)는 최대 리프트 위치에서 유지된다.
리프트 기구부(30)의 작동에 의해 제공되는 체어 후방 틸트 위치에서 도8 및 도18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 하측면(212)이 베이스 플랫폼(22)의 상측면(58)과 평행하거나 접촉할 때까지, 체어부(20)는 체어 하방 회전 방향 "E" 로 회전한다. 완전히 세워진 위치에서의 시트백 조립체(14)를 가지는 체어 후방 틸트 위치는 베이스 플랫폼(22)에 관하여 리프트 바(110)에 대하여 최저 위치를 초래한다. 체어 하방 틸트 위치를 향한 전이 시에, 숄더 볼트(116, 154)는 슬라이드 복귀 방향 "C"로 제1, 제2 길다란 슬롯(100, 102)에서 이동하여, 슬롯 전방 단부벽(232)을 향하여 이동한다. 체어 후방 틸트 위치에서, 체어 프레임 후방벽 연결부재(216)의 프레임 부재 하측 단부(218)는 최저 상승 위치에 있고, 베이스 플랫폼(22)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리프트 체어(10)가 세워진 레그 레스트 연장 위치에서의 도9 및 도19를 참조하면, 레그 레스트 기구부(34)는 작동하여 구동 연결부재(166)로부터 레그 레스트 구동 모터(164)의 작동에 의해 연장되는 연장 구동 축(234)은, 구동 로드 연결부재(170)를 이동시켜 구동로드(168)를 회전시킨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로드(168)의 회전은 완전한 연장 위치로, 레그 레스트 부재(16)를 연장시킨다. 리프트 바(100) 및 도시된 제1 숄더 볼트(116)와 같은 숄더 볼트(116, 154)는 도1에 도시된 리프트 체어(10)의 평상시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레그 레스트 부재(16)를 연장시기기 위해 요구되는 유일한 작동은 레그 레스트 구동 모터(164)의 작동에 의한 레그 레스트 기구부(34)의 작동이다.
시트백 리클라인 방향 "F"으로의 최대 시트백 조립체(14) 후방회전을 성취하록 도18에 도시된 체어 후장 틸트 위치로부터의 변화시키는 도18 및 도20을 참조하면, 리프트 기구부(30)는 리프트 체어(10)의 평상시 위치에서의 그 위치보다 더 전방인 슬라이드 복귀 방향 "C"로 웜 기어 슬라이드(90)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가령 도시된 제1 숄더 볼트(116)같은 숄더 볼트(116, 154)가 제1, 제2 길다란 슬롯(100, 102)의 슬롯 전방 단부벽(232)에 접촉할 때까지, 웜 기어 슬라이드(90)는 슬라이드 복귀 방향 "C"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리프트 바(110)는 도18에 도시된 체어 후방 틸트 위치에 비하여 상승되고, 이것은 시트백 조립체(14)의 완전한 후방 회전과 시트 프레임 연장 방향 "G"로의 시프 트레임(182)의 전방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최대 체어 후방 틸트 위치는, 레그 레스트 부재(16)가 그 완전한 스토우 위치에 있는 동안에 달성될 수 있다.
레그 레스트 부재(16)의 완전한 연장을 더 포함하는 도20에 도시된 최대 체어 후방 틸트 위치로부터 변하는 도20 및 도21을 참조하면, 리프트 기구부(30)의 작동이 완료될 때, 레그 레스트 기구부(34)는 도시된 그 완전한 연장 위치까지 레그 레스트 부재(16)를 연장하도록 작동한다.
도22 내지 도28을 참조하면, 다른 가구부재(500)가 제공된다. 가구부재(500)의 구조와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외를 제외하면, 상술한 리프트 체어(10)의 그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간략하게, 가구부재(500)는 베이스부(518)와 베이스부(51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체어부(520)를 포함한다. 리프트/리클라인 기구(530)는 베이스부(518)의 베이스 플랫폼(522)에 장착되고, 평상시 위치 (도 22), "무 중력(zero-gravity) 틸트 위치" 또는 완전 리클라인 위치 (도 25), 및 완전 리프트 위치 (도 27)중에서, 체어부(520)와 베이스부(518)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리프트/리클라인 기구(530)는 베이스부(518)와 체어부(520)를 리클라인 및 리프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레그 레스트 기구(534)는 체어부(520)와 레그 레스트 부재(516)에 결합되고, 리트랙트 위치 (도22 및 도27)와 연장 위치 (도24 및 및 도25)사이에서, 베이스부(518)와 체어부(520)에 대하여. 레그 레스트 부재(516)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레그 레스트 기구(534)는 리프트/리클라인 기구(530)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레그 레스트 기구(534)의 구조와 기능은 상술한 레그 레스트 기구(34)의 그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프트/리클라인 기구(530)의 구조와 기능은, 여기서 설명되거나 및/또는 도면들에 도시된 것들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기구(30)의 그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구(30)와 마찬가지로, 기구(530)는 모터(76), 웜 구동 조립체(88),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 및 (도23에 도시된) 리프트 바(11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76)의 작동은 슬라이드(90)가 웜 조립체(88)와 제1,제2 가이드 부재(96, 98)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트 바(110)의 제1 단부는 슬라이드(90)에 결합되고, 리프트 바(110)의 제2 단부는 튜브 조립체(188)에 결합되며, 순서대로 체어부(520)에 결합된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리클라인 기구(530)는 차축(540), 제1, 제2 레그(542, 544) 및 일반적으로 L자형 연장부(546)를 포함한다. 차축(540)은 베이스 플랫폼(522)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베어링 블록(5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차축(54)의 제1 단부(550)는 브라켓(522)에 의해 제1 레그(542)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차축(540)의 제2 단부(554)는 다른 브라켓(552)에 의해 제2 레그(44)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축과, 제1, 제2 레그(542, 544)는 베이스부(518)와 체어부(520)에 대하여 서로 회전가능하다(도22, 25 및 도 27 참조).
제1, 제2 레그(542, 544)는 각각 전방 다리(556)과 후방 다리(558)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U자형 부재이다. 베이스 플랫폼(522)은 복수의 개구(560)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개구는 제1, 제2 레그(542, 544)의 다리(556, 558)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게 정렬된다. 도 23, 26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560)는 다리(556, 558)가 베이스 플랫폼(522)을 통해 연장하도록 허용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29는 레그(542, 544)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29에 도시된 구성은 튜브형 금속, 플라스틱 또는 합성물(composite) 요소 이외의 성형 플라스틱, 금속 또는 합성물 요소일 수도 있다. 도29에 도시된 구성은 도 22 내지 도28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게 기구(530)에 부착되고 또한, 유사하게 기능한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브라켓(562)은 제1 단부(550)와 제1 가이드 부재(96)사이의 차축(540)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브라켓(562)는 못(peg) 또는 핀(568)과 맞물리는 제1, 제2 부재(564, 566)를 포함한다. 연장바(546)의 제1 부분(570)은 제1, 제2 부재(564, 566)사이에 배치되고, 핀(568)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길다란 슬롯(572)을 포함하여, 연장바(546)가 브라켓(562)과 차축(540)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도23에 도시된, 슬롯(572)은 연장바(546)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블록(574)에 형성되거나 또는 슬롯(572)은 연장바(54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슬롯(572)의 길이는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의 제1, 제2 슬롯(100, 102) 길이보다 짧다. 연장 바(546)의 제2 부분(576)은 튜브 조립체(188)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22 내지 도28을 참조하여, 기구(53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구(530)는 평상시 위치(도 22), 리클라인 위치(도 25) 및 리프트 위치(도 27) 중에서, 베이스부(518)와 체어부(520)를 이동시킨다. 평상시 위치에서, 베이스 플랫폼(522)의 전방부 및 후방부(580, 582)는 평평한 지면(584)에 접촉하고, 이 지면상에 가구부재(500)가 위치하여 가구부재(500)의 전체 무게를 지지한다. 어떤 구성에 있어서, 제1, 제2 레그(542, 544)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556, 558)는 지면(584)과 접촉하여 평상시 위치에서의 가구부재(500)의 전체 무게를 지지한다. 리클라인 위치에서, 제1, 2 레그(542)의 전방 다리(556)와 베이스 플랫폼(522)의 후방부(582)는 지면(584)에 접촉하여 가구부재(500)의 전체 무게를 지지한다. 리프트 위치에서, 제1, 제2 레그(542)의 후방 다리(558)와 베이스 플랫폼(522)의 전방부(580)는 지면(584)과 접촉하여 가구부재(500) 전체의 무게를 지지한다.
기구(530)가 평상시 위치(도22 및 도23)로부터 리클라인 위치(도25 및 도 26)로 이동할 때, 제1 방향으로 모터(76)의 작동은, 웜 구동 조립체(88)와 제1,제2 가이드 부재(96, 98)를 따라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90)를 이동하도록 한다. 리프트 바(110)는 슬라이드(90)와 체어부(520)에 연결되기 때문에, 최전방으로의 슬라이드(90)의 이동은 체어부(520)를 리클라인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슬라이드(90)가 최전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핀(568)이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72)의 최후방 단에 접촉할 때까지, 차축(540)의 브라켓(562)의 핀(568)은 연장 바(546)의 슬롯(572)에 대하여 슬라이딩 한다. 핀(568)이 슬롯(572)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동안, 차축(540)은 베이스 플랫폼(522)에 대하여 정지된 채 유지된다. 일단 핀(568)이 슬롯(572)의 최후방 단부에 접촉하면, 최전방 위치를 향한 슬라이드(90)의 계속된 이동은 연장 바(546)가 차축(540)과 레그(542, 544)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레그(542, 544)의 전방 다리(556)가 (도 25 및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랫폼(522)에서 대응하는 개구(560)를 통하여 돌출하게 한다. 전방 다리(556)가 개구(560)를 통하여 더 연장함에 따라, 베이스 플랫폼(522)의 전방부(580)는 지면(584)으로부터 리프트되어 도25에 도시된 완전한 리클라인 위치로 가구부재(500)를 더 리클라인 시킨다.
기구(530)가 평상시 위치(도22 및 도23)로부터 리프트 위치(도27 및 도28)로 이동할 때, (제1방향에 대향하는) 제2방향으로 모터(76)의 작동은 (도28에 도시된) 최후방 위치를 향하여 웜 구동 조립체(88)와 제1, 제2 가이드 부재(96, 98)를 따라 슬라이드(90)를 이동시킨다. 리프트 바(110)는 슬라이드(90)와 체어부(520)에 연결되기 때문에, 최후방 위치를 향한 슬라이드(90)의 이동은 리프트 위치를 향하여 체어부(520)를 이동시킨다. 최후방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90)가 이동함에 따라, 차축(540)의 브라켓(562)의 핀(568)은,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68)이 슬롯(572)의 최전방 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연장바(546)의 슬롯(572)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핀(568)이 슬롯(572)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동안, 차축(540) 베이스 플랫폼(522)에 대하여 정지된 채로 유지된다. 핀(568)이 슬롯9572)의 최전방 단부에 접촉하면, 최후방 위치를 향한 슬라이드(90)의 계속된 이동은 연장바(546)로 하여금 (제1 방향에 대향한) 제2 방향으로 차축(540)과 레그(542, 544)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레그(542, 544)의 후방 다리(558)는 (도27 및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랫폼(522)에서 대응하는 개구(560)를 통해 돌출한다. 후방 다리(558)가 개구(560)를 통해 더 연장함에 따라, 베이스 플랫폼(522)의 후방부(582)는 지면(584)으로부터 리프트되어, 도27에 도시된 완전한 리프트 위치로 가구부재(500)를 리프트 한다.
레그(542, 544)를 제공하고 도25와 도27에 도시된 위치로 레그(542, 544)를 이동시키는 것은, 도1 내지 도 21에 도시된 체어(10)에 대하여 증가된 이동 범위를 구비한 가구부재(500)을 제공한다. 평상시 위치에서 체어(10)와 가구부재(500)의 높이가 동일한 반면 (예를 들면, 도13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5인치), 기구(30)에 대하여 기구(530)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의 여분의 범위는 완전한 리클라인의 위치에서의 가구부재(500)의 레그 레스트 높이와 리클라인 각도에서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한다. 도21과 도25의 비교는 체어(10)과 가구부재(50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레그(542, 544)를 구비한 기구(530)를 제공하는 것이 가구부재(500)의 레그 레스트 높이를 약 6.75인치(예를 들면 20.25인치로부터 27인치)로 증가시키고, 가구부재(500)의 리클라인 각도를 약 9도(예를 들면, 12.25도에서 21.25도로)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도25에 도시된 "무-중력 틸트" 위치로 레그(542, 5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공되는 모션(motion)의 추가적인 범위는, (연장된 레그 레스트(516)상에 놓이는) 사용자의 다리가 사용자의 심장의 수직 레벨 근방 (즉, 지면(584)에서의 수직거리)에 위치할 것이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에게 특히 안락할 것이다. 가구부재(500)에서의 사용자 신체의 무 중력 위치는 완전한 휴식과 릴렉스(relaxation)를 촉진시키킨다.
기구(30)에 대하여 기구(530)에 의해 제공되는 모션의 여분의 범위는, 완전한 리프트 위치에서의 체어(10)에 대하여 가구부재(500)의 높이에서의 상당한 증가를 야기한다. 도16과 도27의 비교는 체어(10)와 가구부재(50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회전가능한 레그(542, 544)를 구비한 기구(530)를 제공하는 것이, 가구부재(500)의 시트 높이를 약 3.25 인치(inches) (예를 들어 21.75인치에서 24인치까지)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도27에 도시된 위치로 레그(542, 5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공되는 추가적인 리프트는, 스탠딩(standing) 위치를 향하여 가구부재(5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리프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구부재(500)로부터 일어서는데에 필요한 노력과 힘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노년층이나 신체 장애자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사용자가 스탠딩 위치로 가구부재(500)에서 일어서고 있는 동안에 착석자의 머리 및 또는 어깨에 원하지 않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가구부재(500)가 리프트 위치에 있을 때, 가구부재(500)는, 예를 들면 5도 만큼 시트 프레임(182)과 프레임 부재(515)에 대하여 시트백 프레임(514)을 후방으로 리클라인하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22와 도27의 비교는 시트백 프레임(514)의 5도 리클라인을 예시한다(도22는 평상시 위치에서의 시트백 프레임(514)과 프레임 부재(515)사이의 각도(X)를 도시하고, 도 27은 리프트 위치에서의 각도(X+5도)를 도시한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브라켓(586)은 (스윙 조립체(184)를 통해) 튜브 조립체(188), 시트백 프레임(514)과 시트 프레임(182)에 연결된다. 한 쌍의 슬라이드 브라켓(588)은 시트 프레임(182)에 부착된다. 슬라이드 브라켓(588)은 축(17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590)을 포함한다. 가구부재(500)가 리프트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시트 프레임(182) (및 시트 프레임(182)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바닥 조립체의 레스트(rest))의 무게는 축(172)에 대하여 전방으로 시트 프레임(182)과 슬라이드 브라켓(588)(및 시트 바닥 조립체의 레스트)를 슬라이딩시키고, 이것은 시트 프레임(182)과 시트백 프레임(514)사이의 상대 회전을 야기시켜, 시트백 프레임(514)이 약 5도 후방으로 리클라인하게 한다. 피봇 브라켓(586)과, 슬라이드 브라켓(588)과 축(172)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시트백, 시트 바닥 및 기구(530)무게의 균형으로 하여금 시트백 리프트 위치에서 리클라인 되는 양을 결정하게 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시트백은 리프트 위치에서, 5도 이하만큼 리클라인할 수 있 있다.
기구(530, 534)들은 모터(76, 164)에 의해 구동되는 파워 기구로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성에서는, 기구(530, 534)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 수동 (즉, 모터 구동이 아닌) 기구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그리고 개시 내용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제공되었다. 본원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성분들, 장치들, 및 방법들과 같은 많은 구체적인 상세 내용들이 기술되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세 내용들이 반드시 채용될 필요가 없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많은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그리고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주지의 프로세스들, 주지의 장치 구조들, 및 주지의 기술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별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원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없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a", "an", 및 "the")은, 문맥이 명확히 달리 기술하고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들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구비한다(includes)", 및/또는 "가지는(having)"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고, 그에 따라 기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성분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성분들, 및/또는 그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행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 단계들, 프로세스들, 및 동작들은 설명된 또는 개시된 특별한 순서로 반드시 실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on)" 존재하는 것으로, "결합하는 것으로(engaged to)", "연결되는 것으로(connected to)"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coupled to)" 언급될 때, 그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적으로 존재, 결합, 연결, 또는 커플링될 수 있고, 개재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적으로(directly on)" 존재하거나 또는 다른 요소 또는 "상에서 직접적으로 맞물리거나(directly engaged to)",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directly coupled to)"으로 언급될 때, 개재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다른 단어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예를 들어, "사이에(between)" 대 "직접적으로 사이에(directly between)", "인접한(adjacent)" 대 "직접적으로 인접한(directlyt adjacent" 등).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항목 및 모든 항목을 포함한다.
비록,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을 이용하였지만, 그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이용된 것일 수 있을 것이다. "제1", "제2", 및 다른 수치적인 용어들과 같은 용어들은, 여기에서 사용될 때, 다른 명백한 문맥상의 표시가 없는 경우에, 시퀀스 또는 순서를 암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요소,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교시 내용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요소,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
"내측(inner)", "외측(outer)", "아래쪽(beneath)", "아래(below)", "하측(lower)", "위(above)", "상측(upper)"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에 대한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여기에서 사용되었을 수 있을 것이다. 공간적인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배향에 더하여 사용 또는 동작 중에 장치의 상이한 배향들을 포함하기 위한 의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장치가 도면들에서 뒤집혀 있다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의 "아래(below)" 또는 "아래쪽(beneath)"으로 설명된 요소들은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 "위에(above)" 배향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아래(below)"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 및 아래의 배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가 달리 배향될 수 있을 것이고(90도 회전된 또는 다른 배향들) 그리고 여기에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들이 그에 따라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설명 및 기술의 목적들을 위해서 제공되었다. 이는 배타적이거나 개시 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특별한 실시예들의 개별적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이 일반적으로 특별한 해당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적용가능하다면,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호 교환될 수 있고 그리고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또한 많은 방식들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변경들은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그리고 모든 그러한 변경들은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10: 리프트 체어 12: 프레임 조립체
20: 체어부 76: 리프트 모터
90: 웜 기어 슬라이드

Claims (31)

  1.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체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된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선택적 작동에 의해 제1, 제2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체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작동에 반응하여 평상시 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상기 체어부를 이동시키는 제1 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차축;
    상기 차축의 제1, 제2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제2 레그부재; 및
    상기 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차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는, 상기 체어부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1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클라인 위치로 회전시키며, 상기 체어부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2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프트 위치로 회전시키는 가구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는 상기 리클라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통하여 연장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와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는, 상기 가구부재가 위치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와 상기 가구부재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후방 다리는 상기 리프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통하여 연장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와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후방 다리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와 상기 가구부재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U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가 관통하여 연장가능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후방 다리는 상기 리프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통하여 연장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와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후방 다리는, 상기 가구부재가 위치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와 상기 가구부재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바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연장 위치와 리트랙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레그 레스트 링키지와 레그 레스트 부재를 가지는 레그 레스트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레스트 기구는 레그 레스트 링키지와 구동하도록 맞물리는 레그 레스트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베어링 블록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제1, 제2 브라켓에 의해 각각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는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못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길다란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에 연결되는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길다란 슬롯보다 더 긴 이동 범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못이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범위의 일부분만큼만 상기 제2 바의 길다란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의 위치를 지나서, 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1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의 위치를 지나서, 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2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부가 평상시위치로부터 리프트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체어부의 시트백과 상기 체어부의 시트 바닥 사이의 각도는 미리 설정된 양만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양은 대략 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7.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평상시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체어 프레임;
    평상시위치, 리클라인 위치, 리프트 위치 중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체어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기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레그부재로써, 상기 전방 다리는 리클라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후방 다리는 리프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통해 연장하는 상기 제1, 제2레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는 상기 평상시 위치에서의 가구부재의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전방 다리와 상기 후방 단부는 상기 리클라인 위치에서의 무게를 지지하며, 상기 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단부는 상기 리프트 위치에서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체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차축; 및
    상기 체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차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는, 상기 체어 프레임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1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클라인 위치로 회전시키며, 상기 체어 프레임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2방향으로 상기 차축을 상기 리프트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는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못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길다란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에 연결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길다란 슬롯보다 더 긴 이동 범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못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범위의 일부분만큼만 상기 제2 바의 길다란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지나서, 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제1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못과 상기 길다란 슬롯의 후방 단부 사이의 초기 접촉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위치를 지나서, 전방으로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계속된 모션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제2회전 방향으로 상기 차축과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회전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베어링 블록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각각 제1, 제2 브라켓에 의해 상기 차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며, 이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가 연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연장 위치와 리트랙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레그 레스트 링키지와 레그 레스트 부재를 가지는 레그 레스트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레스트 기구는 상기 레그 레스트 링키지와 구동하도록 맞물리는 레그 레스트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레그부재는 U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 프레임이 평상시 위치로부터 리프트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체어 프레임의 시트백과 상기 체어 프레임의 시트 바닥 사이의 각도는 미리 설정된 양만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양은 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
KR1020177007566A 2014-09-02 2015-08-27 가구부재, 파워 리클라인 및 리프트 기구 KR101808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75,175 US9241855B2 (en) 2012-09-12 2014-09-02 Furniture member and power recline and lift mechanism
US14/475,175 2014-09-02
PCT/US2015/047092 WO2016036567A1 (en) 2014-09-02 2015-08-27 Furniture member and power recline and lift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290A KR20170047290A (ko) 2017-05-04
KR101808994B1 true KR101808994B1 (ko) 2018-01-18

Family

ID=5544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566A KR101808994B1 (ko) 2014-09-02 2015-08-27 가구부재, 파워 리클라인 및 리프트 기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3193668A4 (ko)
JP (1) JP2017529153A (ko)
KR (1) KR101808994B1 (ko)
CN (1) CN106998914B (ko)
AU (1) AU2015312292B2 (ko)
BR (1) BR112017003837A2 (ko)
CA (1) CA2959612C (ko)
IL (1) IL251628A (ko)
MX (1) MX2017002398A (ko)
MY (1) MY188697A (ko)
NZ (1) NZ729426A (ko)
PH (1) PH12017500353A1 (ko)
WO (1) WO2016036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5095A1 (ko) * 2020-07-17 2022-01-2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7527B (en) * 2016-05-25 2017-07-12 Accora Ltd Chair
CN113729428A (zh) * 2021-05-27 2021-12-03 广东联友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电控底盘及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2259A1 (en) 2003-10-30 2009-04-23 Robco Designs, Ltd. Powered furniture
US20110193373A1 (en) 2010-02-11 2011-08-11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Zero-Wall Clearance Linkage Mechanism for a Lifting Recliner
US20130062914A1 (en) 2011-09-09 2013-03-14 La-Z-Boy Incorporated Mechanism and chair for powered combined and independent seat back and leg rest motion
US20140070585A1 (en) 2012-09-12 2014-03-1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and power lif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6574B1 (no) * 2007-03-13 2009-01-12 Sapdesign As Anordning ved stol med justerbar vinkel mellom stolens sete og rygg
US20110121625A1 (en) * 2009-11-23 2011-05-26 Safety Lift Chair Associates, LLC Lift chair
US8967718B2 (en) * 2010-11-08 2015-03-03 Ultra-Mek, Inc. Rocking-reclining seating unit
PL2609834T3 (pl) * 2011-12-28 2014-11-28 Kintec Solution Gmbh Mebel do siedzenia i system okuć do niego
JP6013165B2 (ja) * 2012-12-11 2016-10-25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マッサージ椅子
CN203483121U (zh) * 2013-09-13 2014-03-19 浙江恒林椅业股份有限公司 一种椅子框架结构
CN103504845B (zh) * 2013-09-24 2015-10-07 浙江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转椅底盘的托架驱动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2259A1 (en) 2003-10-30 2009-04-23 Robco Designs, Ltd. Powered furniture
US20110193373A1 (en) 2010-02-11 2011-08-11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Zero-Wall Clearance Linkage Mechanism for a Lifting Recliner
US20130062914A1 (en) 2011-09-09 2013-03-14 La-Z-Boy Incorporated Mechanism and chair for powered combined and independent seat back and leg rest motion
US20140070585A1 (en) 2012-09-12 2014-03-1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and power lift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5095A1 (ko) * 2020-07-17 2022-01-2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8914A (zh) 2017-08-01
IL251628A0 (en) 2017-06-29
JP2017529153A (ja) 2017-10-05
IL251628A (en) 2017-10-31
CN106998914B (zh) 2019-12-13
MY188697A (en) 2021-12-23
BR112017003837A2 (pt) 2018-04-10
KR20170047290A (ko) 2017-05-04
WO2016036567A1 (en) 2016-03-10
AU2015312292B2 (en) 2018-12-20
CA2959612C (en) 2018-11-13
NZ729426A (en) 2019-02-22
MX2017002398A (es) 2017-09-13
PH12017500353A1 (en) 2017-07-17
CA2959612A1 (en) 2016-03-10
EP3193668A1 (en) 2017-07-26
EP3193668A4 (en) 2018-05-02
AU2015312292A1 (en)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764B2 (en) Furniture member and power lift mechanism
US9241855B2 (en) Furniture member and power recline and lift mechanism
AU2019201565B2 (en) Furniture Member With Powered Mechanism Providing Lift And Zero Gravity Positions
EP2878229B1 (en) Powered rocker and glider recliner linkage mechanisms
US20110248546A1 (en) Power actuated glider furniture member
AU2014224088A1 (en) Furniture Member Power Mechanism With Selectable Lift Movement And Zero Gravity Position
KR101928452B1 (ko) 레그레스트 연장을 구비한 가구부재
KR101808994B1 (ko) 가구부재, 파워 리클라인 및 리프트 기구
CA2857616C (en) Furniture member with center support leg 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