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826B1 -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826B1
KR101808826B1 KR1020160161181A KR20160161181A KR101808826B1 KR 101808826 B1 KR101808826 B1 KR 101808826B1 KR 1020160161181 A KR1020160161181 A KR 1020160161181A KR 20160161181 A KR20160161181 A KR 20160161181A KR 101808826 B1 KR101808826 B1 KR 101808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board
propulsion
propellant
vacuum adsorptio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16016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63B35/794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모듈과 상기 추진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추진체와, 상기 추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마운트와, 상기 서핑보드의 하부면에 흡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마운트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시스템은 냉각수가 저장된 탱크와, 상기 추진체의 내외부를 연통하며, 일부가 추진체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를 공급시키는 펌핑 수단과, 상기 펌핑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Propulsion device for removable surfboard}
본 발명은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흡착패드가 구비되어 서핑보드에 탈부착이 가능한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핑보드는 파도와 같은 자연력이나 인력을 동력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도가 치지 않는 경우 또는 강, 호수 등에서는 자력으로 주행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전동력을 이용하여, 보드에 동력을 적용하여 파도가 치지 않거나, 바람이 불지 않아도 또는 별도의 견인을 위한 수단이 없을 경우에도 서핑보드에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서빙보드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서핑보드와 일체로 제작되어, 서핑보드 자체의 부피가 커지고 운반이 어려우며, 구입비용이 비싸며, 보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기존의 서핑보드에 부피가 작고, 휴대가 편리하며, 저가로 제공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는 서핑보드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부피가 작은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흡착패드를 구비하여, 서핑보드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에 있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모듈과 상기 추진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추진체와, 상기 추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마운트와, 상기 서핑보드의 하부면에 흡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마운트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시스템은 냉각수가 저장된 탱크와, 상기 추진체의 내외부를 연통하며, 일부가 추진체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를 공급시키는 펌핑 수단과, 상기 펌핑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패드는, 일단부에는 서핑보드의 하부면에 흡착되는 흡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를 압착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의 수밀을 위해 결합되는 방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마운트는, 상기 추진체가 하부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X’형태 또는 ‘H’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에 상기 진공흡착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는 서핑보드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부피가 작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추진 장치가 일체로 제작된 서핑보드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서핑보드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는 서핑보드 하부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진공흡착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수상레저기구에 추진 장치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진공흡착패드가 서핑보드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압착부를 형성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냉각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진공흡착패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냉각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의 진공흡착패드(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는 크게 추진체(100), 연결 마운트(200) 및 진공흡착패드(300)를 포함한다.
상기 추진체(100)는 추진모듈(110) 및 냉각 시스템(120)을 포함하며, 상기 추진모듈(110)은 모터(111), 배터리(112), 프로펠러(113) 및 회전축(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터(111)는 배터리(11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회전축(114)은 상기 모터(111)와 연결되어 모터(111)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회전력을 상기 프로펠러(113)에 전달하고, 상기 프로펠러(113)는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14)으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회전 동작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냉각 시스템(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21), 열교환부(122), 펌핑 수단(123), 제어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121)는 상기 추진체(10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저장되고, 상기 열교환부(122)는 상기 추진체(100)의 내외부를 연통하며, 일부가 추진체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되, 추진체(100) 외부인 수중에서 열교환을 통해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 수단(123)은 상기 탱크(121)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추진체(100)로 공급시키고, 상기 제어부(124)는 상기 펌핑 수단(12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 시스템(120)은 상기 제어부(124)의 펌핑 수단(12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추진모듈(110)의 모터(111)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상기 제어부(124)에서 수신 받아, 감지된 온도에 따라 펌핑 수단(123)이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각 시스템(12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에서, 상기 모터(111)는 상기 배터리(11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됨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점차 열이 발생되므로, 상기 모터(111)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4)에서는 상기 펌핑 수단(123)이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부(122)를 통해 상기 탱크(121)에 저장된 냉각수가 펌핑되어 모터(111)부에 제공되어, 상기 모터(1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게 되며, 상기 모터(111)의 냉각에 사용된 냉각수는 상기 열교환부(122)가 추진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냉각코일로 이송되어, 상기 냉각코일을 통해 추진체(100) 외부의 해수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어 주며, 열교환을 통해 다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탱크(121)에 저장되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반복적을 수행되어, 지속적으로 상기 추진체(100)를 냉각시켜, 추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 마운트(200)는, 상기 추진체(10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흡착패드(300)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지지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추진체(100)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220)는 상기 몸체(210)에서 ‘X’형태 또는 ‘H’형태 등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20)에 진공흡착패드(30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X’형태 또는 ‘H’형태 등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대(220)에 진공흡착패드(300)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상기 연결 마운트(200)와 상기 연결 마운트(200) 하부에 설치된 추진체(100)의 하중이 각 진공흡착패드(300)로 분산되어 가해지므로, 상기 진공흡착패드(300)와 서핑보드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상기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를 서핑보드에 더욱 안정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진공흡착패드(300)는 흡착부(310) 및 압착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310)는 서핑보드의 하부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320)는 상기 흡착부(310)를 압착시켜 상기 진공흡착패드(300)와 서핑보드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며, 상기 흡착부(310)와 상기 압착부(32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나사산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압착부(320)와 상기 연결 마운트(200)와 결합되는 부위로 물이 새어 들어가지 못하도록 수밀을 위한 방수 커버(330)를 상기 압착부(320) 일단부의 외주면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 커버(33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진공흡착패드(300)의 흡착부(310)는 서핑보드의 하부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310)는 일측으로 원통형상으로 돌출 연장되어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320)는 뚜껑 형상으로, 상기 흡착부(31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부(310)와 상기 압착부(32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진공흡착패드(300)는 상기 흡착부(310)를 서핑보드 하부면에 대고 압착한 후, 상기 압착부(320)와 상기 흡착부(310)가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서핑보드 하부면과 상기 흡착부(310) 사이를 더욱 압착시킬 수 있으므로, 단순히 서핑보드면에 대고 압착하는 작업만으로 부착되어, 재질적, 형태적 특성에 의해서만 흡착력이 생성되는 기존의 진공흡착패드(300)에 비해, 보다 서핑보드와 진공흡착패드(3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가 서핑보드에 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추진체
110: 추진모듈
111: 모터
112: 배터리
113: 프로펠러
114: 회전축
120: 냉각 시스템
121: 탱크
122: 열교환부
123: 펌핑 수단
124: 제어부
200: 연결 마운트
210: 몸체
220: 지지대
300: 진공흡착패드
310: 흡착부
320: 압착부
330: 방수 커버

Claims (5)

  1.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에 있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모듈과, 상기 추진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추진체와;
    상기 추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마운트와;
    상기 서핑보드의 하부면에 흡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마운트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시스템은,
    냉각수가 저장된 탱크와,
    상기 추진체의 내외부를 연통하며, 일부가 추진체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를 공급시키는 펌핑 수단과,
    상기 펌핑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패드는,
    일단부에는 서핑보드의 하부면에 흡착되는 흡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를 압착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의 수밀을 위해 결합되는 방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마운트는,
    상기 추진체가 하부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X’형태 또는 ‘H’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에 상기 진공흡착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60161181A 2016-11-30 2016-11-30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KR101808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181A KR101808826B1 (ko) 2016-11-30 2016-11-30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181A KR101808826B1 (ko) 2016-11-30 2016-11-30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826B1 true KR101808826B1 (ko) 2017-12-14

Family

ID=6095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181A KR101808826B1 (ko) 2016-11-30 2016-11-30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627A (ja) * 2004-03-30 2005-10-13 Honda Motor Co Ltd 水上乗り物の推進機
WO2015159997A1 (ko) * 2014-04-14 2015-10-22 (주) 브이텍 패드 분리형 흡착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627A (ja) * 2004-03-30 2005-10-13 Honda Motor Co Ltd 水上乗り物の推進機
WO2015159997A1 (ko) * 2014-04-14 2015-10-22 (주) 브이텍 패드 분리형 흡착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1079B2 (en) Motorized watercraft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tor module
US9120547B2 (en) Inflatable watercraft with motorized cassette
US11097822B2 (en) Underwater propulsive device of watercraft
US20150086337A1 (en) System for mounting a motorized cassette to a watercraft body
EP3552947B1 (en) Propelling module and surf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10201238A1 (en) Electric Powered Surfboard Propulsion and Control Systems
US10363998B2 (en) Aquatic vessel and paddle
US11401018B2 (en) Swimming and diving aid having a camera
US20180065717A1 (en) An Inflatable Watercraft with an Embedded Drive
KR101808826B1 (ko) 탈부착식 서핑보드용 추진 장치
CN102431638A (zh) 船用动力装置的冷却系统
US11459068B2 (en) Motorized surfboard fin and remote control
WO2024075035A1 (en) Extended range motorized surfboard fin and remote control
CN205770084U (zh) 一种水液压浮力调节系统
CN106050799B (zh) 一种油液压浮力调节系统及方法
CN205780026U (zh) 一种油液压浮力调节系统
CN207992190U (zh) 一种用于地理科学的湖泊探测装置
CN212500962U (zh) 一种水下推进器
CN209795789U (zh) 一种背负式智能水下人体推进器
CN207516037U (zh) 一种推进器参数自动测试装置
US20130145975A1 (en) Battery Operated Small Craft Bilge Pump
CN215794366U (zh) 一种浮游与救生一体的水下推进器
CN211281402U (zh) 一种通用型水产养殖用浮板
CN113815815A (zh) 一种浮游与救生一体的水下推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