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756B1 -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756B1
KR101808756B1 KR1020140098907A KR20140098907A KR101808756B1 KR 101808756 B1 KR101808756 B1 KR 101808756B1 KR 1020140098907 A KR1020140098907 A KR 1020140098907A KR 20140098907 A KR20140098907 A KR 20140098907A KR 101808756 B1 KR101808756 B1 KR 101808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rotrusions
film
plate
resin
micro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149A (ko
Inventor
김수진
이은정
김태수
박정호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4/0071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16681A1/ko
Priority to US14/422,655 priority patent/US20150225608A1/en
Priority to TW103126533A priority patent/TWI527889B/zh
Publication of KR2015001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미세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장치 및 특정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미세 돌기가 형성된 외부면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WATER AND OIL REPELLENT FILM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한 전기 전자 장치 및 특정의 구조를 갖는 외부면을 포함한 전기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염 물질의 전사로 인하여 전자 제품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오작동이 유발되고 보다 높은 외관 품질이 요구됨에 따라서, 최근에서는 내오염성을 갖는 표면 처리가 된 전자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전자 제품의 표면에 내오염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품의 외부 표면에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오염 물질의 전사량을 낮추는 방법이나, 친유성 코팅를 통해 전사되는 오염 물질을 넓게 퍼지게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제품의 외부 표면에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내오염성을 확보하는 방법에서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입자나 패턴을 제품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서 표면 요철을 만들어서 헤이즈를 높게 하고, 이에 따라 오염 물질이 제품에 묻어도 눈에 쉽게 띄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7-0084369호는 그물망 형태로 연결된 돌출구조물을 표면으로 구비한 초소수성 기판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5241호에는 특정의 높이 및 넓이를 갖는 내지문 패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1-7003244호에는 원기둥, 피라미드형 각뿔대, 원뿔대, 복합포물선, 복합타원형, 폴리오브젝트(polyobject), 또는 입체로 된 원뿔 곡선 회전체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 패턴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특정한 패턴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르면 헤이즈가 10% 이상이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는 화면의 선명도를 저하시키거나, 과량의 오염 물질이 전사되었을 때에는 표면의 요철 내부로 오염 물질이 침투하여 제거가 오히려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친유성 코팅은 불량한 외관 특성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인 피지가 묻었을 때 얇고 넓게 퍼지게 함으로써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친유성 코팅은 높은 투과도와 낮은 헤이즈 특성을 갖는데 반하여, 지문이 묻는 양을 감소시키기 보다는 묻은 지문이 잘 보이지 않게 하는 지문 은닉 방법으로서, 지문 전사량 자체를 줄일 수 없으며, 지문이 과량으로 전사 및 적층되는 경우 완전히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한편,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 재료를 사용하여, 제품 외부의 표면 에너지를 낮추어 내오염 특성을 확보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 재료의 코팅에 따라서, 물과 기름에 대한 접촉각이 커져서 발수 및 발유 특성을 높일 수 있으나, 오염 물질의 전사를 방지할 정도의 특성, 예를 들어 초발수 및 초발유 특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부족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서도 오염 물질이 전사되는 양을 충분히 줄이기 어려웠으며, 전사된 오염 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즉, 이전에 알려진 내오염성 제품들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동시에 갖지 못하였으며, 전사되는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성 또한 갖지 못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84369호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5241호 한국공개특허 제2011-7003244호
본 발명은 제품 표면에 전사되는 오염 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사된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표면에 전사되는 오염 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사된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외부면을 포함한 전기 전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를 2이상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 내지 0.4인,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가 2이상 형성되어 있는 외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 내지 0.4인, 전기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필름'은 얇은 막 형태의 물건을 의미하며, 그 재질은 크게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분자 등의 유기물 또는 금속이나 실리콘 등의 무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를 2이상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 내지 0.4인,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정의 구조를 가지면 크기에 관련한 비율이 특정된 미세 돌기를 포함하는 필름이 물에 대하여서뿐만 아니라 유기 성분에 대해서도 높은 접촉각을 가져서 초발수성 및 초발유성을 구현할 수 있고, 전사되는 오염 물질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사된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필름에 유기 성분이나 액체가 전사되는 경우, 상기 미세 돌기와 상기 필름의 기재면으로 정의되는 소정의 공간에 공기 주머니(air pocket)를 형성하여,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이 유기 성분이나 액체에 대하여 높은 반발력과 높은 접촉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름에는 상술한 형상의 미세 돌기가 2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이상, 또는 0.2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비율(H/S)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에 대한 상기 2개의 미세 돌기들 중 하나의 높이의 비율 일 수 있다.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미세 돌기의 상부간의 거리와 하나의 미세 돌기의 높이가 상술한 범위의 비율을 갖음에 따라서, 표면에 전사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에 대한 접촉각이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성분들의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미세 돌기와 필름의 기재면으로 정의되는 공간에 공기 주머니(air pocket)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이 유기물 성분이나 또는 물에 대하여 보다 낮은 상호 작용 에너지를 갖게 하여, 전사되는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전사된 유기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이웃하는 미세 돌기들의 상부 간의 거리에 대한 미세 돌기의 높이의 비율이 너무 작은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미세 돌기의 높이가 너무 작거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가 간의 거리가 너무 크면, 상기 미세 돌기와 필름의 기재면으로 정의되는 공간이 공기 주머니(air pocket)를 형성하기에 적절한 부피나 형상을 갖기 어렵거나 형성되는 공기 주머니가 쉽게 붕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웃하는 미세 돌기들의 상부 간의 거리에 대한 미세 돌기의 높이의 비율이 너무 큰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미세 돌기의 높이가 너무 크면 상기 필름이나 미세 돌기 자체의 기계적 경도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가 간의 거리가 너무 작으면 상기 필름 외부 면이 미세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과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구조적 특징 또는 표면 특징을 갖게 되어 상술한 발수성 및 발유성의 특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전에는 필름 외부에 일정한 패턴이나 돌기가 형성되어 일정 수준의 이상의 발수성을 갖는 재료에 대해서는 일부 알려진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필름에서는 시간에 경과에 따라서, 또는 외부의 압력이나 액체에 작용하는 중력, 또는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하여 공기 주머니(air pocket)가 붕괴되어 표면에 전사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내부로 파고들게 되어 버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에 포함되는 미세 돌기의 형태적 특징과 상기 이웃하는 미세 돌기들의 상부 간의 거리에 대한 미세 돌기의 높이의 비율에 따른 표면 특성으로 인하여, 상술한 시간의 경과나 외부 압력, 액체에 작용하는 중력, 모세관 현상 등의 요인에 의한 공기 주머니(air pocket)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필름 외부에 전사되는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내부로 파고들거나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세 돌기는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 또는 ㎛ 단위의 높이나 폭을 갖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상기 미세 돌기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미세 돌기의 일 예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미세 돌기의 기둥부는 원기둥, 원뿔대, 다각기둥, 다각뿔대, 역원뿔대 또는 역다각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는 소정의 입체 형상을 갖는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하는 판상부의 존재로 인하여, 표면에 전사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에 대한 접촉각이 매우 커질 수 있으며, 상기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상기 필름에 접하는 면적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는 상기 필름의 내부 구조 상에 형성되는 공기 주머니(air pocket)를 감싸는 형태를 취할 수 있어서, 공기 주머니(air pocket)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표면에 전사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을 일부 지지 하여 이들이 필름 내부로 파고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에 전사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에 대한 접촉각을 보다 높이고 공기 주머니(air pocket)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미세 돌기의 기둥부는 원기둥, 원뿔대, 다각기둥, 다각뿔대, 역원뿔대 또는 역다각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판상부는 상기 기둥부의 윗면, 즉 상기 기둥부의 돌출 방향 최외각면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판상부는 상기 기둥부의 돌출 방향의 상부 최외각면의 전체 면적에 접하면서도, 이러한 기둥부의 상면의 최외각부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넓이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기둥부의 돌출 방향의 최외각면의 단면적(기재와 수평 방향에 대한 단면)에 비하여 1.2배 내지 10배의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넓이가 너무 작으면 판상부를 포함함에 따른 효과의 발현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부의 넓이가 너무 크면 상기 필름 외부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미세 돌기의 구조가 쉽게 붕괴될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형태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들 들어 상기 필름의 기재면 방향에 대한 상기 판상부의 단면이 원, 타원 또는 3 내지 20의 내각을 갖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의 기재면 방향에 대한 상기 판상부의 단면은 상기 필름의 기재면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상기 판상부 단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의 수직 방향에 대한 상기 판상부의 단면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 일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의 최대 직경이 0.1㎛ 내지 100 ㎛, 또는 0.2㎛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최대 직경이 너무 크면, 상기 필름의 표면에서 판상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커지거나,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상기 필름에 접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넓어져서 통상의 평면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구조 또는 특성을 갖게 되어 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부의 최대 직경이 너무 작으면, 상기 미세 돌기가 판상부를 포함하지 않은 것과 같은 형상을 갖게 되거나, 상기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상기 필름에 접할 때에 상기 판상부에 따른 입체 구조적 특성이 발현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의 두께는 0.05 ㎛ 내지 10 ㎛, 또는 0.2 ㎛ 내지 2 ㎛일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상기 필름 외부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판상부가 너무 두꺼우면 상기 기재와 상기 미세돌기로 정의되는 공간 내에 공기 주머니가 형성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의 기둥부의 높이가 0.02 ㎛ 내지 40 ㎛, 또는 0.05 ㎛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의 기둥부의 높이는 상기 필름의 기재면으로부터 판상부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의 높이가 너무 작으면, 상기 미세 돌기와 필름의 기재면으로 정의되는 공간이 공기 주머니(air pocket)를 형성하기에 적절한 부피나 형상을 갖기 어렵거나 형성되는 공기 주머니가 쉽게 붕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돌기의 높이가 너무 크면, 상기 필름이나 미세 돌기 자체의 기계적 경도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의 돌출 방향으로의 단면의 최초 폭이 0.1 ㎛ 내지 200 ㎛, 또는 0.2 ㎛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 단면의 최초 폭이 너무 작으면,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의 표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돌기 단면의 폭이 너무 크면,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 외부에 전사되는 표면에 전사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에 대한 접촉각이 낮아지거나 이들에 대한 반발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돌기 단면의 최초 폭이 너무 작거나 크면,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상기 필름 표면에 접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넓어져서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이 통상의 평면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구조 또는 특성을 갖게 되어버릴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는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미세 돌기의 각 부분, 예를 들어 상기 기둥부 및 판상부가 서로 같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 돌기는 유리, 실리콘, 금속으로 도핑된 실리콘, 폴리실리콘, 실리콘계 고분자, 금속,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감광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세 돌기의 재질로 사용 가능한 성분이 포함된 기재 상에 에칭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판상부의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에칭하여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후에 남은 재료를 에칭하여 상기 미세 패턴의 기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재 상에 상기 미세 돌기의 기둥부를 이루는 성분을 적층하고 그 위에 상기 판상부를 이루는 성분을 적층한 이후에, 에칭 마스크를 이용하여 판상부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판상부를 이루는 재료 및 기둥부를 이루는 재료를 순차적으로 에칭함으로서, 상술한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돌기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기판(예들 들어 실리콘 기판, 유기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 등)에 도포하고, 노광 및 알카리 현상하여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들 들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기판에서 도포한 후, 특정 패턴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하고, 미세 돌기의 돌출 방향 쪽 또는 이의 후면 방향에서 노광하고 현상하여, 측면이 경사를 갖는 역원뿔대의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은, 상기 미세 돌기 외부에 적층된 5㎚ 내지 5 ㎛의 두께를 갖는 불소계 화합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외부에 불소계 고분자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올레산 또는 증류수에 대하여 보다 높은 접촉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발수성 및 초발유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층은 불소계 단분자 화합물, 불소계 고분자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단분자 화합물은 불소가 치환된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실록산계 분자이거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 또는 분자는 상기 미세 돌기 또는 일 구현예의 필름의 표면과 결합 가능한 에폭시 실란, 메톡시 실란, 클로로 실란 등의 작용기를 말단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고분자 화합물은 불소를 포함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단량체를 이용하여 합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계 고분자 화합물은 불소계 작용기가 치환된 (메타)아크릴레이계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소계 작용기가 치환된 (메타)아크릴레이계 고분자 화합물은 탄소수 2 내지 12의 퍼플루오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플루오로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플로오로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은 3㎕의 올레산(oleic acid)에 대하여 130°이상의 접촉각, 또는 130°내지 150°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필름은 3㎕의 증류수에 대하여 130°이상의 접촉각, 또는 130°내지 150°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름에서는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에 대하여 극히 높은 접촉각과 높은 반발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접촉하는 면적 또한 극히 작다. 상기 일 구현예의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은 유기물 성분 및 수분 성분에 모두 대하여 Cassie-Baxter state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발명의 일 구현예의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름은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를 2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미세 돌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필름은 3㎕의 올레산(oleic acid)에 대하여 130°이상의 접촉각, 또는 130°내지 150°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은 3㎕의 증류수에 대하여 130°이상의 접촉각, 또는 130°내지 150°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름에서는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에 대하여 극히 높은 접촉각과 높은 반반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접촉하는 면적 또한 극히 작다. 상기 필름은 유기물 성분 및 수분 성분에 모두 대하여 Cassie-Baxter state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자 장치는 각종 전기 소자, 디스플레이 장치, 반도체 장치, 가전 제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전기 전자 장치의 예로는, TV, 컴퓨터 모니터, 핸드폰 액정 장치, 다양한 LCD, LED 또는 OLED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진 집적회로소자, 열전자방출소자, 전자식 카메라의 전하결합소자, 태양전지 또는 발광소자 등의 전기 소자; 또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밥솥, 오븐 등의 가전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은 상기 전기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미세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필름을 전기 전자 장치에 형성하여 상술한 초발수 및 초발유성 특성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술한 구현예들의 필름의 표면이 갖는 구조적인 특성을 전지 전자 장치의 일면에 형성함으로서 상술한 구현예들에서 나타나는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가 2이상 형성되어 있는 외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 내지 0.4인 전기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들의 전기 전자 장치의 외부면에는 상기 특정 형상의 미세 돌기가 상술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형성되어,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에 대하여 극히 높은 접촉각과 높은 반발력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면에 대하여 유기물 성분이나 수분 성분이 접촉하는 면적 또한 극히 작다.
그리고, 상기 구현예들의 전기 전자 장치의 외부면은 유기물 성분 및 수분 성분에 모두 대하여 Cassie-Baxter state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들의 전기 전자 장치의 외부면의 구조적인 특징은 상술한 구현예들의 필름에 관해서 상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구현예들의 전기 전자 장치의 외부면에는 불소계 화합물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표면에 전사되는 오염 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사된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필름과,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표면에 전사되는 오염 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사된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발수성 및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외부면을 포함한 전기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1의 필름의 미세 돌기의 단면 SEM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2는 실시예1의 필름의 평면 SEM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 실시예 비교예 : 필름의 제조>
실시예1
(1) 미세 돌기의 형성
실리콘 웨이퍼 상에 PECVD(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이용하여 500nm 두께의 SiO2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SiO2층 상에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직경 22㎛의 판상부 패턴이 형성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포토레지스트 박리액을 사용하여 상기 판상부의 패턴(에칭 마스크 역할)만을 남기고 다른 부분은 제거하였다.
이후, BOE(buffered oxided etchant)를 이용하여 상기 SiO2층을 에칭하여 상기 판상부의 패턴으로도 구현되는 미세 돌기의 판상부[두께: 0.3㎛]를 형성하고, 수산화칼륨 용액(실리콘 웨이퍼 에칭)을 사용하여 실리콘을 에칭하여 3㎛ 높이의 패턴의 기둥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판상부 및 기둥부를 포함한 미세돌기가 형성된 필름의 단면도 및 평면도는 각각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다.
(2) 불소계 화합물층 형성
상기 형성된 판상부 및 기둥부를 포함한 미세돌기가 형성된 필름의 표면에 기상 증착 방식으로 fluoroctatrichlorosilane(FOTS)을 적층하고, 100℃ 오븐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하였다. 상기 열처리 이후, n-헥센을 이용하여 미적층 잔류 FOTS를 제거하여, 불소계 화합물층이 표면에 적층된 필름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1에서 얻어진 필름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은 약 0.375이였다.
실시예2
(1) 미세 돌기의 형성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 22㎛의 판상부 및 높이 3㎛의 포함한 미세돌기가 형성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2) 불소계 화합물층 형성
상온에서 플루오로알콜(fluoroalcohol, 3M사 FC3283) 용액에 Optool DSX를 0.8wt%의 함량으로 희석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판상부 및 기둥부를 포함한 미세돌기가 형성된 필름을 상기 코팅액에 침지하여 표면 처리하였다.
상기 표면 처리된 필름을 60℃ 및 90RH%의 조건의 항온 항습기에서 60분 동안 처리하여, 불소계 화합물층이 표면에 적층된 필름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2에서 얻어진 필름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은 약 0.375이였다.
비교예1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 22㎛의 판상부 및 높이 0.9㎛의 기둥부를 포함한 미세돌기가 형성하고 상기 미세 돌기 상에 불소계 화합물을 적층하였다. 다만, 이와 같이 얻어진 필름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은 0.09이였다.
< 실험예 : 필름의 물성 측정>
1. 정접촉각 측정
탄젠트 방법(Tangent method)에 의하여 물과 올레산(oleic acid) 3㎕ 각각을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필름 상에 올리고, DSA 100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정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정접촉각 측정 결과
3㎕의 올레산 3㎕의 증류수
불소계 화합물층 형성 전 불소계 화합물층 형성 후 불소계 화합물층 형성 전 불소계 화합물층 형성 후
실시예1 15 144 31 142
실시예2 15 144 31 147
비교예1 15 80 31 129
상기 표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특정 형태의 미세 돌기가 형성된 상기 실시예의 필름은 물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올레산에 대해서도 높은 접촉각을 나타내어 우수한 발수성 및 발유성을 함께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의 내오염성 필름의 경우, 증류수 및 올레산 모두에 대하여 130 °이상의 접촉각을 나타내어 초발수성 및 초발유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1에서 얻어진 필름은 실시예 1 및 2의 필름에 비하여 증류수 및 올레산 대한 접촉각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점이 확인되었다.

Claims (14)

  1.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microhoodoo)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를 2이상 포함하고,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가 상기 기둥부의 돌출 방향의 최외각 단면에 비하여 1.2배 내지 10배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미세 돌기는 유리, 실리콘, 금속으로 도핑된 실리콘, 폴리실리콘, 실리콘계 고분자, 금속,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감광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 내지 0.4인,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의 기둥부는 원기둥, 원뿔대, 다각기둥, 다각뿔대, 역원뿔대 또는 역다각뿔대의 형상을 갖는, 필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기재면 방향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의 단면이 원, 타원 또는 3 내지 20의 내각을 갖는 다각형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의 최대 직경이 0.1㎛ 내지 100 ㎛인,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의 두께가 0.05 ㎛ 내지 10 ㎛인,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의 높이가 0.02 ㎛ 내지 40 ㎛인,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의 돌출 방향으로의 단면의 최초 폭이 0.1 ㎛ 내지 200 ㎛인, 필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 외부에 적층된 5㎚ 내지 5 ㎛의 두께를 갖는 불소계 화합물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11. 제1항의 필름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3㎕의 올레산(oleic acid)에 대하여 130°이상의 접촉각을 갖는, 전기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3㎕의 증류수에 대하여 130°이상의 접촉각을 갖는, 전기 전자 장치.
  14.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윗면에 위치한 판상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후드(microhoodoo) 형상을 갖는 미세 돌기가 2이상 형성되어 있는 외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 돌기의 판상부가 상기 기둥부의 돌출 방향의 최외각 단면에 비하여 1.2배 내지 10배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미세 돌기는 유리, 실리콘, 금속으로 도핑된 실리콘, 폴리실리콘, 실리콘계 고분자, 금속,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감광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미세 돌기들의 판상부 간의 거리(S)에 대한 상기 미세 돌기 중 하나의 높이(H)의 비율(H/S)이 0.2 내지 0.4인, 전기 전자 장치.
KR1020140098907A 2013-08-02 2014-08-01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KR101808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7140 WO2015016681A1 (ko) 2013-08-02 2014-08-01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US14/422,655 US20150225608A1 (en) 2013-08-02 2014-08-01 Water repellent and oil repellent film,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apparatus
TW103126533A TWI527889B (zh) 2013-08-02 2014-08-01 拒水拒油膜以及電氣與電子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080 2013-08-02
KR1020130092080 2013-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149A KR20150016149A (ko) 2015-02-11
KR101808756B1 true KR101808756B1 (ko) 2017-12-14

Family

ID=5257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907A KR101808756B1 (ko) 2013-08-02 2014-08-01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7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878A (ja) 2007-02-20 2008-10-02 Hoya Corp 防塵性反射鏡及びそれを具備する光学系装置
WO2012088209A2 (en) * 2010-12-20 2012-06-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perhydrophobic and superoleophobic nanosurfa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878A (ja) 2007-02-20 2008-10-02 Hoya Corp 防塵性反射鏡及びそれを具備する光学系装置
WO2012088209A2 (en) * 2010-12-20 2012-06-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perhydrophobic and superoleophobic nanosurfa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esoon Im 외 4명, "A robust superhydrophobic and superoleophobic surface with inversetrapezoidal microstructures on a large transparent flexible substrate", Soft Matter, 2010, 6, pp. 1401-14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149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144B1 (ko) 플렉시블 가스 배리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
CN105489786B (zh) 阵列基板的封装结构及封装方法、显示面板
CN106660260A (zh) 具有凹凸图案的构件的制造方法
JP6166472B2 (ja) 耐指紋性フィルムおよび電気電子装置
JP6252490B2 (ja) ガラス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シリコーン樹脂層付き支持基材
JP2013084526A (ja)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樹脂層付きキャリア基板の製造方法
KR20130055311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780407B (zh) 氣體通透性覆板及其使用方法
WO2017057220A1 (ja) 撥水性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978912B2 (ja) ガラス積層体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170354999A1 (en) Method for forming super water-repellent and super oil-repellent surface, and object manufactured thereby
EP2881423B1 (en) Film having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and electric/electronic device
KR101620786B1 (ko) 초소수성 표면 형성 방법
KR101808756B1 (ko)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KR20150016146A (ko)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KR101819477B1 (ko)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전자 장치
KR20140120557A (ko) 그래핀 옥사이드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내투습성 코팅 조성물
KR101449633B1 (ko) 고휘도 모아레 프리 마이크로 렌즈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과 마이크로 렌즈 필름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장치
KR20150016148A (ko) 내지문성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TW201906081A (zh) 射流組裝基板及製造此基板之方法
KR101792756B1 (ko) 고투명도 및 저헤이즈 특성을 갖는 내지문성 필름 및 전기 전자 장치
KR101567312B1 (ko) Oled 광추출용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
TWI656967B (zh) 玻璃積層體及其製造方法、電子裝置之製造方法
KR101769183B1 (ko)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도성 필름
TW201728434A (zh) 防水性部件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