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580B1 -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580B1
KR101808580B1 KR1020147008002A KR20147008002A KR101808580B1 KR 101808580 B1 KR101808580 B1 KR 101808580B1 KR 1020147008002 A KR1020147008002 A KR 1020147008002A KR 20147008002 A KR20147008002 A KR 20147008002A KR 101808580 B1 KR101808580 B1 KR 101808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olant
discharge pressure
too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264A (ko
Inventor
유지 가와노
Original Assignee
니뽄 오이루폼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오이루폼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오이루폼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for cool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38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0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24Controlling the inlet pressure, e.g. back-pressure regula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9Rotational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05Pressure after the pump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8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한 파라미터에 의한 냉각제의 분사를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구(D)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펌프(101)와, 펌프(101) 토출압을 계측하는 계측장치(22)와 제어장치(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장치(50)는 펌프(101)의 회전수로부터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공구(D)에서 천공했을 때의 펌프 토출압의 목표값(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COOLANT SUPPLY DEVICE AND SUPPLY METHOD}
이 발명은 공작 기계, 특히 센터 통과(스핀들 통과) 냉각제 타입의 드릴 등, 기름 구멍을 가진 절삭 공구에 대하여 냉각제를 공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센터 통과(스핀들 통과) 냉각제 타입의 머시닝 센터에 있어서, 동 머시닝 센터(200)는 가공용 테이블(205), 주축(210), 공구(220), 냉각제 노즐(240)을 구비하고 있다. 가공용 테이블(205)에는 피가공물인 작업물(400)이 고정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난 냉각제 펌프(100)는 1대의 펌프에서 저압의 냉각제와 고압의 냉각제를 토출하는 타입의 펌프이다. 냉각제 펌프(100)의 고압 라인(Lh)은 공구(220)에 연통되며, 냉각제 펌프(100)의 저압 라인(Ll)은 냉각제 노즐(240)에 연통되어 있다. 냉각제 펌프(100)는 냉각제의 저장탱크(300)에 설치되어 있다.
도 9의 머시닝 센터(200)에 있어서, 냉각제 펌프(100)에서 토출된 저압 냉각제는 노즐(240)에 공급되고, 노즐(240)에서 작업물(400) 전체로 향해 분출된다. 노즐(240)에서 작업물(400) 전체에 분출된 냉각제는 가공중의 금속분말을 제거한다. 한편, 냉각제 펌프(100)에서 토출된 고압이면서 또한 청정한 냉각제는 공구(220)의 선단에서 분출한다. 공구(220)의 선단에서 냉각제를 고압으로 분출함으로써, 절삭 조각이 작업물(400)에 침투되는 것 등을 방지하여,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도 9의 고압 냉각제용 공구(220)는 공구중앙부를 관통하는 냉각제 유로를 고압 냉각제가 통과하여 가공해야 할 작업물에 대하여 냉각제를 분사하고 있어, 이른바 센터 통과 냉각제 타입의 공작기계인 것이다.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센터 통과 냉각제의 공작기계에 있어서는, 냉각제의 분사를 적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기계가공을 정확하게 행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 외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냉각제의 압력과 유량의 곱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이른바 일정한 마력의 운전을 실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냉각제의 압력과 유량의 곱이 거의 일정하게 하는 이른바 일정한 마력 운전을 실시하는 제어도, 제어해야 할 파라미터가 압력과 유량의 2종류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 자체가 복잡하게 되어 이에 따른 제어계가 복잡해진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0006][특허문헌 1]특허 제 4250999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단일의 파라미터에 의한 냉각제의 분사를 적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냉각제 공급장치(500)는 공구(D:예를 들면, 센터 통과 냉각제의 드릴)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펌프(예를 들면, 기어 펌프 101)와, 펌프(101)의 토출압을 계측하는 계측장치(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와, 제어장치(콘트롤 유닛(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장치(50)는,
펌프(101)의 회전수(스텝 S5의 임시 회전수)로부터 공구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공구(D)에서 구멍을 뚫고 있을 때의 펌프 토출압의 목표값(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기능과, 해당 목표값(목표 압력)과 계측된 펌프 토출압의 목표값(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기능과,
해당 목표값(목표 압력)과 계측된 펌프 토출압을 비교하여 펌프(101)의 회전수(혹은, 전동모터(1)의 회전수)를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기능과,
계측된 펌프 토출압에 의해 공구(D)에 의한 천공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각제 공급장치(500)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50)는 공구(D)의 무부하 운전(unload 운전)을 종료한 후, 공구(D)에서 작업물에 대하여 천공가공을 행하기 전의 단계에서, 공구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공구(D)에서 천공되고 있을 때의 펌프 토출압의 목표값(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각제 공급방법은 펌프(예를 들면, 기어 펌프 101)와, 펌프(101)의 토출압을 계측하는 계측장치(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와, 제어장치(콘트롤 유닛(50))를 구비한 냉각제 공급장치(500)에 의해, 공구(D: 예를 들면, 센터 통과 냉각제의 드릴)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펌프(101)의 회전수(스텝 S5의 임시 회전수)로부터,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공구(D)에서 구멍을 천공하고 있을 때의 펌프 토출압의 목표값(목표 압력)을 결정하고 펌프 토출압을 계측하며,
상기 목표값(목표 압력)과 계측된 펌프 토출압을 비교하여, 펌프(101)의 회전수(혹은, 전동모터(1)의 회전수)를 증가 혹은 감소시키며,
계측된 펌프 토출압에 의해 공구에 의한 천공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냉각제 공급방법에 있어서, 공구(D)의 무부하 운전(언로드 운전)을 종료한 후, 공구(D)에서 작업물에 대하여 천공가공을 행하기 전의 단계에서,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공구(D)에서 천공되고 있을 때의 펌프 토출압의 목표값(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목표값(목표 압력)과 계측된 펌프 토출압을 비교하여, 펌프 토출압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예를 들면, 펌프 (101)의 회전수 혹은 전동모터 1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펌프(101)의 토출압만이 제어 파라미터로 되어, 펌프(101)(혹은, 전동모터(1))의 회전수의 피드백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펌프(101)(혹은, 전동 모터(1))의 회전수 피드백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어, 펌프(101)의 토출압력만을 제어함으로써 공구(D)에 냉각제를 적정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통과 냉각제의 드릴 등의 공구(D)로부터의 정보, 예를 들면, 센터를 맞추어 놓은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에 관한 정보를 펌프(101) 측에 입력하지 않고, 펌프(101) 측에서 독자적으로,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그 냉각제용 유로 지름에 최적인 펌프 토출압력(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처럼, 센터 통과 냉각제의 드릴 등의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을 결정했을 때에, 그에 대응하여 펌프(101) 측에서 자동적으로 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공구(D)와 펌프(101)의 조합은 무수히 있고, 또 해당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도 여러 갈래로 갈려 복잡하게 걸쳐져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통과 냉각제의 드릴 등의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에 관한 정보를 펌프(101) 측에 입력하지 않고, 펌프(101) 측에서 독자적으로 해당 공구(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공구(D)와 펌프(101)의 조합이 무수히 있어도, 또한 해당 공구(D)의 냉각제용 구멍 지름이 여러 종류라고 해도, 냉각제를 공급하는 펌프 측에서 공구(D)의 냉각제용 구멍 지름을 결정하여 이에 최적인 냉각제의 토출 압력을 결정해 공구(D)에 의한 천공가공을 적정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콘트롤 유닛 기능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제 분사제어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제 분사제어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펌프의 회전량과 냉각제 유량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6은 냉각제 유량과 드릴의 냉각제용 유로의 내경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7은 드릴의 냉각제용 유로의 내경과 목표 압력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8은 목표 압력과 아이들 회전수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9는 센터 통과 냉각제 타입의 머시닝 센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냉각제 공급장치는 전체를 부호 500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냉각제 공급장치(500)는 냉각제용 펌프(예를 들면, 기어 펌프)(101)와, 선택 밸브(V2)(예를 들면, 3포트 2포지션 타입)와, 냉각제 저장탱크(301)와, 제어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제용 펌프(101)는 전동 모터(예를 들면, 브러시 없는 모터)(1)와, 고압발생부(고압 펌프)(2)와, 안전 밸브(V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냉각제용 펌프(101)에는, 고압발생부(2)는 펌프 구동축(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펌프 구동축(5)은 커플링(1C)에 의해 전동 모터(1)의 회전축(1s)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펌프 구동축(5)과 커플링(1C)을 생략하고 전동 모터(1)의 회전축(1s)에 의해 고압발생부(2)를 직접 회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펌프(101)의 토출압을 변동시키기 위하여, 펌프(101) 혹은 전동 모터(1)의 회전수(고압 펌프(2)의 회전수)를 증가 혹은 감소시킨다. 그러나,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펌프(101)의 회전수 피드백 제어, 고압 펌프(2)의 회전수 피드백 제어, 혹은 전동 모터(1)의 회전수 피드백 제어는 실시하지 않는다.
고압발생부(2)의 흡입구(2i)에는 라인(L1)이 접속되어 있다. 라인(L1)은 냉각제 저장탱크(301) 내에 개방되어 있으며, 냉각제의 흡입라인으로 기능한다. 고압발생부(2)로부터 냉각제를 토출하는 토출구(2o)는 라인(L5)을 통하여 제2 접속구(C2)에 연통된다.
라인(L5)에는 고압발생부(2) 측의 영역에 제1 분기점(B1)이 설치되고, 제2 접속구(C2) 측의 영역에는 제2 분기점(B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분기점(B1)으로부터는 파일럿 라인(Lp)이 분기하여 냉각제용 펌프(101) 내의 라인 압력을 파일럿 압력으로 하여 안전 밸브(V1)에 공급한다. 제2 분기점(B2)으로부터는 안전 밸브(V1)를 도중에 구비한 라인(L6)이 분기하고 있고, 그 라인(L6)은 냉각제 저장탱크(301) 내에 개방되어 있다. 라인(L5)의 압력(고압발생부 2의 토출압력)이 소정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안전밸브(V1)를 개방하여서 라인(L5)의 압력을 냉각제 저장탱크(301) 내에 방출하여서, 냉각제용 펌프(101)의 안전을 확보한다.
라인(L5)은 제2 접속구(C2)에 있어서 라인(L21)에 연통되어 있다. 라인(L21)에는 라인(L5)을 흐르는 냉각제의 압력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시인용 압력계(7)가 도중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시인용 압력계(7)는 냉각제용 펌프(101)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라인(L21)은 유로 전환밸브(V2)에 연통된다. 라인(L21)에 있어서, 시인용 압력계(7)와 유로 전환밸브(V2)와의 사이의 영역에는, 냉각제용 펌프(101)(고압 펌프(2))의 토출압을 계측하는 펌프 토출압 계측장치(이하, 토출압 게이지라고 한다)(22)가 도중에 마련되어 있다. 토출압 게이지(22)의 계측 결과는 입력 신호 라인(Si2)을 통하여 제어장치(50)로 보내진다.
유로 전환밸브(V2)의 배출 측(도 1에서 왼쪽 방향)과 드릴(D)(공구)은, 라인(L22)에 의하여 접속된다. 라인(L22)에는 라인 필터(20) 및 역류방지밸브(V3)가 개장되어 있다. 역류방지밸브(V3)는, 유로 전환밸브(V2)로부터 드릴(D) 측에 냉각제가 흐르는 것이 허용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 방향(드릴(D)측으로부터 유로 전환밸브(V2)로 향하는 방향)으로 냉각제가 흐르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유로 전환밸브(V2)는 제어 신호 라인(So2)를 통하여 제어장치(5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유로 전환밸브(V2)에는, 냉각제 되돌림 라인(23)이 접속되며, 냉각제 되돌림 라인(23)의 타단은, 냉각제 저장탱크(301)의 저부 근처에 개방되어 있다. 드릴(D)(공구)에는 냉각제 회수 라인(L30)의 일단이 접속되며, 냉각제 회수 라인(L30)에 의해 절삭 후 냉각제를 회수한다. 냉각제 회수 라인(L30)의 타단은 냉각제 저장탱크(301) 바닥 근처에 개방되어 있다.
드릴(D)(공구)에 있어서 냉각제용 유로 지름을 설정한 때에, 펌프(101) 측에 있어 자동적으로 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드릴(D)과 펌프(101)와의 조합은 무수히 있고, 해당 드릴(D)에 형성된 냉각제용 유로의 지름도 여러 갈래로 갈려 복잡하게 걸쳐져 있기 때문이다. 또, 드릴(D)의 특성과 펌프(101)의 특성은 사용 조건, 설치 조건, 그외의 여러 가지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냉각제 공급장치(500)는 펌프(101) 측에 있어서, 펌프(101) 측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드릴(D)에 형성된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그 유로 지름에 최적한 펌프 토출압력(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냉각제 공급장치(500)에 의하면, 드릴(D)과 펌프(101)를 설정하여 조합한 당초에 도 5 ~ 도 8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각종 특성을 요구하면, 이하에 말하는 것과 같은 모양에 따라, 설정된 드릴(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에 관한 정보를 펌프(101) 측에 입력하지 않고, 펌프(101) 측에서 독자적으로 드릴(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목표 압력을 결정한다.
드릴(D)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 제어장치(50)에 대하여, 기능 블록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제어장치(50)는 기억장치(50m)와,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과, 비교 블록 (50c)과, 펌프 토출압 신호용 인터페이스(50d)와, 드릴 가공 신호용 인터페이스 (50e)와, 언로드(무부하) 운전 제어 블록(50f)과, 언로드 운전 제어 신호용 인터페이스(50g)와, 타이머(50t)와, 회전수 결정 블록(50h)과, 회전수 제어 신호 발생 블록 (50j)과, 회전수 제어 신호용 인터페이스(50k)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장치(50m)는 임시 회전수, 회전수-유량 특성, 유량-드릴 유로 지름 특성(유량-냉각제 유로 지름 특성), 드릴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냉각제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 목표 압력-아이들 회전 특성이 기억되어 있다. 기억장치 (50m)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도시한 실시예가 제어를 실행할 때에 필수불가결하다. 기억장치(50m)에 기억되어 있는 "임시 회전수"는 모터(1)의 회전수(냉각제용 펌프(101) 혹은 고압 발생부(2)의 회전수)이며, 작업물의 가공 전에 냉각제용 펌프 (101)를 기동했을 때에, 일정하게 안정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이며, 또한 설정된 회전수이다. 회전수-유량 특성은, 냉각제 펌프(101)의 회전수(설정된 회전수:도 3의 스텝(S5)의 임시 회전수)와 압력별의 펌프의 토출 유량과의 관계이며, 예를 들면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특성이다. 도 5에서는, 냉각제 펌프(101)의 토출 압(Pc)이 0Mp~4Mp에 있어서의 회전수-유량 특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세로축은 유량을 나타내고, 가로축이 회전수(설정된 회전수: 도 3의 스텝 S5의 임시 회전수)이다.
유량-드릴의 유로 지름의 특성은, 드릴로 공급되는 유량과, 드릴에 형성된 냉각제용 유로의 내경 치수(냉각제용 유로 지름)와의 관계이며, 도 6의 특성도로 예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예시하는 유량-드릴의 유로 지름 특성에서도, 냉각제 펌프(101)의 토출압을 파라미터(Pc이 0Mp, 1Mp~4Mp)로 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세로축이 유량, 가로축이 드릴의 유로 지름(도 6에서는 "드릴 구멍 지름"으로 표시)이다. 드릴의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은, 드릴에 형성된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공급하는 냉각제의 목표 압력(펌프(101)의 목표 토출 압력)과의 관계이며, 도 7에서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세로축이 목표 압력(도 7에서는 "필요 압력"으로 표시), 가로축이 드릴의 유로 지름(도 7에서는 "드릴 구멍 지름"으로 표시)이다.
드릴의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은, 드릴(에 있어서의 냉각제)유로 지름을 φ, 목표 압력을 Pca로 하면, 예를 들면, 다음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Pca=k * 1/φε(k, ε는 정수)
도 8은 공급하는 냉각제의 목표 압력(펌프(101)의 목표 토출압)과 냉각제 펌프(101)의 아이들 회전수와의 관계를 예시하는 특성도이다. 여기서, "아이들 회전수"는 작업물을 절삭하지 않을 때(가공 대기 시)의 냉각제 펌프(101)의 회전수를 의미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1)와 고압 발생부(2) 사이에 변속기 등이 사이에 장치되어 있어, 모터(1)의 회전수와, 고압 발생부(2)의 회전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은, 기억장치(50m)와 신호 라인 Sc2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기억장치(50m)에서 기억된 회전수-유량 특성과, 유량-드릴 유로 지름 특성과 드릴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이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 보내진다.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은, 적정하게 설정된 펌프(혹은 전동 모터) 회전수(도 3의 스텝(S5)의 "임시 회전수")와, 상술한 각종 특성에 따라(기초하여), 펌프의 목표 압력(펌프 토출압의 목표값)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는, 신호 라인 Sc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 라인Sc4는 분기점(Bc2)에서 분기하고, 비교 블록(50c) 및 회전수 결정 블록(50h)에 접속되어 있다.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서 결정된 펌프 목표 압력의 정보는, 신호 라인(Sc4)을 통해 비교 블록(50c) 및 회전수 결정 블록(50h)에 전달된다.
비교 블록(50c)은 펌프 토출압 신호용 인터페이스(50d)와 신호 라인 (Sc5)에 의해 접속되며, 그 펌프 토출압 신호용 인터페이스(50d)는 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와 신호 라인 Si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비교 블록(50c)은 회전수 결정 블록(50h)과 신호 라인 Sc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비교 블록(50c)은, 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에서 펌프 토출압 신호용 인터페이스(50d)를 통해 냉각제 펌프(101)의 토출압 계측 결과가 입력된다. 그리고, 냉각제 펌프(101)의 토출압 계측 결과와, 냉각제 펌프(101)의 토출압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펌프(101) 혹은 모터(1)의 회전수 증감을 판단하고, 펌프(101) 혹은 모터 (1)의 회전수를 증감하는 제어 신호(회전수 증감 신호)를, 신호 라인 Sc6을 통해 회전수 결정 블록(50h)에 발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드릴 가공 신호용 인터페이스(50e)는, 신호 라인Ss를 통해 드릴 (D)(공작 기계)과 연결되어 있으며, 가공 시작 시에 드릴(D)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드릴 가공 시작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입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호 라인Ss는 도 1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2에서, 드릴 가공 신호용 인터페이스(50e)에는 신호 라인Sc7이 접속되어 있다. 신호 라인Sc7은 분기점(Bc3)에서 분기하여, 회전수 결정 블록(50h) 및 언로드 운전 제어 블록(50f)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공 시작 시에 드릴(D)로부터 발신되는 드릴 가공 시작 신호가, 드릴 가공 신호용 인터페이스(50e), 신호 라인 Sc7을 통해, 회전수 결정 블록(50h), 언로드 운전 제어 블록(50f)에 전달된다.
회전수 결정 블록(50h)은, 신호 라인 Sc8을 통해 회전수 제어 신호 발생 블록(50j)에 접속되고, 라인 Sc12을 통해 타이머(50t)와 연결되어 있다. 회전수 결정 블록(50h)은, 드릴 가공 신호용 인터페이스(50e)로부터의 드릴 가공 시작 신호, 기억장치(50m)에 기억된 임시 회전수에 관한 정보 및 목표 압력-아이들 회전수 특성,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서 결정된 펌프(101) 토출압의 목표값, 비교 블록(50c)으로부터의 회전수 증감 신호, 타이머(50t)의 계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어의 각 단계에 있어서, 펌프(101)(혹은 모터(1))의 회전 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회전수 결정 블록(50h)이, 제어의 각 단계에 있어서 펌프 (101)(혹은 모터(1))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형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언로드(무부하) 운전 제어 블록(50f)은 신호 라인 Sc10을 통해 언로드 운전 제어 신호용 인터페이스(50g)와 접속되어 있다. 언로드 운전 제어 신호용 인터페이스(50g)는, 제어 신호 라인 So2를 통해 유로 전환밸브(V2)와 접속되어 있다. 언로드 운전 제어 블록(50f)은 드릴 가공 신호용 인터페이스(50e), 신호 라인 Sc7을 통해, 드릴(D)으로부터의 드릴 가공 시작 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드릴 가공 시작 신호의 유무에 의해, 냉각제 펌프(101)가 언로드 운전을 해야 할 경우(드릴 가공 시작 신호의 전달 전)에는, 유로 전환밸브(V2)를 언로드 측(도 1의 "B 포지션")으로 바꾼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언로드 운전 제어 신호용 인터페이스(50g)를 통해 유로 전환밸브(V2)에 발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언로드 운전 제어 블록(50f)은, 타이머(50t)와 신호 라인 Sc11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언로드 운전 제어 블록(50f)이 언로드 OFF 신호를 발신하여, 선택 밸브(V2)를 가공 측(냉각제를 드릴(D)로 보내는 측)으로 바꾼 경우에는(도 1의 "A 포지션"), 펌프(101)(혹은 모터(1))의 회전수가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 도 3의 스텝 S5 참조)로 안정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이 약 1초라고 가정하고 있다(도 3의 스텝 S6 참조). 해당 소요 시간에 대해서도, 타이머(50t)로 계측한다.
도 2에 있어서, 회전수 제어 신호 발생 블록(50j)은 냉각제 공급장치 (500)의 펌프(101)(혹은 모터(1))의 회전수를, 회전수 결정 블록(50h)에서 결정한 회전수로 하게 하기 위한 회전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회전수 제어 신호 발생 블록(50j)은 신호 라인 Sc9를 통해 회전수 제어 신호용 인터페이스(50k)와 접속되며, 그 회전수 제어 신호용 인터페이스(50k)는 제어 신호 라인 So1을 통해 냉각제 공급장치(500)의 모터(1)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수 제어 신호 발생 블록(50j)으로부터 발진되는 상술한 회전수 제어 신호가 모터(1)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공작 기계의 드릴(D)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경우의 제어에 대해 도 1, 도 2, 도 5 ~ 도 8을 참고하면서 도 3,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어를 시작할 때는, 도 3의 스텝 S1, S2에서 유로 전환밸브(V2)를 언로드 운전(무부하 운전: 도 1에서는 "B포지션")측으로 전환하여(언로드 ON), 냉각제 공급장치(500)에 언로드 운전을 실행시킨다.
언로드 운전시에는 유로 전환밸브(V2)에서 라인 L21이 라인 L23에 연통하며(도 1의 "B포지션"), 펌프(10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제는 냉각제 저장탱크 (301)로 되돌려진다. 스텝 S3에서는 제어장치(50)에 의해 냉각제를 드릴에 공급할지의 여부(드릴 냉각제 ON인가?)를 판단한다. 제어장치(50)는 드릴(D) 측에서 가공 시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냉각제를 드릴(D)에 공급할지 안할지를 판단한다.
드릴(D) 측에서 가공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냉각제를 드릴에 공급하지 않는다면(스텝 S3이 NO), 선택 밸브(V2)를 도 1의 "B포지션"으로 하여, 냉각제 공급장치(500)에 언로드 운전을 계속 진행시킨다(스텝 S3이 NO의 루프). 한편, 드릴(D) 측에서 가공 시작 신호가 입력되어, 냉각제를 드릴(D)에 공급하는 경우에는(스텝 S3이 YES), 스텝 S4로 진행하여, 선택 밸브(V2)를 도 1의 "A포지션"(라인 L21이 라인 L22에 연통하는 상태)로 바꾼다. 그리고,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펌프(101) 혹은 모터(1)에 제어 신호를 발신하여 펌프(101)의 회전수(혹은 모터(1)의 회전수)를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로 설정한다. 여기서, 펌프 회전수(혹은 모터 회전수)를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로 설정하는 것은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펌프 회전수(혹은 모터 회전수)를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로 설정하는 것과 동시에, 타이머(50t)에 의한 계시를 시작한다. 다음 스텝 S6에서는, 제어장치(50)가 펌프 회전수를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로 설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펌프 회전수를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로 설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하지 않으면(스텝 S6이 NO),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6이 NO의 루프). 펌프 회전수를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로 설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하면(스텝 S6이 YES), 스텝 S7으로 진행한다.
도 3의 스텝 S7의 단계에서는, 펌프(101)의 회전수(혹은 모터(1)의 회전수)를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로 설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하고 있으면(스텝 S6이 YES), 펌프(101)(혹은 모터(1))의 회전이 안정된 상태이다. 스텝 S7에서는, 펌프(101)의 회전이 안정된 상태에서 설정된 회전수(스텝 S5의 임시 회전수:예를 들면, 1000rpm)와, 그 시점의 펌프(101) 토출 압력(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에서 계측된 펌프 토출압(Pc))에 기초하여, 도 5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회전수-펌프 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여,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도 2 참조)에 따라, 그 시점에서의 펌프(101)의 토출 유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압력이 1MPa이거나 2MPa처럼 "끝맺음이 좋은", 즉 딱 떨어지는 수치가 아닌 경우에는, 도 5의(압력마다 다르다)특성 사이의 영역을 비례 배분하여 회전수-펌프 토출 유량 특성을 결정한다. 즉, 압력이 예를 들면 1.3MPa이라면, 도 5의 압력 1MPa의 특성과, 압력 2MPa의 특성 사이의 영역을 3:7로 구분하도록 특성 곡선을 구하고, 그 특성 곡선을 "압력 1.3MPa의 회전수-펌프 토출 유량 특성"으로 하여 그 시점의 펌프 회전수로부터 펌프 토출 유량을 결정(연산)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펌프 토출 유량을 결정한 후에,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 의해, 도 5를 이용하여 결정된 펌프 토출 유량과, 도 6에서 예시하는 유량-드릴 유로 지름 특성 관계(펌프 토출 유량과 드릴(D) 내의 냉각제용 유로 안지름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를 이용하여 결정된 펌프 토출 유량을 도 6의 세로축에 적용함으로써, 도 6의 특성상 수치인 드릴 유로 지름(드릴(D)에 형성된 냉각제용 유로의 내경)을 결정한다. 도 6에서 예시하는 유량-드릴 유로 지름 특성은, 기억장치(50m)로부터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 전달된다. 여기서, 도 6에서 예시하는 유량-드릴 유로 지름 특성에 있어서도, 압력이 정수로 떨어지는 수치가 아닌 경우에는, 도 6의(펌프 토출 압력마다 다르다)특성 사이의 영역을 비례 배분하여, 그 시점에서의 펌프(101) 토출압(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에서 계측된 펌프 토출압(Pc))에 대응한 유량-드릴 유로 지름 특성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유량-드릴 유로 지름 특성과, 도 5를 이용하여 결정된 펌프 토출 유량을 이용하여, 드릴 유로 지름(드릴(D)에 형성된 냉각제용 유로의 내경)을 결정(연산)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드릴 유로 지름을 결정했다면,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 의해, 도 7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드릴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을 이용하여,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값(목표 압력)을 결정한다. 도 7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드릴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도, 기억장치(50m)로부터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 전달된다.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서는, 도 6을 이용하여 결정된 드릴 유로 지름을 도 7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드릴 유로 지름-목표 압력 특성에 적용하는(도 6을 이용해 결정된 드릴 유로 지름을, 도 7의 가로축에 적용)것에 의해, 도 7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특성 선상의 수치인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값(목표 압력)이 결정된다. 이에 의해, 도 3의 스텝 S7에 있어서,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값(목표 압력)이 결정된다. 그리고, 스텝 S8으로 진행한다.
도 3의 스텝 S8에서는, 스텝 S7에서 결정한 목표 압력으로부터 도 8에서 예시된 것 같은 특성(목표 압력-아이들 회전수 특성)을 이용하여, 아이들 회전수를 결정하고 있다. 아이들 회전수는, 회전수 결정 블록(50h)(도 2)에서 결정된다. 회전수 결정 블록(50h)에는, 목표 압력 결정 블록(50b)에서 결정된 목표 압력(스텝 S7에서 결정된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값)이 전달되고, 기억장치(50m)로부터 목표 압력-아이들 회전수 특성이 전달된다. 회전수 결정 블록(50h)에서는, 목표 압력-아이들 회전수 특성에 스텝 S7에서 결정된 목표 압력을 적용하여(예를 들면, 스텝 S7에서 결정된 목표 압력을 도 8의 가로축에 적용시켜),도 8에서 예시되는 것처럼 특성 선상의 수치인 아이들 회전수를 결정한다. 스텝 S8에서는, 회전수 결정 블록(50h)에서 결정된 펌프(혹은 모터)의 아이들 회전수를 회전수 제어 신호 발생 블록 (50j)에 전달하고, 펌프 토출압(Pc)을 승압 혹은 강압하기 위해 모터(1)에 회전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스텝 S9으로 진행된다.
스텝 S9에서는, 드릴(D) 측에 냉각제 공급장치(500)에서 냉각제 공급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뜻의 응답(answer back) 신호를, 예를 들면, 0.5초간만 발신한다. 이 단계에서는 드릴(D) 측으로부터 가공 시작 신호가 발신되고 있으며(스텝 S3이 YES), 드릴(D)아 작업물(400)(도 9 참조: 도 1,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할 때까지 냉각제를 드릴(D)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후술하는 스텝 S10의 제어를 행하는 전 단계에서, 냉각제 공급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뜻의 응답 신호를 드릴(D) 측에 발신한다. 드릴(D) 측에 응답 신호를 발신한 후,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도 2에는 명시되지 않지만, 해당 응답 신호는 예를 들면, 스텝 S8에서 아이들 회전수가 결정됐을 때에, 회전수 결정 블록(50h)으로부터 드릴 가공 신호용 인터페이스(50e), 신호 라인(Ss)을 통해 드릴(D)에 전송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장치(50)는 드릴(D)이 작업물(400)과 접촉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드릴(D)이 작업물과 접촉하면,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제어장치(50)는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압이 상승했는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드릴(D)이 작업물과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압이 상승했다면(스텝 S10이 YES), 드릴(D)이 하강하여 작업물(400)과 접촉하여, 천공(드릴) 가공 작업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도 4의 스텝 S12로 진행한다.
한편,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압이 상승하지 않으면(스텝 S10이 NO), 드릴(D)은 작업물(400)과 접촉하지 않고 있으며, 천공 가공작업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판단해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제어장치(50)는 드릴(D)에 의한 천공 가공은 종료하고, 드릴(D)에 냉각제를 공급할 필요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드릴 (D)에 의한 천공 가공작업이 종료하여 드릴(D)에 냉각제를 공급할 필요가 없다면(스텝 S11이 YES), 스텝 S1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드릴(D)에 의한 천공 가공작업이 종료되지 않아 드릴(D)에 냉각제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스텝 S11이 NO), 스텝 S10에 되돌아가 진행하게 된다.
도 4의 단계 S12에서는, 제어장치(50)는 펌프(101)의 토출압(Pc)(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에서 계측된 펌프 토출압)이 목표 압력 범위(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목표 압력 범위(허용 범위)는 스텝 S8에서 결정된 목표 압력에 대해, 소정의 오차 α의 범위 내에 있는 것임을 의미하며, 소정의 오차 α는 예를 들면, 목표 압력의 10%로 설정되어 있다. 즉, 스텝 S12에서는 "목표 압력-α≤토출 압력(Pc)≤목표 압력+α"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펌프(101)의 토출압(Pc)이 "목표 압력-α"보다도 저압이라면(스텝 S12에서 "목표 압력-α>"), 스텝 S13에서 펌프(101)(혹은 모터(1))의 회전수를 증가하고, 스텝 S12로 되돌아간다. 펌프(101)의 토출압(Pc)이 "목표 압력+α"보다도 고압이라면(스텝 S12에서 ">목표 압력+α"), 스텝 S14에서 펌프(101)(혹은 모터(1))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스텝 S12로 되돌아간다. 스텝 S12 ~ S14의 제어에 의해, 드릴 (D)이 작업물(400)의 천공 가공작업을 시작한 후, 펌프(101)의 토출 압력(Pc)은 목표 압력 범위 내(목표 압력-α≤토출 압력(Pc)≤목표 압력+α)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펌프의 토출 압력이 목표 압력 범위 내(목표 압력-α≤토출 압력(Pc)≤목표 압력+α)에 들어갔다면(스텝 S12이 "YES"), 스텝 S15로 진행된다.
드릴(D)에 의한 작업물(400)에의 관통 구멍의 천공이 완료되면, 펌프 (101)의 냉각제 토출 압력이 급격히 저하한다. 그 때문에, 스텝 S15에서는 펌프 (101)의 토출 압력이 급격히 저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에 의해, 드릴(D)에 의한 작업물(400)이 천공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펌프의 토출 압력이 급격히 저하한 경우에는(스텝 S15이 YES), 작업물(400)에 드릴 구멍이 천공되어 천공 가공작업이 종료됐다고 판단한다(스텝 S16). 또한, 이른바 "막힘 구멍"의 경우에는, 드릴(D)에 의한 작업물(400)의 천공이 완료되면, 드릴(D)이 절삭 부분에서 후퇴하기 때문에,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 압력이 급격히 저하한다. 다시 말하면, 드릴(D)에서 천공되는 구멍은, 관통 구멍뿐만 아니라 이른바, "막혀 있는 구멍"이라도 드릴(D)에 의한 작업물(400)의 천공이 완료되면,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 압력(Pc)은 급격히 저하하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한 제어에서는, 스텝 S12 ~ S14에 있어서 펌프(101)의 토출 압력 (Pc)이 목표 압력 범위(목표 압력-α ≤ 토출 압력 Pc ≤ 목표 압력+α)가 되었다면(스텝 S12이 "YES"), 그 후, 펌프의 토출 압력이 목표 압력 범위에서 벗어났다 해도, 급격하게 압력이 강하하지 않는 한은 무시한다(스텝 S15이 NO의 루프). 드릴(D)에 의한 천공 가공작업 중에, 작업물(400)에 천공된 드릴 구멍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 압력은 상승한다. 그러나, 제어에 의해서 "펀칭"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펌프 토출압의 변동은 무시한다.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 압력이 급격히 저하하여(스텝 S15이 YES), 작업물(400)에 드릴 구멍을 천공하는 가공이 종료됐다고 판단되면(스텝 S16), 펌프 (101)의 회전수를 아이들 회전수로 설정한다(스텝 S17). 드릴(D)을 작업물(400)로부터 뽑아낼 때에, 작업물(400)의 드릴 구멍 주변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 또는 충분한 냉각제를 분사하기 위해서이다. 또, 드릴(D)에 의한 천공 완료 후, 펌프(101)의 회전수가 천공시와 동일하면, 과도한 냉각제가 분사된다. 이에 대해 천공 후, 펌프(101)의 회전수를 아이들 회전수까지 떨어뜨림으로써, 냉각제 분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펌프(101)의 회전수를 아이들 회전수로 설정(스텝 S17)한 후, 도 3의 스텝 S10로 되돌아간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101)의 냉각제 토출압의 목표값(목표 압력)과, 펌프 토출압 계측장치(22)에 의한 계측 결과를 비교하여 펌프(101)의 회전수 혹은 전동 모터(1)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있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고압 펌프(2)의 토출압만이 제어 파라미터가 되고 있어, 펌프(101)(고압 펌프(2)) 혹은 전기 모터(1)의 회전수를 피드백 제어할 필요가 없다.
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펌프(101)(고압 펌프(2)) 혹은 전기 모터 (1)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데 있어 관련된 제어는 회전수 피드백 제어가 아니다. 펌프(101)의 토출압을 승압 혹은 강압하기 위해서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잡한(펌프(101) 혹은 전동 모터(1)) 회전수 피드백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이 펌프(101)의 토출압만을 제어하여 센터 통과 냉각제의 드릴(D)에 냉각제를 적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당업자에는 분명한 것처럼, 센터 통과 냉각제 타입의 드릴(D)에서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을 결정했을 때에, 그에 대응하여 펌프(101) 측에서 자동적으로 목표 압력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드릴(D)과 펌프(101)와의 조합은 무수히 있으며, 또 해당 드릴(D)의 드릴 냉각제용 유로 지름도 여러 방면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 통과 냉각제의 드릴(D)로부터의 정보, 예를 들어, 설정된(셋팅된) 드릴(D)의 드릴 냉각제용 유로 지름에 관한 정보를 펌프(101) 측에 입력하지 않고, 펌프(101) 측에서, 드릴 냉각제용 유로의 내경 치수(유로 지름)와, 그 냉각제용 유로 지름에 최적인 펌프 토출 압력(목표 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드릴(D)과 펌프(101)의 조합이 무수히 있어도, 또 해당 드릴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이 여러 종류 존재한다고 해도, 최적인 냉각제의 토출 압력을 결정하여 드릴에 의한 천공 가공작업을 적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의 기술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 ~ 도 7에서 나타내는 특성도는 그때그때 경우에 따라 다르다. 또, 임시 회전수(도시한 실시예에서는 1000rpm), 회전수 안정을 위한 대기 시간(스텝 S6 참조), 펌프 토출압의 목표값에 대한 허용 오차 α(목표값 10%) 등에 대해서도, 그때그때 경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냉각제가 공급되는 공구로 드릴(D)이 제시되고 있지만, 기타 공구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 전동 모터 2 : 고압 발생부/고압 펌프
3 : 흡입압 발생부/저압 펌프 4 : 이물질 제거용 사이클론
5 : 펌프 구동축 6 : 회전수 계측장치
7 : 시인용 압력계 20 : 라인 필터
22 : 펌프 토출압 계측장치/토출압 게이지
26 : 절분 채취장치
50 : 제어장치/콘트롤 유닛 301 : 냉각제 저장탱크
D : 드릴 V1 : 안전밸브
V2 : 유로 전환밸브 V3 : 역류방지밸브

Claims (4)

  1. 공구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토출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펌프의 회전수와 펌프 토출 압력 계측장치에 의해 계측된 펌프 토출 압력에 기초하여 펌프 토출 유량, 공구의 냉각제 유로 지름 및 공구에 의해 수행된 천공 시에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 값을 결정하는 기능과,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 값과 펌프 토출 압력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측정 값을 비교함으로써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 및
    계측된 펌프 토출 압력에 기초하여 공구에 의한 천공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제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공구의 무부하 운전이 종료된 후 공구에 의해 수행되는 천공에 앞선 단계에서, 공구의 냉각제 유로 지름 및 공구에 의해 수행된 천공 시의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 값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제 공급장치.
  3. 펌프가 설치된 냉각제 공급 장치와, 상기 펌프의 토출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 및 제어 장치에 의해 공구에 냉각제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펌프 토출 압력을 계측하는 단계와,
    상기 펌프의 회전수 및 펌프 토출 압력에 의거하여 공구에 의해 수행되는 천공 시의 펌프 토출 유량, 공구의 냉각제 유로 지름 및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펌프 토출 압력의 목표 값과 펌프 토출 압력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측정 값을 비교함으로써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와,
    계측된 펌프 토출 압력에 기초하여 공구에 의한 천공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제 공급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무부하 운전이 종료된 후, 공구에 의해 작업물에 수행되는 천공 이전 단계에서, 공구의 냉각제용 유로 지름과 공구로 천공하고 있을 때의 펌프 토출압의 목표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제 공급방법.
KR1020147008002A 2011-10-31 2011-10-31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1808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5038 WO2013065097A1 (ja) 2011-10-31 2011-10-31 クーラント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264A KR20140096264A (ko) 2014-08-05
KR101808580B1 true KR101808580B1 (ko) 2017-12-13

Family

ID=4819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002A KR101808580B1 (ko) 2011-10-31 2011-10-31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66681B2 (ko)
EP (1) EP2774719B1 (ko)
JP (1) JP5813129B2 (ko)
KR (1) KR101808580B1 (ko)
CN (1) CN104080576B (ko)
DK (1) DK2774719T3 (ko)
IN (1) IN2014CN03970A (ko)
WO (1) WO2013065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3670A1 (de) * 2013-03-04 2014-09-04 Index-Werke Gmbh & Co. Kg Hahn & Tessky Werkzeugmaschine
JP6331474B2 (ja) * 2014-02-28 2018-05-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の洗浄液濾過装置
CN104039117B (zh) * 2014-06-03 2017-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散热控制方法以及控制器
DE102015207682B4 (de) * 2015-04-27 2018-10-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Kraftstoffförderpumpe
CN106312682A (zh) * 2016-09-21 2017-01-1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用于高温合金车削的可调节高压冷却装置
JP6603286B2 (ja) * 2017-10-20 2019-11-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の切削液供給装置
WO2019175891A1 (en) * 2018-03-14 2019-09-19 SARUP Siddhant Smart coolant delivery block in a cnc machine
WO2020152834A1 (ja) * 2019-01-24 2020-07-30 株式会社Fuji 工作機械
CN110666582B (zh) * 2019-11-07 2020-10-23 浙江金澳兰机床有限公司 一种电气机床的冷却液补液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520317B (zh) * 2020-04-30 2022-03-18 濮阳市百福瑞德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钻井泵憋泵的预测判断方法及其泵压防护系统
KR102608170B1 (ko) * 2022-12-27 2023-12-01 홍성호 볼트 상하방향 천공용 오토 슈퍼드릴
JP7274673B1 (ja) * 2023-01-10 2023-05-16 ユアサネオテック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工作機械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5298A1 (en) 1997-09-19 1999-04-01 Antoun Gregory S Programmable, variable volume and pressure, coolant system
US20030147708A1 (en) 2002-02-04 2003-08-07 Cook James E. High pressure coolant system
JP2004036421A (ja) 2002-07-01 2004-02-05 Nikuni:Kk 液供給方法および液供給装置
JP2004306230A (ja) 2003-04-10 2004-11-04 Daikin Ind Ltd クーラントポンプ装置およびドリル装置
JP2004338016A (ja) 2003-05-14 2004-12-02 Daikin Ind Ltd クーラントポンプ装置およびドリル装置
DE102006052602B4 (de) 2006-10-06 2010-05-12 Walter Mau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ühlmittelversorgung spanender Werkzeug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5298A1 (en) 1997-09-19 1999-04-01 Antoun Gregory S Programmable, variable volume and pressure, coolant system
US5951216A (en) 1997-09-19 1999-09-14 Antoun; Gregory S. Programmable, variable volume and pressure, coolant system
US20030147708A1 (en) 2002-02-04 2003-08-07 Cook James E. High pressure coolant system
JP2004036421A (ja) 2002-07-01 2004-02-05 Nikuni:Kk 液供給方法および液供給装置
JP2004306230A (ja) 2003-04-10 2004-11-04 Daikin Ind Ltd クーラントポンプ装置およびドリル装置
JP2004338016A (ja) 2003-05-14 2004-12-02 Daikin Ind Ltd クーラントポンプ装置およびドリル装置
DE102006052602B4 (de) 2006-10-06 2010-05-12 Walter Mau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ühlmittelversorgung spanender Werk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13129B2 (ja) 2015-11-17
US9566681B2 (en) 2017-02-14
WO2013065097A1 (ja) 2013-05-10
EP2774719B1 (en) 2016-12-21
KR20140096264A (ko) 2014-08-05
DK2774719T3 (en) 2017-02-20
CN104080576A (zh) 2014-10-01
CN104080576B (zh) 2016-05-25
JPWO2013065097A1 (ja) 2015-04-02
IN2014CN03970A (ko) 2015-10-23
EP2774719A1 (en) 2014-09-10
EP2774719A4 (en) 2015-06-03
US20140284041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580B1 (ko) 냉각제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US5494134A (en) High pressure coolant system for machine tools
CA2633204C (en) Method of calculating pump flow rates and an automated pump control system
CN112672849B (zh) 智能冷却剂泵
JP6424582B2 (ja) 切削加工装置および切削加工方法
EP2436478B1 (en) Cutting liquid supply device for machine tool
US20140102964A1 (en) Machine tool equipped with cutting fluid filtering device
JP4517587B2 (ja) クーラントポンプ装置
JP4912119B2 (ja) 切削液供給装置
JP5402668B2 (ja) 工作機械の工具洗浄装置
US5559713A (en) Chip buildup detection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7166734B (zh) 恒温水提供方法和恒温水提供装置
JP3327133B2 (ja) クーラントの流出量制御方法および流出量制御装置
WO2022004538A1 (ja) 工作機械
KR20180036480A (ko)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JP6782030B1 (ja) 工作液供給システム
KR100925640B1 (ko) 절삭유의 공급압 조절이 자유로운 절삭유 필터링 장치
JPH0524441A (ja) 産業車両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