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480A -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480A
KR20180036480A KR1020160141627A KR20160141627A KR20180036480A KR 20180036480 A KR20180036480 A KR 20180036480A KR 1020160141627 A KR1020160141627 A KR 1020160141627A KR 20160141627 A KR20160141627 A KR 20160141627A KR 20180036480 A KR20180036480 A KR 20180036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unit
inverter
coolant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철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2Lubricant suppl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measuring, e.g. calibration and initialisation, measuring workpiece for machining purpo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절삭유가 저장된 절삭유탱크에서 상기 절삭유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통해 배출된 절삭유를 공급받아 가공물을 절삭하는 절삭부;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인버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입력받고,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FLOW RATE OF CUTTING OIL}
본 발명은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공구 주축의 부하에 따라 절삭유량을 공급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NC 장비 등 각종의 공작기계는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금속 또는 비금속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절삭 가공 시 절삭공구와 공작물간의 강한 마찰로 인해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고온의 열 발생으로 인해 절삭공구 및 공작물의 상대 치수의 변화는 물론 공작물 자체의 변형으로 가공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삭공구나 공작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절삭유를 가공부위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가공작업을 하게 된다.
즉, 절삭유는 공작물과 절삭공구에 분사되어, 절삭공구가 공작물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고 장비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절삭유는 절삭가공의 효율 및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의 화학제품으로 조합하여 구성하며 여기에 물을 섞어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절삭유는 통상적으로 한번 쓰고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순환펌프 등을 이용하여 계속하여 순환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소정의 경로를 통해 냉각된 상태로 재공급되는 순환 공급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인 절삭유 공급구조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절삭유가 펌프모터로 펌핑되어 공급관을 통해 절삭공구와 공작물 사이로 분사되고, 분사된 절삭유가 공작물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공작물에서 모아져 드레인관을 통해 열교환기를 거쳐 냉각된 후 다시 저장탱크로 회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절삭유는 공작물에서 발생하는 칩과 함께 저장탱크로 수거된 다음 저장탱크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어 순환장치를 거쳐 절삭공구와 공작물로 재공급되는 순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절삭유는 공작기계의 절삭공구 및 공작물의 소재에 따라 다양한 절삭 조건이 있으며, 가공 프로그램 중에서도 절삭없이 위치 이송만을 하는 비절삭 구간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절삭유를 구동할 경우, 절삭 부하가 적은 구간과 많은 구간에서도 획일적인 절삭유가 공급되어 절삭공구에 따라 입력된 획일적인 절삭유를 공급하여 절삭유가 필요없는 비절삭 구간에도 절삭유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공 조건 등을 고려하여 가공정보 데이터를 입력한 후, 절삭유 제어를 수동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8817호(등록일 : 2015.05.04.등록)인 "공작기계용 고압 쿨란트 공급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절삭공구 주축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공급되는 절삭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절삭유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는, 절삭유가 저장된 절삭유탱크에서 상기 절삭유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통해 배출된 절삭유를 공급받아 가공물을 절삭하는 절삭부;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인버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입력받고,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절삭부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절삭유탱크에서 토출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하는 절삭유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유 감지부로부터 절삭유 토출량을 입력받고, 상기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도달하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절삭유량에 따라 절삭유가 토출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은, 절삭부가 구동부를 통해 배출된 절삭유를 공급받아 가공물을 절삭하는 단계; 감지부가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류값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절삭부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삭유 감지부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절삭유탱크에서 토출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유 감지부로부터 절삭유 토출량을 입력받고, 상기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도달하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절삭유량에 따라 절삭유가 토출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절삭공구 주축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공급되는 절삭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절삭유의 불필요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공 조건 등을 고려하여 가공정보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가 향상되고, 자동 제어에 따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는, 제어부(100), 조작부(200), 인버터(300), 구동부(400), 절삭유탱크(500), 절삭유 감지부(600), 절삭부(700) 및 감지부(800)를 포함한다.
조작부(200)는 가공 프로그램 상에서 절삭유 조작 지령을 하거나, 사용자가 절삭유 조작 지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절삭유 조절을 위한 조작 명령을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인버터(300)는 제어부(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부(400)를 작동시킨다. 즉, 인버터(300)는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부(40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인버터(300)는 주파수를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절삭유를 공급하는 구동부(400)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버터(300)의 출력에 따라 구동부(400)의 회전수가 달라지고, 구동부(400)의 회전수에 따라 공급되는 절삭유량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부(400)는 절삭유가 저장된 절삭유탱크(500)에서 절삭유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구동부(4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는 배출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절삭유를 외부로 배출하여 절삭유가 절삭부(700)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절삭유탱크(500)는 절삭유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이때, 절삭유탱크(500)에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절삭유탱크(500)에 수거된 절삭유를 필터링할 수 있다. 즉,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절삭유가 순환장치를 거쳐 절삭부(700)로 재공급되는 순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절삭유 감지부(600)는 구동부(400)를 통해 절삭유탱크(500)에서 토출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한다. 즉, 절삭유탱크(500)에서 절삭부(700)에 공급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감지된 절삭유량을 전송할 수 있다.
절삭부(700)는 구동부(400)를 통해 배출된 절삭유를 공급받아 가공물을 절삭하는 것으로,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가공물을 절삭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가공물의 종류에 따라 회전속도, 절삭 깊이를 설정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절삭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감지부(8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절삭부(700)가 가공물을 절삭하는 동안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한다. 이때, 감지부(800)는 절삭부(70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800)는 절삭부(700)가 가공물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데, 이때, 제어부(100)는, 감지부(800)로부터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절삭부(700)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공물의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필요한 절삭유량도 변하므로 이에 맞추어 절삭유가 공급되어 불필요한 절삭유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감지부(800)로부터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을 입력받고,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인버터(3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00)는 감지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감지부(800)에서 측정되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 즉 절삭부(700)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절삭유의 배출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절삭유의 배출량을 결정하고 인버터(30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감지부(800)에서 측정된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에 관한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방식으로 인버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인버터(300)는 제어부(1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구동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감지부(800)로부터 측정된 절삭부(700)에 걸리는 부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절삭부(700)가 가공물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가공물의 종류, 직경, 회전속도, 절삭 깊이, 툴의 이송량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가공물의 종류, 직경, 회전속도, 절삭 깊이, 툴의 이송량 등에 관한 정보로부터 필요한 절삭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절삭유량은 가공물의 절삭 진행 정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절삭량과 절삭부(700)에 걸리는 부하는 비례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컴퓨터수치제어(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절삭유 감지부(600)로부터 절삭유 토출량을 입력받고,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도달하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절삭유량에 따라 절삭유가 토출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절삭유 감지부(600)로부터 입력된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미도달하거나, 넘을 경우 ±α 값을 보정하여 목표 절삭유량에 맞추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감지부(800)로부터 입력받은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과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 사이일 때, 목표 절삭유량으로 보정하여 인버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구동부(400)의 출력이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인버터(300)를 정지시킨다. 즉,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비절삭 구간으로 판단하여 절삭유를 사용하지 않도록 인버터(300)를 정지시켜 구동부(40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구동부(400)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절삭유가 최대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구동부(400)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하여 절삭유를 최대로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00)가 감지부(800)에서 측정되는 절삭부(700)의 부하에 따라 배출되는 절삭유량을 조절하여 가공물의 종류 및 크기, 절삭 깊이에 따라 최적의 절삭유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은, 먼저 제어부(100)가 감지부(800)로부터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을 입력받는다(S100).
여기서, 감지부(800)는 절삭부(700)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절삭부(700)가 가공물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감지부(800)로부터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절삭부(700)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감지부(800)로부터 입력받은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200).
여기서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은 미리 설정되어지는 값이며, 제2기준값은 제1기준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다.
즉,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사이인지 판단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00)는 절삭유 감지부(600)로부터 절삭유 토출량을 입력받는다(S300).
여기서, 절삭유 감지부(600)는 구동부(400)를 통해 절삭유탱크(500)에서 토출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절삭유탱크(500)에서 절삭부(700)에 공급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감지된 절삭유량을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00)는 절삭유 감지부(600)로부터 입력받은 절삭유 토출량에 기초하여 절삭유량을 보정한다(S400).
즉, 제어부(100)는 절삭유 감지부(600)로부터 절삭유 토출량을 입력받고,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도달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0)는 절삭유 감지부(600)로부터 입력된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미도달하거나, 넘을 경우 ±α 값을 보정하여 목표 절삭유량에 맞추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구동부(400)의 출력이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한다(S500).
즉,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구동부(400)의 출력이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버터(300)는 제어부(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인버터(300)의 출력에 따라 구동부(400)의 회전수가 달라지고, 구동부(400)의 회전수에 따라 공급되는 절삭유량이 달라지게 된다.
한편, S200 단계에서,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 이내가 아닌 경우,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S600).
S600 단계에서,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00)는 인버터(300)를 정지시킨다(S700).
즉,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비절삭구간으로 판단하여 절삭유를 사용하지 않도록 인버터(300)를 정지시켜 구동부(40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S600 단계에서,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가 아닌 경우, 제어부(100)는 구동부(400)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한다(S800).
즉,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구동부(400)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00)는 절삭부(700)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절삭유가 최대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구동부(400)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인버터(300)를 제어하여 절삭유를 최대로 사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절삭공구 주축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공급되는 절삭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절삭유의 불필요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공 조건 등을 고려하여 가공정보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가 향상되고, 자동 제어에 따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제어부 200 : 조작부
300 : 인버터 400 : 구동부
500 : 절삭유탱크 600 : 절삭유 감지부
700 : 절삭부 800 : 감지부

Claims (14)

  1. 절삭유가 저장된 절삭유탱크에서 상기 절삭유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통해 배출된 절삭유를 공급받아 가공물을 절삭하는 절삭부;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인버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입력받고,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절삭부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통해 절삭유탱크에서 토출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하는 절삭유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유 감지부로부터 절삭유 토출량을 입력받고, 상기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도달하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절삭유량에 따라 절삭유가 토출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8. 절삭부가 구동부를 통해 배출된 절삭유를 공급받아 가공물을 절삭하는 단계;
    감지부가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절삭부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부에 흐르는 전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절삭유 감지부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절삭유탱크에서 토출되는 절삭유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삭유 감지부로부터 절삭유 토출량을 입력받고, 상기 절삭유 토출량이 목표 절삭유량에 도달하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절삭유량에 따라 절삭유가 토출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량 자동 조절 방법.
KR1020160141627A 2016-09-30 2016-10-28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80036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791 2016-09-30
KR20160126791 201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480A true KR20180036480A (ko) 2018-04-09

Family

ID=6197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27A KR20180036480A (ko) 2016-09-30 2016-10-28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4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912B1 (ko) * 2023-03-07 2024-01-29 신성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절삭 공정에 사용되는 절삭유의 분사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912B1 (ko) * 2023-03-07 2024-01-29 신성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절삭 공정에 사용되는 절삭유의 분사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2786B2 (en) Tool damage/abnormality detecting device
EP10830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achine tool numerically
CN102689225B (zh) 控制用于机床的冷却装置的方法
US20030170085A1 (en) NC program generating method, NC apparatus, computer memory produc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037300B2 (en) Controller for a machine tool for executing tapping
US10788807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milling cutter deflection
EP0098309B1 (en) Numerical control machining system
CN105629887A (zh) 控制具有切削条件变更功能的机床的控制装置
CN109967791B (zh) 工具机、特别是锯床以及用于优化地运行工具机的系统
JP4146676B2 (ja) 液供給方法および液供給装置
US20200150632A1 (en) Wire disconnection prediction device
US10274938B2 (en) Numerical control unit and NC program creating unit
JP3231027B2 (ja) Nc工作機械の数値制御装置
JP2004338016A (ja) クーラントポンプ装置およびドリル装置
KR20180036480A (ko) 절삭유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US6859680B2 (en) Numerical controlling unit having tool-breakage detecting function
KR101496578B1 (ko) 절삭유 자동조절 시스템 및 그의 절삭유 공급 방법
KR960700126A (ko) Cnc 작동식 공작 기계용 제어 장치(controller for cnc-operated ma-chine tools)
US10007252B2 (en) Machine tool controller
CN103658887A (zh) 具有轴进给控制方式判别功能的电火花线切割加工机
KR101476853B1 (ko) 공작 기계의 주축 진동 감지 및 주축 속도 자동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JP2893641B2 (ja) ダイシング装置
KR860001679B1 (ko) 수치제어장치
KR101967509B1 (ko) 가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672543B1 (ko) 쿨런트 분사 압력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