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569B1 - 화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569B1
KR101808569B1 KR1020110126978A KR20110126978A KR101808569B1 KR 101808569 B1 KR101808569 B1 KR 101808569B1 KR 1020110126978 A KR1020110126978 A KR 1020110126978A KR 20110126978 A KR20110126978 A KR 20110126978A KR 101808569 B1 KR101808569 B1 KR 101808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hutter assembly
mounting portion
main fram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752A (ko
Inventor
장성민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569B1/ko
Priority to EP12194109.0A priority patent/EP2600190A3/en
Priority to US13/685,985 priority patent/US9041858B2/en
Priority to CN201210505266.2A priority patent/CN103139456B/zh
Publication of KR2013006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셔터 어셈블리의 크기가 증가하여도 센서 플레이트의 크기는 유지할 수 있는 화상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화상 촬영 장치는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셔터 어셈블리와, 셔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이미지센서와, 이미지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플레이트와, 셔터 어셈블리와 센서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메인 프레임은 프레임 베이스와, 셔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 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셔터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상 촬영 장치{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여 저장하는 화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화상 촬영 장치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 시키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기록하는 장치이다.
특히, 렌즈 탈착식 화상 촬영 장치는 렌즈와 렌즈를 통해 유입된 영상을 전기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파일화시키는 본체가 서로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렌즈 탈착식 화상 촬영 장치는 점점 소비자층이 확대되고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 있으며, 최근에는 화상 촬영 장치 본체의 사이즈를 최소화 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화상 촬영 장치는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셔터 어셈블리와 센서 플레이트가 차례로 장착된다. 셔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는 센서 플레이트는 셔터 어셈블리와 같이 메인 프레임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플레이트 장착부에 장착된다.
플레이트 장착부는 셔터 어셈블리의 외곽에 배치되는데, 이에 의해 셔터 어셈블리의 크기가 커지면 플레이트 장착부의 사이 공간이 멀어져 센서 플레이트의 크기 역시 커져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셔터 어셈블리의 크기가 증가하여도 센서 플레이트의 크기는 유지할 수 있는 화상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는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셔터 어셈블리;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프레임 베이스;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 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셔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로 둘러 쌓여 형성된 셔터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상기 셔터 슬라이드부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셔터 슬라이드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센서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에 체결부재를 이용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는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셔터 어셈블리;와, 입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이미지센서;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판 형상의 프레임 베이스;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셔터 장착부;와, 상기 셔터 장착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연장부와, 상기 상부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부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 연장부와, 상기 하부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 및 상기 하부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 사이로 상기 셔터 어셈블리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는 상기 상부 장착부와 상기 하부 장착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는 빛이 입사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메임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도록 상기 메임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플레이트와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셔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셔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셔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체결부재를 이용해 고정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플레이트의 장착 방향과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셔터 어셈블리의 크기가 증가하여도 센서 플레이트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어 화상 촬영 장치 전체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센서 플레이트와 별개로 셔터 어셈블리를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10)과 셔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메인 프레임(10)과 센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를 후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에서 셔터를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촬영 장치의 내부에는 메인 프레임(10)과,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셔터 어셈블리(20)와, 셔터 어셈블리(20)의 후방에 배치되는 센서 플레이트(30)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0)은 프레임 베이스(110)가 몸체를 형성한다. 프레임 베이스(11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에는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제1개구(150)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베이스(110)의 전방에는 렌즈(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는 마운트부(100)가 형성된다. 마운트부(100)는 빛이 입사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렌즈가 장착될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1개구(150)가 프레임 베이스(110)와 마운트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마운트부(100)의 전면 테두리에는 렌즈가 장착될 수 있는 렌즈 장착구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 베이스(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셔터 어셈블리(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셔터 장착부(121, 122)가 형성된다.
상부 셔터 장착부(121)는 프레임 베이스(11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연장부(125)와, 상부 연장부(125)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 고정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베이스(110)의 상단, 상부 연장부(125) 및 상부 고정부(126)는 셔터 어셈블리(2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는 상부 셔터 슬라이드부(123)를 형성한다.
하부 셔터 장착부(121)는 프레임 베이스(11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연장부(127)와, 하부 연장부(127)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 고정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베이스(110)의 하단, 하부 연장부(127) 및 하부 고정부(128)는 셔터 어셈블리(20)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는 하부 셔터 슬라이드부(124)를 형성한다.
센서 플레이트(30)가 고정되는 센서 장착부(131, 132, 133)은 총 세 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는 총 세 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세 개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센서 장착부가 형성된 것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센서 장착부(131)는 프레임 베이스(110)의 좌측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센서 장착부(132)는 상부 고정부(126)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3센서 장착부(133)는 하부 고정부(128)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센서 플레이트(30)를 센서 장착부(131, 132, 133)에 장착할 때,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위치결정돌기(142, 143)가 제2센서 장착부(132)와 제3센서 장착부(133)와 인접하게 상부 고정부(126) 및 하부 고정부(128)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셔터 어셈블리(20)는 셔터 프레임(200)이 몸체를 형성한다. 셔터 프레임(200)의 중심부에는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2개구(210)가 형성된다. 제2개구(210)를 순간적으로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셔터(미도시)가 셔터 프레임(2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셔터 어셈블리(20)가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되면 제2개구(210)는 제1개구(150)와 나란히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빛은 제1개구(150) 및 제2개구(210)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310)로 조사된다.
센서 플레이트(30)는 플레이트 바디(300)가 그 외형을 형성한다.
플레이트 바디(300)의 전면에는 이미지 센서(310)가 장착된다. 이미지 센서(310)는 센서 플레이트(30)가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되면 제1개구(150)와 마주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미지 센서(310)는 셔터 어셈블리(2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의미한다.
센서 장착부(131, 132, 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센서 체결부(321, 322, 323)가 형성된다. 센서 체결부(321, 322, 323)는 센서 장착부(131, 132, 133)와 마찬가지로 총 세 개가 형성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장착부의 개수가 다른 것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므로 센서 체결부 역시 그 수가 세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센서 체결부와 센서 장착부의 수는 동일해야 한다.
센서 체결부(321, 322, 323)는 센서 장착부(131, 132, 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플레이트 바디(300)의 상측, 하측 및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센서 장착부(131)와 대응되는 제1센서 체결부(321)에는 제1센서 장착부(131)와 체결을 위한 제1센서 체결공(331)이 형성된다.
제2센서 체결부(322) 및 제3센서 체결부(323)에도 제2센서 체결공(332)과 제3센서 체결공(333)이 각각 형성된다. 다만, 제2센서 체결부(322)와 제3센서 체결부(323)에는 위치결정부(142, 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공(342, 343)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메인 프레임(10)에 셔터 어셈블리(20)를 장착하고, 이에 센서 플레이트(30)를 장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10)과 셔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어셈블리(20)의 상측과 하측 가장자리가 셔터 슬라이딩부(123, 124)에 삽입되도록 셔터 어셈블리(20)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밀어 넣으면 메인 프레임(10)의 셔터 장착부(121, 122)에 셔터 어셈블리(20)가 장착된다.
셔터 어셈블리(20)가 메인 프레임(10)에 장착되면 제1개구(150)와 제2개구(210)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위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메인 프레임(10)과 센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어셈블리(20)가 장착된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에 센서 플레이트(30)가 장착된다.
먼저 센서 플레이트(30)를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에 위치하게 하고, 위치결정돌기(142, 143)가 위치결정공(342, 34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센서 플레이트(30)가 정확한 위치에서 메인 프레임(10)에 결합될 있게 된다. 나아가 위치결정돌기(142, 143)에 의해 센서 플레이트(30)를 체결부재(40)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때에 센서 플레이트(30)가 움직여 결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가 고정된 센서 플레이트(30)의 센서 체결부(321, 322, 323)에 체결부재(40)를 삽입하면, 체결부재(40)가 센서 체결공(331, 332, 333)을 관통하여 센서 장착부(131, 132, 133)에 고정된다., 이렇게 체결부재(40)가 고정되면 센서 플레이트(30)가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도 4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를 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의 과정을 거쳐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에 셔터 어셈블리(20)와 센서 플레이트(30)가 장착된다.
도면의 순서상 셔터 어셈블리(20)를 먼저 메인 프레임(10)에 장착하고, 센서 플레이트(30)를 장착하였으나 이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셔터 어셈블리(20)는 별개의 셔터 장착부(121, 122)에 슬라이딩되어 장착되고, 센서 플레이트(30)는 셔터 어셈블리(20)의 장착 방향과 무관한 방향으로 장착되기 때문이다.
즉, 먼서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에 센서 플레이트(30)를 체결부재(40)를 이용해 장착하고, 셔터 장착부(121, 122)에 셔터 어셈블리(20)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순서를 바꾸어 메인 프레임(10)에 센서 플레이트(30)와 셔터 어셈블리(20)를 장착하여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에 셔터 어셈블리(20)와 센서 플레이트(30)가 장착되면 제1개구(150), 제2개구(210)와 이미지 센서(310)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빛이 제1개구(150) 및 제2개구(210)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310)에 전달된다.
셔터 어셈블리(20)는 셔터 슬라이드부(123, 124)에 슬라이드되면서 삽입되어 체결될 뿐 센서 플레이트(30)와 결합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셔터 어셈블리(20)는 센서 플레이트(30)와 독립적으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다.
크기가 큰 셔터 어셈블리(20)의 장착을 위해서는 셔터 어셈블리(20)가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0)의 크기도 커야 한다. 메인 프레임(10)의 프레임 베이스(110)의 크기가 커지면 그에 따라 상부 슬라이드부(121)와 하부 슬라이드부(122)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더 큰 셔터 어셈블리(20)의 장착이 가능해진다.
셔터 어셈블리(20)의 크기가 큰 셔터 어셈블리(20)가 사용되더라도 센서 장착부(132, 133)는 셔터 고정부(121, 122)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셔터 고정부(121, 122)가 프레임 베이스(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더 길게 연장되면 센서 장착부(132, 133) 간의 간격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플레이트(30)의 크기가 증가할 필요가 없다.
도 7은 도 4의 화상 촬영 장치의 일부에서 셔터를 분리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에 셔터 어셈블리(20)와 센서 플레이트(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 어셈블리(20)만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셔터 어셈블리(20)만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셔터 어셈블리(20)에만 고장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한 경우 셔터 어셈블리(20)만을 분리하여 수리가 가능하다.
센서 플레이트(30)는 제일 후방에 장착된 구조이므로 단독적으로 분리하여 수리가 가능하다.
이렇게 수리가 필요한 구성만 단독적으로 분리하여 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리가 간편하고, 수리에 사용되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할 수 있다.
10 : 메인 프레임(10)
100 : 마운트부
121, 122 : 셔터 장착부
131, 132, 133 : 센서 장착부
20 : 셔터 어셈블리
30 : 센서 플레이트
300 : 플레이트 바디
310 : 이미지 센서
321, 322, 333 : 센서 체결부

Claims (17)

  1.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셔터 어셈블리;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플레이트;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프레임 베이스;
    상기 셔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 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셔터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로 둘러 쌓여 형성된 셔터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상기 셔터 슬라이드부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셔터 슬라이드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센서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에 체결부재를 이용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0.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셔터 어셈블리;
    입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이미지센서;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플레이트;
    상기 셔터 어셈블리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판 형상의 프레임 베이스;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셔터 장착부;
    상기 셔터 장착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연장부와, 상기 상부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부 장착부;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 연장부와, 상기 하부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 및 상기 하부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 사이로 상기 셔터 어셈블리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는 상기 상부 장착부와 상기 하부 장착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4. 빛이 입사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메임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도록 상기 메임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센서 플레이트;
    상기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플레이트와 독립적으로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셔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셔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셔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체결부재를 이용해 고정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플레이트의 장착 방향과 상기 셔터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촬영 장치.
KR1020110126978A 2011-11-30 2011-11-30 화상 촬영 장치 KR101808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978A KR101808569B1 (ko) 2011-11-30 2011-11-30 화상 촬영 장치
EP12194109.0A EP2600190A3 (en) 2011-11-30 2012-11-23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US13/685,985 US9041858B2 (en) 2011-11-30 2012-11-27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slidable shutter assembly
CN201210505266.2A CN103139456B (zh) 2011-11-30 2012-11-30 图像拍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978A KR101808569B1 (ko) 2011-11-30 2011-11-30 화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752A KR20130060752A (ko) 2013-06-10
KR101808569B1 true KR101808569B1 (ko) 2017-12-13

Family

ID=4735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978A KR101808569B1 (ko) 2011-11-30 2011-11-30 화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1858B2 (ko)
EP (1) EP2600190A3 (ko)
KR (1) KR101808569B1 (ko)
CN (1) CN103139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0721A (ja) * 2011-04-08 2012-11-12 Sony Corp 撮像装置
JP6872080B2 (ja) * 2018-07-27 2021-05-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009A (ja) * 2004-09-13 2006-03-23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ー、撮像装置
US7334950B2 (en) * 2005-04-26 2008-02-26 Va, Inc. Quick-change shutter assembly
CN100592143C (zh) * 2006-12-13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液晶式快门的相机模组
CN101266385A (zh) * 2007-03-14 2008-09-17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小型照相机的光圈快门装置
US7899311B1 (en) * 2008-04-29 2011-03-01 Optech International, Inc. Removable shutter for a camera
JP2010026277A (ja) * 2008-07-22 2010-02-04 Hoya Corp カメラの手ぶれ補正装置
US7972069B2 (en) * 2008-09-11 2011-07-05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system and camera body
JP2012050016A (ja) * 2010-08-30 2012-03-08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5830684B2 (ja) * 2011-01-18 2015-1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本体
US8570381B2 (en) * 2011-03-08 2013-10-29 Neal Solomon Multi-functional modular digital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5522A1 (en) 2013-05-30
CN103139456A (zh) 2013-06-05
EP2600190A2 (en) 2013-06-05
EP2600190A3 (en) 2016-01-20
CN103139456B (zh) 2018-07-13
KR20130060752A (ko) 2013-06-10
US9041858B2 (en)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5061B2 (en) Focus detec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823552B2 (en) Lens and sensor attachment for a digital camera and related retrofit kit and retrofit method
US20110317062A1 (en) Digital camera and interchangeable lens unit
FI20085510L (fi) Zoom-kamera -järjestely, joka käsittää useita alikameroita
WO2006039486A8 (en) Imaging arrangements and methods therefor
WO2012067377A3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204371B2 (en) Back focus adjustment apparatus
WO2018097053A1 (ja) 撮像装置
KR101337671B1 (ko) 적외선 겸용 카메라 모듈
KR101808569B1 (ko) 화상 촬영 장치
KR20100037396A (ko)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JP5830684B2 (ja) カメラ本体
JP2019117303A (ja) 撮像装置
KR20120100509A (ko) 카메라 모듈
US8830389B2 (en) Image detecting module and lens module
JP2011188254A (ja) 撮像素子のアオリ調整機構
JP2013179574A (ja) 撮像装置
KR101188720B1 (ko) 노광조건 절환유닛 및 카메라 유닛
JP5550973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及びそのカメラアダプタ構造
JP2014102331A5 (ko)
CN201491122U (zh) 摄影模块
JP4624256B2 (ja) 透光体を選択的に配置する電気機器
KR101175765B1 (ko) 광학 필터 교체형 3ccd 다파장 영상획득 장치
TW200507606A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solid-imaging
US20130113062A1 (en) Lens Hol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Captur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