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487B1 - 치아 미백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487B1
KR101808487B1 KR1020170079222A KR20170079222A KR101808487B1 KR 101808487 B1 KR101808487 B1 KR 101808487B1 KR 1020170079222 A KR1020170079222 A KR 1020170079222A KR 20170079222 A KR20170079222 A KR 20170079222A KR 101808487 B1 KR101808487 B1 KR 10180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itening
fluid
light emitt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2017007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487B1/ko
Priority to US16/625,380 priority patent/US20210008384A1/en
Priority to PCT/KR2017/012986 priority patent/WO201823600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17/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5Handles or details thereof
    • A61C17/227Handles or details thereof with reservoirs, e.g. for toothp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37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아가 물릴 수 있는 미백홈을 가지며, 말굽형상으로 제공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치아 미백 시 광을 조사하는 발광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기 치아 미백 시 입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침 등의 유체를 보관하는 유체 보관 부재와 그리고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시간 또는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미백홈에는 젤타입의 미백제가 도포되어 있는 치아 미백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미백 장치{Apparatus for whitening a tooth}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제적으로 일상적인 환경에서 간편하게 치아 미백 치료를 할 수 있는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웰빙(Well-being)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다. 산업화로 인해 사람들은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이제는 무엇을 먹고 사느냐 보다는 어떻게 하면 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을까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보다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방법으로 자신의 외적인 모습을 아름답게 변화시키고자 노력한다. 그 중 한 가지 예로, 자신의 치아를 하얗게 만드는 치아 미백이 있다. 미백은 자신과 상대하는 사람들에게 깨끗한 인상을 줄 수 있다. 치아 미백이 시작된 초기에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치아 미백제가 소량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여 양치 시 칫솔질에 의해 미백효과를 얻는 것이었다.
그러나 치약에 함유된 미백제의 양이 너무 적어 치아 표면에 침착된 착색성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다.
보다 효과적인 미백치료를 위해 치과에서 고농도의 미백제를 이용하거나 광조사를 겸한 미백치료 등 전문적인 시술을 받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미백효과에 있어서는 탁월하나, 치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고가의 치료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집 또는 일상적인 환경에서 간편하게 치아 미백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치료 시 미백제에 침이 섞여 미백제가 희석되거나 외부로 침 등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이 있는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아가 물릴 수 있는 미백홈을 가지며, 말굽형상으로 제공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치아 미백 시 광을 조사하는 발광 부재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기 치아 미백 시 입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침 등의 유체를 보관하는 유체 보관 부재와 그리고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시간 또는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미백홈에는 젤타입의 미백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말굽 형상으로 제공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말굽 형상의 외측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닥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부재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램프는 상기 미백홈을 둘러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벽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체 보관 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지지 부재가 결합되는 반대측면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유체 배출구와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유체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유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배출구까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유체 유로와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유체를 보관하는 유체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체 보관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는 조작부와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시 계속적으로 외부에 빛을 발하는 조작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정 또는 회사 등 일상적인 환경에서 본 발명의 치아 미백 장치를 사용하여 치아 미백 치료를 할 수 있이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치아 미백 치료 시 입 속의 침 등의 유체가 미백제에 섞여 그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구강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유체 보관부에 보관할 수 있어 치아 미백 치료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에 전원부가 포함되어 있어 따로 전원을 연결하거나 건전지를 끼우는 불편함 없이 손쉽게 미백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아 미백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치아 미백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치아 미백 장치를 A-A' 방향에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사용하여 치아 미백 치료를 실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 장치는 사용자가 치아 미백 치료 시 스스로 치아 미백 장치를 사용하여 치아 미백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 미백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치아 미백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치아 미백 장치를 A-A' 방향에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치아 미백 장치(1)는 메인 프레임(10), 지지 부재(20), 발광 부재(30), 유체 보관 부재(40) 그리고 제어 부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10)과 지지 부재(20)가 순차적으로 놓인 방향을 제1방향(X)이라 한다. 상부에서 바라 볼 때, 제1방향(X)과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Y)이라 한다. 제1방향(X)과 제2방향(Y)에 모두 수직한 방향을 제3방향(Z)이라 한다.
메인 프레임(10)은 치아 미백 치료 시 치아 부분이 물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메인 프레임(10)에는 후술하는 미백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말굽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프레임(10)은 제1방향(X) 중 지지 부재(20)가 위치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말굽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프레임(1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메인 프레임(10)은 실리콘 혹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실리콘이 감싸고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이 상기 재질들로 제공되어, 잇몸의 자극 등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내측 프레임(11), 외측 프레임(13) 그리고 바닥 프레임(15)을 포함한다.
내측 프레임(11)은 지지 부재(20)의 제1방향(X)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X)의 전방은 지지 부재(20)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이 위치한 방향을 제1방향(X)의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제1방향(X)의 후방으로 정의한다.
내측 프레임(11)은 말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측 프레임(11)은 제1방향(X)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말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1)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1)은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내측 프레임(11)은 실리콘 혹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실리콘이 감싸고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1)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말굽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프레임(13)은 내측 프레임(11)의 제1방향(X)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 프레임(13)은 내측 프레임(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프레임(13)은 내측 프레임(11)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외측 프레임(13)은 말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측 프레임(13)은 제1방향(X)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 말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프레임(13)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프레임(13)은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외측 프레임(13)은 실리콘 혹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실리콘이 감싸고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프레임(13)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말굽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5)은 외측 프레임(13)과 내측 프레임(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5)은 일단이 내측 프레임(11)과 결합되며, 타단은 외측 프레임(13)과 결합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5)은 내측 프레임(11)의 제2방향(Y) 길이를 기준으로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5)은 외측 프레임(13)의 제2방향(Y) 길이를 기준으로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5)은 판형상으로 제공되며, 말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 프레임(15)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5)은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바닥 프레임(15)은 실리콘 혹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실리콘이 감싸고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 중 내측 프레임(11)의 제1방향(X)의 후방에 위치한 면, 외측 프레임(13) 중 제1방향(X) 전방에 위치한 면 그리고 바닥 프레임(15)의 제3방향(Z)의 상면 및 하부면은 서로 조합되어, 두 개의 미백홈(17)을 형성할 수 있다.
미백홈(17)은 치아가 물릴 수 있다. 미백홈(17)에는 미백제(M)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미백제(M)는 점성이 있는 젤타입의 미백제(M)로 내측 프레임(11), 외측 프레임(13) 그리고 바닥 프레임(15)에 부착될 수 있다.
미백홈(17)에는 사용자가 치아 미백 치료 시 치아 중 윗니와 아랫니가 물릴 수 있다. 미백홈(17)은 치아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인 말굽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백홈(17)에 미백제(M)가 미리 도포되어 있어, 치아 미백 치료 시 별도의 미백제(M)를 치아 미백 장치(1)에 도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젤 타입의 미백제(M)를 도포하여, 미백홈(17)의 주변에 미백제(M)가 부착될 수 있어, 치아 미백 장치(1)의 이동 시에 미백제(M)가 외부로 흘러가거나 떨어져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는 메인 프레임(10)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는 메인 프레임(10)의 제1방향(X)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는 외측 프레임(13) 중 제1방향(X)의 후방에 위치하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는 손잡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발광 부재(30)는 치아 미백 시 치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 부재(30)는 메인 프레임(10)의 내측에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부재(30)는 복수의 램프(31)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램프(31)는 외측 프레임(13) 중 제1방향(X)의 전방에 위치하는 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램프(31)는 LED 램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치아 미백에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램프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유체 보관 부재(40)는 치아 미백 시 입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침 등의 유체를 보관할 수 있다. 유체 보관 부재(40) 중 적어도 일부는 메인 프레임(10) 및 지지 부재(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유체 보관 부재(40)는 유체 유입구(41), 유체 배출구(43), 유체 유로(45) 그리고 유체 보관부(47)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구(41)는 메인 프레임(10)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체 유입구(41)는 내측 프레임(11) 중 제1방향(X)의 전방에 위치하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유체 유입구(41)는 내측 프레임(11)의 면 중 바닥 프레임(15)의 옆면과 대향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유체 유입구(41)는 치아 미백 시 입 내부에 침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유체 배출구(43)는 유체 유입구(41)로 유입된 유체가 유체 유로(45)를 흐르고 난 뒤 빠져나오는 출구이다. 유체 배출구(43)는 지지 부재(2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체 배출구(43)는 지지 부재(20)의 면 중 제3방향(Z)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유체 유로(45)는 일단은 유체 유입구(41)와 연결되며, 타단은 유체 배출구(43)와 연결될 수 있다. 유체 유로(45)는 내측 프레임(11)의 일부, 바닥 프레임(15), 외측 프레임(13) 그리고 바닥 프레임(15)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유로일 수 있다. 유체 유로(45)는 치아 미백 시 입 속의 침 등의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유체 유로(45)는 직선의 유로일 수 있다.
유체 보관부(47)는 유체 배출구(43)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보관할 수 있다. 유체 보관부(47)는 지지 부재(20)와 결합될 수 있다. 유체 보관부(47)는 지지 부재(20)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체 보관부(47)에 보관되는 유체는 침 일 수 있다. 일 예로, 유체 보관부(47)는 비닐 봉투 형태 또는 플라스틱 봉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부재(50)는 치아 미백 시 발광 부재(30)의 발광 여부 또는 발광 부재(30)의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부재(50)는 조작부(51), 타이머부(53) 그리고 표시부(55)를 포함한다.
조작부(51)는 발광 부재(30)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부(51)는 지지 부재(20)에 위치할 수 있다. 조작부(51)는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치아 미백 시 조작부(51)의 버튼을 눌러 발광 부재(30)의 발광을 시작할 수 있다. 조작부(51)의 버튼은 기설정된 시간만큼 눌러 발광 부재(30)을 켤 수 있다. 일 예로, 기설정된 시간은 3초 이상의 시간일 수 있다.
조작부(51)는 발광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지어, 발광 부재(30)의 발광 시 계속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조작부(51)는 발광 부재(30)의 발광하지 않을 시에는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조작부(51)에는 별도의 전원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부는 조작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부(51)의 동작 구동의 예를 설명한다. 조작부(51)에는 동작 버튼이 존재한다. 동작 버튼을 작동시키면 버튼 자체에 불빛이 켜지고 동시에 알림 소리가 울려 동작함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타이머(미도시)가 설치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그 동작이 완료되면서 조작부(51)의 동작 버튼의 불빛이 꺼지고 완료 알림 소리가 울려 쉽게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타이머부(53)는 발광 부재(30)의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부(53)는 지지 부재(20)에 위치할 수 있다. 타이머부(53)는 버튼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타이머부(53)를 1회 누를 때마다 일정시간의 발광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머부(53)를 1회 누를 때마다 5분의 발광 시간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타이머부(53)를 조작하여 발광 부재(30)의 발광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다.
표시부(55)는 지지 부재(20)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부(55)는 타이머부(53)의 타이머 시간, 발광 부재(30)의 발광 여부 그 외 다른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제어 부재(50)가 조작부(51), 타이머부(53), 그리고 표시부(55)를 가지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는 달리 표시부(55)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작부(51) 및 타이머부(53)가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하나의 버튼으로 조작부(51)의 기능 및 타이머부(53)의 기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치아 미백 장치(1)를 사용하여 치아 미백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를 사용하여 치아 미백 치료를 실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치아 미백 장치(1)는 여러 개가 한 세트로 하나의 카트리지(T)에 장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와 같이, 복수개의 치아 미백 장치(1)는 하나의 카트리지에 여러 개가 놓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치아 미백 치료 시 사용자는 치아 미백 장치(1)를 카트리지(T)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치아 미백 장치(1)는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사용자는 치아 미백 장치(1)를 꺼내어 치아가 미백홈(17)에 물리도록 치아를 미백홈(17)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제어 부재(50)의 조작부(51) 또는 타이머부(53)를 이용하여 치아 미백 치료를 시작하며, 치아 미백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치아 미백 치료 시 치아는 미백홈(17)에 미리 도포된 미백제(M)가 치아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이 후 발광 부재(30)의 발광을 통해서 치아 미백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치아 미백 치료 중 입 속에 생기는 침 또는 기타 액체는 치아 미백 장치(1)의 유체 보관부(47)에 놓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침 등은 유체 유입구(41), 유체 유로(45) 그리고 유체 배출구(43)를 순차적으로 흐른 뒤 유체 보관부(47)에 놓이게 된다.
치아 미백 치료가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 부재(50)를 통해서 발광 부재(30)의 발광을 멈춘 후 치아 미백 장치(1)를 입 속에서 꺼낸다. 이 후, 사용자는 유체 보관부(47)를 지지 부재(20)에서 분리 하여 유체를 버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집 또는 가정 환경 등 일상적인 환경에서 본 발명의 치아 미백 장치(1)를 사용하여 손쉽게 치아 미백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 장치(1)는 그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사용사가 저렴한 비용으로 치아 미백 장치(1)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아 미백 치료 시 입 속에 생기는 침 등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유체 보관 부재(40)를 마련하여 치아 미백 시 입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한 상태로 치아 미백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치아 미백 치료 시 입 속의 침 등의 유체가 미백제에 섞여 그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구강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유체 보관부에 보관할 수 있어 치아 미백 치료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에 전원부가 포함되어 있어 따로 전원을 연결하거나 건전지를 끼우는 불편함 없이 손쉽게 미백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치아 미백 장치 10: 메인 프레임
20: 지지 부재 30: 발광 부재
40: 유체 보관 부재 41: 유체 유입구
43: 유체 배출구 45: 유체 유로
47: 유체 보관 부재 50: 제어 부재

Claims (9)

  1.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에 있어서,
    치아가 물릴 수 있는 미백홈을 가지며, 말굽형상으로 제공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치아 미백 시 광을 조사하는 발광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기 치아 미백 시 입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침 등의 유체를 보관하는 유체 보관 부재와; 그리고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시간 또는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은,
    말굽 형상으로 제공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말굽 형상의 외측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백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닥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제공되며,
    상기 미백홈에는 점성이 있는 젤타입의 미백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미백제는 상기 내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닥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유체 보관 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지지 부재가 결합되는 반대측면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유체 배출구와;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유체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유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배출구까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유체 유로와;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유체를 보관하는 유체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일부, 상기 바닥 프레임 그리고 상기 외측 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유로이며,
    상기 유체 보관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 미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되는 치아 미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램프는 상기 미백홈을 둘러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벽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치아 미백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는 조작부와;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 시 계속적으로 외부에 빛을 발하는 조작 램프를 구비하는 치아 미백 장치.
KR1020170079222A 2017-06-22 2017-06-22 치아 미백 장치 KR10180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22A KR101808487B1 (ko) 2017-06-22 2017-06-22 치아 미백 장치
US16/625,380 US20210008384A1 (en) 2017-06-22 2017-11-16 Tooth whitening device
PCT/KR2017/012986 WO2018236004A1 (ko) 2017-06-22 2017-11-16 치아 미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22A KR101808487B1 (ko) 2017-06-22 2017-06-22 치아 미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487B1 true KR101808487B1 (ko) 2018-01-18

Family

ID=6102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22A KR101808487B1 (ko) 2017-06-22 2017-06-22 치아 미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08384A1 (ko)
KR (1) KR101808487B1 (ko)
WO (1) WO20182360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03B1 (ko) * 2019-01-15 2020-04-06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미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144B (zh) 2015-07-28 2023-03-21 诺欧生物有限责任公司 用于对一氧化氮的光疗调节的系统和方法
JP6955088B2 (ja) * 2017-09-11 2021-10-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歯科処置用マウスピース
WO2020123992A1 (en) * 2018-12-14 2020-06-18 Dreier Frank Dental care mouthpiece cleaning system
US11147984B2 (en) 2020-03-19 2021-10-19 Know Bio, Llc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US11654294B2 (en) 2021-03-15 2023-05-23 Know Bio, Llc Intranasal illumination devices
CN113693764A (zh) * 2021-08-27 2021-11-26 许双双 一种牙套式牙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2761A (ja) * 2012-04-13 2015-04-30 ソネン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および歯肉ポケットを洗浄する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3259B1 (en) * 2004-03-08 2005-05-17 Igor Reizenson Oral hygiene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100773379B1 (ko) * 2006-10-09 2007-11-05 안효석 치아 미백장치
KR20100000287U (ko) * 2008-07-01 2010-01-11 이정열 휴대용 구취 제거기구
KR101365381B1 (ko) * 2013-06-10 2014-02-20 김기수 치아교정용 진동클립장치
KR101527727B1 (ko) * 2015-04-08 2015-06-11 이정교 치아 미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2761A (ja) * 2012-04-13 2015-04-30 ソネン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および歯肉ポケットを洗浄する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03B1 (ko) * 2019-01-15 2020-04-06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미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08384A1 (en) 2021-01-14
WO2018236004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487B1 (ko) 치아 미백 장치
RU2732087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лости рта
JP6161826B2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装置
US6893259B1 (en) Oral hygiene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8241035B2 (en) Device having activated textured surfaces for treating oral tissue
US20070015112A1 (en) Teeth whitening apparatus and method
US10143296B2 (en) Mouthpiece type of electric toothbrush
US20190000601A1 (en) Bristle-Less Teeth Cleaning Device with Automatic Gel Dispensing for Combined Mechanical and Chemical Activation
US20060019214A1 (en) Compact tooth whitening device
US20080233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US20080063999A1 (en) Tooth Whitening Lens with Bite Plate
US20070271714A1 (en) Light-based enhanc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e
US20070003905A1 (en) Tooth white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whitening teeth using an intra-oral light generating device
MX2007014356A (es) Cepillo de dientes emisor de radiacion electromagnetica y sistema dentifrico.
WO20071217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MX2013010295A (es) Dispositivo de limpieza interdental.
KR20100002299A (ko) 구강내의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영향을 주는 방법 및 구취 감소 방법
CN108471872A (zh) 带流体输送的刷子
GB2343619A (en) Disposable reservoir toothbrush
CN110114033A (zh) 具有激活元件的口腔装置
EP1655000A1 (en) Medical light emitting device
KR102269247B1 (ko) 양치컵과 칫솔의 동시 살균이 가능한 uv 살균장치
JP2002142865A (ja) 歯ブラシ
KR20070019255A (ko) 구강 살균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425669B1 (ko)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