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442B1 -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 Google Patents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442B1
KR101808442B1 KR1020160106812A KR20160106812A KR101808442B1 KR 101808442 B1 KR101808442 B1 KR 101808442B1 KR 1020160106812 A KR1020160106812 A KR 1020160106812A KR 20160106812 A KR20160106812 A KR 20160106812A KR 101808442 B1 KR101808442 B1 KR 10180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ixing
forceps
tub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관
박준성
박준수
우선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에 관한 것으로, 튜브가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복부를 관통하는 바늘을 별도의 고정겸자를 통해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자는 바늘을 깊게 삽입해야 하는 상황에서 손잡이 부분을 길게 늘여서 사용할 수 있고, 바늘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튜브가 끼워지는 바늘의 후단부 내측에 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 고정겸자로 가압하여 바늘을 집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겸자는; 한 쌍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부에 바늘의 결함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바늘과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Forceps}
본 발명은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에 관한 것으로, 튜브가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복부를 관통하는 바늘을 별도의 고정겸자를 통해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자는 바늘을 깊게 삽입해야 하는 상황에서 손잡이 부분을 길게 늘여서 사용할 수 있고, 바늘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한 환자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혈액이나 삼출액을 바로 배출시키지 않으면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러한 혈액이나 삼출액을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헤모박(Hemovac) 또는 바로박(Barovac)이라고 불리는 의료용 흡인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의료용 흡인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배액용기(10)와 피부를 관통하는 바늘(12), 상기 배액용기(10)와 바늘(12)을 연결하는 튜브(1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바늘(12)은 의료를 행하는 시술자가 피부를 관통하는데에 있어 편의를 위해 약 20 내지 30°가량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인기 튜브 인도용 바늘은 그 길이가 표준화되고 제한적이기 때문에, 환자의 체형이 크거나 비만인 경우 바늘의 길이가 짧아 시술자는 손으로 바늘을 잡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술자는 바늘의 끝부분만을 잡아서 사용하게 되면 안정적으로 바늘을 잡을 수 없고 자칫 바늘을 놓치는 등의 의료사고가 발생한다.
또한 흡인기 튜브 인도용 바늘은 금속재질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술 시 수술용장갑에 체액이 묻어 있기 때문에 매우 미끄러워 피부안(수술부위)에서 피부밖으로 바늘을 관통시킬 때 바늘이 쉽게 회전한다. 그로 인해 시술자의 부주의로 바늘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하는 바늘의 휘어진 끝 부분에 의해 원하지 않는 다른 중요한 장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회전한 바늘 끝의 휘어진 방향은 외부에서 시술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관통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바늘 진행방향을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체내의 원하지 않는 장기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등록특허 제10-1540199호(흡인기튜브 인도용 바늘)에는 튜브와 연결되는 바늘의 후단부 내측에 손잡이부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고정손잡이를 결합하여 시술자는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바늘을 잡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기술과 전혀 다른 방법으로 바늘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바늘의 손잡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한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겸자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5-0124214호(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에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교차되어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후단에 링 형상의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말단에 그 선단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벤딩 형성된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겸자의 끝부분을 상향 또는 하향 벤딩하여 조직수술시 적합한 각도를 취할 수 있도록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겸자로 바늘을 집거나 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조직에 직접 접촉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튜브 인도용 바늘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전혀 해결할 수 없다.
KR1540199 10 KR2015-124214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튜브 인도용 바늘을 시술자가 그대로 잡지 않고 튜브 인도용 바늘을 잡는데에 있어서 적합한 구조의 별도의 고정겸자를 통해 바늘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바늘의 손잡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한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튜브가 끼워지는 바늘의 후단부 내측에 결합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 고정겸자로 가압하여 바늘을 집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겸자는; 한 쌍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부에 바늘의 결함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바늘과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저면에는 안착홈부가 고정부의 경계부터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난 바늘의 후단부 일면이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각각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 형성 길이는 결함홈부의 형성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소정구간 고정편이 돌출 형성되어 바늘의 결합홈부 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겸자를 통해 튜브 인도용 바늘을 시술자가 그대로 잡지 않도록 하여 환자의 체형에 비해 바늘의 길이가 짧더라도 효과적으로 손잡이 부분을 길게 연장하여 수술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늘의 끼움홈에 결합하는 고정겸자의 고정부 구조로 인해 바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바늘이 회전되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의료사고를 방지하고, 고정겸자의 방향을 보고 바늘의 휘어진 방향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 체내로 관통한 바늘이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혈액배출 튜브가 정확한 위치에 자리 잡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흡인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겸자 및 바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겸자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겸자를 통해 바늘을 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겸자의 몸체부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고정겸자의 저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8은 발명에 따른 고정겸자의 고정부를 통해 바늘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고정겸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실시예에서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흡인기는 도 1의 종래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혈액이 저장되는 배액용기(10)와 튜브(11), 바늘(12)로 구성되며, 종래의 바늘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술자의 손에는 환자에 체액이 묻어있기 때문에 바늘을 잡은 손이 미끄러지기 쉬운 조건에 있다. 또한 바늘의 길이는 그 길이가 표준화되고 제한적이기 때문에, 환자의 체형이 크거나 비만인 경우 바늘의 길이가 짧아 시술자는 손으로 바늘을 잡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바늘과 별도로 구비된 고정겸자를 통해 바늘이 미끄러지지 않고 바늘의 길이가 짧더라도 효과적으로 손잡이 부분을 길게 연장하여 수술 편의성을 확보하고 의료사고를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는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가 끼워지는 바늘(20)의 후단부 내측에 결합홈부(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22)에 고정겸자(10)로 가압하여 바늘(20)을 집을 수 있도록 하되,상기 고정겸자(10)는; 한 쌍의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와 연결되어 힌지축(15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몸체부(200)와,상기 몸체부(200)의 저면부에 바늘(20)의 결합홈부(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부(300);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바늘(20)과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겸자(10)는 손잡이부(100)가 움직임에 따라 연결된 몸체부(200)가 힌지축(150)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몸체부(200)의 내측이 서로 맞닿아 가압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겸자 또는 가위의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00)에 고정부(300)를 더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바늘(20)을 집을 수 있도록 하고, 바늘(20)에도 이와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홈부(2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200)는 도 5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부(200)가 서로 맞닿는 저면 중앙에 고랑 형태로 파여진 안착홈부(210)가 고정부(300)의 경계부터 후방(손잡이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착홈부(210)를 형성한 이유는, 바늘(20)의 후단부(튜브가 끼워진 방향)는 결합홈부(22)보다 더 돌출된 원통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20)의 후단부 일면과 몸체부(200)의 저면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바늘(20)의 후단부 일면이 안착홈부(210)에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300)는 몸체부(200)의 저면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300)가 몸체부(200)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대로 형성하지 않고, 몸체부(200)의 저면부에 형성한 이유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20)의 후단에 연결된 튜브와 고정겸자(10)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시술자의 사용방법에 따라서 고정부(300)가 상면부에 오도록 고정겸자(10)를 180°회전시키거나 고정부(300)가 측부에 위치하도록 90°만 회전시켜 얼마든지 변형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부(300)는 결합홈부(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데, 상기 고정부(3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태로 각각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길이방향 전후방으로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바늘(20)이 고정부(300)를 지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바늘(20)의 결합홈부(22) 역시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고정부(300)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결합홈부(22)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맞물리는 구조가 되어 바늘(20)이 고정부(300) 내에서 회전되지 않아 의료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몸체부(200)의 저면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300)가 형성된 길이(D1)는 결합홈부(22)의 형성길이(D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부(300)의 형성길이(D1)가 결합홈부(22)의 형성길이(D2)를 초과할 경우 결합홈부(22)가 형성되지 않은 바늘(20)에 고정부(300)가 접촉되면서 원활한 고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고정부(300)의 형성길이(D1)가 결합홈부(22)의 형성길이(D2)에 미치지 못할 경우 힘의 방향에 따라 고정부(300)가 결합홈부(22) 내에서 전후로 밀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300)의 내측 중앙에 소정구간만큼 고정편(310)이 돌출 형성되고 바늘(20)의 결합홈부(22) 내에는 이와 대응되는 끼움홈(22a)을 형성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즉, 고정부(300)의 고정편(310)과 바늘(20)의 끼움홈(22a)은 고정부(300) 및 결합홈부(22)의 전체에 걸쳐 형성하지 않고 소정구간만큼 형성함으로써 바늘(20)의 회전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길이방향의 밀림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310)은 어느 한쪽의 고정부(300)에만 형성되어 끼워질 수도 있고, 확실한 고정을 위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고정편(310)이 형성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고정편(310)의 돌출길이가 바늘(20)의 중앙에 가까울 경우 바늘(20)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늘(20)의 강도를 고려하여 적당한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정겸자(10)는 손잡이부(100)의 가압방향과 몸체부(200)의 가압방향이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시술자는 손잡이부(100)를 내측으로 쥐는 형태로 힘을 주어 바늘(20)을 집을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부(100) 사이에는 손잡이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계단 타입으로 이루어진 스토퍼(미도시)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T : 튜브
10 : 고정겸자 20 : 바늘
22 : 결합홈부 22a : 끼움홈
100 : 손잡이부 150 : 힌지축
200 : 몸체부 210 : 안착홈부
300 : 고정부 310 : 고정편

Claims (5)

  1. 튜브(T)가 끼워지는 바늘(20)의 후단부 내측에 결합홈부(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22)에 고정겸자(10)로 가압하여 바늘(20)을 집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겸자(10)는;
    한 쌍의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와 연결되어 힌지축(15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몸체부(200)와,
    상기 바늘(20)의 결합홈부(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부(300)가 상기 몸체부(200)의 저면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바늘(20)과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300)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각각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 저면에는 안착홈부(210)가 고정부(300)의 경계부터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300)를 지난 바늘(20)의 후단부 일면이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 형성 길이는 결합홈부(22)의 형성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에 소정구간 고정편(310)이 돌출 형성되어 바늘(20)의 결합홈부(22) 내에 형성된 끼움홈(22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KR1020160106812A 2016-08-23 2016-08-23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KR10180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12A KR101808442B1 (ko) 2016-08-23 2016-08-23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12A KR101808442B1 (ko) 2016-08-23 2016-08-23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442B1 true KR101808442B1 (ko) 2017-12-12

Family

ID=6094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12A KR101808442B1 (ko) 2016-08-23 2016-08-23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99A1 (ko) * 2019-04-18 2020-10-22 충남대학교병원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169A (ja) 1999-09-08 2003-03-11 グレイゼル,ジョセフ 経皮的進入装置及び方法
CN205163142U (zh) 2015-11-09 2016-04-20 上海市第一人民医院 一种手术荷包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169A (ja) 1999-09-08 2003-03-11 グレイゼル,ジョセフ 経皮的進入装置及び方法
CN205163142U (zh) 2015-11-09 2016-04-20 上海市第一人民医院 一种手术荷包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99A1 (ko) * 2019-04-18 2020-10-22 충남대학교병원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9532A (en) Clamping wing for catheter introducer
KR101656944B1 (ko) 내시경용 주사장치
WO2015115113A1 (ja) 穿刺補助器具および穿刺器具セット
US20140249504A1 (en) Vascular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10660668B2 (en) Handles for needle assemblies
KR101800353B1 (ko) 침관 및 조립체
KR101540199B1 (ko) 흡인기튜브 인도용 바늘
US10383609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incisions
JPWO2013065509A1 (ja) 内視鏡用処置具挿通具
KR101808442B1 (ko)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IL279875B1 (en) Intraosseous needle removal device
US10492829B2 (en) Reusable delivery devices
WO2011123062A2 (en) Cutting device for cutting tissue
US20220142665A1 (en) Cutting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603071B1 (en) Cutting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20175417A1 (en) Trocar instrument and auxiliary device therefor
CN104783852A (zh) 肌腱辅助缝合钳口及肌腱辅助缝合钳
US20170224349A1 (en) Vascular compression assist device and method of tactile hemostasis
JP4505339B2 (ja) ドレーンを挿入する装置
JP6504446B2 (ja) 皮下トンネル用穿刺針
WO2021200846A1 (ja) 穿刺補助具
JP2014014672A (ja) 針組立体の安全シールド
JP2001238947A (ja) 穿刺具および穿刺具セット
CN217907865U (zh) 一次性使用穿刺导入针
KR20190070434A (ko) 튜브 인도용 바늘의 안내를 위한 리트렉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